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619A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619A
KR20090046619A KR1020070112865A KR20070112865A KR20090046619A KR 20090046619 A KR20090046619 A KR 20090046619A KR 1020070112865 A KR1020070112865 A KR 1020070112865A KR 20070112865 A KR20070112865 A KR 20070112865A KR 20090046619 A KR20090046619 A KR 20090046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put
channel list
touch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563B1 (ko
Inventor
이원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563B1/ko
Priority to EP08009378A priority patent/EP2058964A3/en
Priority to US12/125,837 priority patent/US8401566B2/en
Priority to CN2008101290504A priority patent/CN101431380B/zh
Publication of KR20090046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04H20/426Receiv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출력 중 채널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 메뉴의 선택 없이도 채널 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리스트 내에서 채널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방송 출력 중 입력되는 키 또는 터치의 입력 방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입력 방식에 따라 현재 설정된 채널 리스트를 다른 리스트로 설정 변경하거나, 상기 검출된 입력 방식에 따라 현재 설정된 채널 리스트를 다른 채널 리스트로 변경함과 동시에 그 변경된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을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방송, 채널 리스트, 전환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전환 방법{MOBILE TERMINAL AND IT'S BROADCAST CHANNEL SWITCHED METHOD}
본 발명은 방송 출력 중 채널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 메뉴의 선택 없이도 채널 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리스트 내에서 채널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상기 방송의 경우 채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빠르게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편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형태로서는 폴더 형태, 슬라이드 형태, 바 형태 또는 로테이션 형태의 디자인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방송 출력 중 채널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 메뉴의 선택 없이도 채널 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출력 중 사용자가 채널 리스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원하는 채널 리스트 내에서 채널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터치조작에 의한 채널 전환 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리스트로 자동 변경되어 채널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채널 전환을 위한 특정 키를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채널 전환을 위한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과 방송 출력 중 상기 조작부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특정 키 또는 터치의 입력 방식을 검출하고, 그 입력 방식에 따라 특정 채널 리스트에 대한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방법은 방송 출력 중 입력되는 키 또는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키 또는 터치의 입력 방식에 따라 현재 설정된 제1채널 리스트를 제2채널 리스트로 변경하거나, 현재 설정 된 제1채널 리스트를 제2채널 리스트로 변경하고 동시에 그 변경된 제2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전환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방송 출력 중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메뉴를 조작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출력 중 사용자가 채널 리스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리스트 내에서 간단하게 채널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출력 중 터치조작에 의한 채널 전환 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리스트에서 원하는 채널로 곧바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네비게이션,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영상 녹화 또는 캡처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 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 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UICC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 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 듈(151), 제1 음향출력모듈(152-1), 제1 카메라 모듈(121-1) 또는 제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모듈(152-1)은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30-1)는 본 발명의 통화 영상을 녹화 또는 캡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30-3)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상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 모듈(121-2)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1-2)은 제1 카메라 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 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21-1)은 영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을 정도의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 모듈(121-2)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 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 카메라 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 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152-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 모듈(152-2)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2-1, 도2 참조)과 함 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 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 모듈(121-2)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 모듈(121-2)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 모듈(121-2)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 모듈(121-1)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 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
통상적으로, 채널 리스트는 수신 가능한 모든 방송채널을 탐색하여 표시하는 기본 채널 리스트와, 상기 기본 채널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들을 카테고리(예 : 음악, 영화, 드라마, 게임, TV, 라디오 등)별로 그룹핑 한 선호 채널 리스트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모드로 진입한 후 방송화면을 출력할 경우, 기 설정된 방송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 기본 채널 리스트 또는 선호 채널 리스트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두 채널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채널 리스트를 선택한다. 가령, 사용자가 선호 채널 리스트를 선택했다고 할 경우, 채널 전환 키가 입력되면 선호 채널 리스트 내에서만 채널 전환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방송채널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의 출력부(150)는 상기 선택받은 채널의 방송을 출력하고, 그 방송이 출력되고 있는 중 사용자가 채널전환 버튼을 입력하면, 상기 선호 채널 리스트에 등록된 채널이 순차로 전환되어 출력된다. 만약, 상기 선호 채널 리스트에 등록된 채널 이외의 다른 방송 채널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메뉴를 호출하여 다른 채널 리스트로 변경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송 출력 중, 방송채널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 메뉴를 선택하지 않고도 채널 전환 시 자동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리스트로 변경 되게 하고, 동시에 그 전환 된 채널 리스트 내에서 채널전환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그 방법에 대해 서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방송 모드에 진입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방송을 출력하는 중(S101, S102), 조작부(130)를 통한 특정 키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S103), 그 입력 방식에 따라 방송 채널 전환이나 방송 리스트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방식이란, 상기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되는 시간 기간, 입력되는 면적, 입력되는 위치 또는 영역, 동시에 입력되는 키 또는 터치의 개수, 연속으로 입력되는 횟수, 입력되는 방향, 입력되는 압력, 입력되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될 경우의 제어부(180) 동작은 출력부(150)에 채널 전환 또는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소프트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상기 키 또는 터치 입력 시 그 입력 방식에 따라 채널 전환을 위한 입력인지 또는 채널 리스트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인지 체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전환 또는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소프트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경우, 그 소프트 메뉴의 선택에 따라 채널 전환 또는 채널 리스트 변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04, S105).
상기 두 가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키 또는 터치 입력이 단순히 채널 전환을 위한 입력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될 때마다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들을 전환하여 출력한다(S108). 또한, 상기 키 또는 터치 입력이 채널 리스트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에는, 방송 출력 중 현재 설정되어 있는 채널 리스트를 다른 채널 리스트로 곧바로 변경한다(S106). 상기 채널 리스트를 변경하더라도 방송 출력이 곧바로 변경되는 것은 아니며, 이후 채널 전환을 위한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전환된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 전환이 수행된다.
이때, 본 발명은 방송이 출력되고 있는 중에도 상기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되는 방식에 따라 채널 리스트를 변경하거나, 채널 리스트의 변경과 동시에 채널 전환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메뉴를 이용하여 채널 리스트를 변경하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S107). 즉, 상기 입력 방식은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정보와 채널 전환을 위한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채널 리스트만 변경하거나(S106), 현재 선택된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만 전환하거나(S108), 다른 채널 리스트로 변경함과 동시에 그 변경된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S107).
한편, 상기 키 또는 터치 입력 시 소프트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에는, 채널 전환 또는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소프트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09, S110). 예를 들어, 출력부(150)에 방송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 키 또는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제어부(180)는 그 입력 방식에 따라 채널 전 환 또는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소프트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S109, S110).
그러나, 상기 입력 방식에 따라서는 출력부(150)에 소프트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채널 리스트 변경과 채널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S107). 가령, 현재 설정되어 있는 채널 리스트를 다른 채널 리스트로 변경할 수 있으며, 채널 리스트의 변경과 동시에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채널 리스트 변경이나 채널 전환은 반드시 순차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상기 채널 전환을 위한 키 또는 터치 입력 방식에 따라 채널 리스트 변경과 채널 전환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즉, 채널 전환을 위한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될 경우, 제어부(180)는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채널 리스트에서 곧바로 채널을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채널 전환을 위한 키 또는 터치의 입력 방식에 따라, 방송 출력 중에도 단 한 번의 키 또는 터치 입력으로 채널 리스트를 변경하는 과정과 채널을 전환하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키 입력에 따른 동작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5는 채널 조작을 위한 소프트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경우, 채널 전환을 위한 키가 입력되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 채널 리스트의 변경과 동시에 그 변경된 채널 리스트에서 곧바로 채널을 전환하거나, 또는 채널 리스트 변경이나 채널 전환의 한가지 동작만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51)에는 채널 조작을 위한 소프트메뉴(210)와, 현재 방송화면으로 출력되는 채널에 대한 정보(220)와, 현재 설정되어 있는 채널 리스트에 대한 정보(230)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소프트메뉴(210)에서 채널 전환을 위한 키(211, 212) 또는 조작부(130)에 구비된 특정 키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시간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보다 짧을 경우,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 리스트(LIST 1)에서 채널들을 전환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방송을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채널 전환을 위한 키(211, 212)가 입력된 시간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보다 긴 경우, 우선 현재 설정되어 있는 채널 리스트(LIST 1)를 다른 채널 리스트(LIST 2)로 전환함과 동시에 그 전환 된 채널 리스트(LIST 2)에서 채널들을 전환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방송을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채널 리스트가 전환되면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230) 영역에는 새로 전환 된 채널 리스트 정보(LIST 2)가 표시된다. 물론, 채널이 전환된 경우에도 채널 정보(220) 영역에는 새로 전환된 채널 정보가 표시된다.
도6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6은 채널 조작을 위한 소프트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경우, 채널 전환을 위해 입력되는 키의 터치 면적에 따라, 현재 선택된 채널 리스트에서의 채널 전환 동작, 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 리스트에서 다른 채널 리스트로 변경함과 동시에 채널을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손가락이나 펜의 넓은 부분을 이용해 키나 터치가 입력될 경우 채널 리스트를 변경함과 동시에 채널을 전환할 수 있고, 손가락 끝이나 펜 끝의 좁은 부분을 이용해 입력될 경우에는 현재 선택된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그 반대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51)에는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메뉴(210)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의 넓은 부분(310)을 이용해 채널 전환을 위한 키(211, 212)가 입력될 경우 제어부(180)는 채널 리스트를 변경함과 동시에 채널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끝이나 펜 끝의 좁은 부분(320)을 이용해 채널 전환을 위한 키(211, 212)가 입력될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선택된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널 리스트 변경이나 채널 전환은 반드시 소프트 메뉴를 입력해야만 수행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터치스크린(151) 내의 임의의 부분을 터치할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3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에는 채널 조작을 위한 소프트 메 뉴(210) 이외에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소프트 키(410, 411)를 별도로 표시하거나 조작부(130)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정보(420)의 표시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소프트 키(410, 411)는 토글(Toggle)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고, 시프트(shift) 키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즉, 토글 방식이란, 상기 소프트 키(410)를 누를 때마다 채널 리스트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만약 두 개 이상의 채널 리스트가 있을 경우에는 소프트 키(410)를 누를 때마다 순차로 변경된다. 또는, 다수의 채널 리스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 리스트만 선택버튼(411)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시프트 키 방식이란, 상기 소프트 키(410)를 누른 상태에서 채널 전환을 위한 메뉴(211, 212)가 입력되었을 때 채널 리스트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만약, 상기 소프트 키(410)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키(211, 212)만 입력되었을 때는 채널 리스트의 변경 없이 현재 선택된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소프트 키(410)는 입력될 때마다 컬러가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정보 표시창(240) 내에 표시하였지만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4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각 채널 리스트마다 채널 전환을 위한 별 도의 소프트 메뉴(210, 5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각 소프트 메뉴(210, 510)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단말기의 디자인 및 채널 리스트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기본 채널 리스트의 채널 조작을 위한 소프트 메뉴(510)를 좌측에 디스플레이되고, 선호 채널 리스트의 채널 조작을 위한 소프트 메뉴(210)를 우측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상기 두 소프트 메뉴(210) 중 사용자가 조작하는 하나의 소프트 메뉴(210)가 활성화되고 다른 소프트 메뉴(510)는 비 활성화된다.
상기 비 활성화된 소프트 메뉴(510)는 활성화된 소프트 메뉴(210)에 의해 표시가 제한될 수 있으며 투명도가 조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비 활성화된 소프트메뉴(510)를 선택할 경우 그 소프트 메뉴(510)는 즉시 활성화되며, 그와 동시에 다른 소프트 메뉴(210)는 비 활성화된다. 상기 소프트 메뉴(210, 510)는 터치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고 조작부(130)에 구비된 특정 키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별도의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본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을 전환하고 싶을 경우, 해당 소프트 메뉴(510)의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키(511, 512)를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기본 채널 리스트에서 곧 바로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호 채널 리스트의 채널을 전환하고 싶을 경우, 해당 소프트 메뉴(210)의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키(211, 212)를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선호 채널 리스트에서 곧 바로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소프트 메뉴(210, 510)가 활성화될 경우, 각 소프트 메뉴에 해당하는 채널 리스트 정보(231) 및 채널 정보(221)도 변경되어 표시된다.
도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5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채널 전환을 위한 키가 입력되는 횟수에 따라 그 동작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채널 조작을 위한 소프트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동시에 두 부분이 터치 입력되거나, 첫 번째 터치 입력 후 특정시간 이내에 두 번째 터치가 연속해서 입력될 경우에 제어부(180)는 채널 리스트의 변경 동작을 수행하거나 동시에 채널 전환을 수행할 수 있고, 한 번의 터치 입력 시에는 현재 선택된 채널 리스트에서의 채널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51)에는 소프트 메뉴(210)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이나 두 개의 팁(TIP, 610)이 있는 펜을 이용해 터치스크린(151)에서 두 임의의 두 지점을 동시에 입력할 경우 제어부(180)는 채널 리스트를 변경한다. 상기 두 지점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키(211, 212)가 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채널 리스트 정보(230)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지점을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지점이 근접한 지점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임의의 한 지점을 특정 시간 이내에 연속해서 두 번 터치할 경 우, 채널 리스트의 변경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되는 지점은 채널 리스트 정보(230)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51) 내에서 상기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채널 전환 키(211, 212)를 한 번씩 터치할 경우에는 채널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6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채널 전환을 위한 키가 입력되는 압력 정도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채널 조작을 위한 소프트 메뉴(2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키(211, 212)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그 입력된 키의 압력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압력보다 작을 경우,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 리스트에 등록된 채널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키(211, 212)의 터치 압력이 미리 설정된 특정 압력보다 클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채널 리스트(LIST 1)를 다른 채널 리스트(LIST 2)로 변경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 전환된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되는 압력 정도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압력 값(71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압력 값은 다양한 모양의 숫자, 컬러, 이미지, 그래프,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확장되는 모양이나 축소되는 모양 또는 상기 압력 값이 변하는 과정을 애니메이션 형식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터치 시에는 파란색을 표시하다가 터치한 상태에서 압력이 증가할수록 빨간색으로 변하거나, 압력 게이지(711)가 점차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모양을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채널 리스트가 변경되면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231) 영역에는 새로 전환 된 채널 리스트 정보(LIST 2)가 표시된다. 물론, 채널이 전환된 경우에도 채널 정보(221) 영역에는 새로 전환된 방송채널 정보가 표시된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7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 방식에 따라 방송 출력 중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 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으며, 그 변경된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채널 조작을 위한 소프트메뉴의 모양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터치 입력 방식이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위에서 특정한 방향(예 : 상/하,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특정한 모양(예 : 직선, 곡선)으로 라인을 긋거나(811), 터치 스크린 위의 지정된 특정 부분을 소정 횟수 터치하거나(812),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분을 터치한 후 회전시키는 방식(81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 방식은 사용자가 변경 또는 지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 따라 디폴트로 설정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정된 특정 부분을 터치하였을 때(812) 채널 리스트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키 또는 터치가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입력되었을 경우 해당 채널 리스트를 즉시 변경하거나,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된 영역 으로부터 점차로 그 영역이 확장되는 인디케이터(910)를 표시하고, 터치 해제 시 그 확장된 영역에 설정된 채널 리스트로 변경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영역의 확장은 터치가 입력되는 시간, 또는 압력, 또는 터치 횟수에 따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주로 채널 조작을 위한 소프트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었을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소프트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키 입력이 소프트 메뉴 디스플레이를 위한 입력인지, 또는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입력인지 체크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거나, 폴더의 오픈, 조작부(130)의 특정 키를 입력할 경우에 소프트 메뉴를 디스플레이를 위한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프트 메뉴는 채널 리스트 변경 키와 같은 일부 필요한 버튼만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프트메뉴를 디스플레이한 후에는 상술한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프트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7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방식이나 키 입력 방식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방송 출력 중에도 메뉴 호출없이 상술한 채널 리스트 변경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채널 리스트를 변경할 경우 그 채널 리스트 정보를 인디케이터 등을 이용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주로 터치 입력에 의한 채널 조작 방법에 대해 서 설명하였지만, 조작부(130)에 구비된 특정 키를 이용하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실시 예에서 터치 입력 대신 특정한 두 개의 키를 동시에 입력하여 채널 리스트를 변경하고 동시에 채널도 전환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키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키를 모두 롱 키로 입력하여 채널 리스트를 변경하고 동시에 채널도 전환할 수 있다. 물론, 두 개의 키 중 어느 하나를 짧게 입력(숏 키 입력)하여 현재 선택된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만 전환할 수도 있다.
또는,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별도의 키를 구비하여 채널 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으며, 또는 특정 키를 짧게 두 번 연속 입력(더블 입력)하여 채널 리스트를 변경한 후, 짧게 한 번 입력하여 채널을 전환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3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4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5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6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방송 출력 중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7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채널 전환을 위해 입력되는 터치 키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Claims (15)

  1. 채널 전환을 위한 특정 키를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채널 전환을 위한 터치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과;
    방송 출력 중 상기 조작부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특정 키 또는 터치의 입력 방식을 검출하고, 그 입력 방식에 따라 특정 채널 리스트에 대한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되는 시간 기간, 입력되는 면적, 입력되는 위치 또는 영역, 동시에 입력되는 키 또는 터치의 개수, 연속으로 입력되는 횟수, 입력되는 방향, 입력되는 압력, 입력되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입력 방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메뉴 또는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소프트 메뉴를 별도로 디스플레이하고, 각 소프트 메뉴의 입력에 따라 채널 리스트를 변경하거나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메뉴를 입력하는 방향이나 입력 모양에 따라 채널 리스트의 변경이나, 그 변경된 채널 리스트에서의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메뉴를 각 채널 리스트에 따라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채널 전환을 위한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됨에 따라 그 소프트 메뉴에 해당하는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또는 터치의 입력 정보에 따라 현재 설정된 채널 리스트에서의 채널 전환이나 현재 설정된 채널 리스트를 다른 채널 리스트로 설정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전환을 위한 특정 키 또는 터치 입력이 특정 시간 기간 이내에 두 개 이상 입력되면, 채널 리스트를 변경하고 동시에 그 변경된 채널 리스트에서의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채널 전환을 위한 특정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메뉴 또는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소프트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방송 출력 중 입력되는 키 또는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키 또는 터치의 입력 방식에 따라 현재 설정된 제1채널 리스트를 제2채널 리스트로 변경하거나, 현재 설정된 제1채널 리스트를 제2채널 리스트로 변경하고 동시에 그 변경된 제2채널 리스트에서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전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 또는 터치의 입력 방식은,
    채널 리스트 변경 또는 채널 전환을 위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전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 또는 터치의 입력 방식은,
    상기 특정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되는 시간 기간, 입력되는 면적, 입력되는 위치 또는 영역, 동시에 입력되는 키 또는 터치의 개수, 연속으로 입력되는 횟수, 입 력되는 방향, 입력되는 압력, 입력되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 정보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전환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되는 방향이나 직선,곡선을 포함하는 터치의 입력 모양에 따라, 채널 리스트의 변경이나 특정 채널 리스트에 대한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전환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되면,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메뉴 또는 채널 리스트 변경을 위한 소프트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전환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전환을 위한 키 또는 터치는,
    특정 시간 기간 이내에 두 개 이상이 동시에 입력되거나 연속해서 입력될 경우, 채널 리스트의 변경과 그 변경된 채널 리스트에서의 채널 전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전환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전환을 위한 소프트 메뉴는,
    채널 리스트에 대응하는 소프트 메뉴를 각기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채널 전환을 위한 키 또는 터치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채널 리스트에서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전환 방법.
KR1020070112865A 2007-11-06 2007-11-06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KR100930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865A KR100930563B1 (ko) 2007-11-06 2007-11-06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EP08009378A EP2058964A3 (en) 2007-11-06 2008-05-2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verting broadcast channel of a mobile terminal
US12/125,837 US8401566B2 (en) 2007-11-06 2008-05-2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verting broadcast channel of a mobile terminal
CN2008101290504A CN101431380B (zh) 2007-11-06 2008-06-20 用于转换移动终端的广播频道的移动终端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865A KR100930563B1 (ko) 2007-11-06 2007-11-06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619A true KR20090046619A (ko) 2009-05-11
KR100930563B1 KR100930563B1 (ko) 2009-12-09

Family

ID=4035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865A KR100930563B1 (ko) 2007-11-06 2007-11-06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01566B2 (ko)
EP (1) EP2058964A3 (ko)
KR (1) KR100930563B1 (ko)
CN (1) CN1014313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8440B2 (en) 2005-12-30 2011-09-13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KR101545875B1 (ko) * 2009-01-23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US20110185320A1 (en) * 2010-01-28 2011-07-28 Microsoft Corporation Cross-reference Gestures
US8261213B2 (en) 2010-01-28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US9411504B2 (en) * 2010-01-28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py and staple gestures
US20110185299A1 (en) * 2010-01-28 2011-07-28 Microsoft Corporation Stamp Gestures
US9519356B2 (en) * 2010-02-04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nk gestures
US20110191704A1 (en) * 2010-02-04 2011-08-04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ual multiplexing gestures
US9310994B2 (en) * 2010-02-19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US9965165B2 (en) * 2010-02-19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finger gestures
US9367205B2 (en)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9274682B2 (en) * 2010-02-19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ff-screen gestures to create on-screen input
US8799827B2 (en) * 2010-02-19 2014-08-05 Microsoft Corporation Page manipulations using on and off-screen gestures
US8751970B2 (en) * 2010-02-25 2014-06-10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synchronous slide gesture
US20110209089A1 (en) * 2010-02-25 2011-08-25 Hinckley Kenneth P Multi-screen object-hold and page-change gesture
US9454304B2 (en) *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US20110209058A1 (en) * 2010-02-25 2011-08-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tap gesture
US8707174B2 (en) * 2010-02-25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page-flip gesture
US9075522B2 (en) * 2010-02-25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bookmark hold gesture
JP2011205562A (ja) * 2010-03-26 2011-10-13 Sony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20120159395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8893033B2 (en) 2011-05-27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notifications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JP5811603B2 (ja) * 2011-06-07 2015-11-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130000142A (ko) * 2011-06-22 2013-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CN103248957B (zh) * 2012-02-09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方法和电子设备
US9582157B1 (en) * 2012-08-03 2017-02-28 I4VU1, Inc. User interface and program guide for a multi-program video viewing apparatus
US9547430B2 (en) * 2012-10-10 2017-01-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sion of haptic feedback for localization and data input
US9582122B2 (en) 2012-11-12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US9477337B2 (en) 2014-03-14 2016-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ive trace routing for display and bezel sensors
GB2537348A (en) * 2015-03-23 2016-10-19 Motivii Ltd User input mechanism
KR101719999B1 (ko) * 2015-07-10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306848B (zh) * 2015-10-13 2018-12-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频道切换方法、装置和系统
KR101833790B1 (ko) * 2016-05-16 2018-04-13 (주)휴맥스 포스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들을 실현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1964A (ko) * 2016-07-26 201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992265B2 (ja) * 2017-03-23 2022-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6496345B2 (ja) * 2017-04-13 2019-04-0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US11606621B2 (en) 2017-06-15 2023-03-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of providing personalized channel change lis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337B2 (ja) * 1993-12-21 2004-07-28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計算システム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グラフィック・キーボード使用方法
US5982411A (en) * 1996-12-18 1999-11-0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Navigation among grouped television channels
US6445306B1 (en) * 1999-03-31 2002-09-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program selection by genre
JP2001197380A (ja) 2000-01-14 2001-07-19 Hitachi Ltd 受信機及び受信機用チャネル選択装置並びにその方法
JP2001245230A (ja) 2000-02-25 2001-09-07 Hitachi Ltd 受信機、受信機用チャネル選択装置及びチャンネル選択処理方法
WO2003088027A1 (en) * 2002-04-05 2003-10-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ser configurable electronic program guide drawing upon disparate content sources
GB2407738A (en) * 2003-10-27 2005-05-04 Nokia Corp Accessing broadcast services through a service portal
CN1252989C (zh) * 2004-04-30 2006-04-19 清华大学 接收多媒体电视广播的移动终端
CN1598744A (zh) * 2004-09-10 2005-03-23 韩亚林 一种基于按键的输入装置及其操作方式
KR101115956B1 (ko) * 2004-11-11 2012-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콘 숫자키를 이용한 선호 채널 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7629966B2 (en) * 2004-12-21 2009-12-08 Microsoft Corporation Hard tap
US20060265637A1 (en) * 2005-05-21 2006-11-23 Apple Computer, Inc. Utilization of podcasts on portable media devices
KR100722187B1 (ko) * 2006-02-03 2007-05-29 (주) 엘지텔레콤 토글전환 디엠비 단말장치 및 토글전환 방법
US8073433B2 (en) * 2006-04-05 2011-12-06 Nokia Corporation System,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push-to-talk chat in interactive mobile TV
KR100845862B1 (ko) 2006-04-25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563B1 (ko) 2009-12-09
US20090117943A1 (en) 2009-05-07
CN101431380A (zh) 2009-05-13
US8401566B2 (en) 2013-03-19
CN101431380B (zh) 2011-05-18
EP2058964A3 (en) 2013-03-13
EP2058964A2 (en)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5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KR1013864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5703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34872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KR101398134B1 (ko)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장치 및 방법
KR101397080B1 (ko)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88152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157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US20090251423A1 (en)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5759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KR20090034215A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9001843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024594A (ko) 휴대단말기 및 메뉴검색 피드백 방법
KR20090034664A (ko) 휴대단말기의 음악 재생장치 및 방법
KR101377957B1 (ko) 휴대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3875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브 메뉴 구현방법
KR101405934B1 (ko) 키 회전 감지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방법
KR10141576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위치 이동 방법
KR101397001B1 (ko)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5019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02445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드 버튼 영역 설정방법
KR20090022021A (ko) 휴대 단말기, 그 조작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80447B1 (ko) 가상 마우스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KR20090024416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실행 방법
KR2010003913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