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053A -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053A
KR20190005053A KR1020170085595A KR20170085595A KR20190005053A KR 20190005053 A KR20190005053 A KR 20190005053A KR 1020170085595 A KR1020170085595 A KR 1020170085595A KR 20170085595 A KR20170085595 A KR 20170085595A KR 20190005053 A KR20190005053 A KR 20190005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group
mobile terminal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선
Original Assignee
홍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선 filed Critical 홍기선
Priority to KR1020170085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5053A/ko
Publication of KR2019000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7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영상의 촬영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고, 촬영 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영상 그룹을 선택받으며, 촬영 영상과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영상의 위치 정보와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촬영 영상을 등록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저장하고 요청에 따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을 촬영 위치에 따라 그룹핑하여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shooting lo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과 관련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을 촬영한 위치에 기반하여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영상을 촬영할 때, 영상을 촬영한 위치를 측정하여 영상 데이터에 함께 저장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해 특정 위치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생성되는 사진 파일에는, 사진을 촬영한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어 어느 곳에서 사진을 촬영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영상의 정보를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표시하여 확인하도록 하는 기술도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지도 상에 사진을 촬영한 위치가 표시되고 각 위치에서 촬영한 사진을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에 사진을 촬영한 위치를 표시하는 경우 국가 단위와 같이 광역의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을 모아 제시함으로써 촬영 위치를 세세하게 선택하여 영상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지도상에 영상의 촬영 위치를 표시하는 것은 사진을 촬영한 스마트폰 내에서만 확인이 가능하며, 다른 종류의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전송하는 경우 지도 상의 촬영 위치에 대응하여 사진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고, 그 결과 다른 사람에게 촬영 위치에 따라 분류된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69715호 (2015.11.17.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을 촬영한 위치에 기반하여 복수의 영상을 그룹핑하고 특정 영상 그룹을 선택하여 촬영 위치가 비슷한 영상들을 함께 확인하도록 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을 촬영할 때의 위치를 측정하며 촬영 영상과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영상의 촬영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영상 그룹을 선택받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과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저장하며,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영상을 요청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영상의 촬영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저장한 영상 정보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촬영 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영상 그룹을 선택받으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과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상기 영상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영상을 요청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에 따라 지도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고, 상기 다른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고 일정 요청 횟수 이상임을 확인하여 신규 영상 그룹의 정보를 상기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에 저장해 등록하며, 상기 촬영 영상을 신규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상기 영상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여 일정 요청 횟수 이상임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 등록 여부를 문의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아 신규 영상 그룹의 정보를 상기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에 저장해 등록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신규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상기 영상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 영상 그룹의 식별 정보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 단말기로부터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해 선택받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해 선택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방법은,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영상의 촬영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촬영 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영상 그룹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과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영상을 요청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에 따라 지도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다른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고 일정 요청 횟수 이상임을 확인하여 신규 영상 그룹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촬영 영상을 신규 영상 그룹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여 일정 요청 횟수 이상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 등록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아 신규 영상 그룹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촬영 영상을 신규 영상 그룹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의 식별 정보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표시 단말기로부터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해 선택받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표시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해 선택받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을 촬영 위치에 따라 그룹핑하여 확인할 수 있고, 이때 지도 상에서 영상 그룹의 촬영 위치를 표시하고 대응하는 영상을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직관적으로 선택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영상을 등록하고자 하는 위치에 영상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을 등록하기 위한 요청 이력을 확인하여, 신규 영상 그룹을 생성하고 촬영 영상을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영상 등록을 위해 선택한 그룹의 위치가 영상의 촬영 위치와 차이가 있는 경우, 촬영 위치에 신규 영상 그룹을 등록하기 위한 요청 이력을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의사가 있는지 타진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영상 그룹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식별 정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식별 정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등록 영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선택 정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제공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규 영상 그룹을 등록하고 촬영 영상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신규 영상 그룹을 등록하고 촬영 영상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과 관련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 모바일 단말기(20), 표시 단말기(30) 및 통신망(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를 비롯한 복수의 단말기에서 촬영한 영상을 촬영 위치에 따라 그룹핑하여 저장하고, 모바일 단말기(20)나 표시 단말기(30)로 영상을 제공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을 촬영 위치 별로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기(20)는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을 촬영할 때의 위치를 측정하며, 촬영 영상과 영상을 촬영할 때의 위치 정보를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기(20)는 사용자가 소지하여 이동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로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위치 정보 측정을 위한 GPS 모듈, 통신망(4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표시 단말기(30)는 모바일 단말기(20)가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로 전송하여 등록한 영상을 요청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 단말기(30)는 휴대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를 비롯하여 PC, 노트북, 태블릿, 가전제품 등 영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재생할 수 있는 어떠한 단말기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화면, 통신망(4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통신망(40)은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 모바일 단말기(20) 및 표시 단말기(3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통신망(40)은 현재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되어 상용화될 각종 유선망, 무선망 및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는 저장된 영상의 촬영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로(20)부터 촬영 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영상 그룹을 선택받는다.
이때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영상 그룹 각각이 어떠한 촬영 위치에 대응되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제공하며, 예를 들어 지도 상에 각 영상 그룹의 위치를 표시하여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그리고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촬영 영상과 해당 영상을 촬영할 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영상의 촬영 위치 정보와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함을 확인한 후, 해당 촬영 영상을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저장한다.
이후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나 표시 단말기(30)로부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영상을 요청받으면 해당 그룹에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20)의 촬영 영상을 제공하여 확인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식별 정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식별 정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등록 영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선택 정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는 통신부(11),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12), 영상 정보 저장부(13) 및 제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1)는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1)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12)는 영상을 등록하여 그룹핑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저장소이다.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12)에 저장되는 복수의 영상 그룹은 각 그룹에 등록되는 영상의 촬영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핑된다.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12)는 복수의 영상 그룹의 식별 정보, 각 영상 그룹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각 영상 그룹에 등록된 영상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정보 저장부(13)는 복수의 영상 그룹 각각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저장한 저장소이다. 영상 정보 저장부(13)는 영상 정보, 영상을 촬영할 때의 촬영 위치 정보 및 영상이 소속된 영상 그룹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통신부(11),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12) 및 영상 정보 저장부(13)를 포함한 영상 정보 제공 장치(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연산 유닛, 메모리, 프로그램 저장소 등을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14)는 통신부(11)를 통해 영상을 촬영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영상 등록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통신부(11)를 통해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12)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4)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지도 앱(app) 상에서,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복수의 영상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가 표시되도록,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는 통신부(1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촬영 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영상 그룹을 선택받고, 통신부(1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촬영 영상과 해당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제어부(14)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촬영 위치 정보와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촬영 영상을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12)의 정보를 갱신하며, 해당 영상 정보를 영상 정보 저장부(13)에 저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지도 앱의 표시 모습을 나타내는데, 복수의 등록 영상 그룹에 등록된 영상의 촬영 위치에 따라 지도 상의 대응되는 위치(1, 2)에 복수의 영상 그룹의 식별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한 위치(3)와 인접한 위치(2)에 대응하는 영상 그룹이 등록 영상 그룹으로 선택되면, 제어부(14)는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의 위치(2) 정보와 촬영 영상의 위치(3)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위치(2)에 대응하는 등록 영상 그룹에 촬영 영상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한 위치(3)와 인접한 영상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영상의 촬영 위치(3)와 멀리 떨어진 위치(1)의 영상 그룹이 등록 영상 그룹으로 선택되면, 제어부(14)는 영상을 촬영한 위치(3) 정보와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1)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위치(1)에 대응하는 영상 그룹에 촬영 영상을 등록하지 않는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상의 촬영 위치(3)에 대응하는 신규 영상 그룹을 생성하여 촬영 영상을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제어부(14)는 통신부(1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1)와 다른 위치(4)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는다.
그리고 제어부(14)는 다른 위치(4)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여 일정 요청 횟수 이상의 등록 요청이 있었음을 확인하고, 다른 위치(4)에 대응하는 신규 영상 그룹을 생성하며, 생성된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정보를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12)에 저장해 등록한다. 이 경우 제어부(14)는 다른 위치(4)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여 신규 영상 그룹을 등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4)는 새롭게 등록된 신규 영상 그룹에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영상을 등록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을 위한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제어부(14)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촬영 위치(3) 정보와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1)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로 신규 영상 그룹을 생성하여 촬영 영상을 등록할 의사가 있는지를 타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는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3)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여, 촬영 위치(3)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이 일정 요청 횟수 이상임을 확인하면, 통신부(1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로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3)에 대응하여 인접한 위치(4)의 신규 영상 그룹을 생성하여 등록할 의사가 있는 여부를 문의한다.
이후 제어부(14)는 통신부(1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3)에 대응되는 위치(4)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아 신규 영상 그룹을 생성하며, 생성된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정보를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12)에 저장해 등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4)는 새롭게 등록된 신규 영상 그룹에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영상을 등록한다.
이후 제어부(14)는 통신부(11)를 통해 영상을 제공받아 표시하려는 표시 단말기로부터,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영상이 등록된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영상을 요청받으면, 통신부(11)를 통해 영상 정보 저장부(13)에 저장된 촬영 영상을 표시 단말기로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표시 단말기에서 실행된 지도 앱의 표시 모습을 나타내는데, 제어부(14)는 통신부(11)를 통해 등록 영상 그룹의 식별 정보가, 등록 영상 그룹의 위치(2)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식별 정보를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여 도 5와 같이 표시되도록 하고, 통신부(11)를 통해 표시 단말기로부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해 선택받는다.
그리고 제어부(14)는 통신부(11)를 통해 등록 영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선택 정보(5)를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며, 이때 등록 영상 그룹의 위치(2)에 영상 선택을 위한 선택 정보(5)가 표시된다.
이후 제어부(14)가 통신부(11)를 통해 표시 단말기로부터 선택 정보(5) 중에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영상에 대해 선택받으면, 통신부(11)를 통해 해당 촬영 영상을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여 확인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제공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규 영상 그룹을 등록하고 촬영 영상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신규 영상 그룹을 등록하고 촬영 영상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하여 위치가 이동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고(S1), 해당 영상을 촬영할 때의 위치를 측정한다(S2).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영상 등록을 위한 요청을 수신한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영상의 촬영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한다(S3).
단계(S3)에서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표시된 지도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영상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가 표시되도록,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촬영 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영상 그룹을 선택받는다(S4).
또한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촬영 영상과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5).
그리고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단계(S4)에서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촬영 영상을 해당 등록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저장한다(S6).
이후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영상을 제공받고자 하는 표시 단말기로부터, 단계(S4)에서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영상을 요청받아, 단계(S6)에서 저장한 촬영 영상을 제공한다(S7).
한편 단계(S7)에서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단계(S4)에서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의 식별 정보가 표시 단말기에서 실행된 지도 앱상에 표시되도록 하는데, 이때 해당 등록 영상 그룹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해당 등록 영상 그룹의 식별 정보가 표시되도록 해당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고, 표시 단말기로부터 해당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해 선택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해당 등록 영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고, 표시 단말기로부터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영상에 대해 선택받아, 해당 촬영 영상을 표시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한 위치와 인접한 영상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에서 신규 영상 그룹의 생성을 요청하여 촬영 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방안을 나타낸다.
이 경우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기존에 등록된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는다(S41).
그리고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해당 다른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여(S42), 일정 요청 횟수 이상의 등록 요청이 있었는지 확인한다(S43).
단계(S43)에서의 확인 결과 해당 다른 위치에 대한 일정 요청 횟수 이상의 신규 영상 그룹 등록 요청이 있었던 경우,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신규 영상 그룹을 생성하여 등록하고(S44),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영상을 단계(S44)에서 생성한 신규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저장한다(S45).
반대로 단계(S43)에서의 확인 결과 해당 다른 위치에 대한 일정 요청 횟수 이상의 신규 영상 그룹 등록 요청이 없었던 경우라면,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을 거절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영상을 저장하지 않는다(S46).
별개로 도 8에 도시된 바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영상 등록을 위해 선택한 영상 그룹의 위치와 촬영 영상의 위치가 인접하지 않은 경우, 모바일 단말기로 신규 영상 그룹의 생성을 원하는지 문의하여 촬영 영상을 등록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방안을 나타낸다.
이 경우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촬영 위치 정보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영상 등록을 위해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S61),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한다(S62).
단계(S62)에서의 확인 결과 영상 촬영 위치와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에 촬영 영상을 등록하여 저장하며(S63), 이러한 과정은 도 6의 단계(S6) 내지 단계(S7)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다.
반면 단계(S62)에서의 확인 결과 영상 촬영 위치와 선택된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라면,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한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여(S64), 일정 요청 횟수 이상의 등록 요청이 있었는지 확인한다(S65).
단계(S65)에서의 확인 결과 영상 촬영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일정 요청 횟수 이상의 신규 영상 그룹 등록 요청이 있었던 경우,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로 영상을 촬영한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여부를 문의한다(S66).
단계(S66)에서의 문의 결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을 받은 경우(S67),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해당 신규 영상 그룹을 생성하여 등록하고(S68),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영상을 단계(S68)에서 생성한 신규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저장한다(S63).
반대로 단계(S65)에서의 확인 결과 영상의 촬영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일정 요청 횟수 이상의 신규 영상 그룹 이력이 없었던 경우이거나, 단계(S67)에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 요청을 받지 못한 경우라면,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을 거절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영상을 저장하지 않는다(S6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0: 영상 정보 제공 장치
11: 통신부
12: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
13: 영상 정보 저장부
14: 제어부
20: 모바일 단말기
30: 표시 단말기
40: 통신망
100: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Claims (11)

  1.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을 촬영할 때의 위치를 측정하며 촬영 영상과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영상의 촬영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영상 그룹을 선택받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과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저장하며,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영상을 요청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정보 제공 장치;
    를 포함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2.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영상의 촬영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저장한 영상 정보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촬영 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영상 그룹을 선택받으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과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상기 영상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영상을 요청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에 따라 지도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고, 상기 다른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고 일정 요청 횟수 이상임을 확인하여 신규 영상 그룹의 정보를 상기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에 저장해 등록하며, 상기 촬영 영상을 신규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상기 영상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여 일정 요청 횟수 이상임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 등록 여부를 문의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아 신규 영상 그룹의 정보를 상기 영상 그룹 정보 저장부에 저장해 등록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신규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상기 영상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 영상 그룹의 식별 정보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 단말기로부터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해 선택받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해 선택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장치.
  7.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영상의 촬영 위치를 기반으로 그룹핑되는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촬영 영상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 영상 그룹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과 영상을 촬영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영상을 요청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에 따라 지도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다른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고 일정 요청 횟수 이상임을 확인하여 신규 영상 그룹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촬영 영상을 신규 영상 그룹에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와 일정 거리 내의 위치에 대한 신규 영상 그룹의 등록 요청 이력을 확인하여 일정 요청 횟수 이상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 등록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을 촬영한 위치의 신규 영상 그룹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아 신규 영상 그룹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촬영 영상을 신규 영상 그룹에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의 식별 정보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표시 단말기로부터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대해 선택받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등록 영상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표시 단말기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해 선택받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촬영 영상을 상기 표시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방법.
KR1020170085595A 2017-07-05 2017-07-05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90005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595A KR20190005053A (ko) 2017-07-05 2017-07-05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595A KR20190005053A (ko) 2017-07-05 2017-07-05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053A true KR20190005053A (ko) 2019-01-15

Family

ID=6503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595A KR20190005053A (ko) 2017-07-05 2017-07-05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50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77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ptured content
US8160607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method, and server for sharing contents
JP2009239397A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909194B1 (ko)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735348B (zh) 双摄像头拍照方法和系统
JP2013223235A (ja) 無線通信装置、メモリ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67453B2 (ja) データ送信方法、送信先決定装置及び撮影端末
KR2012001717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오 태깅 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876837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image
KR20140066547A (ko)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729206B1 (ko) 이미지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2013021399A (ja) 撮影依頼装置、撮影依頼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34333A (ja) デジタル写真共有システム装置
KR100853379B1 (ko) 위치기반 이미지 파일 변환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서버
JP2014199969A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用プログラム、サーバ、及び画像取得システム
KR20190005053A (ko) 촬영 위치 기반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7225016B2 (ja) Ar空間画像投影システム、ar空間画像投影方法及びユーザ端末
JP6600450B2 (ja) 場所情報指定装置、場所情報指定方法及び場所情報指定プログラム
KR102097199B1 (ko) 위치 기반 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635169B1 (ko) 모바일 단말 상에서 위치 정보를 활용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0191A (ko) 단말기에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CN107241437B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1763938B1 (ko) 위치정보 기반의 영상데이터의 처리 방법 및 장치
JP5469468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画像データ共有システム
JP201603868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