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993A - 자동차용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선바이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40993A KR20090040993A KR1020070106459A KR20070106459A KR20090040993A KR 20090040993 A KR20090040993 A KR 20090040993A KR 1020070106459 A KR1020070106459 A KR 1020070106459A KR 20070106459 A KR20070106459 A KR 20070106459A KR 20090040993 A KR20090040993 A KR 200900409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n visor
- shaft member
- present
- headlining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18—Roof or head liners supported by adhesion with the roof pan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하나의 회전축부재와 구조가 변형된 선바이저를 사용하여 선바이저를 자동차의 내부 판넬과 헤드라이닝 사이의 공간에 형성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선바이저, 헤드라이닝, 단차부, 판넬, 가이드커버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선바이저를 자동차의 내부 판넬과 헤드라이닝 사이의 공간에 위치시킨 자동차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실내에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여 주기 위하여, 선바이저를 자동차 내부의 헤드라이닝 상에 부착하여 형성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자동차용 선바이저(1)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바이저(1)는 헤드라이닝(3) 외관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봇암(4)을 축으로 하여 고정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피봇암(4)을 축으로 하여, 상기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바이저(1)를 전방 및 측방 유리면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선바이저(1)의 동작을 살펴보면, 자동차 전면에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경우에는 상기 선바이저(1)를 전방 유리면으로 임의의 각도로 조정하여 회전시켜 고정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선바이저(1)를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측면 방향에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경우에는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쪽으로 상기 선바이저(1)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측면 유리면으로 상기 선바이저(1)를 고정하여 햇빛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바이저(1)를 헤드라이닝(3) 외관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헤드라이닝(3) 상에서 선바이저(1)가 고정되는 고정부분의 형상이 변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헤드라이닝(3)에서 일정하게 흘러오던 곡면이 천정방향으로 들어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헤드라이닝(3) 외관에 있어서의 변화는 상기 헤드라이닝(3) 디자인의 설계 자유도를 제한한다는 기술적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바이저(1)가 헤드라이닝(3) 외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선바이저(1)와 헤드라이닝(3) 사이의 공간이 들뜨게 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외관상 보기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이는 주행시 떨림 등의 소음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기술적 문제가 있다. 부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햇빛이 전방 및 측방으로 동시에 들어오는 경우에 상기 선바이저(1)가 동시에 두 방향에서 들어오는 빛을 모두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즉 선바이저를 헤드라이닝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전방 및 측방에서 들어오는 빛을 모두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선바이저를 자동차의 내부 판넬과 헤드라이닝 내부에 형성하도록 한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및 측방에서 들어오는 빛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자동차용 선바이저는 자동차의 내부 판넬과 헤드라이닝 사이에 위치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선바이저는, 좌, 우 측면부와 중심부로 구성되어 형성되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의 중심부를 사이에 포함하여 결합하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로 구성된 커버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재의 좌, 우 측면부의 끝단에는 자동차의 내부 판넬에 부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커버의 내부 공간면에는 상기 회전축부재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커버는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원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다 간단한 구성을 사용하여 선바이저를 헤드라이닝 내부에 고정하도록 하였다는 점에 기술적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립의 용이 및 제작 공정상의 편의를 가져온다는 점에 또한 기술적 장점이 있다.
본원발명은 그 구성의 단순함으로 인해 헤드라이닝 내부의 어느 위치에라도 손쉽게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어, 전방 및 측방 유리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으며, 또한 헤드라이닝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자동차 내부의 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하며, 부가하여 종래 기술적 문제가 되었던 떨림으로 인한 소음 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는 점에 기술적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의 서술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선바이저를 도시하고,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전개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원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동작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원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출원인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선바이저를 헤드라이닝 내부로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보다 간단한 구성을 사용하여 상기 선바이저를 자동차의 내부 판넬과 헤드라이닝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선바이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선바이저(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선바이저(1')의 전개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1')는 좌, 우 측면부(13b)와 중심부(13a)로 구성되어 형성되는 회전축부재(13)와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중심부(13a)를 사이에 포함하여 결합하는 상부 커버(11) 및 하부 커버(12)로 구성된 커버부(10)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 다.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에 따른 선바이저(1')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회전축부재(13)는 좌, 우 측면부(13b)와 중심부(13a)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좌, 우 측면부(13b)의 끝단에는 상기 회전축부재(13)를 자동차의 내부 판넬(미도시)에 고정하도록 하는 부분인 고정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부재(13)는 상기 고정부(16)를 스크류(15)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내부 판넬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중심부(13a)는 커버부(10) 내에 머물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부(13a)는 상기 커버부(10)를 형성하는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2) 사이의 공간에 있도록 형성된다. 즉, 하부 커버(12)의 내부 공간에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중심부(13a)가 놓여 지고, 그 위에 상부 커버(11)가 스크류(15)를 사용하여 하부 커버(12)와 고정 결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1')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에 따른 회전축부재(13)는 상기 커버부(10)의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2)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는 점에서 그 형상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행할 수 있다면 어떤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1')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단면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1')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4a는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1')가 내부 판넬과 헤드라이닝(3) 사이의 공간에 놓여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선바이저(1')는 회전축부재(13)에 의해 내부 판넬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헤드라이닝(3) 상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커버(20)를 통해 안내되어 헤드라이닝(3) 외부로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에는 본원발명에 따른 선바이저(1')의 커버부(10)의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2)의 내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원발명에 따른 하부 커버(12)는 그 내부 공간 상에 단차부(17)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단차부(17)는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축부재(13)의 중심부(13a)의 이동 및 고정을 행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구성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중심부(13a)와 상기 하부 커버(12)의 단차부(17)의 상면부가 맞닿는 부분(a)은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중심부(13a)가 고정되는 부분이며, 상기 하부 커버(12)의 단차부(1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부분(b)은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중심부(13a)가 이동하는 부분이다. 본원발명의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은 상기 하부 커버(12)를 탄성 재질의 물질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중심부(13a)가 상기 단차부(17)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a, b)을 통해 고정 및 이동이 행해질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이미 설명되고 있는 도 4a 및 도 4c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선바이저(1')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커버(20)를 통하여 헤드라이닝(3)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선바이저(1')는 상기 선바이저(1')의 하부 커버(12) 상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미도시)를 아래로 잡아당기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중심부(13a)가 상기 커버부(10) 내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분(a)에서 미끄러짐 운동을 하고,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분(b)에서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중심부(13b)가 오버랩되어 고정되는 구성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선바이저(1')의 이동 및 고정이 행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 내의 승객이 하부 커버(12)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잡아 상기 선바이저(1')를 당기게 되면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체인 하부 커버(12)의 a영역에서 미끄러져 b영역에서 걸리게 되고, 재차 당기게 되면 b영역을 넘어 a영역에서 걸리게 되는 운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에 의해 햇빛을 차단하는 높이까지 상기 선바이저(1')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c에는 상기 선바이저(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커버(20)가 형성되어 있는 바, 본원발명은 상기 가이드커버(20)가 형성되는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선바이저(1')의 전개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1')는 내부 판넬과 헤드라이닝(3)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에 문제가 되었던 떨림에 의한 자동차 실내의 내부 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형성된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1')의 실제 작동예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 5a는 본원발명에 따른 선바이저(1')가 헤드라이닝(3) 내부에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5b는 상기 선바이저(1')를 전방에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전방 유리 상으로 당겨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c는 본원발명에 따른 상기 선바이저(1')를 전방 및 측면에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전방 유리 뿐만 아니라 측면 유리에까지 설치되어 있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1')는 단지 하나의 회전축부재(13)와 변형된 구성을 구비한 커버부(10)를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최소의 구성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는 점에 그 기술적 장점이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1')는 자동차 내부의 어디에도 쉽게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설치가 종래 개시되어 있는 선바이저에 비해 편리하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 유리 뿐만 아니라 측면 유리에도 상기 선바이저를 자유 롭게 설치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상기 선바이저(1')는 헤드라이닝(3)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헤드라이닝(3)의 형상을 변형시킬 필요가 없다는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따라서 자동차 실내 내부를 보다 수려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헤드라이닝(3)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전개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원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선바이저 3: 헤드라이닝
10: 커버부 11: 상부 커버
12: 하부 커버 13: 회전축부재
15: 스크류 16: 고정부
17: 단차부 20: 가이드커버
Claims (6)
- 자동차의 내부 판넬과 헤드라이닝(3) 사이에 위치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1')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선바이저(1')는,좌, 우 측면부(13b)와 중심부(13a)로 구성되어 형성되는 회전축부재(13); 및상기 회전축부재(13)의 중심부(13a)를 사이에 포함하여 결합하는 상부 커버(11) 및 하부 커버(12)로 구성된 커버부(1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축부재(13)의 좌, 우 측면부(13b)의 끝단에는 자동차의 내부 판넬에 부착되는 고정부(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커버(12)의 내부 공간면에는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단차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커버(12)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커버(12)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자동차용 선바이저는 헤드라이닝(3) 외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커버(20)의 위치에 의해 인출각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6459A KR20090040993A (ko) | 2007-10-23 | 2007-10-23 | 자동차용 선바이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6459A KR20090040993A (ko) | 2007-10-23 | 2007-10-23 | 자동차용 선바이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0993A true KR20090040993A (ko) | 2009-04-28 |
Family
ID=4076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6459A KR20090040993A (ko) | 2007-10-23 | 2007-10-23 | 자동차용 선바이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4099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99093A (zh) * | 2017-09-07 | 2017-12-22 | 芜湖皖江知识产权运营中心有限公司 | 适于电动汽车的遮阳装置 |
-
2007
- 2007-10-23 KR KR1020070106459A patent/KR2009004099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99093A (zh) * | 2017-09-07 | 2017-12-22 | 芜湖皖江知识产权运营中心有限公司 | 适于电动汽车的遮阳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22715B2 (ja) | ドアトリム装着構造 | |
JP2014131910A (ja) | スライドオンロッド式バイザ用チャネル | |
US9834068B2 (en) | Sun visor for vehicle | |
US8256065B2 (en) | Hinge mechanism for display device | |
JP2018070150A (ja) | サンルーフウインドデフレクタシステム | |
US9481322B2 (en) | Structure of door trim and door inner belt for vehicle | |
KR101199181B1 (ko) | 차량용 선바이저 | |
KR20090040993A (ko) | 자동차용 선바이저 | |
CN113978213A (zh) | 一种壳式带镜盖的一体化遮阳板 | |
CN215041991U (zh) | 一种汽车翻盖遮阳板 | |
JP3232035U (ja) | 自動車用補助サンバイザー | |
KR0135216Y1 (ko) |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내장용 선바이저 | |
KR200153380Y1 (ko) |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이동장치 | |
KR100397120B1 (ko) |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 |
KR200173420Y1 (ko) | 자동차의 미러조립체 | |
KR100328984B1 (ko) | 자동차의 선 바이저 | |
JPH08310299A (ja) | 車両用マップランプ配設部構造 | |
JPH0733718U (ja) | サンバイザの支承装置 | |
JPH05412Y2 (ko) | ||
JP5424934B2 (ja) | 車両用サンバイザ | |
KR19980054862U (ko) | 자동차용 선 바이저 회전 제한 기구 | |
KR100968761B1 (ko) | 차량의 선바이저 | |
KR100380168B1 (ko) | 자동차의 본네트 스테이 고정구조 | |
KR100333755B1 (ko) |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 |
JPH0735123U (ja) | サンバイザの取付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318 Effective date: 2010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