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567Y1 - 모피 장신구 - Google Patents

모피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567Y1
KR200253567Y1 KR2020010023245U KR20010023245U KR200253567Y1 KR 200253567 Y1 KR200253567 Y1 KR 200253567Y1 KR 2020010023245 U KR2020010023245 U KR 2020010023245U KR 20010023245 U KR20010023245 U KR 20010023245U KR 200253567 Y1 KR200253567 Y1 KR 200253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
ornaments
fabric
colors
d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찬
Original Assignee
송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찬 filed Critical 송기찬
Priority to KR2020010023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567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된 띠 형태의 모피원단을 일방향으로 감아 방울 형상을 이루도록 하므로써, 꽃 내지는 회오리와 같은 문양을 가져 장식감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모피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의 모피 장신구(1)는, 한 가지이상의 색상으로 염색된 띠 형상의 모피원단을 심재(13)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봉제하여 모피골조체를 형성하되, 이 모피골조체를 롤(roll) 형태로 감아 형성시킨 모피장식체(20)와; 일면이 상기 모피장식체의 저부에 부착되고, 타면에 체결핀(31)이 결합된 신체착용편(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모피 장신구{furs personal ornaments}
본 고안은 모피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된 띠 형태의 모피원단을 일방향으로 감아 방울 형상을 이루도록 하므로써, 꽃 내지는 회오리와 같은 문양을 가져 장식감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모피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멋을 추구함은 사람의 본능적인 욕구이며, 이같은 멋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색채 및 질감을 갖는 의류가 보급되고 있다. 또한, 의류의 색상이나 디자인과 잘 조화되어 보다 다양한 분위기의 연출 및 패션감을 부각시키기 위한 용도로 각종 장신구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장신구는 여러가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고형소재를 이용한 제품이 있으며, 그밖에 모피를 이용하여 부드러운 질감을 느끼게 하는 제품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같은 장신구는 그 소재에 따라 각기 다른 장식감을 나타내는 것이며, 사용자는 자신의 의상과 잘 조화되는 적합한 장신구를 선택하여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각기 다른 소재로 제작되는 장신구의 특성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금속 및 플라스틱 소재의 장신구는, 가공성이 우수한 소재의 특성상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형상이 정형화된 고형체인 관계로 착용후 행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작은 부피로 성형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이같은 금속(또는 플라스틱) 장신구는 차가우면서 절제된 느낌을 주는 것이므로, 세련되고 정돈된 느낌의 패션 연출에 적합하며, 활동적이고 화사한 분위기의 패션 연출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모피 소재의 장신구는, 의류 재질과 유사한 질감을 갖는 소재의 특성상, 화사한 이미지 연출에 적합한 동시에 의류와의 조화감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모피소재는 중량이 가벼울 뿐만아니라 자유롭게 절곡될 수 있어, 모피장신구는 제작부피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모피 소재의 장신구는 모자나 목도리와 같이 비교적 큰 부피를 갖는 장신구의 형태로 제공되기도 하며, 작은 부피를 갖는 브러지 형태로 가공되어 의류의 적정위치에 부착하여 패션을 연출할 수 있도록 제공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브러지형으로 가공되는 모피 장신구는, 대부분 방울 형상 등의 단조로운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었으며, 이렇게 단조롭게 가공된 모피 장신구에 다양한 색상을 염색하기 위해서는, 각 장신구에 개별적인 염색을 시행하는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모피 장신구는 단색상으로 이루어져 미감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었고, 이렇게 단조로운 모피 장식구에 의해서는 다양한 패션의 연출에 한계가 따르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한 모피원단에 심재를 결합하여 띠 구조의 모피골조체를 형성하고, 이같은 모피골조체를 감아 브러지 형태의 장신구를 형성하므로서, 외형이 꽃 내지는 소용돌이 무늬를 연상시켜 미감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모피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피 장신구의 전체외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피골조체의 펼침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모피골조체를 감아 완성된 장신구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피골조체의 펼침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모피골조체를 감아 완성된 장신구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모피 장신구 10,50: 모피골조체 11: 피혁재 12: 모피 13: 심재 20,60: 모피장식체 30: 신체착용편 31: 체결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모피 장신구는, 한 가지이상의 색상으로 염색된 띠 형상의 모피원단을 심재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봉제하여 모피골조체를 형성하되, 이 모피골조체를 롤(roll) 형태로 감아 형성시킨 모피장식체와; 일면이 상기 모피장식체의 저부에 부착되고, 타면에 체결핀이결합된 신체착용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모피 장신구는, 상기 모피골조체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염색된 2개 이상의 띠형 모피원단을 각각 길이방향으로 접은 상태로 상호 평행하게 접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모피원단중 적어도 하나의 모피원단에 심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모피 장신구는 또한, 상기 모피띠의 염색부위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이한 색상의 염색구간을 갖도록 하여, 상기 모피띠와 심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모피골조체를 감아 원형의 장식체 형성시, 모피에 의해 표현되는 장식체의 장식면이 그 중앙부에서 외곽부를 향해 다양한 색상을 이루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피 장신구의 전체외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피골조체의 펼침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모피골조체를 감아 완성된 장신구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피 장신구(1)는, 피혁재(11)와 모피(12)로 이루어지는 모피원단을 띠 형상으로 제단한 후, 상기 띠 형상으로 제단된 모피원단에 심재(13)를 결합하여 모피골조체(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같은 모피골조체(10)를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아 원형의 돔 내지는 원판형을 이루도록 하므로써, 실질적으로 장신구 형상을 이루는 모피장식체(20)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즉, 피혁재(11)의 상면에 모피(12)가 식재되는 모피원단을 한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염색한 후, 상기 모피원단을 얇은 폭으로 제단하여 띠 형태로 가공한다. 그리고, 염색된 모피(12)가 바깥면을 향하도록 상기 띠형의 모피원단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접은 상태에서, 모피원단 저면의 피혁재(11) 내측으로 소정 굵기의 심재(13)를 삽입한 후, 상기 피혁재(11)의 마주보는 하부를 제봉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심재(13)는 얇은 직경을 가져 자유롭체 굴곡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는 철사줄을 이용하였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모피 저부의 피혁재(11)에 심재(13)가 자유롭게 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는 모피골조체(10)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모피골조체(10)를 일측 단부를 시작으로 롤 형상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감아주므로써, 원판형을 이루거나, 또는 감겨지는 모피골조체(10)의 높이를 조금씩 높여주어 원형의 돔 형상을 갖도록 한 모피장식체(2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피장식체(20)의 저부를 이루는 피혁재(11)에 원판형의 신체착용편(30)을 결합하되, 상기 신체착용편(30)은 일면에 체결핀(31)을 구비한체 그 타측면이 상기 피혁재(11)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이같이 모피장식체(20)와 신체착용편(30)의 결합에 의해 본 고안의 모피 장신구(1)가 구성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모피 장신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염색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모피골조체(10,10a)를 상호 평행하도록 접합시킨 다음, 상기 모피골조체(10,10a)들을 동시에 롤 형태로 감아 모피장식체(20)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모피장식체(20)의 표면은 두가지 이상의 색상이 동심원을 이루면서 교차되는 문양을 갖는 것이므로, 시각적으로 꽃무늬 내지는 소용돌이 무늬를 연상시키게 되어 장식감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2개의 모피골조체(10,10a)를 결합시킴에 있어, 본 실시예와 같이 각 모피골조체(10,10a)가 모두 띠 형상의 모피원단에 심재(13)를 결합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모피원단에만 심재를 결합하여, 이같이 심재를 갖는 모피원단을 중심으로 나머지 모피원단도 감겨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모피 장신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하나의 모피골조체(50)를 여러개의 염색구간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마다 상이한 색상으로 염색하여 주는 것이다. 이렇게 상이한 염색구간을 갖는 모피골조체(50)를 롤 형태로 감아 모피장식체(60)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모피장식체(6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상이 모피장식체(6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층을 이루면서 배열되는 것이므로, 다양한 색감을 통해 시각적인 미려함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피골조체(50)가 2개의 염색구간('a' 'b')을 갖도록 하므로써, 상기 모피골조체(50)를 감아 제작되는 모피장식체(60)의 디자인이 중앙부 및 그 외곽부를 이루는 2개의 색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모피 장신구에 의하여, 브러지 형태로 가공되는 모피 장신구가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려한 형태로 제작됨에 따라, 장식감의 향상을 가져올 뿐만아니라, 그로 인해 의복의 색상이나 디자인에 맞추어 보다 다양한 패션의 연출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3)

  1. 한 가지이상의 색상으로 염색된 띠 형상의 모피원단을 심재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봉제하여 모피골조체를 형성하되, 이 모피골조체를 롤 형태로 감아 형성시킨 모피장식체와;
    일면이 상기 모피장식체의 저부에 부착되고, 타면에 체결핀이 결합된 신체착용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피골조체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염색된 2개 이상의 띠형 모피원단을 각각 길이방향으로 접은 상태로 상호 평행하게 접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모피원단중 적어도 하나의 모피원단에 심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 장신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모피원단의 염색부위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이한 색상의 염색구간을 갖도록 하여, 상기 모피원단과 심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모피골조체를 감아 원형의 모피장식체 형성시, 모피에 의해 표현되는 장식체의 장식면이 그 중앙부에서 외곽부를 향해 다양한 색상을 이루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 장신구.
KR2020010023245U 2001-07-31 2001-07-31 모피 장신구 KR200253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245U KR200253567Y1 (ko) 2001-07-31 2001-07-31 모피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245U KR200253567Y1 (ko) 2001-07-31 2001-07-31 모피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567Y1 true KR200253567Y1 (ko) 2001-11-22

Family

ID=7306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245U KR200253567Y1 (ko) 2001-07-31 2001-07-31 모피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5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141B1 (ko) 2013-11-21 2014-10-1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국화 코사지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141B1 (ko) 2013-11-21 2014-10-1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국화 코사지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3567Y1 (ko) 모피 장신구
JP3146621U (ja) 装身具
US6295995B1 (en) Permanently covered rigid or semi-rigid mounting piece for an article of fashion
US20060265878A1 (en) Sports ball novelty item and method for forming
KR101191352B1 (ko) 모피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0585313B1 (ko) 인조 또는 천연모피로 이루어진 모피 레이스를 이용한 모피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피 제품
KR100393346B1 (ko) 장식용 털 코사지의 제작 방법
WO2019223019A1 (zh) 蚕茧配饰及其制作方法
KR101403792B1 (ko) 직물 장신구의 제작 방법 및 그 직물 장신구
CN205337890U (zh) 一种可佩戴的装饰品
US11969044B2 (en) Reconfigurable hat
KR101018834B1 (ko) 모피장식물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모피장식물 및상기 장식물을 포함하는 제품
CN216416276U (zh) 一种可变化吊坠
KR101834009B1 (ko) 장식용 꽃 제작 방법
KR20150007014A (ko) 모피 장식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신구
CN211185903U (zh) 一种上衣
KR101934113B1 (ko) 장식용 술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장식용 술
KR200338309Y1 (ko) 액세서리줄
JP3058777U (ja) 首飾り
JP3094813U (ja) アクセサリー
Lin Design Comparison of Creative Tang Suit and European Imperial Costume
JP3043311U (ja) コサージュ用の花どめ及びそれを利用したコサージュ
Olian Full-color Victorian fashions, 1870-1893
KR200227200Y1 (ko) 머리끈
JP2017082358A (ja) 造花と造花の製作方法、造花を用いた装飾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