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303A -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 Google Patents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303A
KR20090048303A KR1020080086011A KR20080086011A KR20090048303A KR 20090048303 A KR20090048303 A KR 20090048303A KR 1020080086011 A KR1020080086011 A KR 1020080086011A KR 20080086011 A KR20080086011 A KR 20080086011A KR 20090048303 A KR20090048303 A KR 20090048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heating
power
fuse disconnec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372B1 (ko
Inventor
길종진
Original Assignee
길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종진 filed Critical 길종진
Priority to KR1020080086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3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303A/ko
Priority to PCT/KR2009/002972 priority patent/WO2010024518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05Switches using a fusibl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Landscapes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장판, 전기요, 전기 찜질기 등의 온열기에 사용되는 SCR, TRIAC 등과 같은 제어정류소자의 동작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발생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전원퓨즈를 단선시켜 발열선 히터가 지속적으로 발열되지 않도록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어정류소자를 온시키기 위한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게이트 단으로 공급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게이트 트리거 전압의 공급에 대응하여 발열선 히터가 발열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발열선 히터가 발열하면 전원퓨즈를 단선시킴으로써, 온열기에 사용되는 전력제어 제어정류소자의 고장시 온도제어 신호와 무관하게 발열선 히터가 작동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온열기, 전기장판, 전기요, 전기 찜질기, 제어정류소자, 고장진단, 전원퓨즈, 단선, 비교증폭기, 오피앰프, 마이컴

Description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본 발명은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장판, 전기요, 전기 찜질기 등의 온열기에 사용되는 SCR, TRIAC 등과 같은 제어정류소자의 동작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발생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전원퓨즈를 단선시켜 발열선 히터가 지속적으로 발열되지 않도록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의 경우에 침상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전기장판, 전기요, 전기 찜질기 등의 전열 침구류, 온열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열 침구류, 온열기에는 내부에 발열선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발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소자로 제어정류기인 SCR 또는 TRIAC 을 사용한다.
따라서 제어소자로 사용되는 제어정류소자가 기타 사유로 제어기능을 상실하면 발열선 히터가 계속 발열되어 화상 또는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데 문제가 있 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 장판, 전기요, 전기 찜질기 등의 온열기에 사용되는 SCR, TRIAC 등과 같은 제어정류소자의 동작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발생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전원퓨즈를 단선시켜 발열선 히터가 지속적으로 발열되지 않도록 하는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제어정류기인 SCR 또는 TRIAC의 제어 입력 게이트 신호전압과 애노드 전압 또는 발열전압을 마이컴 칩(MICOM CHIP) 또는 비교증폭기로 비교하여 게이트 신호전압이 없는 상태에서 발열전압이 검출되어지면 발열선 제어정류기인 SCR 또는 TRIAC 소자가 제어능력을 상실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퓨즈를 단선시켜 발열선이 연속적으로 발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에 있어서, 발열선 히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발열 온도에 응하여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전원 및 온도조절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응하여 상기 발열선 히터로 발열전류를 공급시켜 발열되도록 하는 발열선 히터 구동부; 상기 발열선 히터 구동부로 공급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검출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 상기 발열선 히터로 공급되는 발열전류를 발열전압으로 변환시켜 검출하는 발열전압 검출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과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열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출력하는 전원퓨즈 단선제어부; 및 상기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응하여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전원퓨즈 단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는,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검출하는 정류소자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소자와, 상기 충전소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압을 평활시키고 지연시키는 지연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는, 상기 발열전압을 검출하는 정류소자와, 상기 발열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소자와, 상기 충전소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압을 평활시키고 지연시키는 지연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는,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1 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 또는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의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2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는,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을 비반전 단자(-)로 입력받고,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2 신호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른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와,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구동에 따라 발열되는 발열저항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발열저항을 발열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와,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구동에 따라 전류용량값이 변하는 저항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저항소자의 전류용량 값을 초과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정류소자로 과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에 있어서, 발열선 히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도조절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및 온도조절부; 상기 온도조절신호에 응하여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발열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응하여 상기 발열선 히터로 발열전류를 공급시켜 발열되도록 하는 발열선 히터 구동부; 상기 발열선 히터로 인가되는 발열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발열전압 검출부; 및 상기 마이컴의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응하여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전원퓨즈 단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선 히터 구동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상기 저항소자와 직류로 연결된 정류소자와, 게이트단에 연결된 상기 정류소자로부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캐소드단에 직렬로 연결 되어 상기 발열전압을 상기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저항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애노드단과 상기 마이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애노드단으로 공급되는 발열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저항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와,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구동에 따라 발열되는 발열저항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발열저항을 발열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와,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구동에 따라 전류용량값이 변하는 저항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저항소자의 전류용량 값을 초과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정류소자로 과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에 있어서, 발열선 히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발열 온도에 응하여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전원 및 온도조절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응하여 상기 발열선 히터로 발열전류를 공급시켜 발열되도록 하는 발열선 히터 구동부; 상기 발열선 히터 구동부로 공급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검출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 상기 발열선 히터로 공급되는 발열전류를 발열전압으로 변환시켜 검출하는 발열전압 검출부; 및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과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열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전원퓨즈 단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는,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검출하는 정류소자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소자와, 상기 충전소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압을 평활시키고 지연시키는 지연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는, 상기 발열전압을 검출하는 정류소자와, 상기 발열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소자와, 상기 충전소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압을 평활시키고 지연시 키는 지연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전원퓨즈와,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발열저항과,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1 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 또는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의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2 스위칭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 트리 전압 검출부에서 신호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로부터 신호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제 2 스위칭소자가 턴온되어 상기 발열저항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전원퓨즈와,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발열저항과,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소자 또는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의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어정류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 트리 전압 검출부에서 신호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로부터 신호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정류소자가 온되는 경우 상기 발열저항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순화된 구성으로 히터 발열용 제어소자로 적용된 제어정류기인 SCR 또는 TRIAC의 제어 능력을 모니터링하여, 그 제어능력을 상실한 경우 전원퓨즈 단선회로를 제어하여 전원퓨즈를 단선시켜 발열선이 지속적으로 발열되어 발생할 수 있는 온도과승현상을 차단함으로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세 살펴보도록 한다.
(아날로그 트랜지스터를 채용한 실시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트랜지스터가 채용된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트랜지스터가 채용된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는 발열선 히터(7)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발열 온도에 응하여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전원 및 온도조절부(60)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응하여 상기 발열선 히터(7)로 발열전류를 공급시켜 발열되도록 하는 발열선 히터 구동부(70)와, 상기 발열선 히터 구동부(70)로 공급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검출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20)와, 상기 발열선 히터(7)로 공급되는 발열전류를 발열전압으로 변환시켜 검출하는 발열전압 검출부(30)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2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과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30)로부터 입력되는 발열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출력하는 전원퓨즈 단선제어부(40)와, 상기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응하여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전원퓨즈 단선부(50)로 구성된다.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20)는 상기 전원 및 온도조절부(60)로부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공급받는 다이오드(12)와, 상기 다이오드(12)를 통해 인가된 발열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콘덴서(13)와 상기 콘덴서(13)로부터 인가되는 발열전압 신호를 평활시키는 저항(14)로 구성된다.
발열전압 검출부(30)는 상기 발열선 구동부(70)로부터 발열전압을 공급받는 다이오드(15)와, 상기 다이오드(15)를 통해 인가된 발열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콘덴서(16)와 상기 콘덴서(16)로부터 인가되는 발열전압 신호를 평활시키는 저항(17)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40)는 베이스단에 상기 저항(17)이 연결되어 있고 애노드단으로 발열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지스터(11)와, 베이스단에 상기 저항(14)이 연결되어 있고, 애노드단으로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지스터(1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4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3)와, 게이트 단 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2)와, 상기 제어정류소자(2)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2)의 구동에 따라 발열되는 발열저항소자(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발열저항(1)을 발열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4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3)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2)와, 상기 제어정류소자(2)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2)의 구동에 따라 전류용량값이 변하는 저항소자(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저항소자(31)의 전류용량 값을 초과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4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3)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정류소자(2)로 과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날로그 트랜지스터가 채용된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및 온도조절부(60)로부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출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및 온도조절부(60)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저항(4)을 통해 다이오드(5)로 인가되고, 상기 다이오드(5)에 의해 제어정류기(6)의 게이트단으로 인가되면, 제어정류기(6)는 전원퓨즈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이 발열선 히터(7)에 공급되도록 온됨으로써 발열선 히터(7)이 발열된다.
이때, 상기 전원 및 온도조절부(60)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은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20)의 다이오드(12)로 인가되고, 다이오드(12)를 통해 출력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은 콘덴서(13)에 충전되며, 상기 충전전압은 저항(14)에 의해 평활되어 전원퓨즈 단선 제어부(40)의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에 트랜지스터(10)는 턴온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단은 제로 전압이 걸리게 되어,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단으로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므로, 트랜지스터(11)는 턴오프 동작을 한다.
그러므로, 전원퓨즈 단선부(50)의 저항(3)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결국 제어정류소자(2)의 게이트 단으로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므로, 제어정류소자(2)는 턴오프 상태가 된다. 이에 전원퓨즈는 단선되지 않고 전체 회로가 정상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다음, 발열선 히터(7)가 발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정류소자(6)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할 때, 즉 전원 및 온도조절부(60)로부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정류소자(6)가 온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20)의 다이오드(12)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콘덴서(13) 및 저항(14)으로도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에 전원퓨즈 단선 제어부(40)의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단으로도 로우레벨이 신호가 인가되어 턴오프된다.
따라서, 전원퓨즈 단선제어부(40)의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단으로는 발열전압 검출부(30)로부터 공급되는 발열전압이 인가되고, 트랜지스터(11)는 턴온된다. 이에 상기 트랜지스터(11)의 에미터단을 통해 발열전압이 출력되고, 상기 발열전압은 전원퓨즈 단선신호로 저항(18)을 통해 전원퓨즈 단선부(50)의 저항(3)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전원퓨즈 단선부(50)의 정류제어소자(2)는 게이트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온되고 발열저항(1)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열저항(1)이 발열되고, 상기 발열저항(1)이 발열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전원퓨즈는 단선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방식은 상기 발열저항(1) 대신에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용량 값이 변할 수 있는 저항소자(31)를 채용하 여 전류용량 값을 초과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거나, 상기 제어정류소자(2)로 과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킬 수 있다.
상기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조건 발열신호전압조건 저항(18)출력
게이트신호전압 HI X LO
LO HI HI
LO LO LO
상기 표에서 'X'는 발열신호 전압이 없다는 의미이다.
(오피앰프(OPAmp)를 채용한 실시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피앰프를 채용한 실시례는 도 1에 도시된 2개의 트랜지스터(10)(11)로 이루어진 전원퓨즈 단선제어부(40)에 대해 2개의 트랜지스터(10)(11)를 오피앰프(OP Amp)로 대체한 것으로서, 그 작용은 아날로그 트랜지스터를 채용한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40)의 오피앰프는 반전 단자(-)로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20)에서 출력되는 트리거 게이트 전압을 입력받고, 비반전 단자(+)로는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30)에서 출력되는 발열 전압을 입력받게 된다.
따라서, 반전 단자(-)로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입력되고, 비반전 단자(+)로 발열 전압이 입력되면 출력단으로 로우레벨의 전압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로우레벨의 전압신호는 전원퓨즈 단선부(50)의 제어정류소자(2)의 게이트 단으로 인가되고 턴오프되며, 전체 회로는 정상적으로 구동된다.
한편, 상기 반전 단자(-)로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반전 단자(+)로 발열전압이 인가되면 오피앰프(OP Amp)의 출력단으로 (+) 전원이 출력되고, 상기 (+) 전원은 전원퓨즈 단선신호로 전원퓨즈 단선부(50)의 저항(3)을 통해 제어정류소자(2)의 게이트단으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정류소자(2)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턴온된다. 이에 발열저항(1)은 발열하기 시작하고, 발열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전원퓨즈가 단선되어 전체 회로로 공급되던 구동전원이 차단됨으로써, 전체 회로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마이컴을 채용한 실시례)
마이컴을 채용한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선 히터(7)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도조절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및 온도조절부(60)와, 상기 온도조절신호에 응하여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술하는 발열선 히터 구동부(70)로부터 발열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80)과, 상기 마이컴(80)의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응하여 상기 발열선 히터(7)로 발열전류를 공급시켜 발열되도록 하는 발열선 히터 구동부(70)와, 상기 발열선 히터(7)로 인가되는 발열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80)으로 출력하는 발열전압 검출부(90)와, 상기 마이컴(80)의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응하여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전원퓨즈 단선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90)는 저항(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컴(8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3)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2)와, 상기 제어정류소자(2)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2)의 구동에 따라 발열되는 발열저항소자(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발열저항(1)을 발열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컴(8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3)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2)와, 상기 제어정류소자(2)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2)의 구동에 따라 전류용량값이 변하는 저항소자(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저항소자(31)의 전류용량 값을 초과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컴(8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3)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정류소자(2)로 과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마이컴이 채용된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전원 및 온도 조절부(60)를 통해 전원을 인가시킨 후 적정 온도를 설정하면 마이컴(80)에서는 상기 전원 및 온도 조절부(60)에서 설정된 온도로 온열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발열선 히터 구동부(70)로 출력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어정류기(6)를 구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트리거 전압(ON 신호)이 마이컴(80)으로부터 제어정류소자(6)로 입력되면 상기 AC 전원이 발열선 히터(7)로 공급되어 발열선 히터(7)가 발열된다.
그러면 발열선 히터 구동부(70)는 저항(4)을 통해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입력받아 다이오드(5)를 통해 제어정류소자(6)의 게이트단으로 출력하면 제어정류소자(6)는 턴온된다. 이때 마이컴(80)은 전원퓨즈 단선부(50)로 로우레벨의 전압을 출력시켜 전원퓨즈 단선부(50)의 제어정류소자(2)가 턴오프 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정상적으로 동작될 때의 등가회로도로서, 마이컴(80)은 저항(8)으로 이루어진 발열전압 검출부(90)를 통해 발열전압의 출력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게 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80)은 발열전압 검출부(90)의 저항(8)에 걸리는 전압(E2)을 입력받아 제어정류소자(2)의 정상유무를 판단한다.
한편,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발열선 히터 구동(70)로 출력시키지 않은 상태 에서 마이컴(80)이 발열전압 검출부(90)를 통해 발열전압 출력상태를 체크한 결과 발열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마이컴(80)은 전원퓨즈 단선부(50)의 저항(3)으로 하이레벨의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출력하고, 정류제어소자(2)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응하여 턴온되고, 발열저항(1)이 발열되기 시작하며, 발열저항(1)의 발열온도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시켜 전원퓨즈가 단선되도록 한다.
마이컴이 채용된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의 다른 실시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80)이 발열선 히터(7)의 발열전압을 발열선 히터 구동부(40)의 제어정류소자(6)의 애노측에 연결된 저항(9)을 통해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3의 발열전압 검출부(90)의 저항(8)에 걸리는 발열전압과 상기 애노측에 연결된 저항(9)에 걸리는 발열전압은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는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제어정류소자(6)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의 등가회로도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정류소자(6)의 게이트 단으로 하이레벨의 게이트 트리거 전압(ON)이 입력되면 저항(9)을 통해 도 11에 도시된 발열전압(E1)으로 제로 전압이 입력된다. 즉 마이컴(80)은 제어정류소자(6)의 게이트 단으로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오프상태일 때 저항(9)에 걸리는 전압(E1)이 존재하면 제어정류소자(6)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저항(9)에 걸리는 전압(E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정류소자(6)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여 전원퓨즈가 단선되도록 제어한다.
(일체형 전원퓨즈 단선부를 채용한 실시례 )
전원퓨즈 단선제어부가 일체로 형성된 전원퓨즈 단선부를 채용한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선 히터(7)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발열 온도에 응하여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전원 및 온도조절부(60)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응하여 상기 발열선 히터로 발열전류를 공급시켜 발열되도록 하는 발열선 히터 구동부(70)와, 상기 발열선 히터 구동부(70)로 공급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검출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20)와, 상기 발열선 히터로 공급되는 발열전류를 발열전압으로 변환시켜 검출하는 발열전압 검출부(30)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2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과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30)로부터 입력되는 발열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전원퓨즈 단선부(42)로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20)는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검출하는 정류소자(12)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소자(13)와, 상기 충전소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압을 평활시키고 지연시키는 지연소자(14)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30)는 상기 발열전압을 검출하는 정류소자(15)와, 상기 발열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소자(16)와, 상기 충전소자(16)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압을 평활시키고 지연시키는 지연소자(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4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퓨즈와,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발열저항(1)과,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1 스위칭소자(10)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10) 또는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30)의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2 스위칭소자(11)로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 트리 전압 검출부(20)에서 신호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30)로부터 신호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제 2 스위칭소자(11)가 턴온되어 상기 발열저항(1)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발열시킨다.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4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가능하다. 즉 도 15의 전원퓨즈 단선부(45)는 전원퓨즈와,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발열저항(1)과,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칭소자(10)와, 상기 스위칭소자(10) 또는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30)의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어정류소자(11A)로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 트리 전압 검출부(20)에서 신호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30)로부터 신호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정류소자(11A)가 온되는 경우 상기 발열저항(1)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발열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열침구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에 도시된 전원퓨즈 단선부(42)에 대해 설명하면, 정상적으로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출력될 때 발열전압 검출부(30)에 의해 발열전압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상기 전원 및 온도 조절부(60)로부터 출력되지 않는 시점에서 발열전압 검출부(30)에 의해 발열전압이 검출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전원퓨즈 단선부(42)의 제 1 스위칭소자(10)의 베이스단으로는 로우레벨의 신호전압이 인가되므로 제 1 스위칭소자(10)는 턴오프 상태가 되고, 제 2 스위칭소자(11)의 베이스단으로는 발열전압 검출부(30)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전압이 인가되므로 제 2 스위칭소자(11)는 턴온된다. 따라서 전원(AC)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이 발열선 히터(7) 뿐만 아니라 발열저항(1)으로도 인가되도록 하여, 발열저항(1)은 발열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전원퓨즈는 상기 발열저항(1)의 발열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단선된다.
마지막으로 도 15에 도시된 전원퓨즈 단선부(42)에 대해 설명하면, 정상적으로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출력될 때 발열전압 검출부(30)에 의해 발열전압이 검출되는 경우에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의해 스위칭소자(10)가 턴온된다. 또한 제어정류소자(11A)의 게이트단으로는 발열전압 검출부(30)의 하이레벨의 신호전압이 인가되나, 그 전에 먼저 스위칭소자(10)에 의해 제어정류소자(11A)의 게이트단으로는 로우레벨의 신호전압이 인가되므로 제어정류소자(11A)는 턴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전원퓨즈는 정상적으로 유지된다.
이때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상기 전원 및 온도 조절부(60)로부터 출력되지 않는 시점에서 발열전압 검출부(30)에 의해 발열전압이 검출되는 경우 전원퓨즈 단선부(45)의 스위칭소자(10)의 베이스단으로는 로우레벨의 신호전압이 인가되므로 스위칭소자(10)는 턴오프 상태가 되고, 제어정류소자(11A)의 게이트단으로는 발열전압 검출부(30)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전압이 인가되므로 제어정류소자(11A)는 턴온된다. 따라서 전원(AC)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이 발열선 히터(7) 뿐만 아니라 발열저항(1)으로도 인가되도록 하여, 발열저항(1)은 발열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전원퓨즈는 상기 발열저항(1)의 발열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단선된다.
본 발명에 언급된 제어정류소자는 사이리스터(SCR) 또는 트라이악(TRIAC) 등을 포함한다. 또한 도 14 의 도면 부호 42 및 도 15의 도면 부호 45는 2개의 점선블록박스가 일체로 형성된 관계로 점선블록박스를 상호 연결한 점선라인에 도면 부호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트랜지스터가 채용된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오피앰프(OPAmp)가 채용된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이 채용된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 및 도 9 및 도 10은 제어정류소자가 고장이 난 경우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6 및 도 7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의 기본 동작신호 파형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 내지 도 3에 구비된 전원퓨즈 단선부의 실시례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 4, 8, 14, 17, 18 : 저항
2, 6 : 제어정류소자(SCR)
5, 12, 15: 정류다이오드
10, 11 : 트랜지스터
13, 16 : 콘덴서

Claims (17)

  1.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에 있어서,
    발열선 히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발열 온도에 응하여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전원 및 온도조절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응하여 상기 발열선 히터로 발열전류를 공급시켜 발열되도록 하는 발열선 히터 구동부;
    상기 발열선 히터 구동부로 공급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검출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
    상기 발열선 히터로 공급되는 발열전류를 발열전압으로 변환시켜 검출하는 발열전압 검출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과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열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출력하는 전원퓨즈 단선제어부; 및
    상기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응하여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전원퓨즈 단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는,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검출하는 정류소자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소자와, 상기 충전소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압을 평활시키고 지연시키는 지연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는,
    상기 발열전압을 검출하는 정류소자와, 상기 발열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소자와, 상기 충전소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압을 평활시키고 지연시키는 지연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는,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1 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 또는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의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2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는,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을 반전 단자(-)로 입력받고,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을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2 신호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른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와,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구동에 따라 발열되는 발열저항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발열저항을 발열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와,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구동에 따라 전류용량값이 변하는 저항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저항소자의 전류용량 값을 초과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전원퓨즈 단선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정류소자로 과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에 있어서,
    발열선 히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도조절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및 온도조절부;
    상기 온도조절신호에 응하여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이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발열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응하여 상기 발열선 히터로 발열전류를 공급시켜 발열되도록 하는 발열선 히터 구동부;
    상기 발열선 히터로 인가되는 발열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발열전압 검출부; 및
    상기 마이컴의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응하여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전원퓨즈 단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 히터 구동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상기 저항소자와 직류로 연결된 정류소자와, 게이트단에 연결된 상기 정류소자로부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캐소드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전압을 상기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저항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애노드단과 상기 마이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애노드단으로 공급되는 발열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저항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와,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구동에 따라 발열되는 발열저항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발열저항을 발열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와,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정류소자의 구동에 따라 전류용량값이 변하는 저항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저항소자의 전류용량 값을 초과시켜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를 입력받는 저항소자와, 게이트 단에 연결된 상기 저항소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퓨즈 단선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정류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정류소자로 과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14.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에 있어서,
    발열선 히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발열 온도에 응하여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전원 및 온도조절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응하여 상기 발열선 히터로 발열전류를 공급시켜 발열되도록 하는 발열선 히터 구동부;
    상기 발열선 히터 구동부로 공급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검출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
    상기 발열선 히터로 공급되는 발열전류를 발열전압으로 변환시켜 검출하는 발열전압 검출부; 및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트리거 전압과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열 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전원퓨즈 단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는,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을 검출하는 정류소자와,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소자와, 상기 충전소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압을 평활시키고 지연시키는 지연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는,
    상기 발열전압을 검출하는 정류소자와, 상기 발열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소자와, 상기 충전소자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전압을 평활시키고 지연시키는 지연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전원퓨즈와,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발열저항과,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1 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 또는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의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2 스위칭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 트리 전압 검출부에서 신호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로부터 신호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제 2 스위칭소자가 턴온되어 상기 발열저항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퓨즈 단선부는, 전원퓨즈와, 상기 전원퓨즈를 단선시키는 발열저항과, 상기 게이트 트리거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 되는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소자 또는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의 신호 전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어정류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 트리 전압 검출부에서 신호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발열전압 검출부로부터 신호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정류소자가 온되는 경우 상기 발열저항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KR1020080086011A 2008-09-01 2008-09-01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KR100933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11A KR100933372B1 (ko) 2008-09-01 2008-09-01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PCT/KR2009/002972 WO2010024518A2 (ko) 2008-09-01 2009-06-04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11A KR100933372B1 (ko) 2008-09-01 2008-09-01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303A true KR20090048303A (ko) 2009-05-13
KR100933372B1 KR100933372B1 (ko) 2009-12-22

Family

ID=4085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11A KR100933372B1 (ko) 2008-09-01 2008-09-01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3372B1 (ko)
WO (1) WO201002451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2860A1 (ko) * 2009-10-29 2011-05-05 (주)세라젬 온열치료기용 pcb 플레이트의 과열방지 회로
KR101380197B1 (ko) * 2012-07-31 2014-04-01 쉴드라이프코리아 주식회사 온도조절기
WO2020045842A1 (ko) * 2018-08-31 2020-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량 모드 감지를 통한 퓨즈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5134B2 (ja) 1996-07-24 2004-07-2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加熱具の保安装置
KR20050022249A (ko) * 2004-03-09 2005-03-07 길종진 전열 침구류의 제어 장치
KR200353523Y1 (ko) * 2004-03-30 2004-06-18 송종석 전열매트 온도조절기
KR100803511B1 (ko) * 2006-07-03 2008-02-14 길종진 온도검출, 가열용 온도조절기 및 이에 사용되는온도조절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2860A1 (ko) * 2009-10-29 2011-05-05 (주)세라젬 온열치료기용 pcb 플레이트의 과열방지 회로
KR101037686B1 (ko) * 2009-10-29 2011-05-30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피씨비 플레이트의 과열방지 회로
KR101380197B1 (ko) * 2012-07-31 2014-04-01 쉴드라이프코리아 주식회사 온도조절기
WO2020045842A1 (ko) * 2018-08-31 2020-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량 모드 감지를 통한 퓨즈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302504B2 (en) 2018-08-31 2022-04-12 Lg Energy Solution, Ltd. Fus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defective mode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4518A2 (ko) 2010-03-04
KR100933372B1 (ko) 2009-12-22
WO2010024518A3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4483C (en) Circuit breaker for protecting an electrical system
JP4335243B2 (ja) 瞬時電圧低下補償装置
US200801291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and control through a rotating interface
KR101790134B1 (ko) 인버터의 고장진단 방법
US6819091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with over-temperature protection
JP200431290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過電流保護回路
JP2015010796A (ja) 面状採暖具
KR100933372B1 (ko)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KR101065482B1 (ko) 안전장치가 부가된 전열기구의 온도제어장치
JP2005506669A (ja) 短絡安定器の保護
JPH11149320A (ja) 電源回路の保護手段
JP4845821B2 (ja) 瞬時電圧低下補償装置
CN109842096B (zh) 电子保护电路
JP2006202538A (ja) ヒータ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KR20090105898A (ko)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 시 화재 방지 장치
KR101080516B1 (ko) 온도 조절기 및 이를 이용한 온도조절 방법
JP6909129B2 (ja) 安定化電源装置
JP2015010795A (ja) 面状採暖具
CN220673382U (zh) 用于双控电热毯的硬件自毁电路
KR200307067Y1 (ko) 침구류 무자계 열선용 온도조절기
KR200310222Y1 (ko) 침구류 무자계 열선용 온도조절기
JP2664468B2 (ja) 温度制御装置
WO2004107552A1 (ja) 高周波加熱装置のインバータ電源制御回路
KR870001583B1 (ko) 부하의 통 · 단전 제어장치
JP3870556B2 (ja) 電気床暖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