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311A - 의복용 벨트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복용 벨트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311A
KR20090046311A KR1020070112362A KR20070112362A KR20090046311A KR 20090046311 A KR20090046311 A KR 20090046311A KR 1020070112362 A KR1020070112362 A KR 1020070112362A KR 20070112362 A KR20070112362 A KR 20070112362A KR 20090046311 A KR20090046311 A KR 20090046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decorative
core material
cor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002B1 (ko
Inventor
김선광
Original Assignee
김선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광 filed Critical 김선광
Priority to KR102007011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0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피와 심재 및 내피가 봉합되어 이루어지고, 그 가장자리는 보강띠로 감싸져서 함께 재봉 처리되어 이루어진 의복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나뉘어져서 적정 간격의 장식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심재에 재봉 처리되고, 상기 장식홈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 표면에는 장식무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소정 폭을 갖는 외피와 심재 및 내피가 봉합되어 이루어진 의복용 벨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심재 및 내피를 소정폭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누는 제1공정과; 상기 심재의 표면에 장식무늬부를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절단되어 나뉘어진 한 쌍의 외피의 사이에 상기 심재의 장식무늬부가 드러나도록 적정 간격을 유지시켜 장식홈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심재와 포개어 부착시킨 다음 상기 장식홈을 따라 재봉 처리하는 제3공정과; 재봉 처리된 상기 외피 및 심재를 상기 내피와 부착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에 보강띠를 감싼 다음, 그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 처리하여 상기 보강띠에 의해 마감하도록 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의복용 벨트 제조 방법의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의복용 벨트의 전체적인 두께의 슬림화를 유지하면서도 벨트의 심재의 표면으로 외피와 서로 다른 디자인 장식 소재를 다양한 디자인 형태로 형성시키고, 외피에 형성되는 장식홈을 통하여 심재 표면에 형성된 장식무늬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하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벨트 디자인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심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장식구로 인하여 입체적인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벨트의 착용에 지장을 주지 않고 착용할 수 있으며, 심재 표면에 자체 발광 처리를 하여 야간에도 벨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확보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하는 부가적인 기능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의복용 벨트를 저렴하면서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공정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 장식을 갖는 의복용 벨트를 사용자에게 널리 보급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벨트, 외피, 심재, 내피, 장식무늬부, 장식홈, 야광, 장식구

Description

의복용 벨트 및 제조방법 {Belt for gar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복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 두께를 슬림화를 유지하면서도 벨트의 내측으로 서로 다른 디자인 장식 소재를 적층시키고, 이를 외피 표면 밖으로 노출시켜 표현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평면적인 디자인은 물론 입체적인 장식 효과를 통하여 고급스럽고 다양한 벨트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된 의복용 벨트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용 벨트는 바지에 착용하는 장신구로서, 벨트의 형태 및 종류 그리고 소재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의복용 벨트(이하 "벨트"라 함)를 나타낸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주로 많이 사용되는 벨트이다.
종래의 벨트는 버클의 종류와 그 체결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벨트의 조임력을 미세하게 조절 가능도록 벨트의 배면 일단에 다수의 걸림홈(7)이 형성된 걸림식 벨트(1)가 있으며, 도 2와 같이 버클의 체결 핀(미도시)이 끼워져 결속되도록 벨트의 일단에 소정 간격으로 끼움구멍(8)이 형성된 끼움씩 벨트(6)가 그것이다.
그리고, 벨트(1)를 이루는 기본 구성으로는 단면 적층 구조가 내피(2)와 심재(3) 및 외피(4)로 구성되어, 이들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하여 접착 또는 재봉 처리에 의해 봉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봉합된 벨트(1)의 가장자리는 접착 안료 등을 도포하여 마감하거나, 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보강띠(5)로 감싼 다음 상기 내피(2),심재(3),외피(4)와 함께 그 가장자리를 함께 재봉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벨트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내피, 심재, 외피의 적층 순서에 의하여 재봉이나 접착 가공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상기 내피와 외피는 비닐 원단 또는 인조 가죽, 가죽 등과 같은 원단을 주 재료를 사용하여 소정 폭으로 길게 재단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심재는 내피와 외피의 형태를 유지해 주기 위해 합성수지 또는 합지 등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벨트는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하여 주로 외피 외측에 2차적인 후 가공에 의해 외피 표면 자체에 직접 장식 무늬를 인쇄 처리하거나 프레스 가공 처리하여 특정 문양을 형성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벨트 디자인을 하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종래의 벨트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의 변화는 외피의 표면에 외피의 자체 재질에서 표현되는 표면 디자인과, 다른 일반 천으로 된 원단이 나, 별도의 장식구를 더 부착하여 표현하는 정도의 단순한 디자인을 갖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외피의 표면에 다른 소재의 외피 원단(9)이나 장식구 등을 외피의 표면에 부착하여 이중, 삼중의 적층 구조로서 벨트 디자인을 변화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외피 겉으로 부착되는 원단 소재들의 두께와 벨트 기본 적층 두께 때문에 벨트의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게 됨으로써 벨트 전체 무게가 무거워지고, 착용감이 안 좋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복잡한 구성 때문에 벨트 제품 자체의 제품성을 떨어뜨리게 되었으며, 그 제조 공정이 많이 추가되고 그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는 문제도 있었고, 그에 따라 벨트 외피에 부착되는 원자재의 추가로 인해 벨트의 제조 원가가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도 발생 되었다.
결국, 슬림하고 저렴하면서도 착용감이 우수한 벨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으며, 상기의 요건을 충족하면서도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의복용 벨트가 절실히 필요로 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클의 체결 방식에 따른 공지의 결속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벨트의 전체적인 두께의 슬림화를 유지할 수 있고, 벨트의 심재의 표면으로 외피와 서로 다른 디자인 장식 소재를 적층시켜 이를 외피 표면 외부로 심재 표면에 형성된 장식무늬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하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벨트 디자인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된 의복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복용 벨트의 외피 밖으로 노출된 심재의 표면에 별도의 장식구를 부착하여 보다 더 입체적인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벨트의 착용에 지장을 주지 않고 착용 상태가 양호한 의복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복용 벨트의 심재 표면에 자체 발광 처리를 하여 야간에도 벨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확보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의복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클의 체결 방식에 따른 공지의 결속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벨트의 전체적인 두께의 슬림화를 유지할 수 있고, 벨트의 심재의 표면으로 외피와 서로 다른 디자인 장식 소재를 적층시켜 이를 외피 표면 외부로 심재 표면에 형성된 장식무늬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하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벨트 디자인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된 의복용 벨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복용 벨트의 심재 표면에 자체 발광 처리를 하여 야간에도 벨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의복용 벨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복용 벨트의 외피 밖으로 노출된 심재의 표면에 별도의 장식구를 부착하여 보다 더 입체적인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벨트의 착용에 지장을 주지 않고 착용 상태가 양호한 의복용 벨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복용 벨트는 외피와 심재 및 내피가 봉합되어 이루어지고, 그 가장자리는 보강띠로 감싸져서 함께 재봉 처리되어 이루어진 의복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나뉘어져서 적정 간격의 장식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심재에 재봉 처리되고, 상기 장식홈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 표면에는 장식무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복용 벨트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서, 외피와 심재 및 내피가 봉합되어 이루어지고, 그 가장자리에는 보강띠로 감싸져서 함께 재봉 처리되고, 일단에는 복수의 끼움구멍이 배열 형성되어 이루어진 의복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끼움구멍의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나뉘어져서 적정 간격의 장식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심재에 재봉 처리되고, 상기 장식홈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 표면에는 장식무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벨트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식홈은 파형, 톱니형, 사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피 외면에는 직선 형태의 장식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와 같이 파형, 톱니형, 사각형 등 다양한 무늬 형태로 장식홈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여러 가지 디자인 벨트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식홈은 하나의 무늬 형태 외에도 파형, 톱니형, 사각형 및 직선형의 무늬가 조합된 변형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장식홈에 의해 드러나는 심재는 그 자체 재질로도 외피와 어울리는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인쇄 무늬를 심재의 표면에 형성하여 표현할 수 있고, 두께가 얇은 인쇄 무늬 원단을 심재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식홈을 통해 외피와 어울릴 수 있는 여러 가지 디자인 무늬의 표현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벨트 전체 두께를 슬림화를 유지하면서도 무게가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한 의복용 벨트 디자인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식홈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의 표면에는 다수의 장식구가 적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입체적인 장식 효과를 발휘하도록 이루어진다.
기존에는 외피의 표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장식구가 부착되기 때문에 벨트 착용시 걸리적 거리게 되며, 장식구가 잘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상기와 같이 장식홈 내측의 심재의 표면에 장식구가 부착되므로 외피의 표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아 착용시 걸리적 거리지 않게 되고 잘 떨어지지 않아 미려한 벨트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식홈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의 표면에는 야광 발광부가 형성되어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벨트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디자인이 달리 변형되지만 일반적인 의복용 벨트에는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구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심재 표면에 야광 발광부가 형성되는 경우 장식홈을 통하여 장식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야간에는 시인성을 확보되도록 하는 안전 사고 방지 기능까지 발휘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의복용 벨트는 소정 폭을 갖는 외피와 심재 및 내피가 봉합되어 이루어진 의복용 벨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심재 및 내피를 소정폭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누는 제1공정과; 상기 심재의 표면에 장식무늬부를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절단되어 나뉘어진 한 쌍의 외피의 사이에 상기 심재의 장식무늬부가 드러나도록 적정 간격을 유지시켜 장식홈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심재와 포개어 부착시킨 다음 상 기 장식홈을 따라 재봉 처리하는 제3공정과; 재봉 처리된 상기 외피 및 심재를 상기 내피와 부착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에 보강띠를 감싼 다음, 그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 처리하여 상기 보강띠에 의해 마감하도록 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벨트의 장식적인 디자인 변화를 위하여 복잡한 제조 공정을 거치지 않고서 다양한 형태의 벨트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여러 형태의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의복용 벨트를 저렴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상기 장식홈을 파형, 톱니형, 사각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외피를 파형, 톱니형, 사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홈 무늬 형상으로 절단하여 나누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식홈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장식홈을 만들기 위한 절단 작업을 직선형 뿐만아니라, 파형, 톱니형, 사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여러 가지 형태로 절단하는 무늬절단공정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정에서 상기 장식홈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의 표면에는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야광 발광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정에 의하면 심재 표면에 야광 발광부가 형성되는 경우 장식홈을 통하여 장식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야간에는 시인성을 확보되도록 하여 안전 사고 방지 기능까지 함께 발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3공정을 거친 다음 상기 장식홈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의 표면에는 입체적인 장식 효과를 발휘하도록 다수의 장식구를 적정 간격으로 부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정에 의하여 장식구가 외피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장식홈 내측의 심재의 표면에 장식구가 부착되므로 외피의 표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아 벨트 착용시 걸리적 거리지 않게 되고, 장식구가 잘 떨어지지 않아 미려한 벨트 장식 효과를 오랜 기간 동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의복용 벨트의 전체적인 두께의 슬림화를 유지하면서도 벨트의 심재의 표면으로 외피와 서로 다른 디자인 장식 소재를 다양한 디자인 형태로 형성시키고, 외피에 형성되는 장식홈을 통하여 심재 표면에 형성된 장식무늬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하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벨트 디자인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심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장식구로 인하여 입체적인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벨트의 착용에 지장을 주지 않고 착용할 수 있으며, 심재 표면에 자체 발광 처리를 하여 야간에도 벨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확보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하는 부가적인 기능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의복용 벨트를 저렴하면서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공정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 장식을 갖는 의복용 벨트를 사용자에게 널리 보급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 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벨트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 5의 가-가선 확대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복용 벨트(이하 "벨트"라 함.)는 종래와 같이 버클과의 결속 방식에 따른 걸림식 벨트와 끼움식 벨트에 각각 적용된 것을 기준으로 혼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걸림식 벨트(10)의 기본 구성으로서, 단면 적층 구조를 살펴보면 내피(11)와 심재(12) 및 외피(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피(11)와 심재(12), 및 외피(13)는 겹쳐진 상태로 하여 접착 또는 재봉 처리에 의해 봉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공지의 구성으로서 상기 내피(11)는 소정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제의 원단을벨트 형상으로 길게 절단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절단된 내피(11) 배면에는 버클의 걸림구(도시하지 않음)과 걸려 벨트(10)를 결속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홈(15)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15)은 공지의 구성으로서 프레스 가공 처리에 의해 내피(11)의 배면에 직접 형성된다.
상기 외피(13)는 가죽이나 인조 가죽 그리고 기타 외피가 가능한 원단 소재를 벨트 외형 모양으로 길게 절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외피(13)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나뉘어져서 벨트의 중앙에는 적정 간격으로 직선 형태의 장식홈(1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외피(13)는 상기 심재(12))에 재봉 처리되어 고정됨으로써 장식홈(16)이 형성된 외피(13)가 심재(12)와 일체로 봉합되고, 그 배면으로는 상기 내피(11)가 상기 심재(12) 및 외피(13)와 다시 겹쳐지는 구성이며, 상기 외피(13)와 내피(11)의 가장자리에는 보강띠(17)로 감싸져서 함께 재봉 처리되어 벨트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외피(13)에 형성되는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므로써 심재(12) 자체표면에 형성된 장식 패턴과 외피(13)의 표면 디자인의 조합으로 색다른 형태의 벨트 디자인 장식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심재(12)의 표면에는 장식무늬부(18)를 형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무늬 장식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심재(12)는 상기 내피(11)와 외피(13) 사이에서 벨트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함에 따라 주로 합성수지나 합지 등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장식무늬부(18)를 형성함에 있어서 심재(12)의 재질에 따라 장식무늬(18)를 심재(12)의 표면에 직접 성형 또는 인쇄하거나, 공지의 무늬원단 등을 심재(12)의 폭에 맞게 절단하거나 띠형 또는 밴드형의 장식 무늬를 그 표면에 접착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상기 외피(13)와 잘 어울리는 조합 형태로서 장식무늬부(18)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점이 본 발명의 큰 효과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식 벨트(20)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끼움식 벨트(20)는 내피(11)와 심재(12) 및 외피(13)가 봉합되어 이루어지고, 그 가장자리에는 보강띠(17)로 감싸져서 함께 재봉 처리되는 동일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일단에는 복수의 끼움구멍(19)이 배열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이 걸림식 벨트(10) 구성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끼움구멍(19)이 버클(도시하지 않음)의 결속을 위해 외피(13)의 중앙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장식홈(16)을 외피(13) 중앙에 배치하면 끼움구멍(19) 때문에 벨트(20) 전체에 걸쳐 형성하기가 곤란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피(13)를 상기 끼움구멍(19)의 일측으로 치우지는 선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나뉘어져서 적정 간격의 장식홈(1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피(13)는 상기 심재(12)에 재봉 처리되어 고정됨으로써 장식홈(16)이 형성된 외피(13)가 심재(12)와 일체로 봉합되고, 그 배면에는 상기 내피(11)가 상기 심재(12) 및 외피(13)와 다시 겹쳐지며, 상기 외피(13)와 내피(11)의 가장자리에는 보강띠(17)로 감싸져서 함께 재봉 처리되어 벨트(20)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외피(13)에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지게 형성되는 장식홈(16)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벨트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장식홈(16)에 의해 상기 심재(12)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므로써 심재(12) 자체의 표면 디자인 모양과 외피의 표면 디자인의 조합으로 또다른 형태의 끼움식 벨트(20)의 디자인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봉합된 벨트(20)의 가장자리는 접착 안료 등을 도포하여 마감하거나, 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보강띠(17)로 감싼 다음 상기 내피(11),심재(12),외피(13)와 함께 그 가장자리를 함께 재봉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장식홈(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식홈(16)은 파형, 톱니형, 사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도 11 내지 도 13는 파형을 일례로 하여 걸림식 벨트(10)와 끼움식 벨트(20)에 적용한 것이다.
도 11에서 표현된 장식홈(16)은 걸림식 벨트(10)로서, 파형의 진폭 형태가 완만한 디자인으로 표현된 것이다.
도 12에서 표현된 장식홈(16)은 끼움식 벨트(20)로서, 파형의 진폭을 크게하여 끼움구멍(19) 주변으로 장식홈(16)이 배치되도록 하여 버클(도시하지 않음)과의 결속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된 구성이다.
도 13에서는 직선과 파형을 조합하여 장식홈(16)을 구성한 것으로서, 특히 끼움식 벨트(20)의 경우 끼움구멍(19) 전 위치까지 파형의 장식홈(16)을 표현하고,끼움구멍(19) 구간에서는 일측으로 치우쳐서 직선형태로 디자인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장식홈(16)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서 벨트 디자인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결국, 종래와 같이 별도의 장식 부재나 벨트 원단 등을 외피 표면에 여러 겹으로 겹치는 디자인에 비하여 슬림화를 유지하면서 저렴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상기 장식홈(16)의 변형된 구성 설명은 파형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톱니형, 사각형으로도 변화될 수 있으며, 직선과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장식홈의 변형된 디자인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의복용 벨트(10),(20)의 외피 밖으로 노출된 심재(12)의 표면에 별도의 장식구(30)를 부착하여 보다 더 입체적인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의 표면에는 다수의 장식구(30)를 적정 간격으로 부착하여 구성된다.
벨트(10),(20)에 주로 사용되는 장식구(30)는 큐빅, 스팽글, 구슬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러한 장식구(30)는 입체적인 장식 디자인을 표현하는데 탁월하다.
하지만 종래에는 장식구를 외피(13) 표면에 직접 재봉이나 접착하는 방식으로 부착하여 장식을 하였기 때문에 벨트의 착용시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식구(30)를 상기 장식홈(16) 내측으로 인입된 심재(12)의 표면에 재봉 또는 접착시켜서 장식하게 됨으로써 벨트(10),(20) 착용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고, 장식구(30)가 많이 돌출되지 않아 착용시 걸려 떨어지지 않아 미려한 입체적인 벨트 장식효과를 오랜 기간 동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장식홈(16)을 이용하여 벨트(10),(20)를 착용하는 것으로 야간에 사용자의 시인성을 확보하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의 표면에는 야광 발광부(4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야광 발광부(40)는 심재(12)의 표면에 야광 물질을 점착시켜 구성할 수 있으며, 공지의 야광 소재로 된 원단이나 밴드, 테이프 등을 심재(12)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장식홈(16)을 통해 노출되는 야광 물질이 빛에 의해 발광하게 함으로써 길을 다니거나 위급 상황에서 벨트(10),(20)를 착용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위기의 상황에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큰 효과를 발휘하는 발명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의복용 벨트(10),(20)를 제조하는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의복용 벨트의 제조 방법에 의한 공정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의복용 벨트의 제조 공정에 의한 일실시예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제조 공정은 소정 폭을 갖는 내피(11)와 심재(12) 및 외피(13)가 봉합되어 이루어진 의복용 벨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피(13)와 심재(12) 및 내피(11)를 소정 폭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누는 제1공정(51)과; 상기 심재(12)의 표면에 장식무늬부(18)를 형성하는 제 2 공정(52)과; 절단되어 나뉘어진 한 쌍의 외피(13)의 사이에 상기 심재(12)의 장식무늬부(18)가 드러나도록 적정 간격을 유지시켜 장식홈(16)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심재(12)와 포개어 부착시킨 다음 상기 장식홈(16)을 따라 재봉 처리하는 제3공정(53)과; 재봉 처리된 상기 외피(13) 및 심재(12)를 상기 내피(11)와 부착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에 보강띠(17)를 감싼 다음, 그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 처리하여 상기 보강띠(17)에 의해 마감하도록 하는 제4공정(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정(51)은 외피(13)를 가공하는 공정으로서 공지의 가공 방법에 준하는데, 상기 외피(13)로 사용되는 가죽이나 인조가죽 기타 원단 소재를 벨트의 폭으로 절단하는 벨트 외형 절단 처리 공정이다.
상기 제2공정(52)은 심재(12)의 표면에 장식무늬부(18)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심재(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10),(2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품으로서 주로 합성수지 또는 두꺼운 합지 등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심재(12) 재질의 색상과 질감이 표면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대로 그 질감과 색상을 고려하여 외피와 잘 어울리는 것으로 선택하여 상기 이등분 된 외피(13)를 심재(12)와 재봉 처리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장식 무늬가 형성된 두께가 얇은 공지의 무늬 원단이나 시트 등은 심재(12)의 폭에 맞춰 절단한 다음 무늬 원단을 상기 심재(12)의 표면에 접착하여 장식무늬부(18)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3공정(53)은 상기와 같이 절단되어 나뉘어진 한 쌍의 외피(13)의 사이에 상기 심재(12)의 장식무늬부(18)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적정 간격을 유지시켜 장식홈(16)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심재(12)와 포개어 부착시킨 다음 상기 장식홈(16) 외곽 라인을 따라 재봉 처리하는 공정이다.
즉, 이등분된 외피(13)와 장식무늬부(18)가 형성된 심재(12)를 재봉하는 과정에서 각 외피(13)를 벌려 그 중앙으로 소정 간격의 장식홈(16)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심재(12)와 재봉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장식홈(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장식홈(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파형, 톱니형, 사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51)에서는 상기 장식홈(16)의 형상에 따라 벨트(10),(20)의 전체 디자인을 고려하여 상기 외피(13)를 절단할 때 파형, 톱니형, 사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홈 무늬 형상으로 절단하여 나누는 무늬절단공정(5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절단된 장식홈(16)의 모양에 따라 상기 외피(13)를 심재(12)에 재봉 처리할 때 선택되어진 장식홈(16)의 모양을 따라서 재봉 처리하면 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상기와 같은 파형 모양과 직선형의 장식홈(16)의 가공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즉, 도 11에서 표현된 장식홈(16)은 걸림식 벨트(10)에 적용된 경우로서, 파형의 진폭 형태가 완만한 디자인으로 재봉 처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끼움식 벨트(20)에 적용된 경우로서, 파형의 진폭을 크게 하여 끼움구멍(19) 주변으로 장식홈(16)이 배치되도록 하여 버클(도시하지 않음)과의 결속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재봉 처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끼움식 벨트(20)에 직선과 파형을 조합하여 적용한 것으로서, 특히 끼움식벨트(20)의 경우 끼움구멍(19) 전 위치까지 장식홈(16)을 파형 모양으로 재봉하고, 끼움구멍(19) 구간에서는 일측으로 치우쳐서 직선 형태로 재봉 처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공정에 의하면 장식홈(16)의 모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서 벨트 디자인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인 것이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별도의 장식 부재나 벨트 원단 등을 외피 표면에 여러 겹으로 겹치는 디자인에 비하여 슬림화를 유지하면서 저렴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등 제조 효율이 매우 탁월한 방법이다.
상기 제4공정(54)은 공지의 벨트 제조 공정에 준하는 것으로서, 재봉 처리된 상기 외피(13) 및 심재(12)를 상기 내피(11)와 부착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에 보강띠(17)를 감싼 다음, 그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 처리하여 마감하는 마지막 단계의 공정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제조 공정에 의하면 상기 제2공정(52)에서 상기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의 표면에 야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야광 발광부(40)를 형성 공정(5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야광발광부(40)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은 심재(12)의 표면에 야광 물질을 도포, 건조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공지의 야광 시트 또는 밴드형의 원단을 사용하여 심재(12)의 표면에 부착하여 일체로 접착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심재(12)와 외피(13)의 소재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조 단계에서 추가하면 별도의 복잡한 공정 없이도 공지의 야광 소재로 된 원단이나 테이프등을 심재의 표면에 쉽게 부착함으로써 장식홈(16)을 통해 노출되는 야광 발광부(40)가 주변 빛에 의해 발광하게 되므로 길을 다니거나 위급 상황에서 벨트를 착용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위기의 상황에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제조 공정에 의하면 상기 제3공정(53)을 거친 다음 상기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의 표면에는 입체적인 장식 효과를 발휘하도록 다수의 장식구(30)를 적정 간격으로 부착하는 공정(5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의 표면에 다수의 장식구(30)를 적정 간격으로 부착하는 공정인데, 벨트(10),(20)에 주로 사용되는 장식구(30)로는 큐빅, 스팽글, 구슬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와 같은 장식구(30) 부착 공정(57)은 제3공정(53)을 거친 다음 상기 장식홈(16) 내측으로 인입된 심재(12)의 표면에 재봉 또는 접착 방식으로 부착하여 장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벨트(10),(20) 착용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고 장식구(30)가 많이 돌출되지 않아 착용시 걸려 떨어지지 않아 미려한 입체적인 벨트 장식효과를 오랜 기간 동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팽글이나 큐빅과 같이 자동 재봉 장치 또는 자동 부착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장식구의 경우에는 벨트의 기본 제조 공정이 종료된 이후에도 장식홈을 따라 소정의 패턴으로 재봉 처리하여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심재의 표면에 무늬 모양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쇄를 하거나 원단을 부착하는 등의 구성은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심재에 포함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의복용 벨트의 일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의복용 벨트의 다른 예를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벨트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 5의 가-가선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벨트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 8의 나-나선 확대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이 표현된 의복용 벨트를 나타낸 정면도들,
도 14는 본 발명의 의복용 벨트의 제조 방법에 의한 공정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의복용 벨트의 제조 공정에 의한 일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걸림식벨트 11 : 내피
12 : 심재 13 : 외피
14 : 보강띠 15 : 걸림홈
16 : 장식홈 18 : 장식무늬부
19 : 끼움구멍 20 : 끼움식벨트
30 : 장식구 40 : 야광발광부

Claims (9)

  1. 외피(13)와 심재(12) 및 내피(11)가 봉합되어 이루어지고, 그 가장자리는 보강띠(17)로 감싸져서 함께 재봉 처리되어 이루어진 의복용 벨트(10)에 있어서,
    상기 외피(13)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나뉘어져서 적정 간격의 장식홈(16)이 형성되도록 상기 심재(12)에 재봉 처리되고, 상기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 표면에는 장식무늬부(18)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벨트.
  2. 외피(13)와 심재(12) 및 내피(11)가 봉합되어 이루어지고, 그 가장자리에는 보강띠(17)로 감싸져서 함께 재봉 처리되고, 일단에는 다수의 끼움구멍(19)이 배열 형성되어 이루어진 의복용 벨트(20)에 있어서,
    상기 외피(13)는 상기 끼움구멍(19)의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나뉘어져서 적정 간격의 장식홈(16)이 형성되도록 상기 심재(12)에 재봉 처리되고, 상기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 표면에는 장식무늬부(18)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벨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홈(16)의 양 가장자리는 파형, 톱니형, 사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벨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의 표면에는 다수의 장식구(30)가 적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입체적인 장식효과를 발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벨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의 표면에는 야광 발광부(40)가 형성되어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벨트.
  6. 소정 폭을 갖는 내피(11)와 심재(12) 및 외피(13)가 봉합되어 이루어진 의복용 벨트(10),(2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피(11)와 심재(12) 및 외피(13)를 소정 폭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누고 상기 외피(13)는 길이 방향으로 중간을 절개하는 제1공정(51)과;
    상기 심재(12)의 표면에 장식무늬부(18)를 형성하는 제2공정(52)과;
    절단되어 나뉘어진 한 쌍의 외피(13)의 사이에 상기 심재(12)의 장식무늬부(18)가 드러나도록 적정 간격을 유지시켜 장식홈(16)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심재(12)와 외피(13)를 포개어 부착시킨 다음 상기 장식홈(16)을 따라 재봉 처리하는 제3공정(53)과;
    재봉 처리된 상기 외피(13) 및 심재(12)를 상기 내피(11)와 부착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에 보강띠(17)를 감싼 다음, 그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 처리하여 상기 보강띠(17)에 의해 마감하도록 하는 제4공정(5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벨트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51)에서 상기 장식홈(16)을 파형, 톱니형, 사각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외피(13)를 파형, 톱니형, 사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홈 무늬 형상으로 절단하여 나누는 무늬절단공정(5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벨트 제조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52)에서 상기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의 표 면에는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야광 발광부(40)를 형성하는 공정(5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벨트 제조 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53)을 거친 다음 상기 장식홈(16)에 의해 드러나는 상기 심재(12)의 표면에는 입체적인 장식 효과를 발휘하도록 다수의 장식구(30)를 적정 간격으로 부착하는 공정(5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벨트 제조 방법.
KR1020070112362A 2007-11-05 2007-11-05 의복용 벨트 및 제조방법 KR100953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362A KR100953002B1 (ko) 2007-11-05 2007-11-05 의복용 벨트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362A KR100953002B1 (ko) 2007-11-05 2007-11-05 의복용 벨트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311A true KR20090046311A (ko) 2009-05-11
KR100953002B1 KR100953002B1 (ko) 2010-04-14

Family

ID=4085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362A KR100953002B1 (ko) 2007-11-05 2007-11-05 의복용 벨트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0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89A2 (ko) 2009-05-27 2010-12-02 주식회사 엘지화확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리튬 이차 전지
KR200490205Y1 (ko) * 2019-06-27 2019-11-18 윤상준 통가죽 벨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0976A (en) 1979-10-09 1982-07-27 Wright Leather Goods Manufacturing Co. Filigreed belt and process
JPS58105426U (ja) 1982-01-13 1983-07-18 大阪矢ユニポケツト株式会社 ズボンウエスト部の内張りベルト
JP2001215906A (ja) 2000-01-28 2001-08-10 Seiko Epson Corp 光反射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89A2 (ko) 2009-05-27 2010-12-02 주식회사 엘지화확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리튬 이차 전지
KR200490205Y1 (ko) * 2019-06-27 2019-11-18 윤상준 통가죽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002B1 (ko)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532B1 (en) Elastic fashion accessory band
US8082683B1 (en) Strap wrap
US20050284419A1 (en) Fabric-covered pet collar
US20060162042A1 (en) Laminated sewing-free concealed zipper closure for an outwear having one-piece-fabric-slit body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953002B1 (ko) 의복용 벨트 및 제조방법
US7143483B1 (en) Belt buckle with ornamental backing
US6295995B1 (en) Permanently covered rigid or semi-rigid mounting piece for an article of fashion
KR100897035B1 (ko) 다중겹무늬 원단 및 그의 형성방법
US4004296A (en) Multiple strip garment with stitched tape bor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RU204682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из кожи и изделие из кожи
TWM581118U (zh) Weaving structure of bag-like articles
CN205597414U (zh) 一种运动腰包
JPH07194413A (ja) 釦、ホック代用止め具
CN215827400U (zh) 一种化妆品盒装饰盖
US20070044207A1 (en) Clothing for hood ornament
KR200227200Y1 (ko) 머리끈
GB2299789A (en) Tape
JP2002115113A (ja) ボタン穴及びこれを用いた各種物品
KR100292855B1 (ko) 입체자수모양 및 입체자수방법
JPH0527453Y2 (ko)
KR200253567Y1 (ko) 모피 장신구
KR200190838Y1 (ko) 헤어밴드
KR19980071947A (ko) 반짝이를 포함하는 악세사리의 장식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3095073U (ja) チマヨ・ブランケットを貼り合わせた皮革製品
JP3056284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