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797A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797A
KR20090039797A KR1020097003283A KR20097003283A KR20090039797A KR 20090039797 A KR20090039797 A KR 20090039797A KR 1020097003283 A KR1020097003283 A KR 1020097003283A KR 20097003283 A KR20097003283 A KR 20097003283A KR 20090039797 A KR20090039797 A KR 20090039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asing
air
heat exchange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320B1 (ko
Inventor
요시따까 마쯔기
다까히꼬 니시다
야스노부 오꾸무라
노부마사 다께우찌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0331A external-priority patent/JP41004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03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9360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Abstract

케이싱(10)의 상면판(13)에, 실외흡입구(21)와, 실내흡입구(22), 실내급기구(23), 및 실외배기구(24)를 형성하며, 각 흡입구(21, 22) 및 급/배기구(23, 24)에 덕트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싱, 열교환 소자, 실외흡입구, 실내급기구, 실내흡입구, 실외배기구

Description

환기장치{VENTILATING DEVICE}
본 발명은,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며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면서 각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 소자(Element)를 구비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평성 06-257817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소자를 구비한 환기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환기장치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며,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이때,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와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는 열교환 소자를 통과한다. 열교환 소자는, 이들 공기의 통과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직교류형 열교환기를 구성한다. 그리고 열교환 소자에서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또 열교환 소자에서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서 수분의 수수도 행해진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환기장치는, 이른바 천장매입형의 환기장치이다. 즉, 이 환기장치는 케이싱이 천장 위의 공간에 설치된다. 케이싱 측판에는, 실외공기를 케이싱 내로 도입하기 위한 실외흡입구와, 실내공기를 케이싱 내로 도입하기 위한 실내흡입구와, 처리후의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실내급기구와, 처리 후의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배출구가 형성된다. 이들 흡입구나 급기/배기구에는 각각 덕트(Duct) 등이 접속되며, 각 덕트는 실내공간이나 실외공간 으로 개구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환기장치를 천장 위에 설치하면, 이 환기장치의 보수관리가 번잡해진다. 구체적으로, 천장매입형의 환기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천장면 쪽부터 필터의 청소나 교환을 하므로, 사다리 등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열교환 소자나 각 전장품의 보수관리를 행할 경우, 천장 위로 들어가거나, 환기장치를 일단 천장에서 분리시키거나 할 필요성도 생긴다.
한편, 특허문헌 1의 환기장치를 실내공간에 설치하는, 이른바 스탠드형 환기장치로서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케이싱 측면의 각 흡입구나 급/배기구에 각 덕트가 각각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이들 덕트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어, 이 환기장치의 설치장소에 제약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수관리가 용이하며 또 설치성이 우수한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발명은, 실외흡입구(21)와 실내급기구(23)를 잇는 급기통로와, 실내흡입구(22)와 실외배기구(24)를 잇는 배기통로가 형성되는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 내에 수납되며, 상기 급기통로를 흐르는 실외공기와 상기 배기통로를 흐르는 실내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 소자(61, 62)를 구비한 환기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 환기장치는 상기 실외흡입구(21)와, 상기 실내급기구(23), 상기 실내흡입구(22), 및 상기 실외배기구(24)가 상기 케이싱(10)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케이싱 상부"란, 케이싱의 상면만이 아닌, 케이싱 측면의 상부 쪽 위치도 포함한 뜻이다.
제 1 발명에서는, 환기장치의 케이싱(10)에 급기통로와 배기통로가 형성된다. 이 환기장치의 운전 시에는 실외흡입구(21)로부터 급기통로로 실외공기가 도입되는 한편, 실내흡입구(22)로부터 배기통로로 실내공기가 도입된다. 급기통로를 흐르는 실외공기와 배기통로를 흐르는 실내공기는 각각 열교환 소자(61, 62)를 통과한다. 열교환 소자(61, 62)에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열교환한다. 열교환 소자(61, 62)에서 처리된 후의 실외공기는 실내급기구(23)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열교환 소자(61, 62)에서 처리된 후의 실내공기는 실외배기구(2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 환기장치에서는 실내환기와 동시에 실내공조도 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환기장치에서는, 실외흡입구(21), 실내흡입구(22), 실내급기구(23), 및 실외배기구(24)가 모두 케이싱(10) 상부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 흡입구(21, 22)나 급/배기구(23, 24)가 모두 케이싱(10) 상부에 집약된다. 이로써, 이 환기장치를 실내 바닥면에 설치해도, 각 흡입구(21, 22)나 급/배기구(23, 24)에 접속되는 덕트를 천장측으로 연장함으로써, 이 환기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흡입구(21)와, 상기 실내급기구(23), 상기 실내흡입구(22), 및 상기 실외배기구(24)가 상기 케이싱(10)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2 발명에서는 실외흡입구(21)와, 실내급기구(23), 실내흡입구(22), 및 상기실외배기구(24)가 모두 케이싱(10) 상면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 흡입구(21, 22)나 급/배기구(23, 24)가 모두 케이싱(10) 상면에 집약된다. 이로써, 이 환기장치를 실내 바닥면에 설치해도, 각 흡입구(21, 22)나 급/배기구(23, 24)에 접속되는 덕트를 천장측으로 연장함으로써, 이 환기장치의 공간을 더욱 축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싱 측면 쪽에는 덕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납장 등 좁은 공간에 환기장치를 수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서는, 그 전면(前面)측에 형성되는 전면패널(12)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되며, 상기 열교환 소자(61, 62)는 상기 전면패널(12)을 분리하면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3 발명에서는, 케이싱(10) 전면측의 전면패널(12)이 케이싱(10) 본체로부터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다. 그리고 이 전면패널(12)을 분리하면, 열교환 소자(61, 62)가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된다. 이로써, 이 환기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해도, 전면패널(12)을 분리함으로써 열교환 소자(61, 62)의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통로 또는 배기통로를 흐르는 공기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71)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10)에서는 그 전면측에 형성되는 전면패널(12)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되고, 상기 필터(71)는 상기 전면패널(12)을 분리하면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4 발명에서는 급기통로 또는 배기통로에 필터(71)가 배치된다. 이 필터(71)는 급기통로를 흐르는 실외공기 중의 먼지나, 배기통로를 흐르는 실내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전면패널(12)을 분리하면, 이 필터(71)가 노출된 상태로 된다. 이로써, 이 환기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해도, 전면패널(12)을 분리함으로써 필터(71)의 보수관리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71)는, 상기 급기통로의 상기 열교환 소자(61, 62)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5 발명에서는 열교환 소자(61, 62) 상류측의 급기통로에 필터(71)가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필터(71)는 열교환 소자(61, 62)로 유입하기 전의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한다. 그 결과, 열교환 소자(61, 62)에 실외공기 중의 먼지가 부착해버리는 것이 회피된다.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소자(61, 62)는 그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상기 급기통로의 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71)는 상기 열교환 소자(61)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6 발명에서는, 급기통로를 흐르는 실외공기가, 우선 열교환 소자(61, 62) 하측에 배치된 필터(71)를 통과한다. 이 필터(71)에서는 실외공기 중의 먼지가 포집된다. 그 후 실외공기는 열교환 소자(61, 62)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흐른다. 여기서, 이와 같이 실외공기가 열교환 소자(61, 62)를 수직 상방으로 흐르도록 하면, 열교환 소자(61, 62)의 하면측에, 필터(71)로 포집하지 못한 비교적 지름이 작은 먼지가 부착해버리는 일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 소자(61, 62)로의 실외공기 공급을 정지시킴으로써, 열교환 소자(61, 62) 하면측에 부착한 먼지를 필터(71) 상면에 낙하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과 같이 열교환 소자(61, 62) 하측에 필터(71)를 배치하면, 이 필터(71)를 교환할 때, 필터(71)에 포집된 먼지 등이 박리되어 떨어져도, 열교환 소자(61, 62)에 부착하는 일이 없다.
제 7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전장품이 수납되는 전장품 상자(72)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10)에서는 그 전면측에 형성되는 전면패널(12)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되고, 상기 전장품 상자(72)는, 상기 전면패널(12)을 분리하면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7 발명에서는 환기장치의 운전에 필요한 각 전장품이 전장품 상자(72)에 수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전면패널(12)을 분리하면, 이 전장품 상자(72)가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된다. 이로써, 환기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해도, 전면패널(12)을 분리함으로써, 전장품 상자(72)의 보수관리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7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상자(72)는 케이싱(10)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8 발명에서는 전장품 상자(72)가 케이싱(10)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공사의 시공불량 등 어떤 원인으로 인해 케이싱(10) 내 공기통로로 수분이 침입하면, 이 수분이 케이싱(10) 하부에 고이므로, 전장품 상자(72) 주위가 습윤상태로 돼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 9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급기 팬(73)과, 상기 배기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배기 팬(74)을 구비하며, 상기 급기 팬(73)과 배기 팬(74)은 케이싱(10)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9 발명에서는 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급기 팬(73) 및 배기 팬(74)이 각각 케이싱(10)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케이싱(10) 내로 침입한 수분은 케이싱(10) 하부에 고이므로, 각 팬(73, 74) 주위가 습윤상태로 돼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 10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급기 팬(73)과, 상기 배기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배기 팬(74)을 구비하며, 상기 급기 팬(73)은 급기통로의 열교환 소자(61, 62)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팬(74)은 배기통로의 열교환 소자(61, 62)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0 발명에서는, 급기 팬(73) 및 배기 팬(74)이 각각 열교환 소자(61, 62) 하류측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 열교환 소자(61, 62)는 각 팬(73, 74)의 흡입측에 위치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열교환 소자(61, 62)가 각 팬(73, 74)의 토출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실외공기나 실내공기가 열교환 소자(61, 62)의 전체영역을 균등하게 유통하기 쉬워진다.
제 11 발명은, 제 1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케이싱(10) 내에, 이 케이싱(10)의 일측면을 따르도록 제 1 통로(52a)와 제 2 통로(54a)가 중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통로(52a)는 케이싱(10) 일측면에 형성되고, 열교환 소자(61, 62)로 유입하기 전의 실외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 2 통로(54a)는 케이싱(10) 내부측에 형성되며, 열교환 소자(61, 62)를 통과한 후의 실내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1 발명에서는 케이싱(10) 내에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도입된다. 이들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는 열교환 소자(61, 62)를 흐른다. 열교환 소자(61, 62)에서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서로 열교환한다.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예의 환기장치를 실내에 설치하여 이용할 경우, 이 환기장치에 의한 실내의 난방부하나 냉방부하의 저감효과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 손상돼버릴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동기(冬期)에, 열교환 소자에서 열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배기통로를 지나 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 소자 하류측의 배기통로로 비교적 저온의 공기(배출공기)가 흐르게 된다. 한편, 환기장치를 실내에 설치하면, 케이싱 주위의 온도(실내온도)는 이 배출공기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실내의 열이 케이싱을 통해 배출공기로 전달돼버려, 이 배출공기의 온도가 높아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배출공기는 그 후 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그 결과, 이 환기장치에 의해 실내로 공급된 열이 결국 실외로 버려지게 되어, 동기의 난방부하가 증대해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 예를 들어 하기(夏期)에, 열교환 소자에서 열이 부여된 실내공기는 배출통로를 지나 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 소자 하류측의 배기통로로 비교적 고온의 배출공기가 흐르게 된다. 한편, 환기장치 케이싱 주위의 실내온도는 이 배출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되기 쉽다. 이 때문에 배출공기의 열이 케이싱을 통해 실내로 전달돼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실내온도가 상승하여, 하기의 냉방부하가 증대해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10) 내에, 열교환 소자(61, 62) 상류측의 실외공기가 흐르는 제 1 통로(52a)와, 열교환 소자(61, 62) 하류측의 실내공기가 흐르는 제 2 통로(54a)를 형성한다. 각 통로(52a, 54a)는 케이싱(10) 일측면을 따르도록 형성되며, 제 1 통로(52a)가 케이싱(10)의 일측면 쪽(외측 쪽)에, 제 2 통로(54a)가 케이싱(10)의 내부측 쪽에 위치한다. 즉, 제 1 통로(52a)는 케이싱(10)의 일측면을 개재하고 실내와 서로 인접한다. 제 2 통로(54a)는 제 1 통로(52a)와 서로 인접하는 한편, 케이싱(10) 일측면과는 인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 1 통로(52a)와 제 2 통로(54a)를 케이싱(10) 내에 형성함으로써, 실내공간의 난방부하나 냉방부하가 증대해버리는 것을,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방지한다.
예를 들어 동기에, 열교환 소자(61, 62)에서는 비교적 저온의 실외공기와 비교적 고온의 실내공기가 열교환되어, 실내공기의 열이 실외공기에 부여된다. 실내공기로부터 열을 탈취하여 가열된 실외공기는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외공기에 열을 부여한 실내공기는 제 2 통로(54a)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제 2 통로(54a)는 케이싱(10) 일측면과 서로 인접하지 않는다. 이로써, 실내공간의 열이 케이싱(10)을 통해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공기(배출공기)로 전달돼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제 2 통로(54a)는 제 1 통로(52a)와 서로 인접한다. 이 제 1 통로(52a)에는 비교적 저온의 실외공기가 흐른다. 이로써 배출공기 열이 제 1 통로(52a)의 실외공기에 부여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배출공기의 열이 제 1 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로 회수된다.
또 예를 들어 하기에, 열교환 소자(61, 62)에서는 비교적 고온의 실외공기와 비교적 저온의 실내공기가 열교환되어, 실외공기의 열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실내공기에 열을 부여하여 냉각된 실외공기는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외공기로부터 열을 탈취한 실내공기는 제 2 통로(54a)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제 2 통로(54a)는 케이싱(10) 일측면과 인접하지 않는다. 이로써,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공기(배출공기)의 열이 케이싱(10)을 통해 실내공간에 방출돼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제 2 통로(54a)는 제 1 통로(52a)와 서로 인접한다. 이 제 1 통로(52a)로는 비교적 고온의 실외공기가 흐른다. 이로써, 제 1 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의 열이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에 부여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배출공기의 냉열이 제 1 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로 회수된다.
제 12 발명은, 제 11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 내에는 제 1 및 제 2의 상기 열교환 소자(61, 62)가 수납되며, 상기 케이싱(10) 내에는 상기 제 2 통로(54a)와 중첩되도록 제 3 통로(55a)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통로(55a)는 제 1 열교환 소자(61)를 통과한 후이며 또 제 2 열교환 소자(62)로 유입하기 전의 실내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2 발명에서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열교환 시키기 위한 열교환부재로서 제 1 열교환 소자(61)와 제 2 열교환 소자(62)가 설치된다. 케이싱(10) 내에 도입된 실내공기는 제 1 열교환 소자(61)에서 열교환한 후 제 3 통로(55a)를 흐르며, 다시 제 2 열교환 소자(62)에서 열교환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3 통로(55a)를 제 2 통로(54a)와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한다. 이로써,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와 제 3 통로(55a)를 흐르는 실외공기 사이의 열 수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동기에는, 비교적 고온의 실외공기가 제 1 열교환 소자(61)에서 실내공기에 열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제 3 통로(55a)에는 케이싱(10)으로 도입되는 실내공기보다 저온의 공기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열교환 소자(61)를 통과하기 전의 실내공기가 제 3 통로(55a)를 흐르는 경우에 비해, 제 3 통로(55a)를 흐르는 실내공기로부터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에 부여되는 열량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통로(54a)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하기에는, 비교적 저온의 실외공기가 제 1 열교환 소자(61)에서 실내공기로부터 열을 탈취한다. 이에 따라 제 3 통로(55a)에는 케이싱(10)으로 도입되는 실내공기보다 고온의 공기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열교환 소자(61)를 통과하기 전의 실내공기가 제 3 통로(55a)를 흐르는 경우에 비해,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로부터 제 3 통로(55a)를 흐르는 배출공기에 부여되는 열량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통로(54a)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냉열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13 발명은, 제 11 또는 제 12 발명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의 유통방향과, 상기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실내공기의 유통방향이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3 발명에서는,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실내공기와, 제 1 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를, 이른바 대향류로 한다. 이로써, 각 통로(52a, 54a)를 흐르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그 결과, 동기에는 제 1 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로 회수되는 열량이 증대하는 한편, 하기에는 제 1 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로 회수되는 냉열량이 증대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실외흡입구(21)와, 실내흡입구(22), 실내급기구(23), 및 실외배기구(24)를 각각 케이싱(10) 상부에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이 환기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해도, 각 흡입구(21, 22)나 급/배기구(23, 24)에 접속되는 덕트를 위쪽의 천장측으로 연장함으로써, 실내공간에서 각 덕트가 방해물이 되기 어렵다. 이로써, 이 환기장치를 비교적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스탠드형 환기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환기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하도록 하면, 예를 들어 천장매입형의 환기장치에 비해, 이 환기장치의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발명에서는 각 흡입구(21, 22)나 급/배기구(23, 24)를 케이싱(10) 상면에 형성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덕트를 케이싱(10) 상면에서 천장측으로 똑바로 연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덕트의 설치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이 환기장치를 실내에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발명에서는, 전면패널(12)을 분리함으로써 열교환 소자(61, 62)가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보수관리업자 등이 열교환 소자(61, 62)의 보수작업을 실내측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4 발명에서는, 전면패널(12)을 분리함으로써 필터(71)가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 등이 필터(71)의 보수작업을 실내측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 5 발명에서는, 열교환 소자(61, 62)의 상류측을 흐르는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71)에 의해 포집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 소자(61, 62)에 실외공기 중의 먼지가 부착해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 6 발명에서는 이 필터(71)를 열교환 소자(61) 하측에 배치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71)를 통과하여 열교환 소자(61) 하면에 부착한 먼지를 이 필터(71) 상면에서 회수할 수 있다. 그 결과, 열교환 소자(61) 하측의 공기통로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필터(71)를 열교환 소자(61) 하측에 배치하면, 필터(71)를 교환할 때 등에 필터(71)에서 먼지 등이 박리되어 떨어져도, 이 먼지가 열교환 소자(61) 상측에 부착해버리는 일이 없다.
상기 제 7 발명에서는, 전면패널(12)을 분리함으로써 전장품 상자(72)가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보수관리업자 등이 전장품 상자(72)의 보수작업을 실내측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8 발명에서는 전장품 상자(72)를 케이싱(10) 상부에 배치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장품 상자(72) 주위가 습윤상태로 되는 것을 가능한 한 회피할 수 있어, 각 전장품의 전기적 기능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9 발명에서는 급기 팬(73) 및 배기 팬(74)을 케이싱(10) 상부에 배치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팬(73, 74)의 주위가 습윤상태로 되는 것을 가능한 한 회피할 수 있어, 각 팬(73, 74)의 전기적 기능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0 발명에서는 각 팬(73, 74)의 흡입측에 열교환 소자(61, 62)를 배치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가 열교환 소자(61, 62) 전체영역을 균일하게 흐르기 쉬워지므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제 11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10)의 일측면을 따르도록 제 1 통로(52a)와 제 2 통로(54a)를 중첩 형성하여, 케이싱(10) 일측면 쪽 제 1 통로(52a)에 열교환 소자(61, 62) 상류측의 실외공기를 유통시키며, 케이싱(10) 내부측 제 2 통로(54a)에 열교환 소자(61, 62) 하류측의 실내공기를 유통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동기에, 케이싱(10) 주위의 실내 열이,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실외공기로 전해져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난방부하의 증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의 열을 제 1 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로 회수할 수 있어, 난방부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에,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의 열이 케이싱(10) 주위의 실내공간으로 전해져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냉방부하의 증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의 냉열을 제 1 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로 회수할 수 있어, 난방부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 제 12 발명에 의하면 제 2 통로(54a)와 서로 인접하도록 제 3 통로(55a)를 형성하여, 제 1 열교환 소자(61)를 통과한 실내공기를 제 3 통로(55a)로 유통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제 1 열교환 소자(61)를 통과하기 전의 실내공기를 제 3 통로(55a)로 유통시키는 경우에 비해,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와 제 3 통로(55a)를 흐르는 실외공기 사이의 열 이동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이 열 이동에 따른 난방부하나 냉방부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3 발명에 의하면, 제 1 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와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를 대향류로 하므로, 이들 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동기에는 난방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으며, 하기에는 냉방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환기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환기장치 내부의 전면(前面)측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환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며, 급기 팬과 배기 팬 및 전면패널의 도시를 생략한 것이다.
도 4는, 환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며, 케이싱 상부와, 전면패널, 제 4 및 제 5 부재, 그리고 제 1 및 제 2 열교환 소자의 도시를 생략한 것이다.
도 5는, 환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며, 급기 팬과, 배기 팬, 전면패널, 제 5 부재, 그리고 제 1 및 제 2 열교환 소자의 도시를 생략한 것이다.
도 6은, 환기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급기 팬과, 배기 팬, 전면패널 그리고 제 1 및 제 2 열교환 소자의 도시를 생략한 것이다.
도 7은, 제 1 열교환 소자 및 제 2 열교환 소자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환기장치의 좌측부위 종단면도이며, (B)는, 환기장치의 우측부위 종단면도이다.
도 9는 환기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도 8의 (A)에 대하여 열교환 환기운전 시의 공기 유통을 부여한 것이며, (B)는, 도 8의 (B)에 대하여 열교환 환기운전 시의 공기 유통을 부여한 것이다.
도 11의 (A)는, 도 8의 (A)에 대하여 보통환기운전 시의 공기 유통을 부여한 것이며, (B)는, 도 8의 (B)에 대하여 보통환기운전 시의 공기 유통을 부여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 환기장치 10 : 케이싱
12 : 전면(前面)패널 21 : 실외흡입구
22 : 실내흡입구 23 : 실내급기구
24 : 실외배기구 61 : 제 1 열교환 소자(열교환 소자)
62 : 제 2 열교환 소자(열교환 소자)
71 : 필터(필터부재) 72 : 전장품 상자
73 : 급기 팬 74 : 배기 팬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우", "좌", "상", "하", "전", "후"란 어구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모두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를 의미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환기장치(1) 구성에 대하여 도 1∼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환기장치(1)는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른바 스탠드형 환기장치를 구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기장치(1)는 세로로 긴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싱(10)을 구비한다. 케이싱(10)은 전면(前面)이 개방된 케이싱 본체(11)와, 케이싱 본체(11)의 전방측 개방부에 탈착 자유로운 전면패널(12)을 구비한다.
케이싱 본체(11)에는 상부에 상면판(13)이 형성되며, 후방측에 배면판(14)이 형성된다. 상면판(13)에는 실외흡입구(21)와, 실내흡입구(22), 실내급기구(23), 및 실외배기구(24)가 형성된다. 실외흡입구(21)는 상면판(13)의 왼쪽 후방부에, 실내흡입구(22)는 상면판(13)의 왼쪽 전방부에, 실내급기구(23)는 상면판(13)의 오른쪽 전방부에, 실외배기구(24)는 상면판(13)의 오른쪽 후방부에 각각 형성된다.
전면패널(12)은 후방측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싱 본체(11)에 전면패널(12)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전면패널(12) 후방측에 사각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도 2 참조).
전면패널(12)은, 전면패널 구획판(12a)과, 패색부재(12b), 및 조작부(12c)를 구비한다. 전면패널 구획판(12a)은 전면패널(12) 내측에 설치된다. 이 전면패널 구획판(12a)은, 전면패널 구획판(12a)의 내측공간을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폐색부재(12b)는 전면패널(12) 하부에 설치된다. 이 폐색부재(12b)는 전면패널(12)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폐색부재(12b)는 전면패널(12)과 별개로 형성되며 케이싱(10)에서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다. 조작부(12c)는 전면패널(12) 전면의 상부 쪽에 형성된다. 이 조작부(12c)에는 환기장치(1)의 운전조작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11) 내에는, 상부에 제 1 구획판(31)이 배치된다. 이 제 1 구획판(31)은 케이싱 본체(11)의 내부공간을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이 상하 2개의 공간 중 상측공간에는 전후로 이어지는 제 2 구획판(32)이 배치된다. 이 제 2 구획판(32)은 상측공간을 다시 좌우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이 좌우 2개의 공간 중 좌측공간에는 제 3 구획판(33)과 제 4 구획판(34)이 배치되며, 우측공간에는 제 5 구획판(35)이 배치된다.
제 3 구획판(33) 후방측에는 실외흡입통로(41)가 형성된다. 이 실외흡입통로(41)는 상기 실외흡입구(21)와 연통된다. 제 4 구획판(34) 전방측에는 실내흡입통로(42)가 형성된다. 이 실내흡입통로(42)는 상기 실내흡입구(22)와 연통된다. 또 실내흡입통로(42)는, 전술한 전면패널(12) 내 상측공간과 연통된다(도 2 참조). 제 5 구획판(35) 전방측에는 실내급기통로(43)가 형성된다. 이 실내급기통로(43)는 실내급기구(23)와 연통된다. 또 실내급기통로(43)는, 도시하지 않는 구획판에 의해 전면패널(12) 내 상측공간과 구획된다. 제 5 구획판(35) 후방측에는 실외배기통로(44)가 형성된다. 이 실외배기통로(44)는 실외배기구(24)와 연통된다.
제 3 구획판(33)과 제 4 구획판(34) 사이에는 바이패스통로(45)가 형성된다. 이 바이패스통로(45)는, 제 4 구획판(34)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도입구(34a)를 통해 상기 실내흡입통로(42)와 연통된다. 또 제 4 구획판(34)에는 바이패스 도입구(34a)의 개폐가 자유로운 개폐댐퍼(34b)가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판(31)에는, 제 1 연통구(31a), 제 2 연통구(31b), 및 제 3 연통구(31c)가 형성된다. 제 1 연통구(31a)는 실외흡입통로(41)로 개구된다. 제 2 연통구(31b)는 바이패스통로(45)와 실외배기통로(44)에 걸쳐지도록 양 통로(44, 45)로 개구된다. 제 3 연통구(31c)는 실내급기통로(43)로 개구된다. 또 제 1 구획판(31)은 전단(前端)면이 하측으로 굴곡된다.
제 1 구획판(31) 하측에는 제 1에서 제 5까지의 부재(51, 52, 53, 54, 55)와 제 1 및 제 2 열교환 소자(61, 62)가 배치된다(예를 들어 도 3 참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51)는 제 1 구획판(31) 후방측의 절반부분과 거의 일치하는 가로로 긴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제 1 부재(51)에는, 뒤쪽에 상부 급기통로(51a)가, 앞쪽에 상기 배기통로(51b)가 형성된다. 상부급기통로(51a)는 상기 제 1 연통구(31a)를 통해 실외흡입통로(41)와 연통된다. 상기 배기통로(51b)는 상기 제 2 연통구(31b)를 통해 실외배기통로(44) 및 바이패스통로(45)와 연통된다.
제 2 부재(52)는, 제 1 부재(51) 하측이며 또 케이싱(10) 후방측의 가장 뒤쪽에 배치된다. 제 2 부재(52)는 전방측이 개방된, 수평 단면 역`??`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부재(52) 내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중간부 급기통로(52a)가 형성된다. 중간부 급기통로(52a)는 상기 상부 급기통로(51a)와 연통된다.
중간부 급기통로(52a)는, 케이싱 본체(11)의 일측면인 배면판(14)을 따라 형성된다. 중간부 급기통로(52a)는 제 1 통로이며, 각 열교환 소자(61, 62)를 통과하기 전의 실외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제 3 부재(53)는 케이싱(10) 하부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제 3 부재(53)에는 좌우 양쪽에 하부 배기통로(53a, 53a)가 각각 형성된다. 각 하부 배기통로(53a, 53a)는, 그 전단 개구부에서 후방측 상단 개구부에 걸쳐 형성된다. 또 제 3 부재(53)에는, 양 하부 배기통로(53a, 53a) 사이에 하부 급기통로(53b)가 형성된다. 하부 급기통로(53b)는 상기 중간부 급기통로(52a)와 연통된다. 또 하부 급기통로(53b)의 전단 개구부는, 전면패널(12)의 폐색부재(12b)에 의해 막힌다(도 2 참조).
제 3 부재(53) 상단에는 하측 프레임부재(56)가 배치된다. 이 하측 프레임부재(56)는, 제 3 부재(53)의 좌우 측단부를 따라 이어지는 한 쌍의 막대형 가이드부와, 이들 가이드부의 후단부로부터 좌우로 이어지는 막대형의 중간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하측 프레임부재(56) 내측에는 상기 제 2 열교환 소자(62)의 하단부가 끼워진다. 즉, 하측 프레임부재(56)는 제 2 열교환 소자(62)의 위치결정부재로서 기능한다. 또 하측 프레임부재(56)는 제 2 열교환 소자(62)를 통과하는 공기의 밀봉부재로도 기능한다. 또한 하측 프레임부재(56) 전단부에는 앞쪽 가이드판(57)이 장착된다(예를 들어 도 3 참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부재(54)는, 상기 제 2 부재(52)의 전방측이며 또 제 3 부재(53)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 4 부재(54)는 전방측이 개방된, 수평 단면 역`??`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4 부재(54) 내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중간부 배기통로(54a)가 형성된다. 중간부 배기통로(54a)는 하단측이 2개의 하부 배기통로(53a, 53a)와 접속되며, 상단측이 상기 상부 배기통로(51b)와 접속된다.
중간부 배기통로(54a)는, 케이싱(10)의 배면판(14)을 따라 상기 중간부 급기통로(52a)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부 급기통로(52a)는 배면판(14) 측에 위치하며 배면판(14)과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는데 반해, 이 중간부 배기통로(54a)는 상기 중간부 급기통로(52a)보다 케이싱(10) 전후방향의 내부 쪽에 형성된다. 즉 중간부 배기통로(54a)는 중간부 급기통로(52a)와 서로 인접하는 한편, 케이싱(10)의 배면판(14)과는 인접하지 않는다. 이 중간부 배기통로(54a)는 제 2 통로이며, 각 열교환 소자(61, 62)를 통과한 후의 실내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제 4 부재(54) 하단부에는 좌우로 이어지는 판상의 덮개부재(54b)가 설치된다. 이 덮개부재(54b)는 중간부 배기통로(54a)와 상기 하부 급기통로(53b)를 서로 구획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부재(55)는, 상기 제 4 부재(54)의 전방측이며 또 제 3 부재(53) 상측에 배치된다. 제 5 부재(55)는 전방측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제 5 부재(55) 내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연락 배기통로(55a)가 형성된다. 연락 배기통로(55a)는 제 5 부재(55)의 천장판에 의해 상기 상부 배기통로(51b)와 구획되며, 제 5 부재(55)의 바닥판에 의해 상기 하부 급기통로(53b)와 구획된다.
연락 배기통로(55a)는, 전술한 중간부 배기통로(54a)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연락 배기통로(55a)는 중간부 배기통로(54a)의 전방측이며 또, 중간부 배기통로(54a)와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연락배기통로(55a)는 제 3 통로이며, 제 1 열교환 소자(61)를 통과한 후이며 또 제 2 열교환 소자(62)로 유입하기 전의 실내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제 5 부재(55)에는 상측 프레임부재(58)가 설치된다. 상측 프레임부재(58) 는, 전후좌우 각각에 막대형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재(58) 내측에는 상기 제 2 열교환 소자(62)의 상단부와, 제 1 열교환 소자(61)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측 프레임부재(58)는 각 열교환 소자(61, 62)의 위치결정부재로서 기능한다. 또 상측 프레임부재(58)는 각 열교환 소자(61, 62)를 통과하는 공기의 밀봉부재로도 기능한다.
제 1 열교환 소자(61) 및 제 2 열교환 소자(62)는 본 발명의 열교환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제 5 부재(55)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제 1 열교환 소자(61)는 상측 프레임부재(58)와 제 1 구획판(31) 사이에, 제 2 열교환 소자(62)는 상기 하측 프레임부재(56)와 상측 프레임부재(58)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예를 들어 도 3 참조). 또 각 열교환 소자(61, 62)는 전면패널(12)의 뒤쪽에 위치한다. 즉, 각 열교환 소자(61, 62)는 전면패널(12)을 분리함으로써 전면측이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열교환 소자(61, 62)는 좌우 끝단면이 정방형인 사각주형으로 형성된다. 열교환 소자(61, 62)에서는 평판부재(63)와 골판부재(64)가 그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이 열교환 소자(61, 62)에서는, 실외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실외공기 유로(65)와, 실내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실내공기 유로(66)가 평판부재(63)를 개재하고 교대로 형성된다. 사각주형의 열교환 소자(61, 62)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측면의 한쪽에 실외공기 유로(65)가, 다른 쪽에 실내공기 유로(66)가 각각 개구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 소자(61, 62)는 실외공기 유로(65)의 연장방향과 실내공기 유로(66)의 연장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직교류형 열교환기를 구성한다.
열교환 소자(61, 62)의 평판부재(63)는, 예를 들어 종이 등 투습성(moisture permeability) 재료로 구성된다. 열교환 소자(61, 62)에서는, 실외공기 유로(65)를 흐르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유로(66)를 흐르는 실내공기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열과 수분이 이동한다. 즉, 열교환 소자(61, 62)는 습윤공기들 사이에서 서로 엔탈피를 교환하는, 이른바 전열(全熱) 교환기를 구성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열교환 소자(61, 62)는, 실외공기 유로(65)가 수직방향으로 이어지며, 실내공기 유로(66)가 전후방향으로 이어지는 자세로 케이싱 본체(11) 내에 유지된다. 제 2 열교환 소자(62)의 실외공기 유로(65)는 하단측이 하부 급기통로(53b)와 연통되며, 상단측이 제 1 열교환 소자의 실외공기 유로(65) 하단측과 연통된다. 또 제 1 열교환 소자(61)의 실외공기 유로(65) 상단측은, 제 3 연통구(31c)를 통해 실내 급기통로(43)와 연통된다.
도 8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열교환 소자(62)의 실내공기 유로(66) 전단측은, 전면패널(12) 내 하측공간을 통해 상기 각 하부 배기통로(53a, 53a)와 연통된다. 또 제 1 열교환 소자(61)의 실내공기 유로(66) 전단측은, 전면패널(12) 내 상측공간을 통해 실내흡입통로(42)와 연통된다. 한편, 각 열교환 소자(61, 62)의 후단(後端)측은 각각 상기 연락 배기통로(55a)와 연통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케이싱(10) 내에는 상기 실외흡입구(21)로부터 상기 실내급기구(23)에 걸쳐 실외공기가 흐르는 급기통로가 형성된다. 또 케이싱(10) 내에는 상기 실내흡입구(22)로부터 상기 실외배기구(24)에 걸쳐 실내공기가 흐르는 배 기통로가 형성된다.
환기장치(1)는, 필터부재(71)와, 전장품(72), 급기 팬(73), 및 배기 팬(74)을 구비한다.
필터부재(71)는, 예를 들어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열교환 소자(62) 하측이며 하부 급기통로(53b) 내에 배치된다. 이 필터부재(71)는 판상 기재(基材)에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필터부재(71)에서는 수직방향으로 공기의 유통로가 형성된다.
또 필터부재(71)는 전면패널(12)의 패색부재(12b) 뒤쪽에 위치한다. 즉 필터부재(71)는 폐색부재(12b)를 분리함으로써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필터부재(71)는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딩동작이 가능해지도록 제 3 부재(53)에 지지된다.
전장품 상자(72)에는 환기장치(1)의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전장품이 수납된다. 이 전장품 상자(72)는 케이싱(10)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공사의 시공불량 등 어떤 원인으로 인해 케이싱(10) 내 공기통로로 수분이 침입하면, 이 수분은 최종적으로 케이싱(10) 하부측에 고이기 쉽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전장품 상자(72)를 케이싱(10) 상부 쪽에 배치함으로써, 전장품 상자(72)의 주위가 습윤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 전장품의 전기적 기능불량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 전장품 상자(72)는 전면패널(12)의 조작부(12c) 뒤쪽에 위치한다. 즉 전장품 상자(72)는 전면패널(12)을 분리함으로써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급기 팬(73)은 급기통로를 흐르는 실외공기를 반송하는 것이며, 배기 팬(74)은 배기통로를 흐르는 실내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 팬(73) 및 배기 팬(74)은 각각 케이싱(10) 내의 상부 쪽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급기 팬(73)은 상기 실내급기통로(43)에 설치되며, 배기 팬(74)은 상기 실외배기통로(44)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각 팬(73, 74)을 케이싱(10)의 상부 쪽에 배치함으로써, 전술한 전장품 상자(72)와 마찬가지로, 각 팬(73, 74) 주위가 습윤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 팬(73, 74)의 전기적 기능불량을 방지하도록 한다.
급기 팬(73)은 급기통로의 각 열교환 소자(61, 62) 하류측에 배치된다. 즉 급기 팬(73)은 흡입측에 각 열교환 소자(61, 62)가 위치한다. 이로써, 급기 팬(73)을 각 열교환 소자(61, 62) 상류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급기 팬(73)에 반송되는 실외공기는, 각 열교환 소자(61, 62) 실외공기 유로(65)의 전체영역을 균일하게 유통하기 쉬워진다.
배기 팬(74)은 배기통로의 각 열교환 소자(61, 62) 하류측에 배치된다. 즉 배기 팬(74)은 그 흡입측에 각 열교환 소자(61, 62)가 위치한다. 이로써, 배기 팬(74)을 각 열교환 소자(61, 62) 상류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배기 팬(74)에 반송되는 실내공기는, 각 열교환 소자(61, 62) 실내공기 유로(66)의 전체영역을 균일하게 유통하기 쉬워진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기장치(1)는 예를 들어 실내 수납장 등 수납공간(80) 내에 배치된다. 이 환기장치(1)는 전면패널(12)이 수납공간(80) 앞쪽의 개방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 환기장치(1)에서는, 전술한 실외흡입구(21)와, 실내흡입구(22), 실내급기구(23), 및 실외배기구(24)가 상면판(13)에서 위쪽을 향하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수납공간(80) 내에서는 천장 쪽에서 수직 하방으로 이어지는 4개의 덕트(81, 82, 83, 84)가 각 흡입구(21, 22) 및 급/배기구(23, 24)에 각각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외흡입구(21)에는 실외공간과 이어지는 실외흡입덕트(81)가, 상기 실내흡입구(22)에는 실내공간과 이어지는 실내흡입덕트(82)가, 상기 실내급기구(23)에는 실내공간과 이어지는 실내급기덕트(83)가 상기 실외배기구(24)에는 실외공간과 이어지는 실외배기덕트(84)가 각각 접속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환기장치(1)에서는 열교환 환기운전과 보통 환기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열교환 환기운전>
열교환 환기운전에 대하여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운전은, 예를 들어 겨울이나 여름과 같이, 공조되어 있는 실내공간과 실외공간 사이의 기온차나 습도차가 큰 경우에 행해진다.
열교환 환기운전에서는, 개폐댐퍼(34b)가, 바이패스 도입구(34a)를 막는 위치에 설정된다(도 10의 (A) 참조). 이 상태에서 급기 팬(73) 및 배기 팬(74)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덕트(81)를 통해 실외흡입구(21) 내로 유입되며, 실내공기가 실내흡입덕트(82)를 통해 실내흡입구(22) 내로 유입된다.
실외흡입구(21)로부터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실외흡입통로(41) 및 상부급기통로(51a)를 통과하여 중간부 급기통로(52a)를 흐른다. 중간부 급기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는 하부 급기통로(53b)를 통과한 후, 필터부재(71)를 상측으로 유통한다. 필터부재(71)에서는 실외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 등이 포착된다. 필터부재(71)를 통과한 실외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제 2 열교환 소자(62)와 제 1 열교환 소자(61)를 차례로 통과한다.
실내흡입구(22)로부터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실내흡입통로(42)를 통과하여 전면패널(12) 내 상측공간을 흐른다. 그 후, 실내공기는 제 1 열교환 소자(61)를 통과하고, 연락배기통로(55a)를 지나 제 2 열교환 소자(62)를 통과한다.
각 열교환 소자(61, 62)에서는 실외공기 유로(65)를 흐르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유로(66)를 흐르는 실내공기 사이에서 열과 수분의 수수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동기에, 실내가 공조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내공기의 온도 및 습도는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비해 높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열교환 환기운전을 행할 경우, 열교환 소자(61, 62)에서는 실내공기로부터 실외공기로 열과 수분이 이동한다. 즉,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에 의해 가열되면서 가습된다.
또 하기에, 실내가 공조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내공기의 온도 및 습도는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비해 낮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열교환 환기운전을 행할 경우, 열교환 소자(61, 62)에서는 실외공기로부터 실내공기로 열과 수분이 이동한 다. 즉,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에 의해 냉각되면서 감습된다.
제 2 열교환 소자(62)와 제 1 열교환 소자(61)를 차례로 통과한 실외공기는, 실내급기통로(43)를 통과한 후, 실내급기구(23)를 통해 케이싱(10) 외부로 토출된다. 이 공기는 실내급기덕트(83)를 지나 소정의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제 1 열교환 소자(61)와 제 2 열교환 소자(62)를 차례로 통과한 실내공기는 전면패널(12)의 하측공간을 흐른다. 그 후 실내공기는 2개의 하부배기통로(53a)로 분기되며, 중간부 배기통로(54a)에서 다시 합류한다.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실외공기는, 상부 배기통로(51b) 및 실외배기통로(44)를 통과한 후, 실외급기구(24)를 통해 케이싱(10) 외부로 토출된다. 이 공기는 실외배기덕트(84)를 지나 실외공간으로 배출된다.
<보통환기운전>
보통환기운전에 대하여 도 11의 (A) 및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운전은, 예를 들어 중간기(봄이나 가을)와 같이, 공조되어 있는 실내공간과 실외공간 사이의 기온차나 습도차가 그다지 크지 않는 경우에 행해진다.
보통환기운전에서는 개폐댐퍼(34b)가, 바이패스 도입구(34a)를 개방하는 위치에 설정된다(도 12의 (A)참조). 이 상태에서는 실내흡입구(22)와 실내흡입통로(42) 사이가 개폐댐퍼(34b)에 의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급기 팬(73) 및 배기 팬(74)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덕트(81)를 통해 실외흡입구(21) 내로 유입되며, 실내공기가 실내흡입덕트(82)를 통해 실내흡입구(22) 내로 유입된다.
실내흡입구(22)로부터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바이패스통로(45) 및 상부 배기통로(51b)를 지나 실외배기통로(44)로 유입된다. 즉, 이 보통환기운전에서는 실내공기가 각 열교환 소자(61, 62)를 우회하여 실외배기통로(44)로 보내진다.
한편,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열교환 환기운전과 마찬가지의 급기통로를 흐른다. 여기서, 이 보통 환기운전에서는 각 열교환 소자(61, 62)의 실내공기 유로(66)로 실내공기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실외공기가 각 열교환 소자(61,62)를 통과할 때, 실내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과 수분의 수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이 보통환기운전에서, 실외흡입구(21)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는, 온도 및 습도가 거의 변하는 일없이 실내급기구(23)로부터 토출되며, 실내급기덕트(83)를 지나 소정의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또 실내흡입구(22)로부터 도입된 실내공기는, 온도 및 습도가 거의 변하는 일없이 실외배기구(24)로부터 토출되며, 실외배기덕트(84)를 지나 소정의 실외공간으로 공급된다
-열 손실의 삭감효과에 대하여-
그런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기장치(1)를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전술한 열교환 환기운전에서, 배기통로로부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배출공기)와 실내공간 사이에서 열 수수가 행해져, 실내의 난방부하나 냉방부하가 증대해버릴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동기에, 각 열교환 소자(61, 62)에서 열을 빼앗긴 실 내공기는 배기통로를 지나 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열교환 소자(61, 62) 하류측의 배기통로로는 비교적 저온의 공기(배출공기)가 흐르게 된다. 한편, 케이싱(10) 주위의 온도(실내온도)는 이 배출공기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되기 쉽다. 따라서 동기 운전에서는 실내공간의 열이 케이싱(10)을 통해 배출공기로 전해져버려, 이 배출공기가 덥혀지는 경우가 있다. 이 배출공기는 그 후 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그 결과, 이 환기장치(1)에 의해 실내로 공급된 열이 결국 실외로 버려지게 되어, 동기의 난방부하가 증대해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 예를 들어 하기에, 각 열교환 소자(61, 62)에서 열이 부여된 실내공기는 배출통로를 지나 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열교환 소자(61, 62) 하류측의 배기통로에는 비교적 고온의 배출공기가 흐르게 된다. 한편, 케이싱(10) 주위의 실내온도는 이 배출공기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되기 쉽다. 따라서 하기 운전에서는 배출공기의 열이 케이싱(10)을 통해 실내로 전해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실내온도가 상승하여, 하기의 냉방부하가 증대해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환기장치(1)에서는,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0) 배면판(14)에서 케이싱(10) 내부측(전방측)을 향해, 중간부 급기통로(52a), 중간부 배기통로(54a), 및 연락배기통로(55a)를 차례로 나열시켜 형성하도록 한다. 그 결과, 이 환기장치(1)의 열교환 환기운전에서는 실내공간의 난방부하나 냉방부하가 증대해버리는 것을,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방지한다.
우선, 동기에, 각 열교환 소자(61, 62)에서 냉각된 실내공기는 비교적 저온(예를 들어 5℃)의 상태에서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른다. 여기서, 이 중간부 배기통로(54a)는 케이싱(10) 배면판(14)과 서로 인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내공간에서 비교적 고온(예를 들어 20℃)으로 된 실내공기의 열이, 케이싱(10)을 통해,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로 전해져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내의 난방부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중간부 배기통로(54a)는 중간부 급기통로(52a)와 서로 인접한다. 여기서, 중간부 급기통로(52a)로는 비교적 저온(예를 들어 -5℃)의 실외공기가 흐른다. 이로써,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의 열은, 제 4 부재(54)의 측벽을 통해, 중간부 급기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에 부여되며, 이 실외공기가 가열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의 열이 중간부 급기통로(52a)의 실외공기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열을 회수한 실외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최종적으로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이 환기장치(1)에서는 실내공기가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상방으로 흐르며, 실외공기가 중간부 급기통로(52a)를 하방으로 흐른다. 즉 중간부 배기통로(54a)와 중간부 급기통로(52a)는, 열교환되는 공기가 서로 대향류가 된다. 이로써, 양자의 공기 열교환 효율이 증대하며, 중간부 급기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로 회수되는 열량도 증대한다.
또 중간부 배기통로(54a)는 연락배기통로(55a)와 서로 인접한다. 여기서, 연락배기통로(55a)로는 제 1 열교환 소자(61)에서 냉각되어 비교적 저온(예를 들어 12℃)인 실내공기가 흐른다. 이로써, 제 1 열교환 소자(61)에서 냉각되기 전의 고온(예를 들어 20℃)의 실내공기를 연락배기통로(55a)로 유통시키도록 하면, 실내공 기의 열이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로 전달돼버리기 쉬운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락배기통로(55a)를 흐르는 실내공기의 열이 배출공기로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배기통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열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하기에, 각 열교환 소자(61, 62)에서 가열된 실내공기는 비교적 고온(예를 들어 30℃)의 상태에서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른다. 여기서, 이 중간부 배기통로(54a)는 케이싱(10) 배면판(14)과 서로 인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의 열이, 케이싱(10)을 통해 실내공간의 실내공기(예를 들어 25℃)로 전해져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내의 냉방부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중간부 배기통로(54a)는 중간부 급기통로(52a)와 서로 인접한다. 여기서, 중간부 급기통로(52a)로는 비교적 고온(예를 들어 32℃)의 실외공기가 흐른다. 이로써, 중간부 급기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의 열이, 제 4 부재(54)의 측벽을 통해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에 부여되어, 중간부 급기통로(52a)의 실외공기가 냉각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의 냉열이 중간부 급기통로(52a)의 실외공기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냉열을 회수한 실외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최종적으로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이 환기장치(1)에서는 실내공기가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상방으로 흐르며, 실외공기가 중간부 급기통로(52a)를 하방으로 흐른다. 즉 중간부 배기통로(54a)와 중간부 급기통로(52a)에서는, 열교환되는 공기가 서로 대향류가 된다. 이로써, 양자의 공기 열교환 효율이 증대하며, 중간부 급기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로 회수되는 냉열량도 증대한다.
또 중간부 배기통로(54a)는 연락배기통로(55a)와 서로 인접한다. 여기서, 연락배기통로(55a)로는, 제 1 열교환 소자(61)에서 가열되어 비교적 고온(예를 들어 28℃)인 실내공기가 흐른다. 이로써, 연락배기통로(55a)로 제 1 열교환 소자(61)에서 냉각되기 전의 저온(예를 들어 25℃)의 실내공기가 흐르면,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로부터 이 연락 배기통로(55a)를 흐르는 실내공기로 열이 전달돼버리기 쉬운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공기의 열이 연락배기통로(55a)를 흐르는 실내공기로 전달되기 어렵다. 그 결과, 배기통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냉열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환기장치의 설치상황과 보수관리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환기장치(1)는, 케이싱(10) 상면판(13)에, 실외흡입구(21), 실내흡입구(22), 실내급기구(23), 및 실외배기구(24)가 형성되며, 각 흡입구(21, 22)나 급/배기구(23, 24)에는 천장측부터 수직으로 이어지는 4개의 덕트(81, 82, 83, 84)가 접속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기장치(1)의 좌우 측방이나 전후방향에 각 덕트(81, 82, 83, 84)가 배치되는 일이 없다. 이로써, 수납장 등 비교적 좁은 수납공간(80)에 환기장치(1)를 설치하기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환기장치(1)를 스탠드형으로 하므로, 사용자나 보수관리업자 등이 실내측부터 환기장치(1)의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환기장치(1)는, 케이싱(10)의 전면패널(12)이 수납공간(80)의 개방부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사용자 등이 필터부재(71)의 청소나 교환을 할 경우, 전면패널(12)의 폐색부재(12)를 앞쪽으로 슬라이딩시켜, 케이싱(10)에서 폐색부재(12b)를 분리한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필터부재(71)가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다시 필터부재(71)를 앞쪽으로 슬라이딩시켜 필터부재(71)의 청소나 교환을 한다.
그런데 이 필터부재(71)는 제 1 열교환 소자(61) 하측에 위치한다. 때문에 전술한 환기장치(1)의 운전동작에서, 필터부재(71)로 포착하지 못한 비교적 지름이 작은 먼지가 제 1 열교환 소자(61) 하면에 부착했다 하더라도, 그 후 환기장치(1)를 정지시키면 이들 지름이 작은 먼지가 낙하되어 필터부재(71) 상면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들 지름이 작은 먼지를 필터부재(71)로 포착한 먼지와 함께 청소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필터부재(71)를 각 열교환 소자(61) 하측에 배치하면, 필터부재(71)를 교환할 때 등에 필터(71)에서 먼지 등이 박리되어 떨어져도, 이 먼지가 열교환 소자(61) 상측에 부착해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11)에서 전면패널(12)을 분리함으로써, 각 열교환 소자(61, 62) 및 전장품 상자(72)가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로써, 보수관리업자들은, 환기장치(1)의 앞쪽부터 각 열교환 소자(61, 62)나 전장품 상자(72) 내 각 전장품의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실외흡입구(21), 실내흡입구(22), 실내급기구(23), 및 실외배기구(24)를 각각 케이싱(10) 상면판(13)에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이 환기장치(1)를 바닥면에 설치해도, 각 흡입구(21, 22)나 급/배기구(23, 24)에 접속되는 덕트의 설치공간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이 환기장치(1)의 설치장소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여 환기장치(1)를 스탠드형으로 하면, 예를 들어 천장매입형의 환기장치에 비해, 실내공간측부터의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면패널(12)을 분리함으로써, 열교환 소자(61, 62)나 전장품 상자(72)가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폐색부재(12b)를 분리함으로써 필터부재(71)가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환기장치(1)가 수납장 등 수납공간(80)에 설치된 상태라도, 환기장치(1)의 앞쪽부터 각 구성부품의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0) 배면판(14)을 따르도록 중간부 급기통로(52a)와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중첩시켜 형성하도록 하여, 케이싱(10) 배면판(14) 쪽의 중간부 급기통로(52a)로 각 열교환 소자(61, 62)의 상류측 실외공기를 유통시키며, 케이싱(10) 내부측의 중간부 배기통로(54a)로 각 열교환 소자(61, 62)의 하류측 실내공기를 유통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기의 열교환 환기운전에서, 케이싱(10) 주위의 실내 열이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로 전해져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난방부하의 증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의 열을, 중간부 급기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에 의해 회수할 수 있어, 난방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기의 열교환 환기운전에서,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의 열이 케이싱(10) 주위의 실내공간으로 전해져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낸방부하의 증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의 냉열을, 중간부 급기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로 회수할 수 있어, 냉방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간부 배기통로(54a)와 서로 인접하도록 연락배기통로(55a)를 형성하여, 제 1 열교환 소자(61)를 통과한 실내공기를 연락배기통로(55a)로 유통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제 1 열교환 소자(61)를 통과하기 전의 실내공기를 연락배기통로(55a)로 유통시키는 경우에 비해,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와 연락배기통로(55a)를 흐르는 실외공기 사이의 열 이동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이 열 이동에 따른 난방부하나 냉방부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간부 급기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와 중간부 배기통로(54a)를 흐르는 배출공기를 대향류로 하므로, 이들 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기에는 난방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으며, 하기에는 냉방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실외흡입구(21)와, 실내흡입구(22), 실내급기구(23), 및 실외배기구(24)를 각각 케이싱(10) 상면판(13)에 형성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들 흡입구(21, 22)나 급/배기구는 반드시 케이싱(10) 상면에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케이싱(10)의 상부 쪽 측판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각 덕트를 천장측으로 연장함으로써, 실내의 바닥면측 공간이 좁아져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필터부재(71)에서는, 각 열교환 소자(61, 62)의 상류측 실외공기 중 먼지를 포집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 필터부재에 의해, 각 열교환 소자(61, 62)의 상류측 실내공기 중 먼지를 포집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전면패널(12)을 분리함으로써 필터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하면, 이 필터부재의 보수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환기장치(1)에서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서 열과 수분(즉, 현열과 잠열)의 양쪽을 교환시키는 열교환 소자(61, 62)를 이용하나, 이 대신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서 현열만을 교환시키는 현열교환 소자를 이용해도 된다. 또 열교환 소자(61, 62)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라도 되며, 3개 이상이라도 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며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면서 각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 소자를 구비한 환기장치에 대하여 유용하다.

Claims (13)

  1. 실외흡입구(21)와 실내급기구(23)를 잇는 급기통로와, 실내흡입구(22)와 실외배기구(24)를 잇는 배기통로가 형성되는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 내에 수납되며, 상기 급기통로를 흐르는 실외공기와 상기 배기통로를 흐르는 실내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 소자(Element)(61, 62)를 구비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흡입구(21)와, 상기 실내급기구(23), 상기 실내흡입구(22), 및 상기 실외배기구(24)가 상기 케이싱(10)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흡입구(21)와, 상기 실내급기구(23), 상기 실내흡입구(22), 및 상기 실외배기구(24)가 상기 케이싱(10)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서는, 그 전면(前面)측에 형성되는 전면패널(12)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되며,
    상기 열교환 소자(61, 62)는, 상기 전면패널(12)을 분리하면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급기통로 또는 배기통로를 흐르는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71)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10)에서는 그 전면측에 형성되는 전면패널(12)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되고,
    상기 필터(71)는, 상기 전면패널(12)을 분리하면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71)는, 상기 급기통로의 상기 열교환 소자(61, 62)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소자(61, 62)는, 그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상기 급기통로의 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71)는, 상기 열교환 소자(61)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전장품이 수납되는 전장품 상자(72)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10)에서는 그 전면측에 형성되는 전면패널(12)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되고,
    상기 전장품 상자(72)는, 상기 전면패널(12)을 분리하면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상자(72)는 케이싱(10)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급기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급기 팬(73)과, 상기 배기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배기 팬(74)을 구비하며,
    상기 급기 팬(73)과 배기 팬(74)은 케이싱(10)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급기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급기 팬(73)과, 상기 배기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배기 팬(74)을 구비하며,
    상기 급기 팬(73)은 급기통로의 열교환 소자(61, 62)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팬(74)은 배기통로의 열교환 소자(61, 62)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싱(10) 내에는, 이 케이싱(10)의 일측면을 따르도록 제 1 통로(52a)와 제 2 통로(54a)가 중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통로(52a)는, 케이싱(1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열교환 소자(61, 62)로 유입하기 전의 실외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 2 통로(54a)는, 케이싱(10) 내부측에 형성되며, 열교환 소자(61, 62) 통과 후의 실내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 내에는 제 1 및 제 2의 상기 열교환 소자(61, 62)가 수납되며,
    상기 케이싱(10) 내에는 상기 제 2 통로(54a)와 중첩되도록 제 3 통로(55a)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통로(55a)는 제 1 열교환 소자(61)를 통과한 후이며 또 제 2 열교환 소자(62)로 유입하기 전의 실내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52a)를 흐르는 실외공기의 유통방향과, 상기 제 2 통로(54a)를 흐르는 실내공기의 유통방향이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097003283A 2006-08-11 2007-08-02 환기장치 KR101093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20331 2006-08-11
JP2006220331A JP4100438B2 (ja) 2006-08-11 2006-08-11 換気装置
JP2006220327A JP4179360B2 (ja) 2006-08-11 2006-08-11 換気装置
JPJP-P-2006-220327 2006-08-11
PCT/JP2007/065170 WO2008018361A1 (fr) 2006-08-11 2007-08-02 Mécanisme de venti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797A true KR20090039797A (ko) 2009-04-22
KR101093320B1 KR101093320B1 (ko) 2011-12-14

Family

ID=3903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283A KR101093320B1 (ko) 2006-08-11 2007-08-02 환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053317B1 (ko)
KR (1) KR101093320B1 (ko)
CN (1) CN101501404B (ko)
WO (1) WO2008018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1043B2 (ja) * 2010-09-28 2014-07-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交換装置
JP5490247B2 (ja) * 2010-09-28 2014-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BE1019835A3 (nl) * 2011-02-22 2013-01-08 Aeropulmo Bv Met Beperkte Aansprakelijkheid Ventilatie-eenheid.
CN102374601B (zh) * 2011-10-15 2013-07-31 德华科电器科技(安徽)有限公司 一体式空调的节能型智能换新风系统
CN102632990A (zh) * 2012-05-04 2012-08-15 张家港市江南利玛特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船用集中式排风箱
CN102748828B (zh) * 2012-07-20 2014-10-29 北京环都人工环境科技有限公司 垂直式热交换型换气装置
ES2447642B1 (es) * 2012-09-11 2014-10-22 Soler & Palau Research, S.L. Recuperador de calor para sistemas de ventilación mecánica controlada
US9816716B2 (en) 2013-12-13 2017-11-14 Pax Water Technologies Inc. Ventilation devices and methods
DK201470642A1 (da) * 2014-10-16 2016-04-25 Kvm Genvex As Ventilationsanlæg
EP3450873A1 (en) * 2017-09-01 2019-03-06 Enervent Zehnder Oy Air supply device
JP7148818B2 (ja) * 2020-11-30 2022-10-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DE102022110676A1 (de) 2022-05-02 2023-11-02 Stiebel Eltron Gmbh & Co. Kg Lüftung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3032A (ja) * 1986-06-12 1987-12-19 Mitsubishi Electric Corp 天井取付形空気調和装置
JPH04270842A (ja) * 1991-02-05 1992-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調換気装置
JP2925916B2 (ja) * 1994-02-24 1999-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7332727A (ja) * 1994-06-06 1995-12-22 Daikin Ind Ltd 熱交換換気装置
CA2140232C (en) * 1995-01-13 2004-04-13 Peter Karl Grinbergs Heat recovery ventilator
NL1009747C2 (nl) * 1998-01-09 1999-07-12 Stork J E Ventilatoren Bv Warmtewisselaar-systeem.
US20060052048A1 (en) * 2004-04-27 2006-03-09 Imperial Sheet Metal Ltd. Adaptable modular HVAC assembly
CA2492294A1 (en) * 2005-01-12 2006-07-12 Venmar Ventilation Inc. Ventilation assembly configurable for top openings and/or side open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3317A1 (en) 2009-04-29
EP2053317B1 (en) 2016-03-30
CN101501404A (zh) 2009-08-05
KR101093320B1 (ko) 2011-12-14
WO2008018361A1 (fr) 2008-02-14
EP2053317A4 (en) 2012-01-04
CN101501404B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320B1 (ko) 환기장치
EP1376023B1 (en) Venti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entilator
CN100532967C (zh) 空气调和机
JP2009002641A (ja)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KR100747802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4179360B2 (ja) 換気装置
JP4720849B2 (ja) 換気装置
WO2023276602A1 (ja) 換気装置
JP2006071226A (ja) 天吊型空気調和装置
JP4100438B2 (ja) 換気装置
JP6001580B2 (ja) 地熱利用型住宅用換気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を利用した住宅
KR100748138B1 (ko) 모듈형 공기조화시스템
JP2008185332A5 (ko)
EP4001788A1 (en) Heat-exchange type ventilation device
JP4775022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2701665B2 (ja) 空調換気装置
CN116568968B (zh) 换气装置
JPWO2017072903A1 (ja) 風路切換装置及び熱交換換気装置
JP6539062B2 (ja) チャンバーボックス
EP4350231A1 (en) Ventilation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ventilation device
JP6956870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3443854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750730B1 (ko) 제연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KR20090041890A (ko)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JP2008122022A (ja) フィルタボック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