KR20090032232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232A
KR20090032232A KR1020070097257A KR20070097257A KR20090032232A KR 20090032232 A KR20090032232 A KR 20090032232A KR 1020070097257 A KR1020070097257 A KR 1020070097257A KR 20070097257 A KR20070097257 A KR 20070097257A KR 20090032232 A KR20090032232 A KR 20090032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drum
rear plate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508B1 (ko
Inventor
윤주한
배상훈
허선일
최연식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508B1/ko
Priority to EP08016569.9A priority patent/EP2042644B1/en
Priority to US12/285,007 priority patent/US8225528B2/en
Priority to CN2008101680914A priority patent/CN101397752B/zh
Publication of KR2009003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로 수분이 공급되어 피건조물이 건조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방을 덮는 리어 서포터; 상기 드럼 내부로 수분(moisture)을 공급하도록 상기 리어 서포터에 일단이 장착되는 수분 공급부; 건조기의 후면을 이루되, 상기 수분 공급부가 장착된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일부가 절개된 리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 수분공급장치, 수분 공급부, 리어 플레이트, 커버

Description

건조기{laundry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의류 등의 피건조물에 생기는 주름 또는 구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도록 드럼 내부로 수분이 공급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피건조물을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물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의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에서 건조 완료된 세탁물과 같은 피건조물에 존재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 이외에도 의류 등을 통상적으로 보관,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등의 통상적 사용, 보관에 따른 구김도 간편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방지 및 제거할 수 있는 수분공급장치를 구비한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수분공급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분 공급부의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방을 덮는 리어 서포터; 상기 드럼 내부로 수분(moisture)을 공급하도록 상기 리어 서포터에 일단이 장착되는 수분 공급부; 건조기의 후면을 이루되, 상기 수분 공급부가 장착된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일부가 절개된 리어 플레이트; 를 포함한다.
상기 수분 공급부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부와 연결되며, 상기 절개된 부분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상단을 포함한다.
상기 절개된 부분을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절개된 부분을 회동하며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 며, 특히, 상기 커버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후크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이종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커버가 불에 타지 않도록 하는 내화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기 리어 서포터에 형성된 유입부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기 스팀발생부와 연결되는 스팀호스와 상기 스팀호스의 단부에 형성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리어 서포터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 의하면 건조된 상태의 의류에 있는 구김 또는 주름도 별도의 다름질 없이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둘째, 리어 플레이트의 상측에 절개부가 형성됨으로써 수분공급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분 공급부의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리어 플레이트의 절개된 부분이 커버에 의해 덮여지므로 사용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 상기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를 구비한다.
그리고,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를 만드는 히터(90)(이하 '열풍 히터'라 함), 상기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덕트(80), 상기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의 건조기를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의 건조기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캐비닛(10)은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며,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 스(12)와, 상기 베이스(12)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4)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14)가 설치되지 않은 베이스(12)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론트 플레이트(16) 및 리어 플레이트(18), 상기 플레이트(16,18)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 플레이트(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콘트롤 패널(19)은 탑 플레이트(17) 또는 프론트 플레이트(16)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콘트롤 패널(19)이 탑 플레이트(17)에 위치하는 것을 보였다.
리어 플레이트(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기홀(184)이 형성된다. 또한,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뒤집어 주며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한 리프터(22)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드럼(20)과 캐비닛(10)(프론트 플레이트(16) 및 리어 플레이트(18))의 사이에는 프론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설치된다.
프론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드럼(20)이 회전 가능하도록 드럼(20)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프론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물 및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론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상기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면서 상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프론트 플레이트(16)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16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62)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론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이때,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 덕트(80)는 리어 플레이트(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된다.
통상, 상기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로워(62)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유입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상기 열풍공급덕트(44)는 리어 서포터(40)에 형성된 유입부(42)를 통해 드럼(2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는 수분을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가 설치된다. 수분공급장치로는 미스트(mist)를 발생시켜 드럼(20) 내부로 공급하는 미스트공급장치 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공급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공급장치(200)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부와, 일측은 물 공급원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스팀 발생부와 연결되는 물 공급부와, 일측은 상기 스팀 발생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드럼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스팀공급장치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다음과 같다.
스팀공급장치(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상기 워터 탱크(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상기 워터 탱크(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와, 상기 워터 탱크(2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호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팀 호스(23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 물 공급원과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부 또는 노즐(250)은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물론, 급수 호스(220)가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 물 공급원과 연결되지 않고 캐비닛(10) 내부에 장착되며 소정량의 물이 보관되는 워터 컨테이너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 탱크(210) 및 히터(240)는 스팀 발생부로서, 급수 호 스(220)는 물 공급부로서, 스팀 호스(230) 및 노즐(250)은 수분 공급부로서 각각 역할하게 된다.
상기 노즐(250)이 구비되지 않고 스팀 호스(230)의 단부가 드럼(20) 내부에 위치하여 스팀을 공급할 수도 있으나, 노즐(250)은 드럼에 분사되는 스팀의 분사 각도, 스팀의 분사 분포 등을 효과적으로 하게 하는 기능을 하므로, 스팀 호스(230)의 단부에는 노즐(2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노즐(250)은 스팀 호스(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스팀 발생부의 일측에 물 공급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수분 공급부가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물 공급부 및 수분 공급부는 동일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설치위치를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스팀공급장치(200)의 설치위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공급장치(200)는 드럼(20)의 상측 즉 드럼(20)의 상부와 탑 플레이트(17)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통상 드럼(20)과 탑 플레이트(17)의 사이의 공간이 캐비닛(10)의 내부에서 비교적 여유가 있는 공간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스팀공급장치(200)를 설치하는 것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스팀공급장치(200)를 이 부분에 설치하면, 상기 스팀공급장치(2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탑커버(17)를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특히, 스팀공급장치(2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분 공급부는 리어 서포터(40)에 형성된 유입부(4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리어 서포터(40)에 형성된 유입부(42)는 열풍이 드럼(20)으로 공급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스팀공급장치(200)의 수분 공급부를 리어 서포터(20)의 유입부(42)에 인접하여 배치하면, 상기 유입부(42)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과 함께 스팀이 드럼(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이 드럼(20)의 내부로 분사되는 각도, 분포 등을 효과적으로 하여 피건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습윤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드럼(20)에 분출되는 스팀이 유입부(42)를 통과한 열풍과 혼합된다고 하였지만, 가열되지 않은 공기와 혼합될 수도 있다.
한편, 수분 공급부를 형성하는 스팀호스(230)와 노즐(250) 중에서 상기 노즐(250)은 리어 서포터(4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250)이 리어 서포터(40)에 설치될 때에는 노즐(250)이 드럼(2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18)의 상측에는 리어 플레이트(18)의 일부가 절개된 부분(180)이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절개된 부분(180)은 수분 공급부를 형성하는 스팀호스(230)와 노즐(250)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리어 플레이트(18)의 후면 상측에 절개된 부분(180)을 형성하는 이유는 수분 공급부를 형성하는 스팀호스(230) 또는 노즐(250)이 고장 났을 때 상기 절개된 부분(180)를 통해 스팀호스(230) 또는 노즐(250)을 쉽게 수리할 수 있도 록 하여 서비스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절개된 부분(180)을 노출된 상태로 두게 되면, 사용자가 리어 플레이트(18)의 절개된 단부에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또한, 내부에 고온의 스팀이 흐르는 스팀호스(230)에 사용자가 접촉하였을 때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수분 공급부의 서비스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리어 플레이트(18)에 형성되는 절개된 부분(180을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커버(300)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는 상기 절개된 부분(180)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개구부(311)가 형성되는 프레임(310)과, 상기 프레임(3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310)에 형성된 개구부(3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20)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8)와 다른 재질인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강성, 내충격성, 전기적 특성이 뛰어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개된 부분(180)이 커버(300)에 의해 덮여지므로 사용자가 스팀호스(230)와 접촉함으로써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날카로운 절개된 부분(180)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300)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1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300)를 리어 플레이트(18)에 결합하기 쉽도록 커버(300)의 프레임(310)에 는 복수개의 후크(312)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312)는 프레임(3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ㄱ"자 형상을 가져 리어 플레이트(18)에서 절개된 단부가 프레임(310)과 후크(312)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커버(300)가 리어 플레이트(18)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커버(300)는 후크(312)에 의해서만 리어 플레이트(1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스크류와 같은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리어 플레이트(1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310)이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지므로 프레임(310)을 탄성 변형시키면 상기 후크(311)를 리어 플레이트(18)의 절개된 단부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10)과 상기 개폐부재(320)의 일측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320)가 상기 개구부(311)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구부(3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20)에는 복수개의 걸림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21)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320)는 상기 프레임(310)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320)의 일측 단부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325)에는 체결부재로 개폐부재(320)를 리어 플레이트(18)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홀(326)이 형성된다. 리어 플레이트(18)에는 개폐부재(320)가 프레임(310)에 형성되는 개구부(311)를 닫았을 때 체결홀(32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181)이 구비된다.
그리고, 개폐부재(320)의 내측면에는 안전 부재가 불에 타지 않도록 하는 내 화재(4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내화재(400)가 구비되도록 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드럼(20) 내부로 인화성 물질이 투입되는 경우, 인화성 물질이 드럼(2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인화되어 드럼(20) 내부에 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드럼(20) 내부의 불이 스팀 호스(230) 및 커버(300)를 태우면서 캐비닛(10) 외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캐비닛(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반면, 스팀 호스(230) 및 커버(300)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므로, 드럼(20) 내부에서 발생된 불이 스팀 호스(230) 및 커버(300)를 통해 번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내화재(400)로는 개폐부재(320)의 내측면에 붙이도록 된 세라믹 물질 또는 개폐부재(320)의 내측면에 칠하는 내화 페인트 등과 같이 캐비닛(10) 내부에서 발생된 불이 캐비닛(10) 외측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300)가 리어 플레이트(18)의 절개된 부분(180)에 장착되고, 커버(300)의 개폐부재(320)가 스크류에 의해 리어 플레이트(18)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분 공급부가 설치된 곳에 대응하는 리어 플레이트(18)에 절개된 부분(180)을 형성함으로써 수분 공급부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어 플레이트(18)에 형성되는 절개된 부분(180)을 덮도록 커버(300)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사고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300) 에는 절개된 부분(180)을 개폐하는 개폐부재(320)가 형성됨으로써 수분 공급부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만 개폐부재(320)를 개방하여 수리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기 내부에 설치되는 수분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의 후측 상부에 형성되는 절개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개된 부분에 결합되는 커버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버가 절개된 부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캐비닛 18: 리어 플레이트
300: 커버 310: 서포터
320: 개폐부재 400: 내화재

Claims (14)

  1.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방을 덮는 리어 서포터;
    상기 드럼 내부로 수분(moisture)을 공급하도록 상기 리어 서포터에 일단이 장착되는 수분 공급부;
    건조기의 후면을 이루되, 상기 수분 공급부가 장착된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일부가 절개된 리어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부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된 부분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상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된 부분을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절개된 부분을 회동하며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버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후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이종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커버가 불에 타지 않도록 하는 내화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제 12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기 리어 서포터에 형성된 유입부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4. 제 12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기 스팀발생부와 연결되는 스팀호스와 상기 스팀호스의 단부에 형성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리어 서포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70097257A 2007-09-27 2007-09-27 건조기 KR101387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257A KR101387508B1 (ko) 2007-09-27 2007-09-27 건조기
EP08016569.9A EP2042644B1 (en) 2007-09-27 2008-09-19 Clothes Dryer
US12/285,007 US8225528B2 (en) 2007-09-27 2008-09-26 Dryer
CN2008101680914A CN101397752B (zh) 2007-09-27 2008-09-27 干燥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257A KR101387508B1 (ko) 2007-09-27 2007-09-27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232A true KR20090032232A (ko) 2009-04-01
KR101387508B1 KR101387508B1 (ko) 2014-04-21

Family

ID=4051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257A KR101387508B1 (ko) 2007-09-27 2007-09-27 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7508B1 (ko)
CN (1) CN10139775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320A2 (ko) * 2010-05-27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세탁장치
EP2280114B1 (en) * 2009-07-31 2017-12-13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having liquid injection nozz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8073B (zh) * 2016-12-30 2023-10-2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用于干衣机的蒸汽发生器和具有其的干衣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8954A (en) * 1958-04-25 1960-11-08 Gen Motors Corp Laundry drier with sprinkling device
DE3408136A1 (de) * 1984-03-06 1985-09-19 Passat-Maschinenbau Gmbh, 7100 Heilbron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textilien
US7865161B2 (en) * 2004-06-25 2011-01-04 Nokia Corporation File delivery session handling
CN1880541A (zh) * 2005-06-15 2006-12-2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涤装置及其洗涤方法
KR100740836B1 (ko) 2005-11-30 2007-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KR100672340B1 (ko) 2006-03-31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0114B1 (en) * 2009-07-31 2017-12-13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having liquid injection nozzle
WO2011149320A2 (ko) * 2010-05-27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세탁장치
WO2011149320A3 (ko) * 2010-05-27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세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97752B (zh) 2011-07-20
KR101387508B1 (ko) 2014-04-21
CN101397752A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920B1 (ko) 건조기
US8225528B2 (en) Dryer
KR101396971B1 (ko) 스팀건조기
KR100662473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US20100115788A1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774217B1 (ko) 건조기
KR100640788B1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US8250777B2 (en) Device of supplying water for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984691B2 (en) Laundry machine
KR20080058590A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080027591A (ko) 건조기
KR100740836B1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KR100662472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KR101387508B1 (ko) 건조기
KR100640811B1 (ko) 건조기용 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45872B1 (ko) 스팀건조기
KR101241897B1 (ko) 건조기
KR100833867B1 (ko) 스팀건조기
KR101422025B1 (ko) 건조기
KR100833866B1 (ko) 스팀건조기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100983279B1 (ko) 건조기
KR100857802B1 (ko) 스팀건조기
KR100672437B1 (ko) 건조기용 스팀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
KR100672438B1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