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569A -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및 위생커버 교체장치를일체형으로 구비한 좌변기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및 위생커버 교체장치를일체형으로 구비한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569A
KR20090041569A KR1020070107148A KR20070107148A KR20090041569A KR 20090041569 A KR20090041569 A KR 20090041569A KR 1020070107148 A KR1020070107148 A KR 1020070107148A KR 20070107148 A KR20070107148 A KR 20070107148A KR 20090041569 A KR20090041569 A KR 20090041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itary cover
sanitary
reel
cover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07010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569A/ko
Publication of KR2009004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A47K11/105Disposable covers to keep the bowl clea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8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paper or plastic webs
    • A47K13/22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paper or plastic webs rolled-up; Dispensers therefor
    • A47K13/225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paper or plastic webs rolled-up; Dispensers therefor with means for taking up the soile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037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toilet seat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와,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변기 몸체의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 상기 좌변기 몸체의 개방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거나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돤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좌대; 및 상기 좌대로 위생커버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좌대로부터 위생커버를 회수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위생커버 공급 및 회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좌대는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자유단까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우측판 및 좌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 및 회수 수단은, 상기 우측판으로 우측 위생커버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판으로 좌측 위생커버를 공급하기 위한 위생커버 공급유닛; 상기 우측판으로부터 상기 우측 위생커버를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판으로부터 상기 좌측 위생커버를 회수하기 위한 위생커버 회수유닛; 및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우측 위생커버가 상기 우측판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좌측 위생커버가 상기 좌측판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우측 위생커버 및 좌측 위생커버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장착된 좌대에 착석하였을 경우 불편함이 전혀 초래되지 않고, 위생커버의 교체 회수를 종래에 비해 약 2배 정도 감소시킬 수 있고, 종래에 비해 위생커버가 찢어질 가능성이 더욱 낮고, 위생커버 사용효율이 종래에 비해 매우 양호한 효과가 발생한다.
좌변기, 위생커버, 좌대, 물통, 위생커버 공급유닛, 위생커버 회수유닛, 위생커버 이송유닛, 컨베이어 밸트, 모터.

Description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및 위생커버 교체장치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좌변기{Apparatus for changing hygiene cover and Chamber pot having hygiene cover-changing apparatus as a part thereof}
본 발명은 물통을 구비한 좌변기 또는 물통을 구비하지 않은 좌변기에 설치될 수 있는 위생커버 교체장치와,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물통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버스터미널, 역, 병원, 음식점 등의 공공시설물의 화장실에는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공공시설물에 설치된 좌변기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은 공공시설물에 설치된 좌변기가 매우 비위생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 대중들은 공공시설물에 설치된 좌변기를 아예 이용하지 않거나, 설사 이용하더라도 이전에 누가 사용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불쾌감을 감수하고 자신의 신체 일부를 좌대에 직접 접촉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반 대중이 공공시설물에 설치된 좌변기의 사용을 꺼리거나, 상기 좌변기의 사용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0263487호는 수동식 변기커버 감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수동식 변기커버 감김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할 경우 공급릴에 감겨져 있는 두 겹의 위생커버비닐이 벌어진 후 대략 원형 형태의 좌대를 감싸면서 회수릴로 회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변기커버 감김장치에 의하면, 위생커버비닐이 원형 형태의 좌대를 감싸기 때문에 위생커버비닐이 구겨지거나 부분적으로 겹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사용자가 상기 변기커버 감김장치가 장착된 좌대에 착석하였을 경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변기커버 감김장치에 의하면, 공급릴 및 회수릴에 두 겹의 위생커버비닐이 권취되기 때문에 홑 겹의 위생커버비닐이 권취되는 경우에 비해 위생커버비닐의 권취량이 적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위생커버비닐의 교체 회수가 홑 겹의 위생커버비닐이 권취되는 경우에 비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변기커버 감김장치에 의하면, 상기 위생커버로 비닐을 사용하기 때문에 위생커버가 찢어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커버 감김장치에 의하면, 한 번 사용한 위생커버를 재차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고, 사용한 위생커버를 폐기하는데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생커버가 좌대를 덮은 경우에도 위생커버의 구겨짐이나 겹침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고, 홑 겹의 위생커버의 사용이 가능하며, 위생커버가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위생커버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변기 몸체의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 상기 좌변기 몸체의 개방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거나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돤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좌대; 및 상기 좌대로 위생커버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좌대로부터 위생커버를 회수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위생커버 공급 및 회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좌대는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자유단까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우측판 및 좌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 및 회수 수단은, 상기 우측판으로 우측 위생커버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판으로 좌측 위생커버를 공급하기 위한 위생커버 공급유닛; 상기 우측판으로부터 상기 우측 위생커버를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판으로부터 상기 좌측 위생커 버를 회수하기 위한 위생커버 회수유닛; 및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우측 위생커버가 상기 우측판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좌측 위생커버가 상기 좌측판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우측 위생커버 및 좌측 위생커버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은, 상기 위생커버가 외주면에 감겨 있는 공급용 중공형 롤과 각각 결합하기 위한 우측 공급릴 및 좌측 공급릴; 상기 우측 공급릴의 중심과 상기 좌측 공급릴의 중심을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공급릴 연결봉; 및 상기 공급릴 연결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릴 연결봉을 지지하는 공급릴 연결봉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회수되는 상기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를 외주면에 각각 감기 위한 회수용 중공형 롤과 결합하는 우측 회수릴 및 좌측 회수릴; 상기 우측 회수릴의 중심과 상기 좌측 회수릴의 중심을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회수릴 연결봉; 상기 회수릴 연결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 및 상기 회수릴 연결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릴 연결봉을 지지하는 회수릴 연결봉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공급릴 및 좌측 공급릴의 회전 시 상기 공급용 중공형 롤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우측 회수릴 및 좌측 회수릴의 회전 시 상기 회수용 중공형 롤도 함께 회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 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1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을 통과한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2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의 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상면,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자유단,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회수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3 위생커버 지지봉; 및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을 통과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회수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4 위생커버 지지봉;을 포함한다.
한편, 대안으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의 전방에서 지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제1지지봉; 상기 제1지지봉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봉; 상기 제2지지봉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3지지봉; 상기 제3지지봉의 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4지지봉; 상기 제4지지봉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5지지봉; 상기 제5지지봉의 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6지지봉;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봉, 상기 우측판의 상면, 상기 우측판의 자유단, 상기 우측판의 하면, 상기 제4 내지 제6지지봉 및 상기 제1지지봉을 순차적으 로 경유하는 폐루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우측 위생커버를 이동시키는 우측 컨베이어 밸트;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봉, 상기 좌측판의 상면, 상기 좌측판의 자유단, 상기 좌측판의 하면, 상기 제4 내지 제6지지봉 및 상기 제1지지봉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폐루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좌측 위생커버를 이동시키는 좌측 컨베이어 밸트; 및 상기 제1지지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지지봉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2 내지 제6지지봉에는 상기 우측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나열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에는 상기 복수개의 홈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자유단 각각에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우측 롤러와 좌측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우측판의 상면 및 좌측판의 상면 각각에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로가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자유단까지 연장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었을 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생커버는 수분 흡수율과 신축성이 양호하고 세탁이 가능한 천인 것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는, 상기 좌대의 상부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좌대의 고정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좌변기 덮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후방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거나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돤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좌대; 및 상기 좌대로 위생커버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좌대로부터 위생커버를 회수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위생커버 공급 및 회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좌대는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자유단까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우측판 및 좌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 및 회수 수단은, 상기 우측판으로 우측 위생커버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판으로 좌측 위생커버를 공급하기 위한 위생커버 공급유닛; 상기 우측판으로부터 상기 우측 위생커버를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판으로부터 상기 좌측 위생커버를 회수하기 위한 위생커버 회수유닛; 및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우측 위생커버가 상기 우측판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좌측 위생커버가 상기 좌측판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우측 위생커버 및 좌측 위생커버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은, 상기 위생커버가 외주면에 감겨 있는 공급용 중공형 롤과 각각 결합하기 위한 우측 공급릴 및 좌측 공급릴; 상기 우측 공급릴의 중심과 상기 좌측 공급릴의 중심을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공급릴 연결봉; 및 상기 공급릴 연결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릴 연결봉을 지지하는 공급릴 연결봉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회수되는 상기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를 외주면에 각각 감기 위한 회수용 중공형 롤과 결합하는 우측 회수릴 및 좌측 회수릴; 상기 우측 회수릴의 중심과 상기 좌측 회수릴의 중심을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회수릴 연결봉; 상기 회수릴 연결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 및 상기 회수릴 연결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릴 연결봉을 지지하는 회수릴 연결봉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공급릴 및 좌측 공급릴의 회전 시 상기 공급용 중공형 롤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우측 회수릴 및 좌측 회수릴의 회전 시 상기 회수용 중공형 롤도 함께 회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1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을 통과한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2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의 전방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상면,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자유단,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회수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 는 제3 위생커버 지지봉; 및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을 통과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회수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4 위생커버 지지봉;을 포함한다.
한편 대안으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의 전방에서 지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제1지지봉; 상기 제1지지봉의 전방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봉; 상기 제2지지봉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3지지봉; 상기 제3지지봉의 전방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4지지봉; 상기 제4지지봉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5지지봉; 상기 제5지지봉의 후방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6지지봉;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봉, 상기 우측판의 상면, 상기 우측판의 자유단, 상기 우측판의 하면, 상기 제4 내지 제6지지봉 및 상기 제1지지봉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폐루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우측 위생커버를 이동시키는 우측 컨베이어 밸트;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봉, 상기 좌측판의 상면, 상기 좌측판의 자유단, 상기 좌측판의 하면, 상기 제4 내지 제6지지봉 및 상기 제1지지봉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폐루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좌측 위생커버를 이동시키는 좌측 컨베이어 밸트; 및 상기 제1지지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지지봉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2 내지 제6지지봉에는 상기 우측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나열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 고, 상기 우측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에는 상기 복수개의 홈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자유단 각각에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우측 롤러와 좌측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우측판의 상면 및 좌측판의 상면 각각에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로가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자유단까지 연장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었을 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생커버는 수분 흡수율과 신축성이 양호하고 세탁이 가능한 천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는, 상기 좌대의 상부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몸체 및 상기 좌대의 고정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좌변기 덮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생커버가 좌대를 덮은 경우에도 위생커버의 구겨짐이나 겹침이 전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장착된 좌대에 착석하였을 경우 불편함이 전혀 초래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홑 겹의 위생커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커 버의 교체 회수를 종래에 비해 약 2배 정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생커버가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첫째, 종래에 비해 위생커버가 찢어질 가능성이 더욱 낮고, 둘째, 사용된 위생커버를 세탁한 후 재차 사용할 수 있어 위생커버 사용효율이 종래에 비해 매우 양호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와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와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생커버 교체장치의 좌대와 케이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위생커버 교체장치의 위생커버 공급유닛, 위생커버 회수유닛 및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위생커버 교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좌변기 덮개가 덮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위생커버 교체장치의 좌대와, 케이스와, 좌변기 덮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100)는 케이스(200)와, 좌대(300)와, 위생커버 공급유닛(400)과, 위생커버 회수유닛(500)과, 이송유닛(6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좌변기 몸체(10)의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케이스(200) 의 하면 중 일부는 좌변기 물통(20)의 상면과 접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케이스(200)가 좌변기 물통(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하면 중 또다른 일부는 우측 위생커버(30) 및 좌측 위생커버(40)가 상기 좌대(300)로 공급되거나 상기 좌대(300)로부터 회수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위생커버(30)(40)의 교체 시 사용할 수 있는 개폐가능한 문(206)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앞판(202)에는 후술하는 위생커버 회수유닛(500)에 장착된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516)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23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물통(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좌변기 몸체(10)에 수용된 물을 배수함과 동시에 상기 물통(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좌변기 몸체(10)에 공급하기 위한 버튼(22)이 설치된다.
상기 좌대(300)는 앞판(302)의 일부가 개방된 'ㅁ'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대(300)의 뒷판(304)은 상기 케이스(200)의 앞판(20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좌대(300)의 앞판(302)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좌변기 몸체(10)의 개방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거나 완전하게 개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좌대(300)의 뒷판(304)과 상기 케이스(200)의 앞판(202) 과의 결합관계를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대의 뒷판(304)에는 홀이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310)(31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앞판(202)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310)(312) 사이로 삽입되는 중공형 돌출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홀과 중공으로는 좌측 고정핀(320)에 형성된 봉(322)이 삽입되고, 상기 홀과 중공을 통과한 상 기 봉(322)은 우측 고정핀(33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 후 너트(332)와 결합한다. 상기 좌측 고정핀(320)과 우측 고정핀(330)은 상기 좌변기 몸체(10)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관통한 후 너트(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400)은 상기 케이스(200) 내부에 설치되어 좌대(300)의 우측판(306)의 상면으로 우측 위생커버(30)를 공급함과 동시에 좌대(300)의 좌측판(308)의 상면으로 좌측 위생커버(40)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공급릴(402), 좌측 공급릴(404), 공급릴 연결봉(406) 및 공급릴 연결봉 지지수단(410)을 포함한다.
상기 우측 공급릴(402)과 좌측 공급릴(404)의 외주면에는 공급용 중공형 롤(50)이 삽입된다. 상기 공급릴(402)(404)의 외경은 상기 공급용 중공형 롤(5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공급릴(402)(404)의 회전 시 상기 공급용 중공형 롤(5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공급용 중공형 롤(50)의 외주면에는 위생커버가 감겨져 있다.
상기 공급릴 연결봉(406)은 상기 우측 공급릴(402)의 중심과 상기 좌측 공급릴(404)의 중심을 고정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릴 연결봉(406)이 회전하면 상기 공급릴(402)(404)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공급릴 연결봉 지지수단(410)은 공급릴 연결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릴 연결봉(406)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릴 연결봉 지지수단(410)은 상기 케이스(200)의 바닥에 고정된 지지봉(414)과,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고정된 중공형 관(412)을 포함한다. 상기 관(412)의 중공에는 상기 공급릴 연결봉(406) 이 삽입되고, 상기 관(412)의 내주면과 상기 공급릴 연결봉(406)의 외주면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500)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4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좌대(300)의 우측판(306)의 하면으로 우측 위생커버(30)를 회수함과 동시에 좌대(300)의 좌측판(308)의 하면으로 좌측 위생커버(40)를 회수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회수릴(502), 좌측 회수릴(504), 회수릴 연결봉(506),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516) 및 회수릴 연결봉 지지수단(510)을 포함한다.
상기 우측 회수릴(502)과 좌측 회수릴(504)의 외주면에는 회수용 중공형 롤(60)이 삽입된다. 상기 회수릴(502)(504)의 외경은 상기 회수용 중공형 롤(6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회수릴(502)(504)의 회전 시 상기 회수용 중공형 롤(6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수용 중공형 롤(50)의 외주면에는 회수되는 위생커버가 감기게 된다.
상기 회수릴 연결봉(506)은 상기 우측 회수릴(402)의 중심과 상기 좌측 회수릴(504)의 중심을 고정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회수릴 연결봉(406)이 회전하면 상기 회수릴(402)(404)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516)는 상기 회수릴 연결봉(506) 상에 장착되어 상기 회수릴 연결봉(506)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수릴 연결봉(506)이 회전하면 상기 회수릴(502)(504)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516)는 상기 케이스 앞판(202)에 설치된 버튼(230)을 사용자가 가압할 경우 소 정의 시간동안 작동하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상기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516)는 상기 버튼(230)에 가압력이 지속되고 있는 동안 작동하고, 그 가압력이 해제되면 정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수릴 연결봉 지지수단(510)은 상기 우측 회수릴(502)과 상기 구동모터(516) 사이, 그리고 상기 좌측 회수릴(504)과 상기 구동모터(516) 사이에서 상기 회수릴 연결봉(506)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릴 연결봉(506)을 지지한다. 상기 회수릴 연결봉 지지수단(510)의 구성은 상기 공급릴 연결봉 지지수단(4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유닛(600)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된 우측 위생커버(30)가 상기 우측판(306)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50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된 좌측 위생커버(40)가 상기 좌측판(308)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50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위생커버(30)(40)를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유닛(600)은 제1 위생커버 지지봉(610), 제2 위생커버 지지봉(620), 제3 위생커버 지지봉(630) 및 제4 위생커버 지지봉(6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610)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400)의 전방에 위치하고, 그 양단은 상기 케이스(200)의 양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610)의 외주면에는 회전 가능한 우측롤러(612) 및 좌측롤러(614)가 상기 위생커버(30)(40)와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우측롤러(612) 및 좌측롤러(614)로 인 해 상기 위생커버(30)(4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610)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된 위생커버(30)(40)의 진행방향을 하부로 변경시킨다.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620)은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610)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양단은 상기 케이스(200)의 양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620)의 외주면에는 회전 가능한 우측롤러(622) 및 좌측롤러(624)가 상기 위생커버(30)(40)와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우측롤러(622) 및 좌측롤러(624)로 인해 상기 위생커버(30)(4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620)은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610)을 통과한 위생커버(30)(40)의 진행방향을 전방으로 변경시킨다.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630)은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620)의 후방에 위치하고, 그 양단은 상기 케이스(200)의 양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630)의 외주면에는 회전 가능한 우측롤러(632) 및 좌측롤러(634)가 상기 위생커버(30)(40)와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우측롤러(632) 및 좌측롤러(634)로 인해 상기 위생커버(30)(4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630)은,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620)을 통과한 후 상기 우측판(306) 및 좌측판(308)의 상면, 자유단,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회수된 위생커버(30)(40)의 진행방향을 상부로 변경시킨다.
상기 제4 위생커버 지지봉(640)은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630)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양단은 상기 케이스(200)의 양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4 위생커버 지지봉(640)의 외주면에는 회전 가능한 우측롤러(642) 및 좌측롤러(644)가 상기 위생커버(30)(40)와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우측롤러(642) 및 좌측롤러(644)로 인해 상기 위생커버(30)(4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위생커버 지지봉(640)은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630)을 통과한 위생커버(30)(40)의 진행방향을 후방으로 변경시키고, 상기 제4 위생커버 지지봉(640)을 통고한 위생커버(30)(40)는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500)으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생커버 교체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대(300)의 상부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케이스(200) 및 상기 좌대(300)의 고정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좌변기 덮개(7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상기 덮개(700)와, 좌대(300)와, 케이스 앞판(202)과의 결합관계를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좌대(300)의 뒷판(304)과 케이스(200)의 앞판(202)과의 결합관계와 상이한 점만을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 앞면(202)에는 상기 돌출부(310)(312) 사이로 삽입되기 위한 한 쌍의 돌출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20)에는 중공(222)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700)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220) 사이에 삽입되는 돌출부(70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702)에는 중공(704)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10)에 형성된 홈, 상기 중공(222) 및 중공(704)으로는 상기 봉(322)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위생커버(30)(40)는 수분 흡수율과 신축성이 양호하고 세탁이 가능한 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위생커버 교체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초기에 상기 공급용 중공형 롤(50)은 상기 공급릴(402)(404)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용 중공형 롤(50)의 외주면에는 위생커버(30)(40)가 감겨있으며, 상기 위생커버(30)(40)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위생커버 지지봉(610)(620), 우측판(306) 및 좌측판(308)의 상면, 우측판(306) 및 좌측판(308)의 자유단, 우측판(306) 및 좌측판(308)의 하면, 상기 제3 및 제4 위생커버 지지봉(630)(64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회수릴(502)(504)의 외주면에 결합된 회수용 중공형 롤(6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초기 설정상태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후,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 앞판(202)에 설치된 버튼(230)을 가압한다. 상기 버튼(230)이 가압되면 상기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516)가 작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회수릴 연결봉(506)과 회수릴(502)(504)이 회전한다. 회수릴(502)(504)이 회전하면 상기 회수릴(502)(504)의 외주면에 결합된 회수용 중공형 롤(60)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위생커버(30)(40)를 회수한다. 이때, 상기 공급릴(402)(404)은 상기 회수릴(502)(504)과 함께 회전하면서 위생커버(30)(40)를 공급하고, 공급된 위생커버(30)(40)는 이송유닛(600)에 의해 우측판(306) 및 좌측판(308)의 상면, 우측판(306) 및 좌측판(308)의 자유단, 우측판(306) 및 좌측판(308)의 하면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회수용 중공형 롤(60)의 외주면에 감기게 된다.
한편, 상기 위생커버(30)(40)가 모두 사용되면, 작업자는 상기 문(206)을 개 방하여 상기 공급용 중공형 롤(50)과 회수용 중공형 롤(60)을 상기 공급릴(402)(404) 및 회수릴(502)(504)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위생커버가 감긴 공급용 중공형 롤(50)과 외주면에 위생커버가 감기지 않은 회수용 중공형 롤(60)을 상기 공급릴(402)(404) 및 회수릴(502)(504)에 결합한다. 이와 같은 작업이 완료하면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초기상태 설정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문(206)을 닫는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위생커버 교체장치의 이송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송유닛의 제2실시예(800)는 제1지지봉(810), 제2지지봉(820), 제3지지봉(830), 제4지지봉(840), 제5지지봉(850), 제6지지봉(860), 우측 컨베이어 밸트(870), 좌측 컨베이어 밸트(880) 및 지지봉 구동모터(8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봉(810)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400)의 전방에서 제1지지봉 지지수단(816)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제1지지봉 지지수단(816)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공급릴 연결봉 지지수단(410)과 동일하다. 상기 제1지지봉(81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우측풀리(812) 및 한 쌍의 좌측풀리(814)가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우측풀리(812) 간 간격은 상기 우측 위생커버(30)의 폭과 거의 동일하고, 상기 한 쌍의 좌측풀리(814) 간 간격은 상기 좌측 위생커버(40)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제1지지봉(810) 상에는 상기 제1지지봉(8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지지봉 구동모터(890)가 장착된다. 상기 지지봉 구동모터(890)는 상기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516)와 함께 상기 버튼(230)의 가압에 의해 작동하 며, 그 회전속도는 상기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516)의 회전속도와 동일하다.
상기 제2지지봉(820)은 상기 제1지지봉(810)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스(200)의 양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지지봉(82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우측롤러(822) 및 한 쌍의 좌측롤러(824)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우측롤러(822) 간 간격은 상기 우측 위생커버(30)의 폭과 거의 동일하고, 상기 한 쌍의 좌측롤러(824) 간 간격은 상기 좌측 위생커버(40)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제3지지봉(830)은 상기 제2지지봉(810)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200)의 양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3지지봉(83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우측롤러(832) 및 한 쌍의 좌측롤러(834)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우측롤러(832) 간 간격은 상기 우측 위생커버(30)의 폭과 거의 동일하고, 상기 한 쌍의 좌측롤러(834) 간 간격은 상기 좌측 위생커버(40)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제5지지봉(850)은 상기 제4지지봉(840)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스(200)의 양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5지지봉(85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우측롤러(852) 및 한 쌍의 좌측롤러(854)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우측롤러(852) 간 간격은 상기 우측 위생커버(30)의 폭과 거의 동일하고, 상기 한 쌍의 좌측롤러(854) 간 간격은 상기 좌측 위생커버(40)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제6지지봉(860)은 상기 제5지지봉(840)의 후방에서, 그리고 상기 제1지지봉(810)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200)의 양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6지지봉(86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우측롤러(862) 및 한 쌍의 좌측롤러(864)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우측롤러(862) 간 간격은 상기 우측 위생커 버(30)의 폭과 거의 동일하고, 상기 한 쌍의 좌측롤러(864) 간 간격은 상기 좌측 위생커버(40)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870)는 제1 내지 제3지지봉(810)(820)(830), 상기 우측판(306)의 상면, 상기 우측판(306)의 자유단, 상기 우측판(306)의 하면, 상기 제4 내지 제6지지봉(840)(850)(860) 및 상기 제1지지봉(81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폐루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우측 위생커버(30)를 이동시키고, 상기 좌측 컨베이어 밸트(880)는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봉(810)(820)(830), 상기 좌측판(308)의 상면, 상기 좌측판(308)의 자유단, 상기 좌측판(308)의 하면, 상기 제4 내지 제6지지봉(840)(850)(860) 및 상기 제1지지봉(81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폐루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좌측 위생커버(40)를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 밸트(870)(88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밸트(870)(880)의 표면에는 상기 위생커버(30)(40)의 양 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나열된 복수개의 홈(35)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돌출부(87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위생커버(30)(40)의 초기설치 시 상기 돌출부(875)를 상기 홈(35)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버튼(230)이 가압되면, 상기 위생커버(30)(40)가 자동적으로 상기 우측판(306) 및 좌측판(308)의 상면, 자유단, 하면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600)으로 회수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커버의 초기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즉, 위생커버의 초기 설치 시 위생커버(30)(40)를 수작업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컨베이어 벨트(870)(880)를 회전시키면 간편하게 커버를 교체시킬 수 있다. 또한, 위생 커버(30)(40)가 컨베이어 밸트(870)(880)에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움직여도 위생커버가 벗겨지거나 어긋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위생커버 초기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대안으로 상기 컨베이어 밸트(870)(880)의 표면 밸크로(velcro)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위생커버(30)(40)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홈(35)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우측판(306) 및 좌측판(308)의 자유단에는 홈(873)이 형성되고, 상기 홈(873)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877)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컨베이어 밸트(870)(880)가 상기 롤러(877)와 접촉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 밸트(870)(880)의 이동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우측판(306)의 상면 및 좌측판(306)의 상면 각각에는 상기 컨베이어 밸트(870)(880)의 이동로(879)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로(879)의 깊이(t)는 상기 컨베이어 밸트(870)(880)의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돌출부(875)가 상기 위생커버(30)(40)의 홈(35)에 삽입되었을 시 상기 돌출부(875)는 상기 홈(35)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좌변기 사용 후 사용자의 대퇴부에 자국이 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의 사 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좌변기의 위생커버 공급유닛, 위생커버 회수유닛 및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좌변기의 이송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1000)는 후방 내부에 수용공간(1200)이 형성된 몸체(1010)와, 좌대(1300)와, 위생커버 공급유닛(1400)과, 위생커버 회수유닛(1500)과, 이송유닛(160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공간(1200)의 상부에는 물통(1020)이 위치한다.
상기 수용공간(1200)의 상면 중 일부는 우측 위생커버(1030) 및 좌측 위생커버(1040)가 상기 좌대(1300)로 공급되거나 상기 좌대(1300)로부터 회수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수용공간(120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위생커버(1030)(1040)의 교체 시 사용할 수 있는 개폐가능한 문(1206)이 형성되고, 상기 물통(1020)의 앞판에는 위생커버 회수유닛(1500)에 장착된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1516)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123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물통(1020)의 앞판 모서리에는 상기 좌변기 몸체(1010)에 수용된 물을 배수함과 동시에 상기 물통(10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좌변기 몸체(1010)에 공급하기 위한 레버(1022)가 설치된다.
상기 좌대(1300)의 형상 및 결합관계는 앞서 설명한 좌대(300)와 동일하다. 단, 상기 좌대(300)는 케이스(200)의 앞판(302)과 결합하였으나, 상기 좌대(1300)는 좌변기 몸체(1010)와 결합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상기 좌대(1300)와 좌변기 몸체(1010)가 결합되는 방식은 앞서 설명한 좌대(300)와 케이스 앞판(302)이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1400), 위생커버 회수유닛(1500) 및 위생커버 이송유닛(1600)은 앞서 설명한 위생커버 공급유닛(400), 위생커버 회수유닛(500) 및 위생커버 이송유닛(600)과 각각 동일하다. 단,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1400), 위생커버 회수유닛(1500) 및 위생커버 이송유닛(1600)은 수용공간(1200) 내부에 위치한다는 점과, 제2 위생커버 지지봉(1620)은 제1 위생커버 지지봉(16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3 위생커버 지지봉(1630)은 제2 위생커버 지지봉(1620)의 전방에 위치하고, 제4 위생커버 지지봉(1640)은 제3 위생커버 지지봉(1630)의 하부에 위치한다는 점은 상이하다.
상기 좌변기(1000)는 앞서 설명한 좌변기 덮개(700)와 동일한 좌변기 덮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미도시)가 좌대(1300) 및 좌변기 몸체(1010)와 결합하는 방식은 앞서 설명한 좌변기 덮개(700)가 상기 좌대(300) 및 케이스 앞판(302)과 결합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16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1800)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유닛(1800)은 앞서 설명한 이송유닛(80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단, 상기 이송유닛(1800)은 수용공간(1200) 내부에 위치한다는 점과, 제3지지봉(1830)은 제2지지봉(1820) 상부에 위치하고, 제4지지봉(1840)은 제3지지봉(1830) 전방에 위치하고, 제5지지봉(1850)은 제4지지봉(1840)의 하부에 위치한다는 점은 상이하다.
앞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물통이 구비된 좌변기에 설치되는 경우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가 물 통을 구비한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위생커버 교체장치는 물통이 구비되지 않은 좌변기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는 물통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와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생커버 교체장치의 좌대와 케이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위생커버 교체장치의 위생커버 공급유닛, 위생커버 회수유닛 및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위생커버 교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좌변기 덮개가 덮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위생커버 교체장치의 좌대와, 케이스와, 좌변기 덮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위생커버 교체장치의 이송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좌변기의 위생커버 공급유닛, 위생커버 회수유닛 및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좌변기의 이송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18)

  1. 좌변기 몸체의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
    상기 좌변기 몸체의 개방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거나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돤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좌대; 및
    상기 좌대로 위생커버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좌대로부터 위생커버를 회수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위생커버 공급 및 회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좌대는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자유단까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우측판 및 좌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 및 회수 수단은,
    상기 우측판으로 우측 위생커버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판으로 좌측 위생커버를 공급하기 위한 위생커버 공급유닛;
    상기 우측판으로부터 상기 우측 위생커버를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판으로부터 상기 좌측 위생커버를 회수하기 위한 위생커버 회수유닛; 및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우측 위생커버가 상기 우측판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좌측 위생커버가 상기 좌측판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우측 위생커버 및 좌측 위생커버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은,
    상기 위생커버가 외주면에 감겨 있는 공급용 중공형 롤과 각각 결합하기 위한 우측 공급릴 및 좌측 공급릴;
    상기 우측 공급릴의 중심과 상기 좌측 공급릴의 중심을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공급릴 연결봉; 및
    상기 공급릴 연결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릴 연결봉을 지지하는 공급릴 연결봉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회수되는 상기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를 외주면에 각각 감기 위한 회수용 중공형 롤과 결합하는 우측 회수릴 및 좌측 회수릴;
    상기 우측 회수릴의 중심과 상기 좌측 회수릴의 중심을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회수릴 연결봉;
    상기 회수릴 연결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 및
    상기 회수릴 연결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릴 연결봉을 지지하는 회수릴 연결봉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공급릴 및 좌측 공급릴의 회전 시 상기 공급용 중공형 롤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우측 회수릴 및 좌측 회수릴의 회전 시 상기 회수용 중공형 롤도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1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을 통과한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2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의 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상면,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자유단,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회수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3 위생커버 지지봉; 및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을 통과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회수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4 위생커버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의 전방에서 지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제1지지봉;
    상기 제1지지봉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봉;
    상기 제2지지봉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3지지봉;
    상기 제3지지봉의 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4지지봉;
    상기 제4지지봉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5지지봉;
    상기 제5지지봉의 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6지지봉;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봉, 상기 우측판의 상면, 상기 우측판의 자유단, 상기 우측판의 하면, 상기 제4 내지 제6지지봉 및 상기 제1지지봉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폐루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우측 위생커버를 이동시키는 우측 컨베이어 밸트;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봉, 상기 좌측판의 상면, 상기 좌측판의 자유단, 상기 좌측판의 하면, 상기 제4 내지 제6지지봉 및 상기 제1지지봉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폐루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좌측 위생커버를 이동시키는 좌측 컨베이어 밸트; 및
    상기 제1지지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지지봉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내지 제6지지봉에는 상기 우측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나열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에는 상기 복수개의 홈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자유단 각각에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우측 롤러와 좌측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판의 상면 및 좌측판의 상면 각각에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로가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자유단까지 연장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었을 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는 수분 흡수율과 신축성이 양호하고 세탁이 가능한 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의 상부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좌대의 고정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좌변기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10. 후방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거나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돤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좌대; 및
    상기 좌대로 위생커버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좌대로부터 위생커버를 회수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위생커버 공급 및 회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좌대는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자유단까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우측판 및 좌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 및 회수 수단은,
    상기 우측판으로 우측 위생커버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판으로 좌측 위생커버를 공급하기 위한 위생커버 공급유닛;
    상기 우측판으로부터 상기 우측 위생커버를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좌측판으로부터 상기 좌측 위생커버를 회수하기 위한 위생커버 회수유닛; 및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우측 위생커버가 상기 우측판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좌측 위생커버가 상기 좌측판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우측 위생커버 및 좌측 위생커버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은,
    상기 위생커버가 외주면에 감겨 있는 공급용 중공형 롤과 각각 결합하기 위한 우측 공급릴 및 좌측 공급릴;
    상기 우측 공급릴의 중심과 상기 좌측 공급릴의 중심을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공급릴 연결봉; 및
    상기 공급릴 연결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릴 연결봉을 지지하는 공급릴 연결봉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회수되는 상기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를 외주면에 각각 감기 위한 회수용 중공형 롤과 결합하는 우측 회수릴 및 좌측 회수릴;
    상기 우측 회수릴의 중심과 상기 좌측 회수릴의 중심을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회수릴 연결봉;
    상기 회수릴 연결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수릴 연결봉 구동모터; 및
    상기 회수릴 연결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릴 연결봉을 지지하는 회수릴 연결봉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공급릴 및 좌측 공급릴의 회전 시 상기 공급용 중공형 롤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우측 회수릴 및 좌측 회수릴의 회전 시 상기 회수용 중공형 롤도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1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위생커버 지지봉을 통과한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2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의 전방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위생커버 지지봉,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상면,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자유단,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하면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회수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3 위생커버 지지봉; 및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위생커버 지지봉을 통과한 후 상기 위생커버 회수유닛으로 회수되는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이동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4 위생커버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위생커버 공급유닛의 전방에서 지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제1지지봉;
    상기 제1지지봉의 전방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봉;
    상기 제2지지봉의 상부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3지지봉;
    상기 제3지지봉의 전방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4지지봉;
    상기 제4지지봉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5지지봉;
    상기 제5지지봉의 후방에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6지지봉;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봉, 상기 우측판의 상면, 상기 우측판의 자유단, 상기 우측판의 하면, 상기 제4 내지 제6지지봉 및 상기 제1지지봉을 순차적으로 경유하 는 폐루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우측 위생커버를 이동시키는 우측 컨베이어 밸트;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봉, 상기 좌측판의 상면, 상기 좌측판의 자유단, 상기 좌측판의 하면, 상기 제4 내지 제6지지봉 및 상기 제1지지봉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폐루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좌측 위생커버를 이동시키는 좌측 컨베이어 밸트; 및
    상기 제1지지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지지봉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내지 제6지지봉에는 상기 우측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위생커버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나열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에는 상기 복수개의 홈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판 및 좌측판의 자유단 각각에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우측 롤러와 좌측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판의 상면 및 좌측판의 상면 각각에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로가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자유단까지 연장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우측 컨베이어 밸트 및 좌측 컨베이어 밸트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었을 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는 수분 흡수율과 신축성이 양호하고 세탁이 가능한 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의 상부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몸체 및 상기 좌대의 고정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는 좌변기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커버 교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좌변기.
KR1020070107148A 2007-10-24 2007-10-24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및 위생커버 교체장치를일체형으로 구비한 좌변기 KR20090041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148A KR20090041569A (ko) 2007-10-24 2007-10-24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및 위생커버 교체장치를일체형으로 구비한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148A KR20090041569A (ko) 2007-10-24 2007-10-24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및 위생커버 교체장치를일체형으로 구비한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569A true KR20090041569A (ko) 2009-04-29

Family

ID=4076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148A KR20090041569A (ko) 2007-10-24 2007-10-24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및 위생커버 교체장치를일체형으로 구비한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156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960B1 (ko) * 2010-04-12 2012-06-25 이재택 1회용 종이변기시트 자동 장착 기
KR101277092B1 (ko) * 2013-01-04 2013-06-28 김경배 엉덩이가 닿지 않는 구조의 위생시트 공급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KR101961849B1 (ko) * 2017-12-20 2019-03-25 박종식 양변기용 커버
CN110192799A (zh) * 2019-05-07 2019-09-03 杭州瑾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和智能马桶盖
KR102407052B1 (ko) * 2020-12-09 2022-06-16 주영한 변기시트 어셈블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960B1 (ko) * 2010-04-12 2012-06-25 이재택 1회용 종이변기시트 자동 장착 기
KR101277092B1 (ko) * 2013-01-04 2013-06-28 김경배 엉덩이가 닿지 않는 구조의 위생시트 공급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CN103908187A (zh) * 2013-01-04 2014-07-09 金谦裴 臀部无需接触的结构的具备卫生垫子供给装置的座便器
KR101961849B1 (ko) * 2017-12-20 2019-03-25 박종식 양변기용 커버
CN110192799A (zh) * 2019-05-07 2019-09-03 杭州瑾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和智能马桶盖
KR102407052B1 (ko) * 2020-12-09 2022-06-16 주영한 변기시트 어셈블리
WO2022124761A1 (ko) * 2020-12-09 2022-06-16 주영한 변기시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1569A (ko) 좌변기용 위생커버 교체장치 및 위생커버 교체장치를일체형으로 구비한 좌변기
JP2013188301A (ja) 自動尻拭き装置
KR200481634Y1 (ko) 자동 등받이와 전동커버를 구비한 양변기
JPH0736556Y2 (ja) 腰掛け式便器
KR101102490B1 (ko) 배설물 처리장치
KR100788428B1 (ko) 좌변기 리필용 위생시트 자동공급장치
CN210204589U (zh) 一种用于马桶的坐垫纸自动更换装置
KR101168069B1 (ko) 교체 구조를 갖는 양변기용 슬라이드형 커버장치
CN108814395B (zh) 一种坐便器卫生膜铺设装置
CN2893009Y (zh) 如厕板循环消毒机以及分离的如厕板系统
JPH09273203A (ja) 局部洗滌送水装置付き洋式便器
CN2496385Y (zh) 新型坐便器组合盖
JPH076877Y2 (ja) 便座用敷紙供給装置
CN220403880U (zh) 一种可更换卫生垫套及坐垫自动升降的马桶垫及马桶
JPH076878Y2 (ja) 便座用敷紙自動送り装置
JPH0741436Y2 (ja) 便座用敷紙自動送り装置
KR200284228Y1 (ko) 무수변기어셈블리
CN103908187B (zh) 臀部无需接触的结构的具备卫生垫子供给装置的座便器
JPH04309315A (ja) 便座カバー装置
JP3053789U (ja) 便座の自動洗浄装置
JPH0742391Y2 (ja) 便座用敷紙自動送り装置
JPH0742392Y2 (ja) 便座用敷紙自動送り装置
JP2001061704A (ja) 局部温水洗浄器付簡易便器
JPH0838395A (ja) 便座洗浄装置
CN2149856Y (zh) 坐便器卫生垫自动输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