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970A -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970A
KR20110094970A KR1020100014731A KR20100014731A KR20110094970A KR 20110094970 A KR20110094970 A KR 20110094970A KR 1020100014731 A KR1020100014731 A KR 1020100014731A KR 20100014731 A KR20100014731 A KR 20100014731A KR 20110094970 A KR20110094970 A KR 20110094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additional information
content
list
recomme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중
이상권
최혁승
신성국
한세준
유희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970A/ko
Priority to US12/880,810 priority patent/US20110202582A1/en
Publication of KR2011009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컨텐츠 ID(Identifier)에 의해 식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촬영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장치 ID, 컨텐츠 ID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고, 태그 제공 서버로부터 추천 태그 리스트를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ag of multimedia conten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그 제공 서버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모바일 장치에게 제공하고,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갱신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태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태깅(Mobile tagging) 방식이 있다. 모바일 태깅 방식에서, 사용자는 촬영한 이미지를 참고하여 백과사전이나 인터넷을 검색하거나 장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사용하여 촬영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된다. 사용자는 키패드 등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태그로 입력함으로써 이미지와 태그를 관리한다.
또 다른 방식인 지오 태깅(Geotagging) 방식에서는 카메라 장치에 부착된 GPS 장치를 통해 획득한 GPS 좌표 정보를 태그로 활용한다. GPS 정보는 EXIF (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속성으로 이미지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인 컨텐츠 파싱 방식에서는 컨텐츠를 파싱해서 획득한 정보를 태그로 활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그 제공 서버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모바일 장치에게 제공하고,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갱신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의 태그 관리 방법은 컨텐츠 ID(Identifier)에 의해 식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제공 서버로부터 추천 태그 리스트를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가 정보는 촬영 시각, 위치 정보, 화각, 초점거리, 방향, 고도, 가속도, 기울기 및 POI(Point Of Interest) 지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입력에 기초하거나 소정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거나,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태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태그 또는 상기 입력된 태그, 상기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를 상기 태그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태그 또는 상기 입력된 태그, 상기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DB(Database)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 제공 서버의 태그 관리 방법은 장치 ID,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컨텐츠 ID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저장된 부가 정보와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ID, 상기 부가 정보 및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상기 부가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태그 또는 입력된 태그를 포함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태그 또는 입력된 태그를 이용하여 저장된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는 컨텐츠 ID(Identifier)에 의해 식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부가 정보 획득부;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 송신부; 및 상기 태그 제공 서버로부터 추천 태그 리스트를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 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 제공 서버는 장치 ID,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컨텐츠 ID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 수신부;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 태그 리스트 생성부;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에게 전송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부가 정보 중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부가 정보 중 POI 지도 정보, 방향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태그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제공 서버의 태그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제공 서버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 상에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부가 정보 중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GPS 정보와 같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310, 600)를 이용하여 샤이오 궁전에서 에펠탑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위치 정보 제공부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ex. GPS 좌표)가 자동으로 등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태그를 입력할 필요가 없고, 다른 사용자들과 위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위치 정보 제공부가 모바일 장치(310, 600)에 포함된 경우, 위치 정보 제공부는 피사체인 에펠탑의 위치가 아닌 모바일 장치(310, 600)의 위치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부가 정보를 활용하지 않는 경우, 태그를 통해 촬영된 사진에 대한 정보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도 2는 부가 정보 중 POI 지도 정보, 방향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예시도이다.
모바일 장치(310, 600)는 촬영부(610) 및 부가 정보 획득부(620)를 포함하고, 부가 정보 획득부(620)는 위치정보 제공부(미도시), 방향정보 제공부(미도시), 고도정보 제공부(미도시) 및 가속도 센서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310, 60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 시각, 화각 및 초점거리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310, 600)는 위치정보 제공부로부터 GPS 정보와 같은 위치 정보 및 POI 지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방향정보 제공부로부터 방향을, 고도정보 제공부로부터 고도를 획득할 수 있다. 방향정보 제공부는 나침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고도정보 제공부는 고도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310, 600)는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가속도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위치정보 제공부로부터 획득된 지도 및 POI 지도 정보와 방향정보 제공부로부터 획득된 방향이 부가정보로서 활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고유한 장치 ID에 의해 식별되는 모바일 장치(310, 6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촬영한다. 모바일 장치(310, 6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ID를 생성한다. 모바일 장치(310, 600)가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시간 흐름에 따라 동일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여러 개의 컨텐츠 ID들을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310, 6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한다.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310, 600)는 촬영 시각, 위치 정보, 화각, 초점거리, 방향, 고도, 가속도, 기울기 및 POI 지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310, 600)는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320, 700)에게 전송한다(340).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수신된 부가 정보 등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기존에 저장된 부가 정보와 수신된 부가 정보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한다.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컨텐츠 ID, 부가 정보 및 추천 태그 리스트 등을 저장한다.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태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추천 태그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310, 600)에게 전송한다(350).
모바일 장치(310, 600)는 외부입력에 기초하거나 소정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추천 태그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310, 600)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태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모바일 장치(310, 600)는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 및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320, 700)에게 전송한다. 태그 갱신 메시지를 수신한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를 이용하여, 저장된 추천 태그 리스트 등을 갱신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310, 600)의 태그 제공 서버(320, 700)로의 태그 요청 메시지 전송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촬영 시에 수행되거나,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련 정보 및 부가 정보 등을 저장한 후,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추후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310, 600)는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컨텐츠 DB(Database) 서버(330)에게 전송할 수 있다(360).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310, 600)에서 생성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련 부가 정보를 태그 제공 서버(320, 700)로 전송하고,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태그 제공 서버로부터 태그를 추천받을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태그를 선택하는 간단한 조작만을 함으로써,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태그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태그 입력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태그를 태그 제공 서버(320, 700) 내에 축적시킴으로써, 태그의 정확도가 높아지게 되고, 태그 제공 서버(320, 700)가 다음 사용자에게 더 정확한 태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부가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기존 GPS 정보 만으로는 제공하기 어려운 다양한 위치 기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시나리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와 태그 관리가 태그 제공 서버(320)와 컨텐츠 DB 서버(330)에서 각각 분리되어 수행될 수 있으므로, 태그 제공 서버(320)에게 동일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태그를 요청하는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태그를 추출할 수 있게 되어, 애플리케이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태그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태그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410에서, 고유한 장치 ID에 의해 식별되는 모바일 장치(310, 6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촬영한다. 모바일 장치(310, 6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ID를 생성한다.
단계 420에서, 모바일 장치(310, 6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430에서, 모바일 장치(310, 600)는 장치 ID, 컨텐츠 ID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320, 700)에게 전송한다. 모바일 장치(310, 600)의 태그 제공 서버(320, 700)로의 태그 요청 메시지 전송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촬영 시에 수행되거나, 멀티미디어 컨텐츠, 컨텐츠 ID 및 부가 정보 등을 저장한 후,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추후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440에서, 모바일 장치(310, 600)는 태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추천 태그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320, 700)로부터 수신한다.
모바일 장치(310, 600)는 외부입력에 기초하거나 소정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추천 태그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310, 600)는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태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모바일 장치(310, 600)는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 부가 정보, 장치 ID 및 컨텐츠 ID를 포함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320, 700)에게 전송하여, 태그 제공 서버(320, 700)로 하여금 저장된 추천 태그 리스트를 갱신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제공 서버의 태그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장치 ID, 컨텐츠 ID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310, 600)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520에서,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수신된 부가 정보 등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한다.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기존에 저장된 부가 정보와 수신된 부가 정보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한다.
단계 530에서,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태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추천 태그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310, 600)에게 전송한다(350).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모바일 장치(310, 600)로부터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 부가 정보, 장치 ID 및 컨텐츠 ID를 포함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 등을 이용하여, 저장된 추천 태그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모바일 장치(310, 600)는 촬영부(610), 부가 정보 획득부(620), 태그 요청 메시지 송신부(630) 및 태그 응답 메시지 수신부(640)를 포함한다.
촬영부(610)는 컨텐츠 ID에 의해 식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촬영한다.
부가 정보 획득부(6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한다. 부가 정보 획득부(620)는 위치정보 제공부(미도시), 방향정보 제공부(미도시), 고도정보 제공부(미도시) 및 가속도 센서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부가 정보 획득부(620)는 촬영 시각, 위치 정보, 화각, 초점거리, 방향, 고도, 가속도, 기울기 및 POI(Point Of Interest) 지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가 정보 획득부(620)는 촬영부를 통해 촬영 시각, 화각 및 초점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 획득부(620)는 위치정보 제공부를 통해 GPS 정보와 같은 위치 정보, POI 지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방향정보 제공부를 통해 방향을, 고도정보 제공부를 통해 고도를 획득할 수 있다. 방향정보 제공부는 나침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고도정보 제공부는 고도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 획득부(620)는 가속도 센서부를 통해 가속도 및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태그 요청 메시지 송신부(630)는 장치 ID, 컨텐츠 ID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320, 700)에게 전송한다.
태그 요청 메시지 송신부(63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촬영한 후 태그 요청 메시지 송신을 수행하거나,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부가 정보 등을 저장한 후,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추후 메시지 송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태그 응답 메시지 수신부(640)는 태그 제공 서버(320, 700)로부터 추천 태그 리스트를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한편, 모바일 장치(310, 600)는 태그 결정부(미도시), 태그 갱신 메시지 전송부(미도시), 저장부(미도시) 및 컨텐츠 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태그 결정부는 외부입력에 기초하거나 소정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추천 태그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거나,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태그를 입력받는다.
태그 갱신 메시지 전송부는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 장치 ID, 컨텐츠 ID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320, 700)에게 전송한다.
저장부는 컨텐츠 ID 및 부가 정보 등을 저장한다.
컨텐츠 전송부는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 장치 ID, 컨텐츠 ID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DB 서버(330)에게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제공 서버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태그 요청 메시지 수신부(710), 추천 태그 리스트 생성부(720) 및 태그 응답 메시지 전송부(730)를 포함한다.
태그 요청 메시지 수신부(710)는 장치 ID,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컨텐츠 ID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310, 600)로부터 수신한다.
추천 태그 리스트 생성부(720)는 수신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한다. 추천 태그 리스트 생성부(720)는 저장된 부가 정보와 수신된 부가 정보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한다.
태그 응답 메시지 전송부(730)는 추천 태그 리스트를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310, 600)에게 전송한다.
태그 제공 서버(320, 700)는 저장부(미도시), 태그 갱신 메시지 수신부(미도시) 및 갱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컨텐츠 ID, 부가 정보 및 추천 태그 리스트를 저장한다.
태그 갱신 메시지 수신부는 장치 ID, 컨텐츠 ID, 부가 정보 및 모바일 장치(310, 600)에서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를 포함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310, 600)로부터 수신한다.
갱신부는 모바일 장치(310, 600)에서 선택 또는 입력된 태그를 이용하여, 저장된 추천 태그 리스트를 갱신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600) 및 태그 제공서버(700)는 도 6 및 도 7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 각각의 유닛들에 커플링된 버스, 상기 버스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 수신된 메시지 또는 생성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버스에 커플링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600... 모바일 장치
610... 촬영부
620... 부가 정보 획득부
630... 태그 요청 메시지 송신부
640... 태그 응답 메시지 수신부

Claims (23)

  1. 컨텐츠 ID(Identifier)에 의해 식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제공 서버로부터 추천 태그 리스트를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태그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촬영 시각, 위치 정보, 화각, 초점거리, 방향, 고도, 가속도, 기울기 및 POI(Point Of Interest) 지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태그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입력에 기초하거나 소정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거나,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태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태그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태그 또는 상기 입력된 태그, 상기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를 상기 태그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태그 관리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태그 또는 상기 입력된 태그, 상기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DB(Database)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태그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태그 관리 방법.
  7. 장치 ID,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컨텐츠 ID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제공 서버의 태그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저장된 부가 정보와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제공 서버의 태그 관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ID, 상기 부가 정보 및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제공 서버의 태그 관리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상기 부가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태그 또는 입력된 태그를 포함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제공 서버의 태그 관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태그 또는 입력된 태그를 이용하여 저장된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제공 서버의 태그 관리 방법.
  12. 컨텐츠 ID(Identifier)에 의해 식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부가 정보 획득부;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태그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 송신부; 및
    상기 태그 제공 서버로부터 추천 태그 리스트를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촬영 시각, 위치 정보, 화각, 초점거리, 방향, 고도, 가속도, 기울기 및 POI(Point Of Interest) 지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외부입력에 기초하거나 소정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거나,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태그를 입력받는 태그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태그 또는 상기 입력된 태그, 상기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를 상기 태그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태그 또는 상기 입력된 태그, 상기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DB(Database) 서버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8. 장치 ID,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컨텐츠 ID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태그 요청 메시지 수신부;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 태그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포함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에게 전송하는 태그 응답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제공 서버.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 생성부는
    저장된 부가 정보와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제공 서버.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ID, 상기 부가 정보 및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제공 서버.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ID, 상기 컨텐츠 ID, 상기 부가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태그 또는 입력된 태그를 포함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태그 갱신 메시지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제공 서버.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태그 또는 입력된 태그를 이용하여 저장된 상기 추천 태그 리스트를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제공 서버.
  23.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014731A 2010-02-18 2010-02-18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10094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31A KR20110094970A (ko) 2010-02-18 2010-02-18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장치
US12/880,810 US20110202582A1 (en) 2010-02-18 2010-09-1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ag of multimedia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31A KR20110094970A (ko) 2010-02-18 2010-02-18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970A true KR20110094970A (ko) 2011-08-24

Family

ID=4437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731A KR20110094970A (ko) 2010-02-18 2010-02-18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202582A1 (ko)
KR (1) KR201100949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448A1 (en) * 2015-06-30 2017-01-0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Tagged content distribu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8245B2 (en) * 2010-08-09 2013-05-07 Mskynet Inc. Remote application invo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919008B1 (ko) * 2012-02-24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9171015B2 (en) * 2012-09-14 2015-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haring asserted media
CN113505259A (zh) * 2021-06-28 2021-10-15 惠州Tcl云创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识别的媒体文件标签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2746B2 (en) * 2005-11-18 2010-10-26 Qurio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tagging images based on positional information
US20110145258A1 (en) * 2009-12-11 2011-06-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agging media i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448A1 (en) * 2015-06-30 2017-01-0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Tagged content distrib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02582A1 (en)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9489B2 (en) View of a physical space augmented with social media content originating from a geo-location of the physical space
JP5965708B2 (ja) 無線通信装置、メモリ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20120317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RU2007112676A (ru) Способ добавления географических названий к изображениям на мобильном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м терминале
US201101849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KR100649040B1 (ko) 화상 데이터 관리·열람 방법
EP29819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location information and/or camera pose information according to a global coordinate system
CN103685960A (zh) 一种匹配位置信息的图像处理方法及其系统
US9600932B2 (en) Three dimensional navigation among photos
US20130329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image data
JP6301779B2 (ja) センサ制御装置、センサ制御方法およびセンサ制御プログラム
KR20110094970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태그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0272054A (ja) 建築物関連情報提供装置、建築物関連情報提供方法および建築物関連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10129032A (ja) 画像検索装置および画像検索プログラム
US99777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853379B1 (ko) 위치기반 이미지 파일 변환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서버
JP2011095867A (ja) 見所スポット配信方法および装置
KR101461590B1 (ko) 위치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JP2013214158A (ja) 表示画像検索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64071A (ja) 情報システム、端末装置、広告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46940B2 (ja) 方位推定装置、撮影・地図表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64677A (ko) 위치 및 방향 정보에 기반한 지도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서비스 방법
JP2008242682A (ja) メタ情報自動付与システム、メタ情報自動付与方法、及びメタ情報自動付与プログラム
JP2012083942A (ja) 情報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Webページ検索方法
JP2006178804A (ja) 被写体オブジェクト情報提供方法および被写体オブジェクト情報提供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