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194A -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하는단말장치,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하는단말장치,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194A
KR20090047194A KR1020070113238A KR20070113238A KR20090047194A KR 20090047194 A KR20090047194 A KR 20090047194A KR 1020070113238 A KR1020070113238 A KR 1020070113238A KR 20070113238 A KR20070113238 A KR 20070113238A KR 20090047194 A KR20090047194 A KR 20090047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ocation
file
providing
generate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11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7194A/ko
Publication of KR2009004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말장치,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는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User Created Contents, UCC) 파일에 현재 위치한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삽입한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단말장치가 생성하여 업로드한 파일 생성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가 사입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웹 상에 게시한다. 그리고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받은 특정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위를 시도하여 위치 좌표를 획득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핸드폰에 내장된 고성능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생성하여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접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식별자, 위치 기반 서비스, 사용자 제작 컨텐츠(User Created Contents, UCC)

Description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말장치,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Terminal unit for inserting cell identifier in user contents taken a photograph using built-in camer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cell identifi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말장치,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시대에 맞추어 화상 송수신 등의 기능과 음성 송수신 기능이 함께 구현된 휴대용 복합통신 단말기가 구현되었다. 사용자가 평소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현해 놓은 일명 카메라 폰이 개발되었다.
사용자는 갑자기 어떠한 장면이나, 업무상 필요한 피사체 또는 보관하고 싶은 장면을 찍어 간직하고 싶을 때 이러한 카메라 폰을 이용하여 원하는 장면을 찍어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카메라 폰을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을 토대로 사용자 제작 컨텐츠(User Created Contents, UCC) 파일의 제작이 활성화되는 추세이다. 주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들은 웹 상에 열람 가능하게 업로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에 이러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제공받은 사용자들은 단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예를 들어, 맛 집을 소개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의 경우, 단지 맛 집의 음식과 방문기 등을 소개할 수 있을 뿐이고 맛 집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검색 과정을 거쳐야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은 다수 공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활발하게 생성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연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의 촬영 위치를 나타내는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단말장치는,
카메라를 내장하고 무선망에 접속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상기 단말장치가 위치한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삽입하는 파일 생성부; 및 상기 무선망을 통해 접속된 컨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가 삽입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업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식을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파일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단말장치와 무선망을 통해 접속되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로 구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여기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는 촬영한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가 삽입됨-을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파일 등 록부; 및 상기 파일 등록부가 저장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상기 무선망 및/또는 유선망을 통해 접속한 복수의 단말장치에게 제공하고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무선망을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을 통해 접속된 단말장치로부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여기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는 촬영한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가 삽입됨-을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단계; 저장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상기 무선망을 통해 접속한 복수의 단말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제공받은 단말장치가 요청한 특정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폰에 내장된 고성능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User Created Contents, UCC)를 생성하여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접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하는 단말장치,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따르면,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성은 단말장치(100, 501, 503, 505, 507), 이동통신망(200),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 및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이하 'LBS'라 기술함) 시스템(400)을 포함한다.
단말장치(100, 501, 503, 505, 507)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User Created Contests, 이하 'UCC'라 기술함) 파일을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이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501, 503, 505, 507)로 각각 구분된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를 내장하며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장치이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성되는 UCC 파일에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한다.
제2 사용자 단말(501, 503, 505, 507)은 유무선으로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장치로서, 휴대폰(501), 개인 정보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503), 노트북(505) 및 PC(Personal Computer)(507)를 포함한다.
LBS 시스템(400)은 LBSP(Location-Based Service Platform)(420), MPC(Mobile Positioning Center)(340) 및 GISP(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Platform)(360)를 포함한다.
LBSP(420)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시스템과 연동하며 위치정보를 좌표 변환하는 등의 위치 정보의 일차 가공을 수행한다.
MPC(340)는 위치 획득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위치 데이터의 검색, 전달, 저장 및 제어를 위한 요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GISP(360)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전자지도, POI(Point Of Interest), 교통정보 등의 컨텐츠 제공 플랫폼이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LBSP(420) 또는 GISP(360)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 혹은 GIS 컨텐츠를 기반으로 LBS 부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시스템이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UCC 파일의 저장, UCC 파일의 제공 및 UCC 파일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된 기지국 식별자가 삽입된 UCC 파일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UCC 파일을 웹 상에 게시하여 접속된 제2 사용자 단말(501, 503, 505, 507)로부터 요청받은 UCC 파일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위치 기반 서비스는 UCC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위를 시도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를 토대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특히 제1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단말장치(100)는 카메라(110), 제어부(120), 메모리(130), 위치 등록부(140) 및 무선 송수신부(150)를 포함한다.
카메라(110)는 휴대폰에 내장되는 휴대폰 카메라로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다.
제어부(120)는 카메라(100)와 연결되어 카메라로부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입력받아 파일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UCC 파일은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는 파일을 지칭하는 광의의 의미를 갖는 용어로서 사용되며, 특히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성된 파일로 이하에서는 지칭한다.
제어부(120)는 기능에 따라 파일 생성부(122) 및 파일 처리부(124)로 세분화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 생성부(122)는 카메라(100)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성된 UCC 파일을 생성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삽입한다. 따라서, UCC 파일에는 파일이 생성된 지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파일 처리부(124)는 파일 생성부(122)가 생성한 UCC 파일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에 업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30)는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위치 등록부(140)는 최초 위치 등록, 위치 갱신의 절차를 이동통신망과 수행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200)으로부터 현재 위치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이때, 위치 등록부(14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셀 별 시스템 정보 블록(Sytem Information Block, SIB) 메시지 또는 무선 링크 설정(Active Set Update) 메시지를 수신하여 기지국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 식별 정보는 28bit 열의 Cell ID를 지칭한다.
무선 송수신부(150)는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무선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처리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과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처리한다. 무선 송수신부(150)는 파일 처리부(124)가 업로드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의 교환 이미지 파 일 형식 정보의 포맷이다.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은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파일 안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파일 형식으로서, 약칭은 Exif, EXIF이다.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Exchangeable Inage File Format) 정보는 다수의 파일 정보가 담긴 필드로 구성된다.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은 파일크기, 카메라 제조사(Maker), 카메라 모델(Model)명, 사진 회전, 가로/세로 해상도, 해상도 단위, 셔터 속도, 160 값, Exif 버전(Exif Version), 촬영한 날짜(Shoot Datetime) 및 시각, 저장 시각, 픽셀 구성, 노출 보정, 측광 모드, 광원, 사진의 실제 가로/세로 길이, 노출(Exposure) 방식, 화이트 밸런스 사용, 디지털 줌,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며, 물론 이러한 정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특히,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 정보는 파일이 형성된 지역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필드(P100)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필드(P100)는 국가코드 MCC (Mobile country code), 네트워크 코드 MNC(Mobile Network Code) 및 기지국 위치 정보 Cell ID 필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 위치 정보 Cell ID 필드에는 단말장치(도 1의 100)의 메모리(도 2의 130)에 저장된 현재 위치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가 삽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서비스 처리 모듈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 이다.
도 4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파일 저장부(420), 파일 등록부(440), 서비스 처리부(460) 및 웹 페이지 제공부(480)를 포함한다.
파일 저장부(420)는 촬영한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가 삽입된 UCC 파일을 저장한다.
파일 등록부(440)는 제1 사용자 단말인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장치(100)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성되고 촬영 위치 정보가 삽입된 UCC 파일을 업로드받아 파일 저장부(420)에 저장한다. 파일 등록부(440)는 웹 페이지 제공부(480)를 통하여 접수되는 UCC 파일을 저장한다.
서비스 처리부(460)는 파일 등록부(440)가 저장한 UCC 파일을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한 제2 사용자 단말인 단말장치들(501, 503, 505, 507)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단말장치들(501, 503, 505, 507)이 요청한 UCC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식을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처리부(460)는 기능에 따라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웹 페이지 운용 모듈(462), 위치 좌표 획득 모듈(464) 및 서비스 처리 모듈(466)로 세분화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운용 모듈(462)은 웹 페이지 제공부(480)를 통하여 단말장치들(501, 503, 505, 507) 요청한 UCC 파일 요청 정보를 접수한다.
위치 좌표 획득 모듈(464)은 웹 페이지 운용 모듈(462)을 통해 요청받은 UCC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LBS 시스템(300)과 연동하여 확인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위를 시도하여 위치 좌표를 획득한다.
서비스 처리 모듈(466)은 위치 좌표 획득 모듈(464)이 획득한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 제공부(480)를 통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웹 페이지 제공부(48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게 UCC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등록 컨텐츠 및 파일 등록부(440)가 저장한 UCC 파일을 게시하고 UCC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토대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컨텐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100)이 기지국 식별 정보가 삽입된 UCC 파일을 생성(S101)하여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에 업로드한다(S103).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S103 단계에서 업로드된 UCC 파일을 저장한다(S105).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저장(S105)된 UCC 파일을 제2 사용자 단말(501, 503, 505, 507)에게 제공한다(S107).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제2 사용자 단말(501, 503, 505, 507)로부터 UCC 파일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S109). 여기서, 요청은 어느 하나의 특정 UCC 파일의 선택 정보와 선택된 UCC 파일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선택 정보가 포함된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요청받은 UCC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LBSP(320)에게 전송한다(S111).
LBSP(320)는 MPC(340)에게 기지국 식별 정보를 전달하여 위치를 요청한다(S113).
MPC(340)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기지국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115, S117).
S115 단계 및 S117 단계에서 획득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LBSP(320)로 전송(S119)하여 GISP(360)로 전달된다(S121).
GISP(360)에서 위치 좌표로 가공된 기지국의 위치 정보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으로 전달된다(S123).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S123 단계에서 전달된 위치 좌표를 통해 구현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2 사용자 단말(501, 503, 505, 507)에게 제공한다(S125).
이와 같이,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작한 UCC 파일에 촬영 위치를 나타내는 기지국 식별 정보를 삽입하고 이러한 UCC 파일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UCC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한 응용 실시예로서, 검색창에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가입자 주변의 생활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의 동작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검색창에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가입자 주변의 생활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의 웹 페이지 화면 예이다.
먼저, 도 7은 UCC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등록 컨텐츠 및 UCC 파일을 게시 하고 UCC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토대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컨텐츠가 제공된 가입자 주변의 생활검색 서비스 웹 페이지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웹 페이지 화면은 '우리들의 UCC'라는 컨텐츠(P200)가 마련되어 있다. '우리들의 UCC' 컨텐츠(P200)는 다수의 카테고리로 구분되어 사용자가 등록 또는/및 단순 열람인 보기가 가능하다. 이때, UCC 파일과 더불어 업소에 관한 개략 정보를 함께 등록하는 컨텐츠인 '업소 직접 등록' 컨텐츠(P300)가 마련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컨텐츠들 중에서 '업소 직접 등록' 컨텐츠(P300)를 클릭하여 제1 사용자 단말(도 1의 100)이 UCC 파일을 등록하는 예를 나타낸다. 즉 특정 업소에서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성된 UCC 파일을 등록하는 예이다.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업소 직접 등록' 컨텐츠(P300)는 업소명, 업종, 전화번호, 개략적인 주소, 점수, 추천 사유 등과 더불어 종래와 달리 업소에 해당하는 정보가 담긴 UCC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는 항목(P400)이 마련되어 있다. 이 항목(P400)을 통해 업소에 직접 촬영한 음식, 가게 내부, 가게 이름이 나타난 이미지 등을 촬영한 UCC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제2 사용자 단말(도 1의 501, 503, 505, 507)이 도 7의 웹 페이지 화면을 통해 도 8과 같은 과정을 통해 등록된 특정 업소에 대한 UCC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컨텐츠를 포함하는 화면예이다.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제2 사용자 단말(도 1의 501, 503, 505, 507)이 도 7의 웹 페이지 화면에서 '요리 조리 UCC'에 게시된 특정 UCC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 이 UCC 파일이 '업소 직접 등록' 컨텐츠(P300)를 통해 업로드되어 있는 경우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UCC 파일이 일부(P500) 게시되고 해당 UCC 파일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 컨텐츠 항목들이 마련되어 있다.
즉 업소로 전화걸기를 비롯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컨텐츠 즉 지도보기(P601), 길 안내(P603) 및 버스/지하철 경로(P605)를 포함한다.
제2 사용자 단말(도 1의 501, 503, 505, 507)이 지도보기(P601), 길 안내(P603) 및 버스/지하철 경로(P605) 중 어느 하나의 위치 기반 서비스 컨텐츠를 클릭하게 되면, 게시(P500)된 UCC 파일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이용하여 위치 측위를 시도하여 획득한 위치 좌표를 토대로 해당하는 지도 정보, 길 안내 서비스 및 버스/지하철 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지도 정보, 길 안내 서비스 및 버스/지하철 경로의 자세한 서비스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비롯하여 당업자가 유추할 만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의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 정보의 포맷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서비스 처리 모듈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검색창에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가입자 주변의 생활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의 웹 페이지 화면 예이다.

Claims (13)

  1. 카메라를 내장하고 무선망에 접속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상기 단말장치가 위치한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삽입하는 파일 생성부; 및
    상기 무선망을 통해 접속된 컨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가 삽입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업로드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식을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파일 처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의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Exchangeable Inage File Format) 정보의 위치 정보 필드-여기서 위치 정보 필드는 파일이 생성된 지역의 위치 정보를 나타냄-에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를 삽입하는 단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망으로부터 수신한 셀 별 시스템 정보 블록(Sytem Information Block, SIB) 메시지 또는 무선 링크 설정(Active Set Update) 메시지를 통해 획득되는 기지국 식별 정보인 단말장치.
  4. 단말장치와 무선망을 통해 접속되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로 구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여기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는 촬영한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가 삽입됨-을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파일 등록부; 및
    상기 파일 등록부가 저장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상기 무선망 및/또는 유선망을 통해 접속한 복수의 단말장치에게 제공하고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처리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에게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등록 컨텐츠 및 상기 파일 등록부가 저장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게시 하고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토대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컨텐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등록부는,
    상기 웹 페이지 제공부를 통하여 접수되는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저장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웹 페이지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접수하는 웹 페이지 처리 모듈;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위를 시도하여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좌표 획득 모듈; 및
    상기 위치 좌표 획득 모듈이 획득한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웹 페이지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
    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제공부는,
    키워드 검색창을 통해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검색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컨텐츠-여기서 업로드하기 위한 컨텐츠는 업소에 관한 개략 정보 입력과 더불어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등록하는 업소 등록 컨텐츠를 포함-와, 상기 업로드하기 위한 컨텐츠를 통해 접수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게시하는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토대로 한 길 안내 서비스 컨텐츠 및 지도 정보 제공 컨텐츠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무선망을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을 통해 접속된 단말장치로부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구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여기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는 촬영한 지역의 기지국 식별 정보가 삽입됨-을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단계;
    저장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상기 무선망을 통해 접속한 복수의 단말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제공받은 단말장치가 요청한 특정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하여 접수되는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게시하고 단말장치가 요청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 컨텐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하여 접수되는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특정 사용자 제 작 컨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측위를 시도하여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요청한 특정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키워드 검색창을 통해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검색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컨텐츠-여기서 업로드하기 위한 컨텐츠는 업소에 관한 개략 정보 입력과 더불어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등록하는 업소 등록 컨텐츠를 포함함-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키워드 검색창을 통해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검색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위치 기반 서비스 컨텐츠-여기서 위치 기반 서비스 컨텐츠는 상기 업로드하기 위한 컨텐츠를 통해 접수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게시하는 컨텐츠, 상기 사용자 제작 컨 텐츠 파일에 삽입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토대로 한 길 안내 서비스 컨텐츠 및 지도 정보 제공 컨텐츠를 포함함-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0113238A 2007-11-07 2007-11-07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하는단말장치,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47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238A KR20090047194A (ko) 2007-11-07 2007-11-07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하는단말장치,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238A KR20090047194A (ko) 2007-11-07 2007-11-07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하는단말장치,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94A true KR20090047194A (ko) 2009-05-12

Family

ID=4085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238A KR20090047194A (ko) 2007-11-07 2007-11-07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하는단말장치,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71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36B1 (ko) * 2008-01-03 2010-03-16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키워드 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30494B1 (ko) * 2010-06-29 2011-04-26 강대현 위치정보 기반 콘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36B1 (ko) * 2008-01-03 2010-03-16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키워드 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30494B1 (ko) * 2010-06-29 2011-04-26 강대현 위치정보 기반 콘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4959B2 (en)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using image, location data, and annotations
JP4821903B2 (ja) 表示端末、サーバ装置、画像共有システム、及び画像共有方法
CN102958114B (zh) 访问增强现实用户上下文的方法
JP2015505384A (ja) 画像アノテーション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2572679B (zh) 基于位置服务的签到方法、签到显示方法以及签到系统
JP4767453B2 (ja) データ送信方法、送信先決定装置及び撮影端末
TW201022634A (en) A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JP2004297134A (ja) 合成画像提供システム、画像合成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EP27985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tadata search codes to multimedia
US20050162518A1 (en) Display of the thumbnails of a photographic support on a terminal
KR20110094970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90047194A (ko)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에 기지국 식별자를 삽입하는단말장치,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95867A (ja) 見所スポット配信方法および装置
JP2019016100A (ja) データシステム、サーバー、およびプログラム
US112021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ask based multimedia data
JP2009043006A (ja) 周辺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周辺情報提供方法
KR101461590B1 (ko) 위치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JP2010140182A (ja) 見学情報蓄積システム
CN111555956B (zh) 即时通讯中包含可读取地理位置信息的图片的处理方法及电子装置
JP2008191893A (ja) 風景配信装置、風景配信システム、風景画像の登録方法、風景配信方法、案内図作成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構造
KR10081379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사진촬영장소의 위치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26557A (ko) 음식점 코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7986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roving multimedia data
KR20190005053A (ko)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90088088A (ko) 영상 서비스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