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547A -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547A
KR20140066547A KR1020120133926A KR20120133926A KR20140066547A KR 20140066547 A KR20140066547 A KR 20140066547A KR 1020120133926 A KR1020120133926 A KR 1020120133926A KR 20120133926 A KR20120133926 A KR 20120133926A KR 20140066547 A KR20140066547 A KR 20140066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image information
loc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676B1 (ko
Inventor
김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이온
Priority to KR1020120133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6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6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 컴퓨터에서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토대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서버 컴퓨터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 컴퓨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 확인한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방문중인 촬영지나 관광지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은 물론,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에게 방문의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nt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위치한 특정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을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인터넷 사용환경과 인터넷을 통한 사업의 범위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간편한 일 예로서,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직접 판매점을 방문하거나 TV, 카탈로그 등을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를 미리 습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면서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서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상품에 대한 자료를 보고, 그 중에서 원하는 것을 주문하거나 예약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음성 통화를 수행하지 않고도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실시간 대화를 수행하거나, 텔레비전 방송, 위성 방송, VOD(Video On Demand)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컨텐츠 산업은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지식기반 핵심산업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시장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육성 지원을 하고 있는 분야이다.
하지만, 현재의 컨텐츠 사업은 방송의 다각화, 개방화, 다양화 등으로 인한 환경이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웹사이트, 모바일, TV 등 개별 단말기 환경에 따라 컨텐츠 이용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컨텐츠 생산, 소비에 대한 관리와 유통이 효율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통신 단말기와 영화, 드라마, 문화재, 관광 등에 관련된 각종 컨텐츠를 결합하여 컨텐츠의 효율적인 생산, 관리, 소비에 대한 사업의 활성화 및 다각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현재 각종 영화나 드라마 촬영지가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들의 관심 대상으로 급부상하고 있고, 촬영지 방문 등을 토대로 한 각종 관광상품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지만, 일반적인 문화재 탐방이나 관광지 방문 등과 같이 안내 표지판, 사진 등을 활용한 단순한 상품 개발에 그치고 있을 뿐, 촬영지를 방문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영화나 드라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마치 촬영중인 현장에 있는 듯이 생생하게 전달하는 등의 촬영지와 컨텐츠를 결합한 사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8644호 2011. 7. 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3358호 2012. 8. 6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을 서버 운영자로부터 전송받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운영자로부터 임대형식 등으로 제공받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를 토대로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은, (1) 서버 컴퓨터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와, (2) 사용자 단말기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토대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3) 서버 컴퓨터는, (2) 단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1) 단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한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4) 사용자 단말기는, (3) 단계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은, (a)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토대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사용자 단말기는, (a) 단계를 통해 확인한 현재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c) 사용자 단말기는, (b) 단계에서 확인한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장치는,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위치기반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과,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토대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며, 확인한 영상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하고,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 등과 같은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실제 촬영된 영상, 메이킹 필름 영상, 계절별 영상 등을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문중인 촬영지, 관광지 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들에게 방문의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사용자들이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실제 촬영된 영상을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확인할 때 영상 이외에 드라마나 영화에 대한 정보, 관광 정보 등을 다양한 외국어를 통해 음성 및 문자로 함께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촬영지나 관광지에 대한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서버 컴퓨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망(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 서버 컴퓨터(300) 등으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통신망(100)은 유/무선 인터넷 등의 각종 통신망으로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서버 컴퓨터(300) 사이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위치기반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 통신기기로서,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토대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때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은 파노라마 장비 등으로 촬영한 영상으로서,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인 경우에는 해당 지점에서의 실제 촬영 영상 및 메이킹 필름 영상이 될 수 있으며, 관광지인 경우에는 해당 지점에서 바라본 계절별 촬영 영상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인 경우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이며, 관광지인 경우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받아 재생하는 영상정보는, 드라마나 영화에 대한 자료, 관광 자료를 포함한 정보를 외국어로 변환한 음성 또는 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 컴퓨터(300)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고,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며, 확인한 영상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와 서버 컴퓨터(3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토대로 영상정보를 확인하는 방식과 달리, 사용자 단말기(200) 만으로 영상정보를 확인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하며,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에게 임대형식 등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며, 확인된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
도 2는 상술한 도 1의 사용자 단말기(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는, GPS부(210), 센서부(220), 위치 확인부(230), 통신부(240), 표시부(250), 제어부(260), 저장부(270) 등으로 구성된다.
GPS부(210)는 GPS 위성을 통해 위도, 경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를 위치 확인부(230)로 출력한다.
센서부(220)는 관성센서, 가속도센서, 방위센서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 확인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이동에 따른 데이터를 측정하며, 측정 데이터를 위치 확인부(230)로 출력한다.
위치 확인부(230)는 GPS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위도, 경도 정보를 토대로 현재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센서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한다.
통신부(240)는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와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하며,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매칭결과에 따른 영상정보를 전송받는다.
표시부(25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40)를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재생한다.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토대로 위치 확인부(230)를 통해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의 확인을 제어하고, 위치 확인부(230)에서 확인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통신부(240)를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통신부(240)를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표시부(250)를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저장부(270)는 공지의 메모리 카드나 내장형 메모리로서,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에게 해당 지역의 운영자가 임대형식 등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할 때 사용되며,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270)에 저장된 영상정보는 수시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드라마나 영화에 대한 자료, 관광 자료를 포함한 정보를 외국어로 변환한 음성 또는 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도 1의 서버 컴퓨터(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컴퓨터(300)는, 통신부(310), 데이터 매칭부(320), 데이터베이스(330), 제어부(340)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전송받으며, 사용자 단말기(200)로 매칭결과에 따른 영상정보를 전송한다.
데이터 매칭부(32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데이터베이스(330)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340)는 특정 지역에서의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데이터 매칭부(320)에서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의 매칭을 제어하며, 매칭결과에 따른 영상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의 각 실시예를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도 4는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가 본인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을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받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이다.
서버 컴퓨터(300)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서비스를 시작한다(S110).
위치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를 판단한다(S120).
판단결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GPS 좌표 및 센서로 측정한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하고(S130), 확인된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전송한다(S140).
그러면 서버 컴퓨터(300)는 S140 단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S110 단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영상정보의 매칭을 수행한다(S150).
그리고 매칭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정보와 일치하는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60).
판단결과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면, 서버 컴퓨터(300)는 해당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S170), 사용자 단말기(200)는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S180).
이때 S180 단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전송받아 재생하는 영상정보는, 드라마나 영화에 대한 자료, 관광 자료를 포함한 정보를 외국어로 변환한 음성 또는 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S160 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서버 컴퓨터(300)는 일치하는 영상정보가 없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 및 위치이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90).
그리고 상술한 각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촬영지나 관광지의 특정 위치를 벗어날 때까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S130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편, 도 5는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와는 달리,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운영자로부터 임대형식 등으로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직접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를 토대로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이다.
촬영지, 관광지 등의 지역에서 위치기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자 측에서,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에게 제공될 사용자 단말기(200)에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저장한다(S210).
이때 S210 단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되는 영상정보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로서, 영상정보의 변경에 따라 수시로 업데이트 가능하며, 드라마나 영화에 대한 자료, 관광 자료를 포함한 정보를 외국어로 변환한 음성 또는 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운영자 측에서는 촬영지, 관광지를 방문한 사용자에게 S210 단계를 통해 영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임대형식 등으로 제공한다(S220).
위치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를 판단한다(S230).
판단결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GPS 좌표 및 센서로 측정한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하고(S240), 확인된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와 S210 단계를 통해 저장한 영상정보의 매칭을 수행한다(S250).
그리고 매칭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정보와 일치하는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60).
판단결과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해당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S270).
그러나, S260 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일치하는 영상정보가 없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 및 위치이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280).
그리고 상술한 각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촬영지나 관광지의 특정 위치를 벗어날 때까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S230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네트워크 통신망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GPS부 220 : 센서부
230 : 위치 확인부 240 : 통신부
250 : 표시부 260 : 제어부
270 : 저장부 300 : 서버 컴퓨터
310 : 통신부 320 : 데이터 매칭부
330 : 데이터베이스 340 : 제어부

Claims (9)

  1. (1) 서버 컴퓨터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2) 사용자 단말기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토대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2)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상기 (1) 단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4)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3) 단계를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아 재생하는 영상정보는,
    드라마나 영화에 대한 자료, 관광 자료를 포함한 정보를 외국어로 변환한 음성 또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3. (a)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토대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a) 단계를 통해 확인한 현재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b) 단계에서 확인한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영상정보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로서, 수시로 업데이트 가능하며, 드라마나 영화에 대한 자료, 관광 자료를 포함한 정보를 외국어로 변환한 음성 또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5.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위치기반 컨텐츠에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토대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며, 확인한 영상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
    를 포함하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GPS 위성을 통해 위도, 경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관성센서, 가속도센서, 방위센서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 확인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GPS부로부터 입력되는 위도, 경도 정보를 토대로 현재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와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매칭결과에 따른 영상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재생하는 표시부, 그리고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토대로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의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의 확인,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한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의 상기 서버 컴퓨터로의 전송,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매칭결과에 따른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데이터 매칭부,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특정 지역에서의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상기 데이터 매칭부에서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의 매칭, 매칭결과에 따른 영상정보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아 재생하는 영상정보는,
    드라마나 영화에 대한 자료, 관광 자료를 포함한 정보를 외국어로 변환한 음성 또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에서 각 촬영대상을 중심으로 외부의 360도 방향에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하거나 또는 외부의 촬영대상을 360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하고, 영화나 드라마의 촬영지, 관광지를 포함한 특정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 및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정보를 확인한 후 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상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장치.
KR1020120133926A 2012-11-23 2012-11-23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54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926A KR101546676B1 (ko) 2012-11-23 2012-11-23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926A KR101546676B1 (ko) 2012-11-23 2012-11-23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547A true KR20140066547A (ko) 2014-06-02
KR101546676B1 KR101546676B1 (ko) 2015-08-25

Family

ID=5112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926A KR101546676B1 (ko) 2012-11-23 2012-11-23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6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2638A (zh) * 2016-04-19 2016-08-1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地理位置推送视频的方法、推送装置及其服务器
KR101671856B1 (ko) * 2015-07-14 2016-11-03 곽상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192424A1 (zh) * 2018-04-03 2019-10-1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短视频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279A2 (ko) 2019-10-09 2021-04-15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지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베이스
KR102234723B1 (ko) 2019-10-09 2021-04-01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지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베이스
KR102344087B1 (ko) 2020-02-20 2021-12-29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디지털 지도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
WO2021167422A1 (ko) 2020-02-20 2021-08-26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디지털 지도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856B1 (ko) * 2015-07-14 2016-11-03 곽상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872638A (zh) * 2016-04-19 2016-08-1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地理位置推送视频的方法、推送装置及其服务器
WO2017181616A1 (zh) * 2016-04-19 2017-10-26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地理位置推送视频的方法、推送装置及其服务器
WO2019192424A1 (zh) * 2018-04-03 2019-10-1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短视频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676B1 (ko)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676B1 (ko) 위치기반의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
US104396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US9654942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transmitt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US201202267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edia based on social network in communication system
CN105580013A (zh) 通过搜索多个用户评论并将其覆盖到内容中来浏览视频
US200900117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neighboring device
US20140298382A1 (en) Ser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ugmented reality object
US9438340B2 (en) Communication method
KR20130079897A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컨텐츠 공유 단말
KR100947336B1 (ko) 키워드 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11335A (ko) 휴대단말기의 지리정보 앵커태그 장치 및 방법
RU2673560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мультимедийной информации, стандартизированный сервер и терминал прямой трансляции
CN104010206B (zh) 基于地理位置的虚拟现实视频播放的方法和系统
WO2015056969A4 (ko) 하이브리드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라이브 방송을 제공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JP6242011B2 (ja) 任意の領域を撮影している撮影側端末を特定する映像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246224A (zh) 一种视频直播方法及视频直播系统
KR101784095B1 (ko)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CN106375803B (zh) 直播信息的处理方法、处理装置及处理系统
JP2020057329A (ja) ガイドシステム
JP5578719B2 (ja) 情報システム、端末装置、広告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21814A (ko) 방송 영상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5117566A (ja) 画像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50050909A (ko) 촬영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촬영 단말기와 통신하는 그룹 영상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N104580299A (zh) 信息产生与分享方法及其相关装置
US201300071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istic remote exploration service based on open social network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