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392A - 번식 효율 개선을 위한 가축 관리 - Google Patents

번식 효율 개선을 위한 가축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392A
KR20090047392A KR1020087027618A KR20087027618A KR20090047392A KR 20090047392 A KR20090047392 A KR 20090047392A KR 1020087027618 A KR1020087027618 A KR 1020087027618A KR 20087027618 A KR20087027618 A KR 20087027618A KR 20090047392 A KR20090047392 A KR 20090047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casein
days
derived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세 마리오 이스코비치
Original Assignee
스테이트 오브 이스라엘, 미니스트리 오브 애그리컬쳐 앤드 루럴 디벨롭먼트, 애그리컬츄럴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밀레우티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이트 오브 이스라엘, 미니스트리 오브 애그리컬쳐 앤드 루럴 디벨롭먼트, 애그리컬츄럴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밀레우티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스테이트 오브 이스라엘, 미니스트리 오브 애그리컬쳐 앤드 루럴 디벨롭먼트, 애그리컬츄럴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4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3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8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mi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0Milk; Whey; Colost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번식 주기 및 이유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축 복지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조기 이유를 가능하게 하는 발정 유도 및 무발정 간격의 축소를 위한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축 무리의 발정 동기화 및 가축 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카제인-유도 펩티드, 번식 효율, 발정 동기화, 분만 후 간격(PPI), 이유

Description

번식 효율 개선을 위한 가축 관리{LIVESTOCK MANAGEMENT FOR IMPROVED REPRODUCTIVE EFFICIENCY}
본 발명은 가축의 번식 주기 및 이유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임신율의 증가로 이어지는 발정 유도 및 동기화, 그리고 발정휴지기의 감소를 위한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서, 가축 복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조기 이유를 가능하게 한다.
가축무리, 특히 육류 생산 가축의 생산성은 크게는 가축의 번식 효율에 의존하며, 임신율, 생산성-에너지 섭취 비율, 분만 전 내지 분만 후 신체 상태 점수 역학(pre- to post-parturition body condition score dynamics) 및 자손의 하중치(weight value)로 환산하여 측정된다. 임의의 효과적인 발정 주기 섭생법에 대한 중요한 필요조건은 예측가능하고 높은 발정 및 배란 반응이다. 번식 효율을 개별적으로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는 순차 분만(sequential parturition) 사이의 간격이다. 경제적인 용어로, 예를 들어, 소의 경우 새끼를 출산과 다음 출산과 사이의 주기는 1 년이라는 최적 주기, 즉, 1년 암소 한 마리당 한 마리의 새끼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분만 후 무발정 기간의 연장은 높은 번식 효율에 중요한 제한이다. 분만 후 간격(PPI)은 분만과 이후 발정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된다. 분만-발정 간격이 60 내지 120일 사이에서 증가하는 경우에, 임신 백분율은 선형으로 감소하는 것을 보인다. 또한, 송아지 가축 및 그 자손의 체중은 분만 후 간격이 증가하는 경우에 상당히 감소한다.
연중무휴의 송아지 무리에서, 암소의 11% 내지 38% 정도가 출산 후 50 또는 60일 정도가 무발정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정기적인 송아지 낙농 무리에서, 암소의 13% 내지 48%는 번식 주기의 시작에 무배란성 무발정으로 진단된다. 새끼를 낳은 후 배란 및 발정은 뇌하수체로부터 항체형성 호르몬(LH)의 방출에 미치는 에스트라디올의 양성 피드백 효과와 인슐린 및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I와 같은 대사 호르몬의 순환 농도가 다양한 환경 인자들에 의하여 감소되는 경우에 지연된다. 주요한 인자들은 제한된 에너지 섭취, 체 보유물(body reserves) 감소, 우유 생산으로의 에너지 분배의 증가, 보육 및 새끼 생산 시기 무렵의 질병(분만전후 질병)이다.
새끼 출산으로부터 최초 분만 후 배란에 이르는 간격은 난포의 성장 및 발달과 관련된 LH의 맥동성 방출의 증가 주기로 특징된다. 이러한 여포가 성숙하고 배란하기 위해서는, 성선자극 지지체(gonadotropic support)는 LH 및 여포 자극 호르몬(FSH)의 배란 전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에스트라디올의 증가된 생성 자극하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새끼의 존재는 육우의 최초 분만 후 배란의 발현에 있어서 지연과 관련이 있으며, LH의 낮은 빈도의 맥동성 분비로 유발되는 LH의 낮은 농도를 통한 발정 발현에 미치는 억압적 영향을 가진다. 이러한 억압적 효과는 유두 또는 유방 내의 감각신경 경로와는 무관하며, 어미-자손 애착은 가축에서 포유-유도 지연 성 PPI의 핵심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포유 효과를 제거하면 최초 배란을 자극하기에 충분한 LH 맥동 빈도에 있어서 급격한 증가가 일어나는데, 이는 분만 후 영양섭취의 수준에 의존하지 않는 반응이다. PPI의 기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 다른 인자들은 새끼 출산 전후의 영양섭취, 그리고 계절 및 분만전후 질병이다. 유방염, 자궁염, 질염, 중증 파행 및 출산 후 첫 달 동안의 케톤증과 같은 임상 질병의 발병은 모두 PPI 연장에 대한 중요한 위험 인자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요약하면, PPI 연장은 LH의 방출에 있어서 증가 및/또는 대사 신호에서의 증가가 포유에 의하여 지연되고, 낮은 에너지 섭취 및/또는 낮은 체 보유물의 경우에, 우유 생산으로 에너지의 분배 증가가 있는 경우 또는 가축 복지가 질병으로 인한 스트레스의 증가, 이유로 인한 유선/유방 압력 또는 높은 환경 온도로 인하여 불리하게 영향받는 경우에 관찰된다.
새끼 출산 이후 발정 주기의 조기 회복은 연중무휴 및 계절성 송아지 무리들 양쪽 모두에 있어서 높은 번식 효율을 위하여 중요하다. 목초지 기반 생산 시스템에 대하여, 새끼 출산의 시기는 주로 봄과 초여름의 최대 목초지 성장 속도의 이용을 최적화하도록 정해진다. 계절 동안의 최적 새끼 출산 분포를 유지하기 위하여, 번식 주기의 초기 동안에 높은 수태율은 중요한 선행조건이다. 최대 365일 새끼 출산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암소는 평균적으로 출산 후 약 80일 정도까지 착상이 필요하다. 배란 시작 및 발정 발현의 지연은 감소된 수태율 및 임신율, 그리고 새끼 출산으로부터 수태까지의 간격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PPI가 연장된 암소에 대한 치료 옵션은 호르몬 및 관리 전략을 포함한다. 예 를 들어, 프로제스테론 보충의 기간을 포함하는 호르몬 치료는 미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다수의 처리된 동물들이 정상적인 기간의 이후 황체기가 있는 발정 및 임신율의 개선을 보이는 결과로 나타난다. 호르몬 관여는 출산 후 신체 상태 또는 식이 섭취 조절과 같은 관리 변화와 비교하여 더 예측가능한 결과를 갖는 경향이 있으며, 주로 일부 발정 동기화 효과를 가져서 인공 수정의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6,939,558 호는 소, 돼지, 말 등과 같은 유기체에서 발정 유도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제스테론을 함유하는 질내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임의의 호르몬 치료제에 대한 반응은 가변적이며, 난포 주기(follicular wave) 단계 및 여포의 순차 진행을 조절하는데 역할을 하는 조절 메커니즘의 복잡성에 의존한다. 발정 동기화를 위한 호르몬의 사용은 부차적 효과뿐만 아니라 수정률의 감소로 나타나서 번식 효율 증가라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농장 동물 복지는 지난 십 여년 동안 현대 사회에서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Broom DM 1992 In: Phillips et al., Edts. Farm Animals and the Environment CAB Wallingford UK pp 245-253). 집중적인 생산 시스템 하의 농장 동물들의 하우징 및 관리 실시에서의 최근의 발전은 동물 복지의 윤리적 관심의 증가를 반영한다(Fregonesi JA et al. 2001 Livestock Production Sci. 68:205-216; Fregonesi et al. 2002 Livestock Production Sci. 78:245-257). 동물 복지의 개선은 고통의 방지 및 통상적으로 안락 또는 유쾌라 불리는 긍정적인 감정의 존재가 증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Broom, supra). 손상된 생물학적 기능의 측정, 특히 감 소된 건강 및 증가된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과 연결된 측정은 농장 동물의 복지 상태 평가에 사용된다.
쇠고기 산업 및 낙농 산업에서, 무리를 지으며 젖을 분비하는 동물은, 그러한 섭생이 새끼 및 우유 생산의 상당한 증가에 기여하는 것처럼, 착유 및 임신의 조절 주기를 거친다. 예를 들어, 소 및 염소와 같은 낙농 가축 무리의 현재 관리에 있어서, 젖 분비 및 임신 사이에 중요한 중복이 있어서, "건유 기간"은 수유의 중단에 의하여 분만 전 50일 내지 70일 사이에 가해진다. 이러한 섭생법은 이후의 건강한 젖 분비 기간을 위한 필요한 과정인 퇴축(involution)과 연중 높은 우유 생산을 위한 필요 사이에서 절충으로 정해진다. 번식 효율 조절의 관리 원리에 의거하여, 쇠고기 산업에서의 송아지는 3 내지 5개월의 나이에 이유한다. 조기 이유의 장점은 퇴축 유도 및 생산성 증가, 송아지 사육의 조절 및 소 사육에 필요한 음식의 양 및 질의 감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조기 이유로 인하여 송아지뿐만 아니라 암소에게도 과도한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어, 신체 상태의 전체적인 감소, 유방 압력의 증가, 우유 누출 및 고통으로 나타나서, 이 모든 것으로 인해 질병에 대한 감수성 및 암소의 다음 번식 주기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지며, 실질적인 새끼 체중 감소로 이어진다. 따라서, 현대적인 농장에서의 젖 분비 동물들에 있어서 조절된 조기 이유의 현재 실시는 그러한 동물들의 복지 상태 및 번식 성과를 상당히 방해한다.
카제인 펩티드
카제인(CN)은 인간 및 인간이 아닌 포유류의 젖에 지배적인 단백질이다. 전 기영동 이동도에 따라 세 가지 분획(fraction) α, β 및 γ로 구성된 것으로 이전에는 정의되어 있었다. 오늘날, 카제인은 하위군 αS1, αS2, β 및 κ의 각각의 서열에 따라 정의된다(Engel et al.1984. J. Dairy Sci. 67:1607-1608).
카제인의 효소 가수분해는 어린이의 건강 및 적당한 발달에 기여할 수 있으며 유선 기능의 국소 조절자로서 작용할 수 있는 펩티드들을 방출한다(Silanikove et al. 2000 Life Sci. 67:2201-2212; Shamay et al. 2002 Life Sci. 70:2707-2719). 미국 특허 번호 6,391,849 호는 칼슘 킬레이트제로서 작용하는 카제인-유도 프로테오즈-펩톤, 우유 생산의 일시적 그리고 영구적 중단을 포함하는 유선에서의 생리적 변화의 조절에의 그 사용 및 감염의 예방, 치료 및 반전을 개시한다. 카제인 포스포펩티드라고도 알려진 프로테오스-펩톤(PP)은 주로 β-카제인 및 αS1-카제인 및 αS2-카제인에 미치는 플라스민의 활성 산물인 유장 단백질의 약 3분의 1을 구성하는 끓는점-내성(boiling-resistant) 펩티드의 일 군이다(Andrews 1983 J. Dairy Res. 50:45-55).
카제인 포스포펩티드는 Zn, Ba, Cr, Ni, Co 및 Se과 같은 미량 원소와 더불어 소장 내에서 녹을 수 있어서 흡수에 이용될 수 있는 Ca, Mg 및 Fe와 같은 거대원소들을 결합할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을 소유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 자체로, CPP는 음료수 및 유아용 식품에서의 첨가제로, 그리고 치과용 약제에서의 첨가제로 사용된다(예컨대, 유럽 특허 번호 EP 0090406; 미국 특허 번호 5,130,123; 5,227,154 참조).
β-카제인(β-CN)에 미치는 플라스민의 활성으로부터 유도된 펩티드는 소 및 염소에서의 젖 분비를 하향 조절하는 것으로 이전에 알려져 있었다(미국 특허 번호 6,391,849 호). 이러한 펩티드의 활성은 유선 상피의 첨막에서의 칼륨 채널을 저지하는 능력과 상관되어 있었다(Silanikove et al., supra). 염소 또는 소의 유방으로 카제인 가수분해물(CNH)의 주입은 퇴축의 자연적인 현상을 모방하여, 국소 염증 반응 및 밀착 연접(TJ) 통합성의 상실을 유도하며, 이후 젖 분비의 급속한 건유(drying-off)가 일어나는 것으로 또한 알려져 왔다(Shamay et al., supra; Shamay et al 2003 J. Dairy Sci. 86:1250-1258). 이러한 결과는 퇴축에 필요한 시간을 상당히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 및 공동 연구자들은 또한 이후의 젖 분비에서 착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건유 기간을 단축하거나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국제 특허 출원 공개 번호 WO2006/117784 호).
가축 복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무리의 번식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 및 조성물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요구가 상존한다.
본 발명은 가축 무리의 번식 효율 또는 생산성을 개선하고 가축 복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조기 이유를 유도하는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발정 간격의 감소, 수태율의 증가로 인하여 번식율의 증가로 이어지는 무리에서의 발정 유도 및 배란의 동기화에 대한 방법 및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무리의 증가된 생산성으로 이어지는 조기에 스트레스가 없는 이유를 유도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젖 분비 가축 동물에 카제인-유도 펩티드(프로테오스-펩톤)을 가하여 동물에서의 발정 유도를 가져온 예상치 못한 발견에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따라서,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카제인으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의 유효량을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젖 분비 가축 동물에 있어서 발정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발정은 펩티드 투여 후 약 2일 내지 약 120일에 발생하며,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투여 후 약 2일 내지 약 50일에 발생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젖 분비 동물에게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현재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태율은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약 75%,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발정 유도 방법은 분만 전 약 70일 내지 분만 후 약 150일에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카제인-유도 펩티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펩티드는 분만 후 즉시 내지 분만후 약 150일에, 바람직하게는 분만 후 즉시 내지 분만 후 90일에, 더 바람직하게는 분만 후 즉시 내지 분만 후 60일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분만 후 즉시 내지 분만 후 30일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임의의 젖 분비 동물에 있어서 발정 유도에 효과적이다. 일정한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소, 염소, 양, 돼지, 낙타 및 버팔로를 포함하는 육류 또는 우유 생산을 위해 키우는 가축 동물의 발정 유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발정 유도는 무리를 지은 다수의 젖 분비 동물들뿐만 아니라 개별 가축 동물에 적용되어 처리를 받는 모든 동물들의 발정을 동기화할 수 있다. 무리에서의 발정 동기화는 이로 인하여 수정, 새끼 출산, 이유, 사료공급 등을 포함하는 무리 생활 주기에서의 이후 단계들의 동기화를 부여하여, 관리 효율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고도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제인-유도 펩티드는 무리를 지은 다수의 젖 분비 가축 동물들에 가해져서, 상기 무리를 지은 젖 분비 동물들의 발정을 동기화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리는 육용우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리는 젖소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무리는 돼지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리에 있어서의 발정 동기화로 인하여 동기화된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무리에서의 발정 동기화의 방법은 동물들에게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정 후 수태율은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75%, 더 바람직하게는 80%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리에서의 발정 동기화는 무리에서의 동기화된 분만을 가져온다.
또 다른 태양에 따라서, 본 발명은 무리를 지은 다수의 젖 분비 동물들에게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리에서 적어도 70%의 수태율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수태율은 적어도 75%,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펩티드는 카제인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거나 합성 펩티드일 수 있다. 천연적이든 합성이든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임의의 조합은 본 발명의 가르침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펩티드는 카제인-유도 포스포펩티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1에서 설명된 아미노산 서열 및 그 유사체들, 유도체들 또는 단편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스포펩티드는 β-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 αS1-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 및 αS2-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정한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β-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2에서 설명된 아미노산 서열 및 그 유사체들, 유도체들 또는 단편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αS1-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3에서 설명된 아미노산 서열 및 그 유사체들, 유도체들 또는 단편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αS2-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4에서 설명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및 서열번호:5에서 설명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및 그 유사체들, 유도체들 또는 단편들로부터 선택된다.
임의의 특정한 이론 또는 작용 메커니즘에 의하여 구속되기를 원하지 않으면서, 카제인-유도 펩티드들에 의한 발정 동기화는 발정-유도 호르몬의 분비를 향한 내생성 호르몬 시스템에 있어서의 변화에 기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르침은 불리한 효과를 가지지 않는 적용하기 쉬운 방법을 제공하면서, 발정 동기화에 대한 종래 공지된 호르몬 방법보다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스트레스 인자들을 감소할 뿐만 아니라 신체 상태를 개선하여, 동물의 전체적인 건강에 이바지하여서, 동물의 안락과 향상된 복지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업계에 알려진 것과 같은 임의의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투여 방법은 전신성 투여 및 유선으로의 직접 투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젖 분비 동물의 유선의 유두관으로의 투여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동물의 모든 유선들에 동시 투여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유선들에 투여될 수 있다. 유두로의 투여는 근관 주사(intracanal injection)에 의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첩포 도포(patch application)에 의하여,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유두를 침지하여(soaking) 수행될 수 있다.
단독 투여뿐만 아니라 다중 투여도 고려된다. 본 발명은 이제 적어도 하나의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단독 투여로 인하여 발정 동기화를 유도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펩티드는 약 6시간 내지 약 24시간의 간격으로 1회 내지 5회 사이로 투여된다.
다른 태양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유하기 적어도 하루 전에 젖 분비 동물에게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 자손(suckling offspring)의 스트레스 없는 이유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유법은 포유 자손을 그 어미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이유로 인한 어미와 포유 자손 양쪽 모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다. 가축 사육장으로 옮겨진 후에 어린 새끼가 그 어미를 찾아 울어대며 반-공황(semi-panicked) 및 스트레스를 받은 상태로 가축 사육장 주변을 끊임없이 돌아다니는 것은 흔한 경험이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받는 시간 주기 동안에, 새끼는 자신이 겪는 주변 환경과의 익숙지 않음과 통상적인 사료를 섭취하려는데 대한 꺼림으로 인하여 체중에 아무런 증가를 경험하지 않는다. 어미는 갑작스런 포유의 중단으로 인한 고통을 겪는데, 이는 보행의 증가와 앉아있는 기간의 감소로 명백해진다. 스트레스를 받는 상태 및 동물이 소비하는 음식량의 감소는 종종 그러한 동물을 병들게 하고, 전체 신체 상태 점수에서 감소로 나타난다. 새끼를 그 어미와 떼어놓아서 생긴 스트레스를 풀어주면 새끼의 체중 감소도 없고, 심지어 체중 증가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가르침에 따라서 이유는 어미의 복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임의의 포유 단계에서 유도될 수 있다. 임의의 특이적인 모델 또는 작용 메커니즘에 구속받기를 원하지 않으면서, 이 현상은 발정으로 향한 젖 분비 동물의 호르몬 균형에 미치는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효과에 기인한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최초로 개시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조기 이유는 분만 후 약 2주 내지 약 15주, 바람직하게는 분만 후 약 4주 내지 약 8주에 시작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제인-유도 펩티드는 예정된 이유 이전 약 1일 내지 약 10일, 바람직하게는 이유 이전 약 3일에 투여된다.
유선으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반복 투여량뿐만 아니라 단일 투여량의 투여도 적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스트레스가 없는 이유를 이루기 위하여, 투여는 1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일, 더 바람직하게는 1일 동안에 약 6시간, 약 8시간, 약 12시간, 약 16시간, 약 20시간 및 약 24시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간격에서 적어도 1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회,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회 반복된다. 특정한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펩티드는 1회만 투여된다. 펩티드 투여 이후에, 자손은 이유 과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짧은 기간 동안 그 어미와 떨어질 수 있다. 특이적인 작용 메커니즘 또는 이론에 구속되기를 원하지 않으면서, 이유 과정은 자손의 포유 욕구를 감소시키는 카제인 유도 펩티드에 의하여 유도된 우유 조성물에서의 변화로 인하여 향상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손은 약 5시간 내지 약 3일, 바람직하게는 약 5시간 내지 약 2일, 더 바람직하게는 약 5시간 내지 약 24시간의 기간 동안 그 어미로부터 떨어진다.
또 다른 태양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발정 유도 및 조기 이유 방법은 가축 무리, 특히 소떼를 사육하는 신규한 방법과 함께 이용될 수 있는데, 가축 복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거나 심지어 향상시키면서 번식률, 즉, 1년당 새끼의 수에서 증가로 인한 무리의 생산성에서 증가 및 생산된 고기의 질 및/또는 양에서의 향상이 있다. 본 발명의 가르침에 따른 가축 관리는 또한 발정 동기화를 달성하도록 호르몬 보충제를 투여하는 실행에서 감소 및 분만 및 번식 후 균형되는 소떼 신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분만 후 요구되는 특수 사료의 비용을 줄여서 무리 사육 공정에 관련된 비용에서의 총 감소로 나타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은 신규한 가축 관리 프로그램의 문맥 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발정 동기화 및 조기 이유의 이용을 조합한다. 이러한 신규한 가축 관리는 구체적으로 건조 및 반-건조 지대에서의 가축-농업 분야 기획뿐만 아니라 계절성 새끼 출산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거나 실시예에서 예시되는 상세한 사항들에 그 적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채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한정적인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할 것이다.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된 "카제인"이라는 용어는 하위군 αS1, αS2, β 및 κ를 포함하는 인간이 아닌 포유류 및 인간 젖에서 지배적인 단백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가축 동물(예컨대, 소, 양, 염소, 돼지, 말, 낙타, 사슴 및 버팔로), 인간 및 해양 포유류를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은 포유류의 αS1, αS2 및 β-카제인 단백질을 지칭한다.
"펩티드"라는 용어는 아미노산 잔기들의 선형 시리즈를 펩티드 결합에 의하여 하나를 다른 하나와 결합하도록 지정하는데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펩티드는 손상되지 않은 단백질 이외의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포스포펩티드"라는 용어는 비-펩티드 부위가 인산 잔기인 접합된 펩티드 형태의 인산화된 펩티드를 명시한다. 특히, "카제인 포스포펩티드" 또는 "CPP" 또는 "프로테오스-펩톤"이라는 표현은 카제인 단편을 함유하는 포스펩티드를 명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펩티드는 약 1,000 내지 약 1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5,000 달톤의 평균 분자량을 바람직하게 가진다. 본 발명은 특히 총 10 내지 50 아미노산 잔기를 가지는 펩티드를 고찰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핵심 모티프 서열, 즉, 서열번호:1에서 설명된 아미노산 서열은 재조합 단백질 기술 또는 화학 합성에 의하여 제작된 펩티드와 같은 폴리펩티드의 서열 내에서 인공적으로 이식되는 단백질을 고찰한다. 펩티드는 카제인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구해져서 펩티드들의 혼합물을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르침에 따라서, 펩티드의 혼합물은 사용될 수 있거나, 그 혼합물은 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단백질 정제 방법에 의하여 더 정제되어 분리된 펩티드를 얻을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는 예를 들어, CNBr 또는 업계에 공지된 다른 절단제와 같은 화학 작용제에 의하여 절단되어 펩티드들의 혼합물을 배출하고, 이를 더 정제하여 분리된 펩티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펩티드는 화학 합성 및 재조합 DNA 기술을 포함하여 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될 수도 있다. 합성은 용액으로 또는 Merrifield(J. Am. Chem. Soc., 85:2149, 1964)가 기술한 바와 같은 고상 펩티드 합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펩티드 합성 방법은 성장하는 펩티드 사슬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적당히 보호되거나 유도화된 아미노산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상적으로, 제1 아미노산의 아미노 또는 카복실기 중 어느 하나는 적당한 보호기로 보호된다. 보호되거나 유도화된 아미노산은 이후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데 적당한 조건하에서, 비활성 고체 지지체에 부착되거나 적절히 보호되는 상보적인(아미노 또는 카복실) 기를 가지는 서열에서 다음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용액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기는 이후 이러한 새로 첨가된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다음 아미노산(적절히 보호된)은 이후 첨가된다, 그리고 기타; 전통적으로 이 과정은 세척 단계가 또한 수반된다. 모든 소기의 아미노산들이 적당한 서열로 연결된 이후에, 임의의 남아있는 보호기(그리고 임의의 고체 지지체)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거되어 최종 펩티드를 부여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절차의 단순 변형에 의하여, 예를 들어 (키랄 중심을 라세미화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보호된 트리펩티드를 적절히 보호된 디펩티드와 연결시켜 탈보호 이후에 펜타펩티드 등을 형성하도록 성장하는 사슬에 한번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발정"이라는 용어는 인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포유류의 암컷에서 배란의 바로 앞에 선행하고, 그 기간 동안 암컷이 짝짓기에 가장 잘 순응하는 성적 흥분의 주기적인 상태를 지칭한다. 발정 주기는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자궁 축에 의하여 지배되는 호르몬 상호작용에 의하여 조절된다.
발정 주기는 3 기로 나누어질 수 있다: 1) 난포 또는 황체 퇴화기(발정전기); 2) 배란전기(발정 및 발정후기); 및 황체기(발정휴지기). 발정 주기의 0일은 발정일, 즉, 발정이 시각으로 보일 수 있는 날짜이다. 그러나, 생리학적 관점에서, 발정 주기는 황체의 파괴로 시작하여 다음 주기의 황체의 파괴로 종결한다. 통상적으로 3일 기간을 지속하는 발정전기는 이전 주기의 황체의 퇴화로 시작하여 발정의 발현으로 종결한다. 황체가 파괴되는 경우, 프로게스테론 수준의 감소가 있으며 이후, 황체 조직 손실이 있다; 이 과정에서, 자궁 기원의 프로스타글란딘 F2α(PGF2α)는 가축 동물 및 대부분의 설치류에서 주된 황체 용해제이다. 프로게스테론 수준 감소의 결과로, 시상하부 수준에서의 이 호르몬의 음성 피드백도 감소하여, 성선자극 호르몬(FSH 및 LH)의 맥동 빈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대형 여포의 발달 및 에스트라디올 수준의 증가가 있는 난포성 성장을 자극하게 된다. 에스트로겐이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는 경우, 수컷에 대한 수용성이 자극받으며 발정 주기가 시작한다.
발정 및 발정후기는 수컷에 대한 수용성으로 시작하며 배란 및 항체 형성의 시작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변화를 포함한다. 약 16 내지 약 24시간 지속하는 발정 동안에, 암소는 통상적으로 안절부절 및 불안감을 보이고, 종종 큰소리로 울며 식욕을 상실한다. 젖소인 경우에, 우유 생산이 영향받는다. 암소는 그 냄새가 황소를 끌리게 하며 흥분시키는 질 점액의 배출(페로몬의 존재), 경직장 촉진으로 용이하게 감지되는 외음부 부종 및 자궁의 자궁근 긴장의 증가를 보인다.
이 기간 동안에, 높은 농도의 에스트로겐이 시상하부 순환 중심(hypothalamic cyclic center)의 자극 역치에 도달하여 시상하부 뉴런을 자극하여 성선자극 방출 호르몬(GnRH) 피크를 생성하며 이후 LH 피크를 생성한다. FSH에 대하여, 그 분비는 FSH 피크가 나타날 수 있는 곳에 LH 배란 전 피크가 발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에스트로겐 및 억제호르몬의 음성 피드백의 결과로 감소한다. 이후, LH 흐름 이후 4 내지 12시간에 기준 농도 및 FSH 펄스 폭이 증가하는데, 이 과정은 난포 성장의 제1 흐름과 관련된다.
발정 시작 후 12 내지 24시간에, 암소의 신경계는 에스트라디올에 무반응이며 발정의 심리적 발현이 정지된다.
발정이 종결한 직후의 기간은 발정후기(6일)라 한다. 이 기간 동안, 발정 기간 동안 배란하는 다른 종들과는 달리, 암소의 배란이 발생하여, 세포 조직화 및 황체의 발달을 일으킨다. 배란은 발정 시작 후 28 내지 32시간에 발생하며 LH 배란 전 피크에 의하여 촉발된다. 배란 이후 깊은 출혈이 뒤따르며 여포는 피로 채워지고 출혈체가 된다.
황체가 형성되는 동안(황체화), 일련의 형태 및 생화학적 변화가 발생하여, 난포 세포가 황체 세포로 변형되도록 한다. 이러한 변화는 7일째 되는 날에 기능성 황체의 형성과 함께 종결된다.
황체휴지기는 황체의 지배성으로 특징된다. 프로게스테론 합성뿐만 아니라 황체의 발현은 프로게스테론 자극 및 황체자극 LH 호르몬과 관련된다.
프로게스테론 합성에 참여하는 다른 호르몬들은 FSH 및 프로스타글라딘 2(PG2)이다. FSH 호르몬은 황체에 위치한 수용체와 명백히 결합할 것이며 프로게스테론 분비에서 증가를 유발할 것이다. PG2에 대해서는 황체 세포를 자극하여 프로게스테론을 생성하는 것에 더하여, 프로게스테론의 합성 및 분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난소 수준에서 혈액 흐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난자가 수정되지 않으면, 황체는 15 내지 20일까지 기능을 유지하며, 그 이후 새로운 발정 주기를 준비하도록 퇴화가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무발정"이라는 용어는 주기적으로 번식하는 암컷 포유류에서 발정의 두 주기 사이의 성적 활동의 간격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분만 후 간격(PPI)"이라는 용어는 분만 내지 발정 시작(발정전기) 사이의 시간을 지칭한다.
"새끼 출산 내지 최초 분만 후 배란" 및 "분만-수태 간격"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서로 바꾸어서 사용되며, 분만 내지 발정 말기(발정후기) 사이의 시간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산욕기"라는 용어는 분만 직후의 기간, 즉, 분만으로부터 정상 자궁 크기로의 귀환까지 지속하는 약 6주간의 기간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포유"라는 용어는 아주 어린 포유류의 급식 행동을 지칭하며, 유선의 유두로부터 새끼 포유류의 구강으로 젖이 빨려들어가는 것이다. 현재 사용 실시에 따라서, 포유는 자유 급사(ad libitum)일 수 있거나, 낮 동안의 특정한 시간으로 한정되거나 하루 종일 동안에 한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건유 기간" 또는 "건유우의 기간"이라는 용어는 착유가 중단되는 분만 전 기간을 지칭한다. 현재 사용 실시에 따라서, 건유 기간 적용은 퇴축 과정의 완성을 위하여 필요하며, 그 이후 젖 분비 능력은 분만을 향하여 저장된다.
"이유" 및 "새끼 제거"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서로 바꾸어서 사용되며, 그 어미가 젖 분비를 하는 동안에 포유 자손을 그 어미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조기 이유"라는 용어는 젖 중단 및 퇴축의 자연적인 과정이 발생하기 전에 이유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조기 이유"라는 용어는 분만 후 약 2주 내지 약 15주에 이유를 지칭한다. 분만 후 약 2주 내지 약 8주 미만에 이유는 또한 "초 조기 이유(super early weaning)"라고도 지칭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가축-농업 분야 기획"이라는 용어는 농업 작물 성장 사이에 토지 사용을 변경하고 및 그 토지를 목초지로 사용을 포함하는 농지 관리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신체 상태 점수"라는 용어는 일정한 시점에서 가축 동물, 특히 암소의 체 보유물을 나타내는 숫자를 지칭한다. 신체 상태 점수는 주로 볼기뼈(관골 결절), 관골(좌골 융기) 및 꼬리 밑동으로 범위가 정해진 영역인 암소의 둔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지정된다. 등의 척추 상에 "커버링(covering)"의 양은 또한 점수를 주는데 사용된다. 암소는 주로 1에서 5의 스케일로 등급 매겨진다. 극도로 야윈 암소는 1점으로 할당되며, 극도로 비만인 암소는 5점으로 할당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가축"이라는 용어는 가정용 또는 대량 생산용 및/또는 특히 농장에서 이윤을 위해 식품 또는 식품 생산을 위한 육우떼, 젖소떼, 양, 염소, 말, 돼지, 버팔로 및 낙타와 같은 동물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가축 복지" 또는 "동물 농장에서의 복지" 또는 "가축 안락"이라는 용어는 고통의 방지 및 특히, 휴식 시간 증가, 앉아 있는 기간 증가 및 반추 시간 증가와 대사 요구 감소, 유방 압력 감소, 유두 누설 감소, 유방염 발생 감소 및 다른 질병 감소 및 높은 젖 수율로 인한 파행의 감소로 발생하는 주로 안락 또는 유쾌라 불리는 긍정적인 감정의 존재가 증가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암컷이 발정 주기를 거치고 있는 임의의 포유류 가축 동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로서, 그리고 한정되려는 의도 없이 본 발명은 소떼 무리에 관한 것이다. 일정한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육우 무리에 관한 것이다.
소떼 무리의 관리는 육류 생산 및/또는 우유 생산에 목적을 둘 수 있다. 씨암소의 번식 주기는 4 개의 주기로 나눠질 수 있다: 건유우 기 ; 분만 준비기; 분만; 및 젖 분비. 각각의 이 기간은 특이적인 영양 요구사항 및 호르몬 특성을 가진다. 동물의 임신은 마지막 산월의 요구사항이 임신하지 않은 동물에 적용되는 것보다 더 높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을 포함한다. 무리 내에서 분만 시간의 동기화는 상당히 이롭다. 만약 새끼 출산이 역년의 0일로 잡는다면, 소떼의 그 0일이 동기화가 더 잘되면 잘 될수록 이익이 되는 관리 섭생을 적용하는 것이 더 용이해 질 것이다. 사료 공급은 무리의 영양 요구에 맞춰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소떼의 생리학적 상태는 개선될 것이며, 동시에 경제적 문제가 처리될 것이다. 분만의 동기화는 발정 동기화에 직접 의존된다.
또한, 영양 조작에 의하여 그리고 젖소의 출산 후 호르몬 처리에 의하여 PPI, 발정 및 여포의 순차적 진행 및 배란 반응을 제어하려는 시도는 모호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건유 기간 동안 그리고 그 직후 유방 울혈의 감소 및 유방내 감염 위험의 감소로 이어지는 카제인 유도 펩티드의 투여 이후의 젖소에서의 가속된 퇴축은 새끼 출산 동안 및 분만 후의 더 나은 동물 안락 및 신체 상태로 나타난다. 특이적인 방식의 작용에 구속되지 않으면서, 대부분 PPI를 감소시켜서 그 이후 신속한 배란 시작 및 발정 발현이 되는 카제인 유도 펩티드의 투여로 인하여 젖소떼에서의 PPI를 조절한다는 것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를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젖 분비 동물에서의 발정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제인-유도 펩티드는 무리를 이룬 다수의 젖 분비 가축 동물들에 적용되어, 상기 다수의 젖 분비 동물들의 발정을 동기화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펩티드" 또는 "카제인 유도 펩티드"는 카제인의 절단 산물(본 명세서에서 천연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펩티드로 지칭됨), 화학적으로 합성되어 카제인 단위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해당하는 합성 펩티드(본 명세서에서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합성 펩티드로 지칭됨) 및 예를 들어,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유사성이 유지된다면 허용가능한 치환과 같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 삽입 또는 결실에 의하여 특징되는 펩티드인 카제인 유사(상동) 펩티드인 펩티드 및 그 기능적 동족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동족체" 및 "기능적 동족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임의의 삽입, 결실 및 치환을 갖는 펩티드를 의미한다.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임의의 조합은 본 발명의 가르침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조합"이라는 어귀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일하지 않은 펩티드로 된 혼합물에 조합된 천연이든 합성이든 상기 언급된 카제인 유도 펩티드의 임의의 것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혼합물"이라는 용어는 서로서로 가변적인 비율로 존재하는 펩티드의 비공유적인 조합으로 정의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펩티드는 활성 모티프 Ser(p)-Ser(p)-Ser(p)-Glu Glu(서열번호:1) 및 그 유사체들, 유도체들 또는 단편들을 포함하는 포스포펩티드이다.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되든지, 합성 또는 재조합 기술로 생산되든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는 이러한 모티프를 포함하는 임의의 펩티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도 알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포스포펩티드는 하기에 나열된 바와 같이, 서열번호:2 내지 5 중 임의의 것에서 설명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티드로 예시된다:
서열번호 서열 유도 출처 잔기의 숫자
서열번호:2 RELEELNVPGEIVES(P)LS(P)S(P)S(P)EESITR β-카제인 1-25
서열번호:3 QMEAESIS(P)S(P)S(P)EEIVPDSVEQK αS1-카제인 59-79
서열번호:4 KNTMEHVS(P)S(P)S(P)EESIISNETYK αS2-카제인 1-21
서열번호:5 NANEEEYSIGS(P)S(P)S(P)EESAEVATEEVK αS2-카제인 46-70
"유사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아미노산 치환, 부가, 결실 또는 화학적 변형에 의하여 변화된 서열을 포함하며 상기 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는 임의의 펩티드를 포함한다. "아미노산 치환"이라고 하면, 기능적으로 등가인 아미노산 잔기가 서열 내의 잔기와 치환되어 조용한 변화를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열 내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은 기능적 등가물로서 작용하는 유사한 극성의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조용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서열 내에서 아미노산의 치환은 아미노산이 속해있는 클래스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극성(소수성) 아미노산은 알라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프롤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메티오닌을 포함한다. 극성 중성 아미노산은 글리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티로신, 아스파라긴 및 글루타민을 포함한다. 양 전위(염기성) 아미노산은 아르기닌, 리신 및 히스티딘을 포함한다. 음 전위(산성) 아미노산은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을 포함한다. 그러한 치환은 보존적 치환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보존적 치환은 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에 기여하지 않는 아미노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본 명세서에 수록된 펩티드와 비교하여 안정성이 증가되거나 더 오랜 반감기를 가지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활성 유사체를 생성한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서열번호:1 내지 5에 설명된 펩티드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들은 모두 "L" 이성질체 형태에 있는 반면에, "D" 이성질체 형태의 잔기들은 그 펩티드 유사체가 활성을 유지하는 한 임의의 L-아미노산 잔기를 치환할 수 있다. 레트로-인버소(retro-inverso) D-아미노산 펩티드 유사체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펩티드가 개시된 것과 동일하지만, 모든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D-아미노산인 방법은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펩티드 유사체에 있어서의 모든 아미노산이 D-아미노산이고, 펩티드 유사체의 N-터미널 및 D-터미널이 역전되어 있는 경우, 그 결과는 펩티드의 L-아미노산 형태에서와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구조의 군을 가지는 유사체이다. 그러나, 펩티드 유사체는 단백질 분해에 대하여 더 안정적이라서 본 명세서에 인용된 수많은 응용에 유용하다.
"유도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측쇄 또는 기능기의 반응에 의한 화학적 유도화를 거쳐서, 그러한 유도화로 인하여 펩티드 유도체의 활성을 파괴하지 않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티드를 지칭한다. 아미노산 잔기의 화학적 유도화는 당부가, 산화, 환원, 미리스틸레이션(myristylation), 황산화, 아실화, 아세틸화, ADP-리보실화, 아미드화, 고리화, 이황화 결합 형성, 히드록시화, 요오드화 및 메틸화를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펩티드 유도체는 또한 CH2-NH, CH2-S, CH2-S=O, O=C-NH, CH2-O, CH2-CH2, S=C-NH, CH=CH 및 CF=CH 그리고 골격 변형물응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결합 변형물을 포함한다. 펩티드 내에서 펩티드 결합(-C0-NH-)은 예를 들어, N-메틸화 결합(-N(CH3)-C0-); 에스테르 결합(-C(R)H-C-O-O-C(R)-N); 케토메틸렌 결합(-CO-CH2-); α-아자(aza) 결합(-NH-N(R)-CO-)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지만, 이때 R은 예컨대, 메틸; 카르바 결합(-CH2-NH-); 히드록시에틸렌 결합(-CH(OH)-CH2-); 티오아미드 결합(-C=S-NH-); 올레핀 이중 결합(-CH=CH-); 및 펩티드 유도체(-N(R)-CH2-CO-)와 같은 임의의 알킬기이며, 이때 R은 "정상적인" 측쇄로서 탄소 원자상에 자연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변형은 동시에 펩티드 사슬을 따라서 결합들의 임의의 것에서 그리고 심지어 몇 군데 (2-3)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염산염, p-톨루엔 술포닐기, 카르보벤조시기(carbobenzoxy group), t-부틸옥시카보닐기, 클로로아세틸기 또는 포르밀기를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자유 아미노기가 유도체화하여 아민염을 형성하는 펩티드들을 포함한다. 자유 카복실기는 유도체화하여, 예를 들어, 염, 메틸 및 에틸 에스테르 또는 다른 유형의 에스테르 또는 히드라지드를 형성할 수 있다. 자유 히드록실기는 유도체화하여 예를 들어, o-아실 또는 o-알킬 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다. 히스티딘의 이미다졸 질소는 유도체화하여 N-임-벤질히스티딘(N-im-benzylhistidine)을 형성할 수 있다.
20 개의 표준 아미노산 잔기로 된 하나 이상의 자연 발생적 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그러한 펩티드도 화학적 유도체로서 포함된다. 예를 들어: 프롤린을 대신하여 4-히드록시프롤린이 치환될 수 있으며; 리신 대신에 5-히드록시리신이 치환될 수 있으며; 히스티딘 대신에 3-메틸히스티딘이 치환될 수 있다; 세린 대신에 호모세린이 치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신 대신에 오르니틴이 치환될 수 있다. 비-천연 아미노산의 비한정적 예는 노르류신, 오르니틴, 시트룰린, 디아미노부티르산, 호모세린, 호모시스테인, 이소프로필 Lys, 3-(2'-나프틸)-Ala, 니코티닐 Lys, 아미노 이소부티르산 및 3-(3'-피리딜-Ala)이다. 상기 펩티드는 또한 비-단백질 측쇄도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 더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는 또한 하나 이상의 비-아미노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예컨대, 지방산, 복합 탄수화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한 활성 및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유지되는 한, 상기 수록된 펩티드의 서열에 대하여 아미노산 잔기의 하나 이상의 부가를 가지는 임의의 펩티드도 포함된다. 아미노산 잔기는 아미노 말단 및/또는 카복시 말단 및/또는 펩티드 서열을 따라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 유도체는 고리형 펩티드일 수도 있다. 고리화는 예컨대, 사슬의 다양한 위치에서 Glu, Asp, Lys, Orn, 디-아미노 부티르(Dab)산, 디-아미노프로피오닉(Dap) 산을 혼입하여 예를 들어, 아미드 결합 형성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골격 대 골격 고리화는 또한 H-N((CH2))n-COOH)-C(R)H-COOH 또는 H-N((CH2)n-COOH)-C(R)H-NH2, 여기서 n = 1-4 및 또한 R은 아미노산의 임의의 천연적 또는 비-천연적 측쇄인 식의 변형된 아미노산의 혼입을 통해 구해질 수 있다. 골격 대 측쇄 고리화 및 측쇄 대 측쇄 고리화도 고려된다.
두 개의 Cys 잔기들의 혼입을 통하여 S-S 결합의 형성을 통한 고리화도 가능하다. 다른 측쇄 대 측쇄 고리화는 예를 들어, Cys 또는 호모Cys의 혼입 및 그 자유 SH 기의 예컨대, 브로모아세틸화된 Lys, Orn, Dab 또는 Dap와의 반응을 통해 가능한 -(-CH2-)n-S-CH2-C-, n = 1 또는 2인 식의 상호작용 결합의 형성을 통하여 구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단편"이라는 용어는 필수적 활성이 유지되는 한, 본 명세서에 수록된 펩티드의 서열에 대하여 아미노산 잔기의 하나 이상의 결실을 가지는 펩티드를 지칭한다. 아미노산 잔기는 아미노 말단으로부터 및/또는 카복시 말단으로부터 및/또는 펩티드 서열을 따라 결실될 수 있다.
펩티드 단편은 화학 합성, 재조합 DNA 기술 또는 본 명세서에 수록된 펩티드를 적어도 하나의 절단제를 거치게 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절단제는 예컨대, 브롬화 시안과 같은 화학적 절단제 또는 예컨대, 엑소프로테이나제(exoproteinase) 또는 엔도프로테이나제(endoproteinase)와 같은 효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절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엔도프로테이나제는 트립신, 키모트립신, 파파인, V8 단백질분해효소 또는 단백질분해 단편을 생성하는 것으로 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효소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티드는 카제인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거나 펩티드는 합성으로 얻어질 수 있다.
카제인의 가수분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카제인의 가수분해에 사용되는 효소는 예를 들어, 판크레아틴, 트립신, 키모트립신, 뉴트라제(neutrase), 알칼라제(alcalase), 펩신, 카복시펩티다제, 카텝신 등의 동물로부터 유도된 효소; 예를 들어, 파파인, 브로멜라인 등과 같은 식물로부터 유도된 효소; 및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효모, 진균, 바실러스 수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악티노마이세스(Actinomyces), 아스페르길러스(Aspergilus), 마이크로코쿠스 카제오리티쿠스(Micrococcus caseolyticus) 등과 같은 미생물로부터 유도된 효소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카제인의 가수분해는 트립신으로 소화시켜 수행된다. 소화되지 않은 카제인은 이후 펩티드-함유 용액으로부터 분리되며, 업계에 공지된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다른 불순물로부터 더 분리된다.
기획된 번식 관리 프로그램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수많은 장점 및 이점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이는 새끼 출산 시기 및 교미의 기획을 가능하게 한다 - 제철에 어린 연령에서 인공수정된 암소는 늦게 새끼 출산을 하는 암소보다 더 긴 새끼 출산 생애를 가지며; 토지의 적절한 사용을 위한 가축-농지 기획을 가능하게 하며 순환 방목을 향상시켜 무리의 개개 소들의 생리학적 급식 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충분한 사료 배분을 확보하여, 양호한 신체 상태(2.75 내지 3.50의 신체 상태 점수)를 가진 새끼 출산에 이른 암소가 더 나은 발정 유도를 보이고 일정한 번식철에 임신되며; 직원의 작업 및 수태율을 최적화하는 새끼 출산 및 수정의 설계를 가능하게 하며; 무리당 황소의 숫자를 감소시켜, 우량 유전자 및 품질을 지닌 황소에의 투자를 가능하게 하며; 새끼와의 작업을 향상시켜, 균일한 군에서의 그 분포를 가능하게 하며; 발정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켜, 자연적인 기간에 대한 의존을 회피하게 하며; 백신접종 프로그램의 순응을 용이하게 하며 그 효율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정 유도의 방법을 적용하면 발정이 산욕기의 말기에 즉시 일어나게 하며, 그리하여 분만 후 간격(PPI)를 단축시킨다. PPI의 단축은 고도로 원하는 것이다. 임신 백분율은 분만-발정 간격이 60에서 120일로 늘어나는 경우 선형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분만-제1 발정 관계는 새끼 킬로그램 수가 그러한 간격이 연장되는 경우에 상당히 감소하는 것을 보인다. 발정 유도 및 동기화의 결과로, 더 많은 암소가 다음해 일찍 그리고 관리 효율에 따라 동기화의 이후 년도에서 새끼를 출산한다.
자연적으로, 관리 결정 및 절차는 분만-수태 간격에 일정한 영향을 주지만, 그 간격은 주로 하기의 인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출산 후 배란 주기의 재확립; 주기의 적정한 시점에서 발정의 발생; 서비스 후의 임신율. 임신율은 발정 수정률이 증가하는 경우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기울기는 분만-발정 간격에 의존하며, 이 간격이 축소되는 경우 증가한다.
임의의 이론 또는 작용 모드에 구속되기를 원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를 투여하여 얻어진 발정 유도는 호르몬 분비의 유형 및 시기의 변화에 기인할 수 있다. 출산 후 기간 동안에, 젖 분비 암컷은 정상 배란 주기의 발현 전에 에너지 균형에서의 중요한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부정적인 에너지 균형은 크게는 음식으로 보충될 수 있는 에너지보다 더 큰 젖 분비로 유래한 에너지 손실에 의하여 유발된다. 이러한 부정적인 균형은 난포 동역학에서의 더 낮은 활성을 결정하고 발정 및 배란의 결핍을 초래하는 호르몬 혈장 프로파일과 관련된다. 2.5 미만의 신체 상태 점수를 가진 암소는 감소된 LH 맥동 빈도, 감소된 배란 활성 및 분만 후 발정으로의 귀환 지체를 갖는다. 출산 후 LH 맥동 분비의 재확립은 정상적인 난포 동역학의 재출발을 생성한다. 발정 주기의 조기 시작은 조기 수태의 결정 인자가 된다. 최초 배란의 순간은 최초 수정 전에 발생할 것 같은 발정 주기의 횟수를 결정하고 제한하며, 60일의 후-출산 기간 전에 발정 횟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최초 수정에서의 수태 확률은 더 높아진다(예를 들어, 60일의 후-출산 기간 전에 0 및 4 발정의 암소에 대한 수태당 각각 2.60 및 1.75의 수정 시도가 있었다). 생산자의 목적은 제1 또는 제2 수정에 암소를 수정시키는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공개된 암소의 날짜의 횟수가 증가하게 되고 새끼 출산-수태 기간은 늘어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생산 손실이 있는 수정률의 감소로 이어진다. 카제인-유도 펩티드는 소기의 발정을 유도하고 분만 후 간격을 제어하며 상술한 부정적인 에너지 균형을 개선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무리의 생산성은 자손의 숫자뿐만 아니라 도축 시까지 증가된 체중에 의존한다. 새끼 체중을 결정하는 일 매개변수는 상술한 분만 후 간격(PPI)이며; 다른 중요한 변수는 이유하는 동안에 새끼에게 가해진 스트레스이다. 자연적으로, 이유는 새끼 출산으로부터 약 6개월 내지 7개월에 있는 소떼에서 발생한다. 육우의 현대적 관리 실시는 4 내지 6주에 이유를 채용한다. 조기 이유는 장점이 하기를 포함하여, 장점이 거의 없다:
- 번식 주기 제어에 보조한다.
- 새끼는 어미의 젖 생산에 상관없이 그 유전적 잠재력까지 성장할 수 있다.
- 가뭄 시기 또는 다른 음식 부족의 기간 동안에 더 효율적인 사료 사용에 핵심이 될 수 있다.
- 그 새끼를 젖 먹이는 암소와 비교하여 조기-이유된 새끼와 그 어미를 먹이를 주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15 내지 20% 감소하는 것과 같이 사료 비용을 줄여주며, 조기-이유된 새끼는 더 나은 사료 전환을 갖는다.
- 과다한 동계-사료 공급이 필요할 수 있는 곳에 추계 새끼 출산에 적합하다.
- 조기 이유로 인하여 더 많은 암소가 제한된 사료 공급에 감당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조기 이유는 새끼 및 그 어미에게 과도한 스트레스를 가하여 생산성 및 이윤의 감소로 귀결된다. 실질적인 체중 손실을 회피하기 위하여, 고품질 및 비싼 새끼 영양소가 사용되어야 한다. 스트레스로 인하여 어미의 신체 상태 점수를 떨어뜨리고 다음 번식 주기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준다. 또한, 조기 이유로 인한 대량 착유(heavy milking)에서의 예상되는 이득은 스트레스를 받은 어미, 그리고 어미와 자손 신체 상태에서의 전체적인 감소로 인한 젖 생산의 감소로 인하여 손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를 젖 분비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레스가 없는 수유 자손의 조기 이유를 유도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장점은 출산 후 수일 내지 수 개월에 이유의 원하는 시간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유 과정이 자손 및 어미 양쪽 모두에 스트레스가 없어서, 체중 및 전체적인 상태에서 아무런 감소가 관찰되지 않도록 자손이 그 어미 곁에 체류하도록 하는 옵션을 가진다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제 젖 분비 동물, 특히 암소의 유선에 카제인-유도 펩티드를 투여하여 과도한 스트레스, 안락 결핍, 질병에 대한 감수성 및 어미에 대한 감소된 복지를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된 다른 인자인 유방 압력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개시한다.
착유의 돌연한 중단 및 이후 유선 퇴행의 과정은 젖 분비 동물에게 고통을 유발하여 그 행동에 있어서 변화를 초래한다. 그 예로 보행이 증가하고 앉아있는 시간의 감소로 보여진다. 약 6시간 내지 4일 만에 젖 합성을 감소시키는 카제인-유도 펩티드로 처리한 이후의 급속한 퇴축은 이러한 불편함을 방지한다. 이는 앉아있는 행동 및 반추 시간을 증가로 보여진다. 임의의 특이적인 모델 또는 작용 메커니즘에 구속되기를 원하지 않으면서, 이 현상은 본 발명의 펩티드를 적용한 후에 크게 감소되는 유방 압력에 미치는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효과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자손 체중의 증가로 인하며, 과도한 사료공급을 회피하여 증가된 수익성을 제공한다.
카제인-유도 펩티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당한 약학적 조성물 및 제형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약학적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카제인-유도 펩티드를 생리학적으로 적당한 담체 및 부형제와 같은 다른 화학적 성분과 함께 제제를 지칭한다. 약학적 조성물의 목적은 조성물의 유기체로의 투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활성 성분"이라는 용어는 생물학적 효과를 담당하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라는 용어는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으며 유기체에 상당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며 투여되는 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폐기하지 않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지칭한다. "부형제"라는 용어는 약학적 조성물에 첨가되어 화합물의 투여를 더 용이하게 하는 비활성 물질을 지칭한다. 한정되지 않으면서, 부형제의 예는 다양한 당류 및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식물성 기름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형을 포함한다.
약물의 제형 및 투여 기술은 여기에 참고로 포함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최근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사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제로 활성 성분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부형제 및 보조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사용하는 종래 방식으로 제형될 수 있다. 적당한 제형은 선택된 투여 경로에 의존한다.
주사용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는 용액으로, 바람직하게는 행크 용액, 링거액 또는 생리학적 식염수 완충액과 같은 생리학적으로 화합가능한 완충액에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과 사용될 수 있는 펩티드의 제제는 예컨대, 보루스(bolus) 주입 또는 연속 주입에 의한 비경구성(유방내) 투여용으로 제형될 수 있다. 주사용 제형은 예컨대, 앰플 또는 다중투여 용기 내에서 선택적으로 첨가된 보존제와 함게 단위 투여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조성물은 지성 또는 수용성 운반체 내의 현탁액, 용액 또는 유탁액일 수 있으며, 현탁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형제(formulatory agent)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과 함께 사용에 적당한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이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함유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유효량은 발정 동기화 및 조기 이유를 유도하는데 유효한 양을 의미한다.
예 1: 육우에서의 발정 유도 및 동기화
목적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각각의 유두 쿼터(teat quarter) 속으로 카제인 유도 펩티드의 근관 투여에 의하여 출산 후 육우 암소의 발정의 귀환을 유도하고 동기화하는데 있다. 부차적인 목적은 펩티드 투여 후 60일 정도에 성공적인 수정에 이르게 하며, 암소의 높은 신체 및 성과 점수에 효율적으로 도달하는데 있다.
처리의 성공적인 결과는 적어도 80%의 암소의 펩티드 투여 이후에 최대 20일의 발정기의 유도 및 최대 3차 맥동(third pulse)까지 처리된 암소의 적어도 70%의 수태로 간주된다.
연구 디자인
임상 시험은 2개 섭생(앞발) 사례-대조 연구로 디자인된다. "앞발(Arm) 30"은 분만후 날짜로 이유가 30일 된 새끼를 지칭한다. "앞발 60"은 분만 후 60일의 새끼의 이유를 지칭한다.
"사례" 및 "대조"는 예상되는 새끼 출산일 전 적어도 14일에 등록된 육우 암소이다. 이유는 기획된 앞발(분만 후 30 또는 60일)에 따라서 양쪽 군에 대하여 스케줄 된다. 사례는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유방내 투여를 수여받는 반면에, 대조는 어떠한 유방내 투여도 수여받지 않는다. 사례 및 대조 양쪽 모두의 암소는 동일한 무리에 살며, 출산 후(동일한 출산일±60일) 이후에 동일한 연령(±180일)에 있으 며, 동일 기간(±90일) 동안 적어도 14일 동안 동시에 착유한다. 각각의 섭생에 대하여, 총 30 마리의 암소가 등록되는데, 이중 15 마리는 사례이며 15 마리는 대조이다.
카제인 유도 펩티드 처리는 일당 1 내지 2회 투여된다.
본 연구의 암소 참여에 대한 선정 기준은 하기와 같다: 예상 출산일 전 2주인 임신 말기에 있는 암소; 4개의 기능성 쿼터(quarter)를 가진 암소; 임신한 암소-최초 또는 그 이상의 임신; 종래 요법을 받았거나 받지 않은 확인된 유방내 감염이 있거나 없는 암소; 상당한 외부 유두 병변이 없는 암소; 지난 8주 이내에 전신성 요법이 없음; 지난 8주 이내에 항생제 첨가물로 사료를 받지 않음; 조사자의 판단에 있어서 처리의 결과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간주되는 공동-이병률(co-mobidities)의 부재.
본 연구의 암소 참여에 대한 제외 기준은 하기와 같다: 연구 참가의 8주 이내에 이전 면역요법; 연구 참가 전 8주 이내에 전신 또는 사료공급에 의하여 이전 항생제 요법, 호르몬 요법, 소염제 요법 및 동화성(anabolic) 요법; 동시발생(concurrent) 대체 요법; 조사자의 판단에 활성 폐결핵 또는 다른 전염성 질병을 갖는 암소; 전신 또는 사료공급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동화성 스테로이드의 동시발생 사용; 전신 또는 사료공급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호르몬의 동시발생 사용.
임상 시험의 총 기간은 현장(무리)에의 이십 이회(22) 방문을 포함하여 약 120일(17주)이며, 하기와 같다:
제1 주기: 기본적/선별 방문 절차는 연구에 참여하는 모든 암소들이 출산 전 15일부터 출산 후 최대 30일까지 적어도 6회 방문을 포함한다. 연구 장소로의 방문은 출산 전 15일 및 7일, 출산일 그리고 처리 전 3회 방문이다.
제2 주기: 표본 채취, 앞발 30의 시작, 알발3 0의 수정 및 후속조치는 적어도 7회 방문을 포함한다 - 출산 후 30일부터 최대 52일: 표본 채취 및 이유를 위한 30일에서 1회 방문, 이유 이후 3일 연속 방문(31, 33, 34일) 및 앞발 60의 시작까지 3회 방문(38, 45일 - 수정일 및 52일)
제3 주기: 앞발 60의 시작 및 앞발 30의 후속조치는 적어도 4회 방문을 포함한다 - 출산 후 60일로부터 최대 64일(앞발 60의 표본 채취 및 이유를 위하여 60일에 1회 방문, 이유 이후 3일 연속 방문(61, 63, 64일)).
제4 주기: 앞발 30의 후속조치 종결 및 앞발 60의 수정은 적어도 2회 방문(68 및 75일 - 수정일)을 포함한다. 출산일로부터 75일에 앞발 30의 사례 및 대조에 대한 후속조치가 종결한다. 앞발 60에 등록된 암소는 수정된다.
제5 주기: 앞발 60의 후속조치의 종결 및 임상 시험의 종결은 3회 방문을 포함한다(82일, 91일 및 105일).
상기 연구를 하는 동안에, 임상 조사는 유방 검사, 특이적 임상 시스템, 체중 및 임신 상태를 포함하여, 사례 및 대조에 수행된다. 젖은 지방 비율, 단백질 비율, 락토오스 비율, 체세포 수 검사하고 세균학적 검사를 위하여 표본 채취된다. 혈액은 주로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LH, FSH 및 프로스타글란딘을 시험하기 위하여 표본 채취된다.
안전 조치는 활력 징후, 신체 검사, 특정 질환, 유해 사례의 평가 및 세균학 적 검사를 포함한다.
본 연구의 말기에, 하기의 종말점이 측정된다: 유선 분비; 맥박에 의한 수태율; 수정률; 출산 및/또는 이유 이후의 시간까지의 수정; 이유 이후의 암소 체중; 전염성 질병의 존재.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투여 이후에 젖 분비의 중단의 효과는 하기와 같이 측정된다: 높은 성공: 1 내지 4일 이내의 젖 분비 중단; 성공: 5 내지 8일에 젖 분비 중단; 낮은 성공: 9 내지 15일에 젖 분비 중단; 실패: 16일 이상에 젖 분비 중단.
PPI 길이는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투여일로부터 배란일까지 측정된다. 높은 성공은 12 내지 20일 미만의 PPI로 간주된다; 성공은 21 내지 24일의 PPI 길이로; 낮은 성공은 25 내지 29일의 PPI 길이로; 실패는 30일 이상의 PPI 길이이다..
성공적인 수태율은 하기와 같이 측정된다: 높은 성공 80% 이상; 성공 70% 내지 79%; 낮은 성공 50% 내지 69%; 실패 49% 이하.
임상 시험은 하기의 조건 중 임의의 것에서 중단된다: 연구의 완료; 선별 실패; 가축 무리 소유주의 거부; 수인할 수 없는 유해 사례를 겪는 암소; 수인할 수 없는 유해 사례를 겪는 암소; 선정/제외 기준의 위반; 조사자의 의견으로 연구로부터 퇴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임의의 인자 또는 조건.
예 2: 새끼 이유
수유의 갑작스런 중단은 젖 누출 및 착유 동물에 고통을 주는 유두 압력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새끼 이유는 어미와 자손에 대한 스트레스와 관련되며, 그러한 스트레스는 체중 감소 및 질병에 대한 감수성으로 이어진다.
목적
새끼를 암소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으면서 조기 이유하는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육우 암소와 그 새끼 사이의 연속적인 비-수유 후-이유 접촉이 암소와 새끼 행동 및 성장에 미치는 젖 공급 종결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 정도를 결정하는데 있다.
부차적인 목적은 스텝-보행(step-walking) 및 누워있는 시간, 그리고 이유 후 최대 15일까지 그 체중에 있어서의 변화에 의한 이유 이후의 암소와 새끼의 행동상의 고난을 측정하는데 있다.
연구 디자인
시험은 2개 섭생(앞발) 사례-대조 연구로 디자인된다. "앞발(Arm) 30"은 분만후 날짜로 이유가 30일 된 새끼를 지칭한다. "앞발 60"은 분만 후 60일의 새끼의 이유를 지칭한다.
"사례" 및 "대조"는 예상되는 새끼 출산일 전 적어도 14일에 등록된 육우 암소이며, 조기 이유(분만 후 30일 또는 60일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관리된다. 사례는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유방내 투여를 수여받도록 표본 채취된다. 대조는 어떠한 유방내 투여도 수여받지 않는다.
연구 조건뿐만 아니라 암소에 대한 선정 및 제외 기준은 상기 예 1에 기술된 바와 같다.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처리는 일일 1 내지 2회 투여된다.
본 연구의 암소 참여에 대한 선정 기준은 하기와 같다: 임신 말기에 출생한 새끼 - 적어도 230일; 즉시 보행할 수 있는 새끼; 상당한 외적 병변을 가지지 않은 새끼; 체중이 적어도 50 Kg인 새끼; 구충제 및 항호흡 백신(antirespiratory vaccine)으로 처리된 새끼; 조사자의 판단에 있어서 처리의 결과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간주되는 공동-이병률(co-mobidities)의 부재.
본 연구의 암소 참여에 대한 제외 기준은 하기와 같다: 연구 기간 동안의 거세; 동시발생 대체 요법; 조사자의 판단에 활성 폐결핵 또는 다른 전염성 질병을 갖는 새끼.
임상 시험의 총 기간은 현장(무리)에의 이십 회(20) 방문을 포함하여 약 120일(17주)이며, 하기와 같다:
기본적/선별 방문 절차는 연구에 참여하는 모든 참여자들에 대하여 출산으로부터 출산 후 최대 30일까지 적어도 4회 방문을 포함한다. 연구 장소로의 방문은 출산일에 이루어지며 처리 전 3회 방문이 이루어진다. 후속 방문은 상기 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최대 제5기의 종결 때까지 이다.
분만 후 15일에, 암소들은 패리티(parity) 및 연령 내에서 출산 후 30일 또는 60일의 2 개의 이유 날짜 중에 1로 임의로 지정되며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유방내 투여를 받거나(사례) 또는 받지 않는다(대조). 암소들 및 새끼들은 체중을 재며, 신체 상태 점수는 출산 직후 및 이유 전에 평가된다. 신체 상태 점수는 0 내지 5의 스케일로 평가되며, 여기서 0은 심각하게 여윈 상태이며 5는 비만이다.
분만 후 이유일(30일 및 60일)에, 암소-새끼 쌍들은 대형 건조장 부지로 이동된다. 대조 암소-새끼 쌍들은 분리된 거리가 먼 건조장으로 이동된다.
암소들은 매일 암소 한 마리당 90 내지 100 MJ 대사가능 열량을 공급하여 열 량식을 공급받는다(이는 약 7 내지 8 Kg의 젖을 생산하고 실 체중에서 변화가 없는 460 kg의 육우 암소에 대한 추천사항의 100%에 가깝다). 본 식사는 벼과목초 사일리지 60% 및 농축액(보리, 대두, 미네랄 및 비타민; 16 % 조단백질) 40%로 구성된다. 이유 및 처리일 전에, 암소들은 수용되며 출산일에 따라 최대 8 마리의 군으로 사료가 공급된다. 이유 후 제1 일 후에, 새끼들은 표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도록 단백질, 비타민 및 미네랄이 공급되며, 성장 단계 내에서 거의 동일한 양으로 공급된다. 분만 후 제1일 동안은 새끼들은 물만 공급받는다.
사례 및 대조에서의 행동은 다리에 장착된 원격측정 시스템에 의하여 측정된다. 이 시스템은 보행 스텝, 앉아있는 시간 및 앉은 기간의 누적 기록을 모니터링하고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센서는 데이터 저장 및 전달 능력을 가지며, 적어도 1 개월 동안 작동에 충분한 통합 파워 소스를 포함한다.
안전 조치는 활력 징후, 신체 검사, 특정 질환, 유해 사례의 평가 및 세균학적 검사를 포함한다.
본 연구의 말기에, 하기의 종말점이 측정된다: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투여 이후에 젖 분비의 중단의 효과는 하기와 같이 측정된다: 1 내지 4일 이내의 중단; 성공 5 내지 8일; 낮은 성공 9 내지 15일; 젖 분비의 중단에 대한 만족스럽지 않은 16일 이상.
이유로부터 이유 후 30일까지의 암소들에서의 신체 상태 점수의 평가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높은 성공 - 체중에 변화나 증가가 없음; 성공 - 0 내지 0.5점의 더 낮은 점수; 낮은 성공 - 0.5 내지 1점의 낮은 점수; 실패 - 1.0 이상의 점 수.
이유로부터 이유 후 30일까지 암소의 체중 상태는 하기와 같이 평가된다: 높은 성공 - 체중에 변화나 증가가 없음; 성공 - 최대 5 %의 더 낮은 체중; 낮은 성공 - 5% 내지 10% 사이의 낮은 체중; 실패 - 10% 이상의 낮은 체중.
이유로부터 이유 후 30일까지 새끼의 체중 상태는 하기와 같이 평가된다: 높은 성공 - 10 % 이상 증가; 성공 - 5 내지 9 % 증가; 낮은 성공 - 무 변화 내지 4 % 증가; 실패 - 더 낮은 체중.
암소 및 새끼의 행동은 하기와 같은 표준 수치로부터 보행 스텝으로 평가된다: 높은 성공 - 10 % 이상 감소; 성공 - 5 내지 9 % 감소; 낮은 성공 - 무 변화 또는 최대 4 % 증가/감소; 실패 - 5 % 이상 증가.
암소 및 새끼의 행동은 하기와 같은 표준 수치로부터 드러 눕는 시간(lying time)으로 평가된다: 높은 성공 - 10% 이상의 증가; 성공 5% 내지 9% 증가; 낮은 성공 - 무 변화 또는 최대 4%의 증가/감소; 실패 - 5% 이상의 감소.
임상 시험은 하기의 조건 중 임의의 것에서 중단된다:
연구의 완료; 선별 실패; 가축 무리 소유주의 거부; 수인할 수 없는 유해 사례를 겪는 암소; 수인할 수 없는 유해 사례를 겪는 암소; 선정/제외 기준의 위반; 조사자의 의견으로 연구로부터 퇴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임의의 인자 또는 조건.
예 3: 젖소에서의 발정 유도 및 동기화
목적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건유 기간 이전에 각각의 유두 쿼터 속으로 카제인- 유도 펩티드의 근관 투여에 의하여 출산 후 젖소의 발정의 귀환을 유도하고 동기화하는데 있다. 부차적인 목적은 투여일 후 105일 정도에 성공적인 수정에 이르는데 있다.
처리의 성공적인 결과는 적어도 80%의 암소의 투여 이후에 최대 20일의 발정기의 유도 및 최대 3차 맥동까지 처리된 암소의 적어도 70%의 수태로 간주된다.
연구 디자인
임상 시험은 사례-대조 연구로 디자인된다.
"사례" 및 "대조"는 예상되는 새끼 건유일 전 적어도 14일에 등록된 젖소이다. 사례는 카제인-유도 펩티드 또는 카제인 가수분해물(CNH)의 유방내 투여를 수여받도록 표본 채취되며, 대조는 임의의 유방내 투여도 수여받지 않도록 표본 채취된다.
사례 및 대조 양쪽 모두의 암소는 동일한 무리에 살며, 출산 후(동일한 출산일±60일) 이후에 동일한 연령(±180일)에 있으며, 동일 기간(±90일) 동안 적어도 14일 동안 동시에 착유한다.
카제인-유도 펩티드(또는 CNH)의 처리는 일당 1 내지 2회 투여된다. 본 연구의 젖소 참여에 대한 선정 및 제외 기준은 상기 예 1에 정의된 것이다.
임상 시험의 총 기간은 현장(무리)에의 십삼 회(13) 방문을 포함하여 약 120일(17주)이며, 하기와 같다:
제1 주기: 기본적/선별 방문 절차는 연구에 모든 참여자들에 대하여 건유 전 15일부터 처리일까지 적어도 2회 방문을 포함한다. 연구 장소로의 방문은 건유 기간의 발현시에 처리전 15일 및 17일에 일어난다.
제2 주기: 표본 채취 및 처리일은 사례 및 대조의 블라인드(blind) 등록 및 유방내 처리를 포함한다.
제3 주기: 건유 기간 동안, 처리일 내지 60일 또는 출산일까지 적어도 4회 방문이 취해진다.
제4 주기: 출산 및 수정은 최대 후속 조치 종결까지 적어도 6회 방문을 포함한다. 제4 주기 동안에, 1회 방문은 출산일이며, 수정 및 후속 조치 동안의 이후 3 주 동안 적어도 3회 방문.
상기 연구를 하는 동안에, 임상 조사는 유방 검사, 특이적 임상 시스템, 체중 및 임신 상태를 포함하여, 사례 및 대조에 수행된다. 젖은 지방 비율, 단백질 비율, 락토오스 비율, 체세포 수 및 세균학적 검사를 검사하기 위하여 표본 채취된다. 혈액은 주로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LH, FSH 및 프로스타글란딘을 시험하기 위하여 표본 채취된다.
안전 조치는 활력 징후, 신체 검사, 특정 질환, 유해 사례의 평가 및 세균학적 검사를 포함한다.
본 연구의 말기에, 하기의 종말점이 측정된다: 출산 전 유선 분비; 맥박에 의한 수태율; 수정률; 출산 및/또는 이유 이후의 시간까지의 수정; 출산 및/또는 이유 이후의 암소 체중; 암소의 전염성 질병.
카제인-유도 펩티드의 투여 이후에 젖 분비의 중단의 효과는 하기와 같이 측 정된다: 높은 성공: 1 내지 4일 이내의 중단; 성공 5 내지 8일; 낮은 성공 9 내지 15일; 젖 분비의 중단에 대한 만족스럽지 않은 16일 이상.
PPI 길이는 출산 및/또는 이유일로부터 배란일까지 측정된다. 성공적인 결과는 하기와 같이 평가된다: 높은 성공 - 12 내지 20일 미만; 성공 - 21 내지 24일; 낮은 성공 - 25 내지 29일; 실패 - 30일 이상.
수정률은 하기와 같이 측정된다: 높은 성공 - 80 % 이상; 성공 - 65 내지 79%; 낮은 성공 - 50 내지 64 %; 실패 - 49 % 이하.
임상 시험은 하기의 조건 중 임의의 것에서 중단된다: 연구의 완료; 선별 실패; 가축 무리 소유주의 거부; 수인할 수 없는 유해 사례를 겪는 암소; 수인할 수 없는 유해 사례를 겪는 암소; 선정/제외 기준의 위반; 조사자의 의견으로 연구로부터 퇴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임의의 인자 또는 조건.
특이적인 실시예의 앞선 설명은 현재 지식을 적용하여 타인이 과도한 실험없이 그리고 일반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러한 특이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적용을 위하여 용이하게 변형하고/하거나 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성격을 충분히 밝힐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개조 및 변형은 개시되는 실시예의 균등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해되도록 의도한다. 본 명세서에 채용된 어귀 또는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지 한정의 목적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다양한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 물질 및 단계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SEQUENCE LISTING <110> MILEUTIS LTD. <120> LIVESTOCK MANAGEMENT FOR IMPROVED REPRODUCTIVE EFFICIENCY <130> MLTS/002 PCT <150> 60/790,784 <151> 2006-04-11 <160> 5 <170> PatentIn version 3.3 <210> 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2> (1)..(3) <223> Modified by phosphoric acid <400> 1 Ser Ser Ser Glu Glu 1 5 <210> 2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2> (17)..(19) <223> Modified by phosphoric acid <400> 2 Arg Glu Leu Glu Glu Leu Asn Val Pro Gly Glu Ile Val Glu Ser Leu 1 5 10 15 Ser Ser Ser Glu Glu Ser Ile Thr Arg 20 25 <210> 3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2> (8)..(10) <223> Modified by phosphoric acid <400> 3 Gln Met Glu Ala Glu Ser Ile Ser Ser Ser Glu Glu Ile Val Pro Asp 1 5 10 15 Ser Val Glu Gln Lys 20 <210> 4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2> (8)..(10) <223> Modified by phosphoric acid <400> 4 Lys Asn Thr Met Glu His Val Ser Ser Ser Glu Glu Ser Ile Ile Ser 1 5 10 15 Asn Glu Thr Tyr Lys 20 <210> 5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2> (11)..(13) <223> Modified by phosphoric acid <400> 5 Asn Ala Asn Glu Glu Glu Tyr Ser Ile Gly Ser Ser Ser Glu Glu Ser 1 5 10 15 Ala Glu Val Ala Thr Glu Glu Val Lys 20 25

Claims (49)

  1.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를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젖 분비 가축 동물의 발정 유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정은 상기 펩티드 투여 후 약 2일 내지 약 120일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정은 상기 펩티드 투여 후 약 2일 내지 약 50일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분만 전 약 70일 내지 분만 후 약 150일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분만 후 즉시 내지 분만 후 약 90일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분만 후 즉시 내지 분만 후 약 60일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분만 직후 내지 분만 후 약 30일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축 동물은 암소, 염소, 양, 돼지, 낙타 및 버팔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제인-유도 펩티드는 무리를 이루는 다수의 젖 분비 가축 동물들에 적용되어 상기 무리의 상기 젖 분비 동물들의 발정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무리는 육우의 무리, 젖소의 무리 및 돼지 무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무리의 상기 다수의 가축 동물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수정 후 수태율은 적어도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수정 후 수태율은 적어도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무리의 적어도 70%의 수태율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리를 이루는 다수의 가축 동물들에게 카제인으로부터 유래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태율은 적어도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포스포펩티드(phosphopept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펩티드는 αS1-카제인, αS2-카제인 및 β-카제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카제인 하위군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 서열, 그 단편,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αS1-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3의 아미노산 서열, 그 단편,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αS2-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서열번호: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및 그 유사체들, 유도체들 또는 단편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β-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2에서 설명된 아미노산 서열, 그 유사체, 유도체 또는 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카제인의 가수분해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합성 카제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젖 분비 동물의 적어도 하나의 유선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젖 분비 동물의 모든 유선들로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근관 주사(intracanal injection), 상기 가축 유방에 부착된 첩포를 통한 도포 및 상기 가축 유방의 침지(soaking)을 통한 도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적어도 1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약 6시간 내지 약 24시간의 간격에서 약 1 내지 5회 사이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를 이유 전 적어도 1일에 젖 분비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유 자손의 스트레스 없는 이유를 유도하는 방법.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젖 분비 동물은 암소, 염소, 양, 돼지, 낙타 및 버팔로로 구성된 군으 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청구항 29에 있어서,
    이유는 분만 후 약 2주 내지 약 15주에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이유는 분만 후 약 4주 내지 약 8주에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자손 및 상기 젖 분비 동물은 이유 후 필수적으로 체중을 손실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젖 분비 동물 및 상기 자손의 신체 상태 점수는 이유 전과 이유 후가 필수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포스포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펩티드는 αS1-카제인, αS2-카제인 및 β-카제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카제인 하위군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1의 아미노산 서열, 그 단편,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αS1-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3에서 설명된 아미노산 서열, 그 단편,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αS2-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서열번호: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및 그 유사체들, 유도체들 또는 단편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β-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포스포펩티드는 서열번호:2의 아미노산 서열, 그 유사체, 유도체 또는 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카제인의 가수분해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합성 카제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젖 분비 동물의 적어도 하나의 유선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젖 분비 동물의 모든 유선들로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근관 주사, 상기 가축 유방에 부착된 첩포를 통한 도포 및 상기 가축 유방의 침지을 통한 도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이유 전 약 1일 내지 약 10일 사이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이유 전 약 3일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펩티드는 약 6시간 내지 약 24시간의 간격에서 약 1 내지 10회 사이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젖 분비 동물 및 상기 자손의 안락은 상기 유도된 이유에 의하여 부정적으로 영향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27618A 2006-04-11 2007-04-11 번식 효율 개선을 위한 가축 관리 KR200900473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078406P 2006-04-11 2006-04-11
US60/790,784 2006-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392A true KR20090047392A (ko) 2009-05-12

Family

ID=3858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618A KR20090047392A (ko) 2006-04-11 2007-04-11 번식 효율 개선을 위한 가축 관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90305947A1 (ko)
EP (1) EP2007413A4 (ko)
KR (1) KR20090047392A (ko)
CN (1) CN101553127A (ko)
AU (1) AU2007237074A1 (ko)
BR (1) BRPI0709956A2 (ko)
CA (1) CA2649003A1 (ko)
MX (1) MX2008013024A (ko)
RU (1) RU2008144426A (ko)
WO (1) WO2007116410A2 (ko)
ZA (1) ZA2008086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7561A1 (ko) * 2022-03-04 2023-09-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8866A2 (en) * 2009-09-16 2012-07-25 Carlos Alberto Barcelo Rojas Artificial insemination method for impregnating cows
EP2484305A2 (en) * 2009-09-28 2012-08-08 Carlos Alberto Barcelo Rojas Method for palpation of the physiological-reproductive condition of the uterus
US9220751B2 (en) 2010-04-21 2015-12-29 Mileutis Ltd. Casein peptid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uterine infections
CN107880107B (zh) * 2017-12-11 2020-05-12 浙江辉肽生命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活性多肽qvlsntvpa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742189C1 (ru) * 2020-01-15 2021-02-0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Алтайски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агробиотехнологий" (ФГБНУ ФАНЦА)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репродуктивной функции высокопродуктивных коров
CN117828480A (zh) * 2024-03-04 2024-04-05 中国农业科学院农业信息研究所 一种基于深度学习的肉牛发情状态识别与评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5176A (en) * 1983-12-12 1987-06-23 Norden Laboratories Moraxella bovis protease vaccine
KR0140248B1 (ko) * 1995-03-23 1998-06-15 한상기 신규한 카제인 포스포펩티드, 그것을 포함하는 카제인 및 그 제조방법
AUPO566297A0 (en) * 1997-03-13 1997-04-10 University Of Melbourne, The Calcium phosphopeptide complexes
US6391849B1 (en) * 1999-11-19 2002-05-21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The Volcani Center Meth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disrupting lactation in a mammary gland an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mastitis
CN100506981C (zh) * 2000-12-07 2009-07-01 Dsmip资产有限公司 富含具有羧基末端脯氨酸残基的肽的蛋白质水解产物
AR033476A1 (es) * 2001-04-27 2003-12-17 Florin Elena Leche tratada resistente a la coagulacion acida para incrementar la biodisponibilidad de calcio, metodo para obtenerla, productos en base a leche elaborados con dicha leche tratada y metodos de elaboracion
KR101238517B1 (ko) * 2002-12-26 2013-02-28 마운틴 뷰 파마슈티컬즈, 인크. 생물학적 효능이 향상된 인터페론-베타의 중합체 접합체
CN101124261A (zh) * 2004-03-01 2008-02-13 派普特拉医药有限公司 酪蛋白衍生肽及其治疗用途
US20080187619A1 (en) * 2004-09-10 2008-08-07 Medela Holding Ag Human Milk Fortifier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7561A1 (ko) * 2022-03-04 2023-09-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암소 번식 능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808673B (en) 2009-12-30
EP2007413A4 (en) 2010-07-14
EP2007413A2 (en) 2008-12-31
WO2007116410A2 (en) 2007-10-18
CN101553127A (zh) 2009-10-07
AU2007237074A1 (en) 2007-10-18
BRPI0709956A2 (pt) 2011-08-02
WO2007116410A3 (en) 2009-04-23
RU2008144426A (ru) 2010-05-20
US20090305947A1 (en) 2009-12-10
CA2649003A1 (en) 2007-10-18
MX2008013024A (es)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ühler et al. Small intestinal morphology in eight-day-old calves fed colostrum for different durations or only milk replacer and treated with long-R3-insulin-like growth factor I and growth hormone
Ravindran et al. Endogenous amino acid flow in the avian ileum: quantification using three techniques
KR20090047392A (ko) 번식 효율 개선을 위한 가축 관리
KR101340676B1 (ko) 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펩티드로 구성된 약학 조성물 및이를 이용하는 방법
FR2622455A1 (fr) Application du facteur de stimulation de la secretion de l&#39;hormone de croissance humaine, de ses fragments actifs et des analogues correspondants, pour augmenter la production laitiere et le poids des nouveau-nes chez les mammiferes
JP3668950B2 (ja) ペプチドと、その合成方法と、それをベースにした医薬品
Klopfenstein et al. Diseases of the mammary glands
KR19990037143A (ko) 반추동물의 비육방법
US4521409A (en) Use of growth hormone to enhance ruminant mammary development
HU189394B (en) Method for producing spermatozoa suitable for fertilization from mature fishes
ES2939300T3 (es) Composiciones y procedimientos de uso de IL-8 para mejorar la producción de leche y la salud reproductiva en mamíferos
AU642871B2 (en) Somatotropin for increasing fertility in animals
JP3241378B2 (ja) ウシの繁殖力を高めるためのソマトトロピン
US2022014313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Reproduction Performance in Non Human Mammals Using Recombinant Luteinizing Hormone
JP3713531B2 (ja) 発情周期を繰り返している豚における過排卵処理法
Rudakov et al. System of prevention of gynaecological diseases in high-productive cows under in a farm in the Udmurt Republic
Hoblet Effects of nutrition on hoof health
KR102485194B1 (ko) LFRFamide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족류의 산란 유도용 조성물
UA129337U (uk) Спосіб синхронізації опоросів свиноматок комплексом біологічно активних препаратів
Vachkova et al. Epidermal growth factor content in rabbit doe milk during the different lactation stages.
Klopfenstein et al. Diseases of the Mammary
Frank et al. ASAS-Growth and Development II
Squires Endocrine effects on animal products.
Tamuli et al. Management of anoestrus in dairy cattle with placentrex
PELLETIER et al. Effect of growth hormone-releasing factor (1-29) NH 2 and thyrotropin-releasing factor on growth hormone release in lactating sows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