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832A - 흡착제 냉각장치를 구비한 가정용 음료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흡착제 냉각장치를 구비한 가정용 음료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832A
KR20090042832A KR1020097004482A KR20097004482A KR20090042832A KR 20090042832 A KR20090042832 A KR 20090042832A KR 1020097004482 A KR1020097004482 A KR 1020097004482A KR 20097004482 A KR20097004482 A KR 20097004482A KR 20090042832 A KR20090042832 A KR 2009004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adsorbent
cooling
be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엠. 슬롯
욜데르트 엠. 보에르스마
후구이 왕
마르셀리누스 제이. 엠. 브루게만
스트라아텐 롤랜드 반
파울루스 씨. 뒤네벨드
요한 비. 쿠페루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4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69Cooling arrangements using solid state elements, e.g. Peltie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7/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 F25B17/08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the absorbent or adsorbent being a solid, e.g. sa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7/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 F25B17/08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the absorbent or adsorbent being a solid, e.g. salt
    • F25B17/083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the absorbent or adsorbent being a solid, e.g. salt with two or more boiler-sorbers operating alternat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음료를 함유한 음료통(1)을 둘러싸 냉각하는 음료 분배장치는, 음료를 음료통(1)에서 분배 꼭지로 안내하여 분배장치에서의 음료 배출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 장치는 음료통(1)과 직접 열 접촉하고 있는 열 전달수단(4)이 설치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다. 이 냉각 시스템에는, 액체 작업물질(8)을 수납하며 증발하는 액체 챔버(5)와, 증발된 작업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9)를 수납하는 흡착제 챔버(6)를 구비한 흡착제 냉각장치가 설치된다. 액체 챔버(5)는 조절 밸브(12)를 통해 흡착제 챔버(6)와 연결된다.
음료 분배장치, 냉각장치, 흡착제, 맥주통, 펠티에 소자

Description

흡착제 냉각장치를 구비한 가정용 음료 분배장치{A DOMESTIC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COMPRISING AN ADSORBENT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음료를 포함하는 음료통(keg)을 둘러싸 냉각하는 음료 분배장치(dispensing apparatus)로서, 상기 음료를 상기 음료통으로부터 분배 꼭지(dispensing tap)로 안내하여 상기 분배장치에서의 음료 배출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음료통과 직접 열접촉하고 있는 열 전달수단이 설치된 냉각 시스템을 더 구비한 음료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술집 등에서 맥주를 분배하기 위한 상업용의 음료 분배장치는 알려져 있다. 이때, 보통, 맥주가 맥주 분배 꼭지로 안내되는 동안 맥주가 냉각장치로 냉각된다. 이와 같은 생맥주 분배기는 대량의 맥주가 매일 분배되는 선술집에서 이용되며, 이와 같은 선술집들은 대형의 냉각장치를 수납하는데 이용가능한 공간을 갖는다. 주방의 조리대 위나 테이블 위에 재치하도록 구성된 가정용 맥주 분배장치에 대해서는 이것이 해당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가정용의 맥주 분배장치에서는, 맥주가 맥주통으로부터 분배장치의 맥주 분배 꼭지로 안내되기 전에, 맥주가 맥주 통에 있는 동안 맥주가 냉각된다. 이와 같은 가정용 맥주 분배장치는 WO-A-2004/05116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음료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지만, 음용 온도로 냉각되어야 하는 모든 종류의 음료를 분배하는 장치는 이하에서는 맥주 분배장치라고 칭한다. 그러나, 다른 음료도 동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
맥주를 포함하는 맥주통을 냉각시키기 위해, 맥주통이 맥주 분배장치 내부에 놓이기 전에 이 맥주통을 얼마동안 냉각장치 내부에 놓을 수 있다. 맥주통이 맥주 분배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동안 맥주통을 냉각하여 그것의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맥주 분배장치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소위 펠티에(Peltier) 냉각소자가 설치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전류가 접점들을 통해 흐를 때 쌍을 이룬 금속이나 반도체들의 한 개의 접점에서는 열이 흡수되고 다른 접점에서는 열이 방출된다.
펠티에 냉각소자의 중요한 이점은, 그것의 작은 치수와, 펠티에 냉각소자는 그것이 사용되고 있을 때 노이즈를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각소자는 제한된 냉각용량을 가져, 맥주통에 있는 맥주를 실온에서 원하는 음용 온도로 냉각시킬 때에는 비교적 장시간이 걸린다. 6 리터의 맥주를 포함하는 맥주통을 가정용 맥주 분배장치에서 23℃에서 3℃로 냉각할 때에는 10시간 이상이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짧은 기간에 맥주를 냉각시키기 위해 압축 냉각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반 시간 등과 같이 매우 짧은 시간에 맥주를 냉각시키는 것은 매우 강력한 냉각장치를 필요로 할 것이고, 이것은 큰 전류 공급과 큰 냉 각장치의 용적을 필요로 할 것으로, 이것은 가정영 맥주 분배장치에 대해서는 문제가 된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함유한 음료통을 둘러싸는 음료 분배장치로서, 상기 분배장치 내부의 음료통과 직접 열 접촉하고 있는 열 전달수단에 설치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여, 분배장치 내부에서 음료통이 비교적 단시간에 냉각될 수 있는 음료 분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를 함유한 음료통을 둘러싸는 음료 분배장치로서, 음료통을 위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여, 음료 분배장치에 비교적 높은 전류 공급을 할 필요가 없이, 비교적 단시간에 음료를 냉각할 수 있는 음료 분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를 함유한 음료통을 둘러싸는 음료 분배장치로서, 음료통을 위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여, 큰 냉각장치 용적이 필요없이, 비교적 단시간에 음료를 냉각할 수 있는 음료 분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를 함유한 음료통을 둘러싸는 음료 분배장치로서, 음료를 위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음료를 냉각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음료를 차갑게 유지할 수 있으며, 냉각 시스템이 사용중일 때 분배장치가 노이즈를 발생하지 않는 음료 분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를 함유한 음료통을 둘러싸는 음료 분배장치로서, 음료 분배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이 필요없이, 음료통을 냉각할 수 있거나, 및/또는 음료통을 분배장치에서 차갑게 유지할 수 있는 음료 분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의 1개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냉각 시스템에는, 액체 작업물질(working substance)을 수납하고 증발시키는 액체 챔버와, 상기 증발된 작업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수납하는 흡착제 챔버를 구비한 흡착제 냉각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액체 챔버가 조절 밸브를 통해 상기 흡착제 챔버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흡착 냉각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냉각을 위해 펠티어 냉각장치의사용을 조합하는 것에 관계없이, 설계에 의존하여, 심지어 반시간보다 적은 시간의 비교적 단시간에 음료 분배장치에서 음료가 냉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음료 분배장치가 가정용 맥주 분배장치이다. 실험에 따르면, 이와 같은 맥주 분배장치는 모든 기대에 부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맥주통은 그것의 저면에 있는 열 접촉부재를 사용하여 냉각될 수 있으며, 이때 맥주통은 접촉부재 위에 안착된다. 이 대신에, 또는 이에 덧붙여, 냉각 시스템의 열 전달수단이 맥주통의 원통형 측벽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열 접촉부재를 구비하여, 냉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맥주통으로부터 열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착제가 제올라이트이고, 상기 작업물질이 물이며, 이 물에 첨가제들이 첨가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규소과 산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규칙적인 격자 구조를 갖는 결정성 광물이다. 격자 구조는 물 분자들이 흡착될 수 있는 작은 공극들을 포함하여, 열이 방출된다. 이 격자 내부에서는, 물 분자들을 격자 내부에 액체와 유사한 상(liquid-like phase)으로 결합하는 강력한 힘의 장(field forces)에 물 분자들이 노출된다. 300ml의 물을 흡착하는데 약 1.5kg의 제올라이트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물의 양은 약 6 리터의 맥주를 23℃에서 3℃로 냉각하는데 충분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냉각처리를 가속하기 위해, 첨가제들이 물이 첨가되어 물의 어는점을 낮춘다.
고체 흡착제가 작업물질을 흡착하는 이와 같은 흡착 냉각장치의 원리는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이것은 US-B-682044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따른 장치는 일종의 냉각장치로서, 맥주를 함유한 맥주통을 냉각하는데 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맥주통과 직접 열 접촉하고 있는 열 전달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경우에서 같이, 짧은 냉각시간의 이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맥주를 냉각하기 위한 흡착 냉각장치의 사용은 예를 들어 US-B-6378326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따르면, 맥주통이 맥주 뿐만 아니라 흡착 냉각장치를 포함하여, 냉각장치가 맥주를 그것의 음용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맥주통에서 맥주가 직접 분배될 수 있다. 모든 맥주가 분배된 후에는, 맥주통을 공장으로 돌려보내, 냉각장치를 재생시키고 맥주로 맥주통을 리필시켜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착제를 가열하여 탈착(desorption) 처리로 흡착제에서 작업물질을 빼내는 히터를 구비한 재생수단이 존재한다. 흡착제가 제올라이트이고 작업 물질이 물이면, 제올라이트를 150℃ 내지 300℃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제올라이트에서 물을 이탈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착처리 후에 증발된 작업물질이 응축될 수 있으며,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작업물질을 응축하는 응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챔버에서 상기 흡착제 챔버로 작업물질을 안내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작업물질은 액체 챔버 내부에서 떠는 액체 챔버로 가능 도중에 응축될 수 있다. 작업 물질이 시스템 내부에 머물고 있고 재생후에 재사용되므로, 이와 같은 흡착제 냉각장치는 폐쇄 시스템(closed system)으로 불린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탈착처리 후에 작업물질을 증발된 상태로 대기로 내보낸다. 그후, 작업불질의 증발 및 흡착에 의한 다음 냉각처리를 개시하기 위해, 액체 작업물질, 예를 들어 물로 액체 챔버를 리필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장치는 맥주통에 가스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이 수단은 펌프를 구비하고, 이 펌프는 액체 챔버에서 가스를 펌핑하여 제거하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공기가 액체 챔버에서 펌프로 제거된 후에, 냉각처리가 일어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분배장치의 냉각 시스템은, 맥주통을 냉각하는 펠티에 냉각장치를 더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흡착 냉각장치를 사용하여 맥주통이 단시간에 그것의 낮은 음용온도로 냉각될 수 있는 한편, 펠티에 냉각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맥주통이 이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숲속에서의 나들이 중에, 전원의 존재없이 음료 분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흡착장치 시스템은 제한된 기간 동안 음료를 차갑게 유지할 수 있는데, 맥주통을 맥주 분배장치 내부에 넣기 전에 냉장고에서 냉각시킨 경우에는 이 기간이 상당히 길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펠티에 냉각장치와 흡착제 냉각장치는 모두 맥주통의 원통형 측벽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는 동일한 열 접촉부재를 냉각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펠티에 냉각장치는 맥주통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흡착 냉각장치는 비교적 큰 원통형 측벽을 통해 맥주통을 냉각시키고, 펠티에 냉각장치는 맥주통의 저면을 통해 맥주통을 냉각시킨다. 일반적으로, 맥주통이 음료로 완전히 채워져 있는 동안 신속한 냉각처리가 일어나, 맥주통의 비교적 큰 측벽을 통해 열전달이 수행될 수 있으며, 맥주통이 음료로 일부만 채워져 있을 때에는, 맥주통이 거의 비워 있을 때에도 음료와 여전히 접촉하고 있는 맥주통의 저면을 통해 음료가 냉각될 수 있다.
이하,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맥주를 함유한 맥주통을 둘러싸 냉각하며 맥주통과 직접 열 접촉하고 있는 열 전달수단이 설치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가정용 맥주 분배장치의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펠티에 냉각장치를 더 구비한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재생수단을 구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맥주통의 상단 적재용 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맥주통의 측면 적재용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더 많은 수의 분리된 흡착 냉각장치들을 갖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첨부도면은 매우 개략적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기여 하는 부분만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은 전체의 맥주 분배장치를 도시하고 있지 않은데, 이 장치는 예를 들어 WO-A-2004/051163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는 맥주를 함유한 맥주통(1)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맥주통(1)은 가정용 맥주 분배장치 내부에 둘러싸여 있으며, 또한 이 도면에는 맥주통(1)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시스템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맥주통(1)은 대략 원통의 용기로서, 중심축(20을 갖고, 예를 들어, 6 리터의 맥주를 함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맥주 분배장치의 흡착 냉각자치(3)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 흡착제 냉각장치(3)의 열 전달수단은, 맥주통(1)의 대략 원통형의 측벽과 열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재(4)이다. 접촉부재(4)의 재료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열전도 고분자 또는 흑연이다. 흡착 냉각장치(3)는 액체 챔버(5)와 흡착제 챔버(6)를 구비한다. 액체 챔버(5)는 열 접촉부재(4)와 접하고 있으며, 물을 흡수하는 재료의 시이트(7)가 접촉 챔버(4)에 맞닿아 부착되어 있다. 이 재료(7)는, 예를 들어, 접촉부재(4)에 부착되거나 접촉부재 위에 펼쳐진 부직포 유리 섬유이거나 광물 섬유 재료일 수 있다. 일정한 양의 물(8)이 액체 챔버(5) 내부에 존재하며, 이 물(8)은 시이트(7)에 흡수될 수 있거나, 및/또는 액체 챔버(5)의 바닥에 존재한다.
흡착제 챔버(6)는, 제올라이트(9)의 표면과 흡착제 챔버(6) 내부의 가스(증 발된 물) 사이에 큰 계면을 형성하기 위해 흡착제 챔버(6)의 외벽(10)에 부착된다. 더구나, 외벽(10)은 외부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데, 이 열은 증발된 물의 흡착중에 제올라이트(9) 내부에서 발생된다.
액체 챔버(5)와 흡착제 챔버(6) 사이에는 개구(11)가 존재하며, 이 개구(11)는 조절 밸브(12)를 사용하여 개폐될 수 있는데, 이때 조절 밸브(12)는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조절 밸브(12)는 제어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조절되어, 원하는 개방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냉각처리가 개시되기 전에는, 밸브(12)가 폐쇄 위치에 있고, 액체 챔버(5)와 증발된 물을 함유하고, 흡착제 챔버(6)에는 진공, 또는 거의 진공이 존재한다.
냉각처리를 개시하기 위해, 조절 밸브(12)가 개방되어, 증발된 물이 개구(11)를 통해 액체 챔버(5)에서 흡착제 챔버(6)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흡착제 챔버에서 제올라이트(9)에 흡착된다. 이에 따라, 시이트(7)에 있는 액체 물이 증발하여, 시이트(7)와, 열 접촉부재(4)가 냉각된다. 시이트(7)의 외표면이 물의 어는점까지 냉각되면, 증발이 줄어들어, 조절 밸브(12)가 완전 개방 위치로 유지될 때 시이트(7)의 온도가 물의 어는점 근처로 유지된다. 밸브(12)를 조절함으로써, 물(8)의 증발과, 이에 따라 접촉부재(4)의 온도를 물의 어는점보다 높은 원하는 임의의 온도로 조정할 수 있다.
6 리터의 맥주를 함유하는 맥주통(1)을 23℃에서 3℃로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약 1.5kg의 제올라이트(9)와 약 300ml의 물(8)이면 충분하다. 맥주를 그것의 음용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맥주가 그것의 음용온도로 유지되어야 하는 시간에 의존하여, 더 많은 양의 제올라이트(8)와 더 많은 양의 물(8)이 존재해야 한다. 그러나, 맥주통(1)을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펠티에 냉각장치 등의 추가적인 냉각수단이 존재하여, 정해지지 않은 긴 기간 동안 맥주를 차게 유지할 수도 있다.
도 2는, 위에서 설명한 흡착제 냉각장치(3) 이외에, 펠티에 냉각장치(13)가 존재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펠티에 냉각장치(13)는, 펠티에 소자(14)와, 히트싱크(15)와, 히트싱크를 냉각시키는 팬(16)을 구비한다. 펠티에 소자(14)는 열 접촉부재(4)에 부착되어 접촉부재(4)를 냉각시킨다. 이에 따르면, 접촉부재(4)가 흡착제 냉각장치(3) 뿐만 아니라 펠티에 냉각장치(13)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도 3은, 전술한 것과 같은 냉각처리가 다시 반복될 수 있도록, 흡착제 냉각장치(3)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구비한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물(8)이 증발되어 제올라이트(9)에 의해 흡착된 후, 제올라이트(9)가 전기 가열부재들(17)을 사용하여 150℃ 내지 300℃의 온도로 가열됨으로써, 흡착된 물이 제올라이트(9)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조절 밸브(12)가 폐쇄되어, 증발된 물이 개구(18)를 통해 응축 챔버(19)로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에서, 히트싱크(20)의 이면에서 물이 응축되는데, 이때 히트싱크(20)는 화살표 21로 표시한 것과 같이 강제 공기 냉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응축된 물은 개구(22)를 통해 응축 챔버(19)를 벗어나 액체 챔버(5)에 도착한다. 모든 물이 흡착제 챔버(6)를 빠져나간 후, 개구들 18 및 22가 폐쇄되어, 조절 밸브 12를 개방함으로써 다음의 냉각처리가 개시될 수 있다. 그후 제올라이트를 냉각하여 흡착처리가 발생할 때 제올라이트를 150℃보 다 낮은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흡착제 챔버(6P의 외벽(10)의 외면에는 다수의 히트싱크(23)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흡착제 냉각장치(3)는 소위 폐쇄 흡착 시스템으로서, 작업물질(물)이 시스템 내부에 머물고, 재생처리 후에 재사용된다. 이 흡착제 냉각장치(3)는 개방 흡착 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제올라이트(9)가 재생되고, 탈착된 물이 외부의 공기로 증발된다. 제올라이트(9)는 그것이 흡착제 챔버(6)에 있는 동안 가열될 수 있지만, 흡착제 챔버(6)에서 꺼내어 가정용이나 산업용 오븐에 넣음으로써 그것을 가열할 수도 있다. 흡착처리가 다시 개시되기 전에, 액체 챔버(5)를 소정량의 물로 채워야 하며, 액체 챔버(5)와 흡착제 챔버(6)에서 물을 펌프로 배출해야 한다. 맥주 분배장치가 맥주통에 가스를 공급하여 맥주를 밖으로 분출하는 펌프를 구비한 경우에는, 이들 2개의 챔버(5, 6)에서 펌프로 공기를 빼내기 위해 동일한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상단 적재기, 즉 맥주통(1)이 위에서 장치 내부에 놓이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열 접촉부재(4)가 맥주통(1)을 완전히 감쌀 수 있다. 도 5는 측면 적재장치, 즉 맥주통(1)이 측면에서 장치 내부에 놓이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열 접촉부재(4)가 맥주통(1)을 일부만 둘러쌀 수 있으며, 절연 도어(미도시)가 맥주통(1)의 나머지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도 6은 6개의 분리된 흡착제 챔버들(24, 25)이 액체 챔버(5) 주위에 배치된 상부 적재기를 표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3개의 흡착제 챔버(24)에 있는 제올라이트가 재생될 수 있는 한편, 나머지 3개의 흡착제 챔버들(25)에 있는 제올라이트는 액체 챔버(5)에서 증발된 물을 흡착한다. 이와 같은 배치는 흡착처리에 의한 맥주통의 연속적인 냉각을 가능하게 만든다.
전술한 것과 같은 가정용 음료 분배장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많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Claims (10)

  1. 음료를 함유한 음료통을 둘러싸 냉각시키는 음료 분배장치로서, 상기 음료를 상기 음료통으로부터 분배 꼭지로 안내하여 상기 분배장치에서의 음료 배출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음료통과 직접 열접촉하고 있는 열 전달수단이 설치된 냉각 시스템을 더 구비한 음료 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 시스템에는, 액체 작업물질을 수납하고 증발시키는 액체 챔버와, 상기 증발된 작업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수납하는 흡착제 챔버를 구비한 흡착제 냉각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액체 챔버가 조절 밸브를 통해 상기 흡착제 챔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시스템의 상기 열 전달수단은 상기 음료통의 원통형 측벽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제올라이트이고 상기 액체 작업물질은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어는점을 낮추기 위해 물에 첨가제들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에서 작업물질을 빼내기 위해 상기 흡착제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 재생수단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작업물질을 응축하는 응축장치와, 상기 작업물질을 상기 흡착제 챔버로부터 상기 액체 챔버로 안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통에 가스를 공급하며 펌프를 포함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가 상기 액체 챔버에서 가스를 펌프로 배출하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분배장치의 상기 냉각 시스템은 상기 음료통을 냉각시키는 펠티에 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에 장치와 상기 흡착제 냉각장치는 모두 상기 음료통의 원통형 측벽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동일한 접촉부재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에 장치는 상기 음료통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장치.
KR1020097004482A 2006-08-04 2007-07-17 흡착제 냉각장치를 구비한 가정용 음료 분배장치 KR200900428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8431.3 2006-08-04
EP06118431 2006-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832A true KR20090042832A (ko) 2009-04-30

Family

ID=3896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482A KR20090042832A (ko) 2006-08-04 2007-07-17 흡착제 냉각장치를 구비한 가정용 음료 분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66101A1 (ko)
EP (1) EP2049856A2 (ko)
JP (1) JP2009545719A (ko)
KR (1) KR20090042832A (ko)
CN (1) CN101501430A (ko)
WO (1) WO20080156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2628A1 (en) * 2009-03-13 2010-09-16 Danfoss A/S A temperature sensor unit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2453189A1 (en) 2010-11-11 2012-05-16 Damm S.a. Self-chilling container
US11680734B2 (en) 2013-03-13 2023-06-20 Gwyn-Mohr Pierce Tully Portable insulated thermo-electric cooler and dispenser
EP3147610A1 (en) * 2015-09-22 2017-03-29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down material/ingredients
US10773944B2 (en) * 2018-04-03 2020-09-15 Donald Christian Maier Smart vessel containment and dispens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2330A (en) * 1928-05-31 1932-06-07 Philip P Chapin Automatically refrigerating receptacle
DE3412556A1 (de) * 1984-04-04 1985-10-24 Albin Dipl.-Phys. Dr. 7253 Renningen Kehl Tragbares kleinkuehlgeraet
DE3521484A1 (de) * 1985-06-14 1986-12-18 Fritz Dipl.-Ing. Kaubek Adsorptionskuehler
DE4138114A1 (de) * 1991-11-19 1993-05-27 Zeolith Tech Kuehlvorrichtung und kuehlverfahren zur kuehlung eines mediums innerhalb eines gefaesses
DE19504081A1 (de) * 1995-02-08 1996-08-14 Zeolith Tech Kühlvorrichtung
US6103280A (en) * 1997-09-20 2000-08-15 Bass Public Limited Company Self-cooling containers of beverage and foodstuffs
DE19922848A1 (de) * 1999-05-19 2000-11-23 Zeolith Tec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ühlen einer Flüssigkeit in einem Behälter
DE10016352A1 (de) * 2000-04-03 2001-10-04 Zeolith Tech Sorptionskühler
DE10250510A1 (de) * 2002-10-29 2004-05-19 Zeo-Tech Zeolith-Technologie Gmbh Adsorptions-Kühlapparat mit Pufferspeicher
RU2346884C2 (ru) * 2002-11-29 2009-02-20 Инбев С.А., Be Аппарат и бочонок для разлива алкогольных напитков с системой охлаждения
DE10256739A1 (de) * 2002-12-05 2004-06-24 Cool-System Bev. Gmbh Ventileinrichtung sowie Behältnis mit einer Ventileinrichtung
FR2855869B1 (fr) * 2003-06-06 2008-01-04 Gaz Transport & Technigaz Procede de refroidissement d'un produit, notamment pour la liquefaction d'un gaz,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DE102004010816B4 (de) * 2003-08-13 2005-08-04 Cool-System Bev. Gmbh Behältnis mit wenigstens einer Vakuumkammer mit einer Zugangsöffnung, insbesondere Getränkebehältnis wie Bierfass oder derglei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9856A2 (en) 2009-04-22
WO2008015608A3 (en) 2008-04-10
CN101501430A (zh) 2009-08-05
JP2009545719A (ja) 2009-12-24
WO2008015608A2 (en) 2008-02-07
US20090266101A1 (en)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326B2 (en) Sorption cooler
US63495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oling of a liquid in a container
KR20090042832A (ko) 흡착제 냉각장치를 구비한 가정용 음료 분배장치
US5038581A (en) Sorption cooling system
JP6004381B2 (ja) 吸着冷凍機
US20100051237A1 (en)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an aircraft engine
US20040134932A1 (en) Beverage dispenser
JPS58184467A (ja) 吸収ユニット及び該吸収ユニットの作動法
EP1392596B1 (en) Cooling and dispensing of products
US6820441B2 (en) Adsorption cooling apparatus with buffer reservoir
JPH03294763A (ja) 冷却器
AU2002340677A1 (en) Cooling and dispensing of products
US7213403B2 (en) Cooling container with an adsorption cooling apparatus
AU2011334243A1 (en) Vacuum container for removing foreign gases from an adsorption chiller
WO2012101666A1 (ja) 吸着器及び吸着式ヒートポンプ
WO1992014105A1 (en) A direct sorptio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JP6028758B2 (ja) 吸着式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冷熱生成方法
JP2017009173A (ja) 吸着式冷凍機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9121740A (ja) 吸着式ヒートポンプ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CA2869828A1 (en) Chilled alcoholic beverage dispenser
JP5625571B2 (ja) 吸着式ヒートポンプ
JP2009275937A (ja) 真空化装置及びこの真空化装置の運転制御方法
JPH10213359A (ja) 冷温熱発生装置
JP2017026164A (ja) 蓄熱システムおよび蓄熱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4963605A (zh) 便携式冷藏箱及冷藏箱用吸附式制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