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671A -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671A
KR20090046671A KR1020080041213A KR20080041213A KR20090046671A KR 20090046671 A KR20090046671 A KR 20090046671A KR 1020080041213 A KR1020080041213 A KR 1020080041213A KR 20080041213 A KR20080041213 A KR 20080041213A KR 20090046671 A KR20090046671 A KR 20090046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top
signal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017B1 (ko
Inventor
최창현
Original Assignee
최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현 filed Critical 최창현
Publication of KR2009004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정차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버스정류장에서 승차 대기자가 타고자 하는 버스의 승차위치를 미리 알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정해진 시스템을 통해 질서있는 버스 정차 및 승객의 승하차가 가능하므로 버스승차를 위해 발생되는 버스 정류장내 혼잡을 방지함과 동시에 교통사고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버스 정차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버스 운전자가 정류장 내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특정 신호를 통해 여부를 미리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승하차 인원이 없는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정차하여 발생되는 교통혼잡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 정차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마다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각 차량의 송신신호를 받아 각 해당 정차위치를 판단하여 안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강장에서 버스의 출발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에 보내는 출발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SYSTEM FOR GUIDING STOP OF BUS}
본 발명은 버스 승강장에서 버스의 정차위치를 미리 승객에게 안내하는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승강장에서 탑승 대기자들이 미리 해당 버스의 정차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승강장내 혼잡 및 교통사고를 방지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승하차 대기자의 유무를 미리 알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정차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환승역 주변과 같이 교통흐름이 밀집된 곳의 버스정류장은 일반 버스정류장에 비해 많은 버스가 정차되고 더불어 한정된 정류장 공간에 많은 승객이 대기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버스정류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버스 정차방식은 교통이 혼잡할 경우 운전자의 마음대로 정차위치를 정하기 때문에 승객이 버스의 정차위치를 미리 알 수 없으므로 버스의 정차위치에 따라 이동할 수밖에 없어 이러한 혼잡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굉장히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버스정류장에 각 노선버스마다 정해진 정차위치를 지정하여 해당 위치에만 정차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실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현실 사정은 정류장 주변 교통이 번잡한 상태에서 앞에 정차된 버스 앞에 정차해야 할 경우 운전자는 기다리지 못하고 타 정차위치에 정차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오히려 승객들의 불편이 큰 실정이다.
이 외에 최근 실시되고 있는 중앙차로제 정류장에서는 버스 정차칸을 4~5개 일렬로 나누되, 특정 버스의 전용정차위치를 지정하지 않고 단순히 먼저 들어오는 버스가 제일 앞에 위치하고 그 뒤에 순차적으로 정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승객들은 자신이 타고자 하는 버스가 어느 정차칸에 정차하게 될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아무 곳에서 기다리다가 버스가 정차한 정차칸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어 일반 버스정류장과 같은 혼잡이 야기되고 있다.
더구나 중앙차로제 버스정류장은 일반버스정류장에 비해 공간이 협소하고 도로 한가운데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혼잡에 의해 교통사고 발생위험이 높을 수밖에 없다.
또한 일반정류장에서 기존에는 하차인원이 없더라도 승차인원유무 여부를 알 수 없어 무조건 정차한 후 다시 출발하기 때문에 교통혼잡 가중의 원인이 되고 정차 및 출발 시 불필요하게 연료가 더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각 버스마다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시키고 정류장에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특정 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해당 버스가 어느 정차칸에 정차할 지를 미리 안내하는 중앙제어부를 구비시킴으로써,
탑승대기자들이 미리 해당 버스의 정차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승강장내 혼잡 및 교통사고를 방지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승차대기자가 있는 버스정차 안내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에 타고자 하는 버스의 번호를 탑승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를 구비시키고 입력된 버스번호가 정류장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버스내에 안내되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가 탑승대기자 유무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정차 방지를 통해 원활한 교통흐름 및 연료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의 일례는 차량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마다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각 차량의 송신신호를 받아 해당 정차위치를 판단하여 표시하는 중앙제어장치와,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강장에서 버스의 출발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에 보내는 출발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각 신호의 특정주파수를 파악해 해당버스번호를 찾아냄과 동시에 출발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위치신호를 받아 해당 정차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결정된 해당버스의 번호 및 정차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부는 타이머 제어를 통해 일정간격을 두고 지속적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출발감지부와 출발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출발송수신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승차대기자가 승차하고자 하는 버스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수단이 더 포함되되, 입력된 버스번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제어장치에는 보조송신부가 구비되고 버스에는 보조수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버스번호의 해당 신호가 보조송신부를 통해 송신되고 보조수신부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의 다른 예는 차량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마다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각 차량의 송신신호를 받아 해당 정차위치를 판단하여 표시하는 중앙제어장치와,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강장에서 버스의 출발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에 보내는 출발감지부를 포함 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각 신호의 특정주파수를 파악해 해당버스번호를 찾아냄과 동시에 출발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위치신호를 받아 해당 정차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결정된 해당버스의 번호 및 정차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다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부가 각각의 버스 정차칸에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정차칸을 알리는 식별번호가 프레임에 표시되고, 상기 식별번호의 측부에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가 배치되어, 상기 제 1 표시부에 도착 예정 버스의 번호가 디스플레이되고, 제 2 표시부에 다음 도착 예정 버스의 번호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예들에서, 상기 출발감지부는 버스의 문틀에 장착되어 하차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이고, 상기 감지센서는 터치센서 또는 근접센서일 수 있으며, 하차 도어가 열렸다 닫히는 것을 감지하여 송신부를 통해 중앙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은
각 버스마다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시키고 정류장에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특정 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비어있는 정차칸을 파악하여 해당 버스가 어느 정차칸에 정차할 지를 미리 안내하는 중앙제어부를 구비시킴으로써,
탑승대기자들이 미리 해당 버스의 정차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승강장내 혼잡 및 교통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에 타고자 하는 버스의 번호를 탑승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를 구비시키고 입력된 버스번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된 번호를 인지하여 탑승대기자 유무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정차 방지를 통해 원활한 교통 흐름 및 연료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크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100)와 중앙제어부(200), 출발감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송신부(100)는 정류장에 버스의 근접여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에 설치되되 각각의 버스마다 각기 다른 특정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각 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중앙제어부가 해당버스번호를 판독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송신부(100)는 일반적인 차량용 무선 리모콘과 유사한 원리 및 구조를 갖는데, 이때 본 발명의 송신부(100)에는 별도의 타이머 기능을 구비시켜 일정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신호를 자동 송신함으로써, 최대한 정류장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하였을 때 중앙제어부(200)와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중앙제어부(200)는 상기 도착예정버스의 송신부(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통해 도착예정 버스번호를 안내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출발감지부(300)를 통해 정류장에서 출발하는 버스 위치를 파악하여 도착예정버스의 정차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수신부(210)와 제어부(220), 디스플레이부(2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중앙제어부(200)의 각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로 제작되는데, 그 중 상기 수신부(210)는 버스의 송신부(100)로부터 송신된 특정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제어부(22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각 차량마다 출력되는 특정 주파수 신호에 대응되도록 다수개 구비되거나, 하나의 수신기를 통해 각 주파수 신호를 통합 수신하는 하나의 통합수신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부(210)의 수신간격은 사전에 송신부(100)의 신호출력 간격과 일치되도록 세팅함으로써, 후술하는 제어부(220)를 통해 버스의 정확한 위치파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버스위치신호와 후술하는 출발감지부(300)를 통해 파악된 비어있는 정차칸 위치를 파악하여 도착예정 버스의 번호 및 정차위치를 얻어내기 위한 것으로, 크게 상호 연동되는 메모리부와 연산부 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에는 해당 정류장을 거치는 버스의 노선 및 번호, 정차칸의 개수 등이 메모리되어 상기 메모리된 데이터와 수신부(210) 및 출발감지부(300) 신호를 접목한 상태에서 연산부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산부는 메모리부를 통해 전달된 메모리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 출발감지부에서 송신된 신호를 통해 해당 버스의 도착 순위 및 정차위치를 산출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중앙제어부(200)를 구성하는 나머지 구성인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와 연결되어 제어부(220)를 통해 산출된 도착 예정 버스 번호와 정차 예정 정차칸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일반 LCD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창 상에 정차칸(231)이 표시되고 각 정차칸 일측에는 정차예정 또는 정차중인 버스의 번호가 표시되는 버스번호표시칸(232)이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는 세븐세그먼트(Seven Segment)나 LED를 촘촘하게 취부한 형태의 도트메트릭(dot matrix) 형태로 표현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통해 lcd창에 표시되는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정차칸을 표시하는 숫자는 변동되지 않으므로 굳이 상기 방식을 통해 표시할 필요 없이 단순히 인쇄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중앙제어부(200)는 도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한 구성 및 기능 외에 DMB모듈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광고나 DMB방송을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출발감지부(300)는 정차칸에 정차되어 있던 버스의 발차 여부를 판단하여 비어있는 정차칸의 개수 및 위치를 상기 중앙제어부(200)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광 송신기(310)와 광 수신기(320), 신호차단기(330) 형태로 구현된다.
이때 상기 광송신기(310)와 광 수신기(32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버스정류장의 정차칸 중 제일 앞에 위치한 정차칸 상에 버스 차선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버스의 정차칸은 일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일 앞의 정차칸 상에만 설치하면 버스의 발차 여부 및 발차대수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출발감지부(300)는 버스가 출발하여 광 송수신부(310)(320) 사이로 지나가면 광센싱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신호차단기(330)는 버스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출발감지부(300)의 형태는 광센서 형태가 아닌 기타 다른 방식의 센싱 방식을 통해 얼마든지 변형 구현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출발감지부(300)는 버스의 문틀에 장착되어 하차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터치센서 또는 근접센서일 수 있으며, 하차 도어가 열렸다 닫히는 것을 감지하여 송신부(100)를 통해 중앙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한다.
즉 버스가 정차한 후 승객들이 승차가 완료되어 출발 전 도어를 닫았을 때 감지센서가 작동하여 중앙제어부로 출발신호를 보내게 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상기 중앙제어부(200)는 제어부(220)에서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버스 출발신호로 인식하고, 소정의 딜레이 시간을 가진 후, 디스플레이부(230) 상의 해당 정차칸에 표시된 버스번호를 삭제하고, 다음 정차할 버스의 노선번호를 상기 해당 정차칸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운행중인 각 버스에 설치된 송신부(100)에서 일정간격마다 정기적으로 해당 송신부(100)만의 특정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출력된다.
운행 버스가 정류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범위 내에 들어오면 정류장 중앙제어부(200)의 수신부(210)가 상기 송신부(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220)로 전달된다.
이때, 출발감지부(300)의 광 송수신부(310)(320)를 통해 감지된 버스의 발차여부신호가 제어부(220)로 전달되는데, 예를 들어 총 4칸의 정차칸에 모두 정차되어 있던 버스 중 앞의 두 대가 발차하면 광 송수신부(310)(320)가 각 버스의 출발을 감지함과 동시에, 신호차단기(330)를 통해 출발버스의 송출신호를 차단한다.
따라서, 송출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지 않게 됨에 따라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230) 상의 해당 정차칸에 표시된 버스번호를 삭제한다.
그리고 도착예정 버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접수된 버스번호가 디스플 레이부(330) 상에 지워져 있는 정차칸에 표시된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한 표시는, [도 2]와 같이 화면상 일측에 표시된 해당 정차칸 번호(231)옆에 도착예정 버스번호(232)가 표시되어 해당 버스의 승차 대기자들은 미리 해당 정차칸 앞으로 이동하여 대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후 해당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였을 때 만일 먼저 정차되어 있던 버스가 아직 발차를 하지않은 상태라면 도착한 버스는 정류장 입구에 대기하다가, 앞의 두 버스가 발차하면 이미 승차대기자들이 대기하고 있는 제일 앞의 정차칸에 정차하게 된다.
이렇게 승차 대기자가 타고자 하는 버스의 정차위치를 미리 인지하여 해당 정차칸에 미리 대기할 수 있으므로 승차를 위해 별도로 위치를 변경해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류장내 혼잡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버스 정차 이전에 앞의 버스가 발차할 때, 이미 출발감지부(300)가 이를 감지한 상태이므로 중앙제어부(200)의 디스플레이부(230)상에 표시되어 있던 정차 버스번호는 삭제되고, 그 후 탑승 완료된 버스가 출발할 때에도 이를 감지하여 출발된 버스 번호의 표시가 삭제된다.
그 후 그 뒤에 도착하는 버스들도 앞의 과정을 통해 미리 버스번호 및 정차위치가 안내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버스와 정류장 간 위치신호와, 정차되어 있던 버스의 출발여부 신호를 통해 미리 도착 예정 버스번호 및 정차위치를 안내함으로써 탑승을 위한 탑승대기자들의 이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정류장내 질서를 도모하고, 그로인해 교통사고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데,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버스 송신부(100)의 신호와 출발감지부(300)의 신호를 받아 중앙제어부에서 버스번호와 정차위치를 표시하는 기본 구성은 동일하나, 중앙제어부(200)에 승차대기자가 타고자 하는 버스 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240)를 더 구비시키고, 입력된 버스번호가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버스운전자가 정류장에 해당 승차대기자가 있는지 여부를 미리 알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무조건 버스가 승차해야만 하는 중앙차선제 보다는 일반 정류장 시스템에 적합한데, 그 구현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키 입력부(240)는 키패드 형태로 구비되거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제어부(220) 및 디스플레이부(230)와 연결된다.
따라서 탑승대기자가 키 입력부를 통해 타고자 하는 버스를 입력하면 입력된 버스 번호는 제어부(220)를 거쳐 디스플레이부(230)상에 표시된다.
그럼 버스정류장에 진입전 버스 운전자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본인버스번호가 표기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본인 버스승객 존재여부를 미리 알게 된다.
이때 해당 정류장에 하차하는 인원이 없고 디스플레이부(230)상에 본인 버스번호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 버스 운전자는 해당 정류장을 그냥 지나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정차를 통해 연료낭비 및 정류장 주변 교통혼잡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때 버스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육안으로 디스플레이부 상 번호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숫자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별도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시켜 키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번호만 별도로 크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키 입력과 동시에 별도의 보조송신장치(미도시)를 통해 키 입력여부 신호가 송신되도록 하고 정류장 근처에 위치한 버스의 보조수신기(500)를 통해 수신하여 수신기상에 구비된 램프의 발광이나 음향을 통해 그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운전자가 버스안에서 탑승대기자 존재여부를 미리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실시예처럼 중앙제어부를 통해 탑승대기자 존재여부를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정차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연료 및 교통 혼잡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은 중앙제어장치(200 ; 도 1 참조)의 디스플레이부(240 ; 240a, 240b, 240c, ....)가 다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부(240 ; 240a, 240b, 240c, ....)가 각각의 버스 정차칸(1, 2, 3, ....)에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과 동일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정차칸(1, 2, 3, ....)을 알리는 식별번호(241)가 프레임에 표시되고, 상기 식별번호(241)의 측부에 제 1 표시부(242) 및 제 2 표시부(243)가 배치되어, 상기 제 1 표시부(242)에 도착 예정 버스의 번호가 디스플레이되고, 제 2 표시부(243)에 다음 도착 예정 버스의 번호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의 작동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버스 정류장의 버스 정차칸이 3칸일 경우, 디스플레이부(240a, 240b, 240c)는 3개가 버스 정차칸에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버스 정류장의 버스 정차칸이 모두 비어 있는 상태에서, 버스 정류장으로 첫 번째로 접근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첫 번째 버스 정차칸(1)에 해당되는 제 1 디스플레이부(240a)의 제 1 표시부(242)에 표시한다. 이후, 두 번째 및 세 번째로 접근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두 번째 버스 정차칸의 제 2 디스플레이부(240b) 및 세 번째 버스 정차칸의 제 3 디스플레이부(240c)의 제 1 표시부에 각각 표시한다.
이후, 버스 정류장에 네 번째로 접근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첫 번째 버스 정차칸의 제 1 디스플레이부(240a)의 제 2 표시부(243)에 표시하고, 다섯 번째 및 여섯 번째로접근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제 2 디스플레이부(240b) 및 제 3 디스플레이부(240c)의 제 2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첫 번째 버스 정차칸에 정차한 버스가 출발하면, 기둥형태나 버스도어 에 구비된 출발감지부가 이를 감지하여 중앙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고 중앙제어부에서 연산한 후 1디스플레이부(240a)로 최종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1 디스플레이부(240a)는 제 1 표시부(242)에 표시된 노선번호를 지우고, 제 2 표시부(243)에 표시된 버스의 노선번호를 제 1 표시부(242)에 표시하고, 상기 제 2 표시부(243)에 다음에 접근하는 버스의 노선번호(일곱 번째로 접근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2 및 제 3 디스플레이부(240b, 240c)에 다음에 접근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은 버스 정류장으로 접근하는 승객이 도착한 버스의 노선번호를 쉽게 알 수 있고, 이미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의 경우, 버스의 정차위치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착 예정 버스의 정차위치를 쉽게 알 수 있어, 승객이 미리 도착 예정 버스의 정차위치에서 기다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일반 버스는 하나의 노선 상에서 왕복진행되므로 일방향 운행이 완료되어 다시 되돌아갈 때 어느 정류장에서는 반대편 노선운행 버스와 동시에 정차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만일 각 버스가 하나의 주파수만 부여된 상태에서 운행될 경우 양방향 버스가 한 정류장에 동시에 진입된다면 중앙제어부가 각 버스를 구분할 수가 없어 제어가 불가능 해진다.
따라서 각 버스에는 각각 노선방향에 따라 별도의 주파수를 부여함으로써, 양방향 버스가 동시에 진입하더라도 중앙제어부가 이를 쉽게 구분할 수 있어 제어 가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버스에는 일방향 운행이 완료되면 주파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일반버스정류장에서 승객이 버스를 호출하는 방식의 실시예중,
한 정류장에 정차되는 버스대수가 많을 경우 하나의 단말기로 각 버스를 모두 호출할 경우 버스들이 동시에 진입하면 굉장히 번잡하므로,
이 경우 정류장에 특정번호의 버스 복수대가 전용으로 정차될 수 있는 정차구간을 여러 개 설치하여 특정번호버스들의 정차지점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버스호출단말기를 상기 전용정차구간마다 설치한다면 승객들은 자신의 버스가 정차되는 구역을 미리 알 수 있으므로 보다 정류장 내에서의 번잡함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정류장에서 승객이 버스를 호출하는 방식의 실시예에서 정류장 단말기와 버스간의 신호 송수신 외에 버스에서 자동으로 별도의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여 정류장에 구비된 해당버스의 노선판에 해당버스의 근접여부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미쳐 번호 송출을 못한 승객이 도착예정버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 버스 정차 안내 시스템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이 버스정류장내 중앙제어부를 통해 버스의 위치를 파악함과 동시에 정차칸의 버스정차상태를 파악하여 도착 예정인 버스의 번호와 정치위치를 미리 안내하도록 함에 따라 탑승자가 미리 해당정차위치에 대기하여 기다릴 수 있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설치된 정류장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 과정을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도면으로 중앙제어부내에 키 입력부가 더 부가 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키 입력부를 통한 신호가 버스내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버스 정류장의 버스 정차칸에 각각 설치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

Claims (8)

  1. 차량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마다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각 차량의 송신신호를 받아 해당 정차위치를 판단하여 표시하는 중앙제어장치와,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강장에서 버스의 출발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에 보내는 출발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각 신호의 특정주파수를 파악해 해당버스번호를 찾아냄과 동시에 출발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위치신호를 받아 해당 정차위치를 판단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결정된 해당버스의 번호 및 정차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타이머제어를 통해 일정간격을 두고 지속적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출발감지부와 출발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출발송수신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승차대기자가 승차하고자 하는 버스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수단이 더 포함되되, 입력된 버스번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에는 보조송신부가 구비되고 버스에는 보조수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버스번호의 해당 신호가 보조송신부를 통해 송신되고 보조수신부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6. 차량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마다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각 차량의 송신신호를 받아 해당 정차위치를 판단하여 표시하는 중앙제어장치와,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강장에서 버스의 출발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에 보내는 출발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각 신호의 특정주파수를 파악해 해당버스번호를 찾아냄과 동시에 출발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버스위치신호를 받아 해당 정차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결정된 해당버스의 번호 및 정차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다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부가 각각의 버스 정차칸에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정차칸을 알리는 식별번호가 프레임에 표시되고, 상기 식별번호의 측부에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가 배치되어, 상기 제 1 표시부에 도착 예정 버스의 번호가 디스플레이되고, 제 2 표시부에 다음 도착 예정 버스의 번호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감지부는 버스의 문틀에 장착되어 하차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이고, 상기 감지센서는 터치센서 또는 근접센서일 수 있으며, 하차 도어가 열렸다 닫히는 것을 감지하여 송신부를 통해 중앙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KR1020080041213A 2007-11-05 2008-05-02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KR100968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2256 2007-11-05
KR1020070112256 2007-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671A true KR20090046671A (ko) 2009-05-11
KR100968017B1 KR100968017B1 (ko) 2010-07-07

Family

ID=40856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213A KR100968017B1 (ko) 2007-11-05 2008-05-02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0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08B1 (ko) * 2013-08-07 2015-02-04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차량 정차 유도 시스템
KR20160000921A (ko) * 2014-06-25 2016-01-06 한상우 노선 버스 예약 시스템 및 예약 좌석변경 알림서비스 제공방법
KR101864074B1 (ko) * 2017-04-18 2018-06-01 김웅태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제어방법
CN108665725A (zh) * 2018-04-04 2018-10-16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公共交通工具的跟踪定位系统及其工作方法
KR20210015083A (ko) 2019-07-31 2021-02-10 유연정 버스 정류장 호출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581B1 (ko) * 2000-02-29 2002-05-08 정영훈 피씨에스 무선 모뎀을 이용한 버스 정보 안내시스템
JP2003187374A (ja) 2001-12-14 2003-07-04 Kogensha Auto Products Kk 運行車両の到着予告通知システム
JP4610358B2 (ja) 2005-01-31 2011-01-1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案内放送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08B1 (ko) * 2013-08-07 2015-02-04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차량 정차 유도 시스템
KR20160000921A (ko) * 2014-06-25 2016-01-06 한상우 노선 버스 예약 시스템 및 예약 좌석변경 알림서비스 제공방법
KR101864074B1 (ko) * 2017-04-18 2018-06-01 김웅태 대중 교통 정류장 승객 편의 시스템 제어방법
CN108665725A (zh) * 2018-04-04 2018-10-16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公共交通工具的跟踪定位系统及其工作方法
KR20210015083A (ko) 2019-07-31 2021-02-10 유연정 버스 정류장 호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017B1 (ko)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3780B2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226638B1 (ko) 차량의 차량 측 도어 및 대응하는 플랫폼 가이딩 시스템, 특히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통합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68017B1 (ko)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CN104903176A (zh) 在公共交通车辆内引导乘客的乘客引导系统
KR101489808B1 (ko)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차량 정차 유도 시스템
KR101781170B1 (ko) 버스 승차 정보 알림 시스템
KR100953067B1 (ko)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KR101701232B1 (ko) 버스 승객 수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35599Y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자동 제어 시스템
KR20060092775A (ko) 버스정보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정보 운용 방법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20140111156A (ko) 차량안내장치
RU236950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движения монтажных поездов
CN103186983B (zh) 一种车辆监控方法及系统
KR101025831B1 (ko) 버스 승강장 관리 시스템
CN113284363B (zh) 一种提高公交车站服务能力的动态泊位分配方法及系统
JP2003168196A (ja) 駐車誘導装置および駐車誘導システム
KR200292082Y1 (ko) 전동차 운행정보 안내 표시장치
KR20110089516A (ko) 전동차 출입문 개방잔여 시간 알림장치
KR200238291Y1 (ko) 전동차 출입문 개폐시간 표시 장치
KR102246208B1 (ko) 승차인원 분산시스템
KR20030009243A (ko) 단거리무선단말기(dsrc)를 이용한 불법주차단속시스템버스우선신호시스템 버스정보시스템 그 장치와 방법
CN109584634A (zh) 一种电子防护器、交通障碍预警系统及方法
KR20110109239A (ko) 열차위치 표시시스템
KR20080091055A (ko) 승강장 정보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