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617A - 행동 계획을 관리하는 시트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행동 계획을 관리하는 시트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617A
KR20090039617A KR1020080100028A KR20080100028A KR20090039617A KR 20090039617 A KR20090039617 A KR 20090039617A KR 1020080100028 A KR1020080100028 A KR 1020080100028A KR 20080100028 A KR20080100028 A KR 20080100028A KR 20090039617 A KR20090039617 A KR 20090039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on
column
short
sheet
p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사 다카하라
굼페이 후타가미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복수의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행동 계획이 올바른 밸런스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검증할 수 있고, 또한, 제3자로부터의 어드바이스를 받기 쉬운 행동 계획을 관리하는 시트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략 관리 시트(1000)는,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을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사후 분석에 기초한 복수의 다음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는 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행동 계획을 관리하는 시트 및 시스템{ACTION PLAN MANAGEMENT SHEET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행동 계획을 관리하는 시트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업의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관리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의 업적 목표는 전사(全社) 수준의 매출이나 이익을 설정하여, 그것을 사업 부문마다 배분하고, 또 각 사업 부문을 구성하는 부서마다 배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부서의 사업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이들을 집약하여 각 사업 부문의 업적 목표를 달성하고, 또 이들을 집약하여 회사 전체의 업적 목표를 달성하도록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각 사업 부문, 각 부서 등의 책임자에서부터 말단 사원에 이르기까지 각각이 각자에게 부과된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 관리하고 있다.
또한, 기업 전체에서 연간 전체 기간의 업적 목표를 설정하고, 반기, 사분기, 매월과 같은 기간마다의 업적 목표 수치를 설정하여, 이들을 쌓아올려 감으로 써 기간 전체의 업적 목표 달성을 목표로 하는 관리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19049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휴대 가능한 수첩에 목표 재고표 및 관리 시트와, 행동 계획표 및 진척 체크 리스트가 겹쳐 끼워져 있기 때문에, 기재된 목표 사항을 반복하여 확인함으로써 목표 달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도, 보다 확실하게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업적 목표와,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 계획표 및 진척 체크 리스트가 단순히 휴대 가능한 수첩에 끼워져 있는 것만으로는, 복수의 업적 목표에 대하여 입안된 복수의 행동 계획에 대해 어느 기간에 복수의 업무를 해야 할 경우, 우선순위를 정하고, 작업 시간을 적절하게 배분하면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증할 수 없다. 더욱이, 이들 복수의 행동 계획이 제3자로부터의 어드바이스를 받기 쉬운 형식으로 표현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제1 과제는 복수의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행동 계획이 올바른 밸런스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증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제2 과제는 행동 계획에 대한 제3자로부터의 어드바이스를 받기 쉽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행동 계획이 올바른 밸런스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증할 수 있고, 또한, 제3자로부터의 어드바이스를 받기 쉬운 행동 계획을 관리하는 시트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달성하기 위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을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사후 분석에 기초한 복수의 다음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는 란을 포함하여 구성된 시트.
본 발명의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시트는,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을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사후 분석에 기초한 복수의 다음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는 란을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시트는,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을 기재하게 하며,
상기 복수의 사후 분석에 기초한 복수의 다음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을 그 직전의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에 기초하여 기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과 함께 기재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은, 그 직전의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과 항상 대비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복수의 행동 계획이 상기 복수의 목표에 비추어볼 때 올바른 밸런스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사후 분석 내용에 기초하여, 다음 단기 복수 행동 계획의 중요도(행동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변동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허용된다.
더욱이, 상기 시트를 접한 제3자는, 다른 부문에 속해 있는 경우라도,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 그 사후 분석, 그 사후 분석에 기초한 다음의 단기 복수 행동 계획을 동시에 알아봄으로써 용이하게 인식하여, 본인의 사고와 행동에 관해서 용이하게 어드바이스를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개별 구체적인 행동 계획과 그 사후 분석 및 그것에 기초한 다음의 단기 행동 계획은, 제3자에게도 사실 관계, 분석, 대책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지식이 없더라도 자연스럽게 검토를 촉구하여, 상황에 따라서 본인의 행동 계획을 수정하는 어드바이스를 하는 것을 장려할 수 있다.
(2)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는 란은,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과제를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과제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행동 스케줄을 기재하는 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인 (1)에 기재의 시트.
본 발명의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는 란은,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과제를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과제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행동 스케줄을 기재하는 란을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시트는,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과제를 기재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과제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행동 스케줄을 기재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행동 스케줄을 상기 복수의 과제와 대비하면서 기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시트는,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행동 스케줄을 기재함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인 해결하여야 할 과제를 분석 및 설정하게 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 스케줄을 용이하게 세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목표에 대한 상기 복수의 행동 스케줄의 설정 과정이 보다 명확하고 또 구체적으로 됨으로써, 상대적인 중요도(행동의 우선순위)의 판단이 제3자에게도 본인에게도 용이하게 되고, 또, 제3자로부터의 어드바이스를 보다 받기 쉽게 할 수 있다.
(3) 상기 복수의 사후 분석을 기재하는 란은,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반성을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반성에 이르게 한 복수의 이유를 각각 기재하는 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인 (1) 또는 (2)에 기재한 시트.
본 발명의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후 분석을 기재하는 란은,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반성을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반성에 이르게 한 복수의 이유를 각각 기재하는 란을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시트는,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다음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할 때에, 그 전제로서 복수의 행동 계획의 각각에 대한 반성 및 그 이유를 분석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다음 단기 행동 계획을 기안할 때에, 그 전의 단기 행동 계획에 있어서, 달성할 수 없었던 부분을 구체적으로 되돌아보고,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관해서 구체적인 반성 및 분석을 함으로써, 상대적인 중요도(행동의 우선순위)의 판단이 제3자에게도 본인에게도 용이하게 되고, 또, 제3자로부터의 어드바이스를 보다 받기 쉽게 할 수 있다.
(4)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달성하기 위한 시트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복수의 사후 분석에 기초한 복수의 다음 단기 행동 계획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한 관리 장치.
본 발명의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복수의 사후 분석에 기초한 복수의 다음 단기 행동 계획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관리 장치를 운용함으로써, (1)과 같은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기억한 정보를 수시로 추출하여 출력함으로써, 본인과 제3자가 함께 상기 복수의 행동 계획을 보다 적은 시간과 노동력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장치는, 구체적으로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전용 관리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좋고, 소위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도입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다. 또, 상기 관리 장치는 단일체로 운용되어도 좋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관리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는, 복수 사용자의 행동 계획을 일원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본인뿐만 아니라, 제3자의 정보 액세스를 쉽게 하여, 구체적인 어드바이스를 주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 의해서, 사용자는 복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을, 그 직전의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에 기초하여 기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과 함께 기재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은, 그 직전의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과 항상 대비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복수의 행동 계획이 상기 복수의 목표에 비추어 볼 때 올바른 밸런스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시트를 접한 제3자는, 다른 부문에 속해 있는 경우라도,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 그 사후 분석, 그 사후 분석에 기초한 다음의 단기 복수의 행동 계획을 동시에 알아봄으로써 용이하게 인식하여, 본인의 사고와 행동에 대해서 용이하게 어드바이스를 줄 수 있다.
[전략 관리 시트]
도 1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전략 관리 시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전략 관리 시트의 상세한 내용을 도시하는 일부 확대도이다. 전략 관리 시트(1000)에는 이번 기간 전략 기입란(103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내용은 후술하는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의 전략 기입란(2030)에 복사(transcribe)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복사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마찬가지로, 1010은 2010에, 1020은 2020에, 1050은 2050에 각각 복사된다. 이 때, 전략 관리 시트(1000)에 있어서 1010, 1020, 1050은 주(週)마다 복수 단 배치되어 있으며, 1010, 1020, 1050 중 해당 주의 부분이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에 복사된다.
전략 관리 시트(1000)는 월 단위로 운용한다. 최상단은 이번 기간의 전략 기입란(1030) 및 지난달의 과제 기입란(1010) 및 지난주의 행동 스케줄 기입란(1020)이 배치되고, 그 아래에 일주일마다 1단씩 기입란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 주의 지난주의 단의 행동 스케줄 기입란(1020)에 기입된 행동 스케줄에 대해서, 사용자는, 소정 주의 단(즉 하나 아래의 단)의 행동 스케줄의 미달성 항목에 관한 원인 분석 후의 반성 기입란(1050) 및 그 반성에 이르게 된 이유의 기입란(1060)에 각각 기입해 나가게 된다.
도 1의 예에서는, 최상단을 제외하고 5주치의 기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월 단위로 이 전략 관리 시트(1000)를 운용해 나간다. 전략 관리 시트(1000)는, 이번 기간의 전략 기입란(1030)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주의 행동 스케줄 기입란(1020) 등의 기입 내용이 전략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사용자는 항상 이번 기간의 전략 기입란(1030)을 보면서 행동 스케줄 기입란(1020) 등을 기입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이번 기간의 전략이 이번 기간의 전략 기입란(1030)에 「(1) ○○사업부의 개발 안건에 관해서 특허출원을 한다. (2) ○○사업부의 사무소 이전 프로젝트를 완료한다.」라고 복수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난주에 설정한 과제가 지난달의 과제 기입란(1010a)에 「(1) 해당 특허출원을 하기 위해서는 그 개발 안건에 관한 발명의 전모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2) 해당 이전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관계 부동산업자와 이전 계획을 책정할 필요가 있다.」라고 마찬가지로 복수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지난주에 세운 행동 계획이 지난주의 행 동 계획 기입란(1020a)에 「(1) ○월○일까지 담당 발명자와 협의한다. (2) ○월△일까지 관계 부동산업자와 협의한다.」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난주의 반성이 원인 분석 후의 반성 기입란(1050b)에 「(1) 발명자와 협의한 결과, 해당 개발 안건에 관한 기술은 아직 아이디어 단계이며, 개별 구체적인 구성이 확고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 관계 부동산업자와 협의한 결과, 사업부의 서류 중량을 고려하면, 내정되었던 이전할 빌딩의 구조상 중량을 견딜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더욱이, 그 반성에 이르게 된 이유가 이유 기입란(1060b)에 「(1) 개별 구체적인 구성이 확고하게 되어 있지 않은 것은 개발 초기 단계이며,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여러 가지 선택지가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2) 내정하고 있었던 이전할 빌딩의 구조상 중량에 견딜 수 없을 것이라고 된 것은 이전 계획 책정 당초 서류의 중량에 관해서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어서, 이들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이번주의 행동 계획을 이번 달의 과제 기입란(1010b)에 「(1) 해당 이전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월●일까지 당장 바닥 보강 공사를 할 필요가 있다. (2) 해당 특허출원을 하기 위해서는, 개발 기술을 구체화하기 위한 단계를 파악하여, 출원 행동을 할 타이밍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정하고 있다.
이 예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지난주에는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았던 사무소 이전에 관련된 행동 계획이 이번주에는 긴급도를 감안하여 상대적으로 우선순위를 높게 하는 행동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더욱이, 그 판단에 이르게 된 과정이, 지난주의 행동 계획, 지난주의 반성, 그 이유 분석, 이번주의 행동 계획으로 구체적인 형태로 기재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행동 계획이 올바른 밸런스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검증할 수 있어, 제3자가 보더라도 그 논리가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어드바이스를 받기 쉽다.
도 3의 예에서는, 같은 이번 기간의 목표, 지난주의 행동 계획, 지난주의 반성 이유 분석까지가 도 2의 예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이번 달의 과제가, 이번 달의 과제 기입란(1010b)에, 「(1) 해당 이전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월●일까지 당장 다른 물건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2) 해당 특허출원을 하기 위해서는, 구체적 구성이 확고해지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대응할 것에 대비하기 위해서, 현시점에서의 우선순위를 떨어뜨리고, 다른 안건을 앞당겨 작업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정되어 있고, 이번주의 행동 계획이 이번주의 행동 계획 기입란(1020b)에, 「(1) ○월□일까지 물건 탐색에 관해서 관계 부동산업자와 협의한다. (2) ●월●일까지 지난주의 협의 회의록을 발명자에게 송부하는 데에서 멈춘다.」라고 되어 있다.
이 예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지난주의 반성 이유를 같은 식으로 분석하더라도, 그것에 기초한 이번주의 과제 설정이 다르면, 그 차이에 의해서 이번주의 행동 계획이 전혀 다른 것으로 되는 과정이 논리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3자가 그 이유 분석이나 과제 설정의 내용을 보고서, 예컨대, 이전할 곳을 다시 알아보면 당소의 계획 달성이 위태롭다고 생각한 경우에는, 적절하게 어드바이스를 하여, 도 2의 예와 같은 판단을 하게 할 수도 있다.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
도 4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상세한 내용을 도시하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에는 행동 스케줄 기입란(2020)이 마련되어 있다. 행동 스케줄 기입란(2020)은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의 기입란(2010)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행동 스케줄의 기입란(2020)에는 복수의 행동 스케줄이 우선순위를 붙여 기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우선순위 1 내지 3의 행동 스케줄이 실시 기일(각각 8월28일, 9월1일, 9월2일)과 함께 기입되어 있다.
더욱이,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에는,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 기입란(2030)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 내용은, 상술한 전략 관리 시트(1000)의 전략 기입란(1030)의 내용이 복사되는 것이다. 이 복사는 손으로 하더라도 좋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에는, 행동 스케줄 기입란(2020) 근방에, 그 내용에 기초하여 더욱 자세한 시간 단위의 계획을 기입하는 행동 시간표 기입란(2040)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의 기입란(2010), 행동 스케줄 기입란(2020), 전략 기입란(2030), 지난주 행동 스케줄의 미달성 항목에 관한 원인 분석 기입란(2050)이 근방에 기재되어 있 기 때문에, 각 전략에 대한 시간 배분이나, 행동 내용을 강하게 의식하고서 실제 행동에 반영한 스케줄을 책정할 수 있다.
더욱이,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에는, 행동 스케줄 기입란(2020) 근방에, 행동 시간표에 관련된 행동 상대의 이름 또는 명칭 기입란(2080) 및 행동 시간표에 관련된 행동 횟수의 기입란(2060)이 구비되어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제36주에서부터 제40주까지의 행동 횟수가 각각 행동 스케줄이나 행동 시간표의 기입란에 기입된 항목마다 기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 업무는 개인 단독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협력자와 협동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별 전략에 있어서는, 협력자와의 스케쥴링이 전략 달성의 열쇠가 된다. 그래서, 이 란에서는, 협력자와의 계획된 커뮤니케이션 횟수를 명시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월도 기준」에 해당 달에 해야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수를 월초에 기입한다. 그리고, 주마다 계획과 실적을 행동 시간표에 관련된 행동 횟수의 기입란(2060)에 기재한다. 이 행동 시간표에 관련된 행동 횟수의 기입란(2060)은 횟수를 집계하는 컬럼(기입란)(2070)에 집계된다. 횟수를 집계하는 컬럼(기입란)(2070)의 집계 횟수와, 「월도 기준」을 비교한 경우,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자신이 판단을 하거나, 제3자로부터의 어드바이스를 받거나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에는 행동 횟수의 기입란(2060)에 기입된 횟수를 집계하는 컬럼(기입란)(2070)도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그 확대도인 도 5 및 도 6의 예에서는, 행동 스케줄 관리 시 트(2000)는 주 단위로 운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이번주의 행동 스케줄 기입란(2020) 근방에는 지난주의 행동 스케줄의 미달성 항목에 관한 원인 분석 기입란(205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는 매주 1장 운용하며, 지난주의 행동 스케줄 미달성 항목에 관한 원인 분석 기입란(2050)의 기입 내용을 근거로 하여, 이번 달의 중점을 수행하기 위한 이번주의 과제를 해결하여야 할 과제의 기입란(2010)에 기입하고, 이어서 이번주의 행동 스케줄 기입란(2020)을 기입해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1주일마다 반성, 과제 설정, 행동 스케줄 설정, 행동 시간표 설정, 행동 횟수의 기입 및 집계라는 일련의 작업을 반복하여 실시해 나감으로써, 이번 기간의 전략을 확인하면서, 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 스케줄을 관리해 나가게 된다.
[시스템(1)의 전체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서버(10)는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 단말(20)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과 서버(10)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30)는 유선에 의해 실현되는 것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등과 같이, 기지국(20a)을 통해 일부를 무선으로 실현되는 것,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 LAN에 의해 실현되는 것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일치하는 것이라면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서버(10)의 하드웨어 구성]
도 8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서버 및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 기억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통신부(150)가 버스(160)에 의해 접속되어 서버(10)를 구성한다.
제어부(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고, 서버(10) 전체를 제어하여, 예컨대 기억부(120)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이들 하드웨어와 협동하여 후술하는 각종 수단을 실현하고 있다.
기억부(120)는 하드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키보드, 마우스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 브라운관 CRT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LAN 어댑터, 모뎀 어댑터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상의 예는 서버(10)에 관해서 주로 설명했지만,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하여 그 컴퓨터를 서버 장치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전술한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일 실시형태로서 설명한 서버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전술한 방법을 그 컴퓨터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혹은 전술한 프로그램을 그 컴퓨터에 도입하고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
여기서 단말(20)은 전술한 서버(10)와 같은 구성을 갖춰도 좋다. 한편, 단말(20)은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ata Assistant) 등, 소위 범용 컴퓨터(PC) 이외의 통신 단말로서 실현하더라도 좋다.
제어부(210), 기억부(220), 입력부(230), 표시부(240), 통신부(250)가 버스(260)에 의해 접속되어 단말(20)을 구성한다.
[행동 계획 편집 처리]
전술한 전략 관리 시트(1000) 및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는 종이 포맷으로 운용해 나갈 수도 있다. 더욱이,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편집이나 복사 등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20)에 있어서 가동되는 소위 표계산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각 기입란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 예컨대, 전략 관리 시트(1000)의 전략 기입란(1030)에 내용이 기입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대응하는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의 전략 기입란(2030)에 그 내용이 복사되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행동 계획 편집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단말(20) 단독으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단말(20) 및 단말(20)과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한 서버(10)를 이용하여 처리하더라도 좋다.
우선, 제어부(210)는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목표 입력을 접수하고, 그 복수의 목표를 기억부(220)에 기억하여,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110).
이어서, 제어부(210)는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기 행동 계획의 과제 입력을 접수하여, 그 복수의 과제를 기억 부(220)에 기억하고,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120).
이어서, 제어부(210)는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기 행동 계획의 과제 입력을 접수하여, 그 복수의 과제를 기억부(220)에 기억하고,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130).
이어서, 제어부(210)는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그 단기 행동 계획 과제에 관련된 행동 스케줄의 입력을 접수하여, 그 복수의 행동 스케줄을 기억부(220)에 기억하고,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130).
이어서, 제어부(210)는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그 단기 행동 스케줄의 반성 입력을 접수하여, 그 반성을 기억부(220)에 기억하고,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140).
이어서, 제어부(210)는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그 단기 행동 스케줄의 반성에 이르게 된 이유의 입력을 접수하여, 그 이유를 기억부(220)에 기억하고,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150).
이어서, 제어부(210)는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그 이유에 기초해서, 다음 단기 행동 계획의 과제 입력을 접수하여, 그 과제를 기억부(220)에 기억하고,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단계 S160).
이와 같이 단말(20)은 각각의 데이터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표시해서, 행동 계획의 효율적인 편집을 할 수 있다.
[복사 처리]
이어서, 복사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전략 관리 시트(1000)의 전 략 기입란(1030)에 내용이 기입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대응하는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의 전략 기입란(2030)에 그 내용이 복사되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어서, 소정 주의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의 행동 스케줄 기입란(2020), 해결하여야 할 과제의 기입란(2010) 및 지난주의 행동 스케줄의 미달성 항목에 관한 원인 분석 기입란(2050)에 내용이 기입됨에 따라서, 전략 관리 시트(1000)의 해당 소정 주의 단에 각각 그 내용이 복사되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복사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컨대, 표시부(240)에 표시한 전략 관리 시트(1000)의 전략 기입란(1030)에, 단말(20)의 입력부(230)가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접수함에 따라서(단계 S210), 제어부(210)는 접수한 입력 내용을 기억부(220)에 기억한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의 전략 기입란(2030)에 복사하여 표시부(240)에 표시할 수 있도록 기억부(220)에 기억한다(단계 S220).
이와 같이 함으로써, 그 후, 단말(20)의 입력부(230)가 사용자로부터의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2000)의 표시 요구 조작을 접수함에 따라서 기억부(220)에 기억된 기입 내용을 독출하여 표시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에 있어서는, 사용자 조작를 접수하거나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된 서버(10)의 기억부(120)에 각종 기입란의 기입 내용을 기억하는 것으로 하고, 서버(10)는 단말(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기 입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시로 기억부(120)로부터 판독하여 단말(20)에 송신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장 적합한 효과를 열거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전략 관리 시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전략 관리 시트의 상세한 내용을 도시하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전략 관리 시트의 상세한 내용을 도시하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의 상세한 내용을 도시하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행동 스케줄 관리 시트의 상세한 내용을 도시하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서버 및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행동 계획 편집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복사 처리를 도시하는 흐 름도이다.

Claims (4)

  1.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달성하기 위한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을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사후 분석에 기초한 복수의 다음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는 란
    을 포함하여 구성된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을 기재하는 란은,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과제를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과제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행동 스케줄을 기재하는 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인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후 분석을 기재하는 란은,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반성을 기재하는 란과,
    상기 복수의 반성에 이르게 된 복수의 이유를 각각 기재하는 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인 시트.
  4.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달성하기 위한 시트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목표에 관련된 계획을 각각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복수의 단기 행동 계획에 각각 관련된 복수의 사후 분석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복수의 사후 분석에 기초한 복수의 다음 단기 행동 계획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억하는 수단
    을 구비한 관리 장치.
KR1020080100028A 2007-10-18 2008-10-13 행동 계획을 관리하는 시트 및 시스템 KR20090039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1324A JP2009099029A (ja) 2007-10-18 2007-10-18 行動計画を管理するシート及びシステム
JPJP-P-2007-271324 2007-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617A true KR20090039617A (ko) 2009-04-22

Family

ID=4059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028A KR20090039617A (ko) 2007-10-18 2008-10-13 행동 계획을 관리하는 시트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099029A (ko)
KR (1) KR20090039617A (ko)
CN (1) CN101412334A (ko)
TW (1) TW2009373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2520B2 (ja) * 2010-09-01 2012-09-12 有限会社栄ライト工業所 計画作成支援プログラム及び計画作成支援システム
JP5116066B1 (ja) * 2012-09-06 2013-01-09 株式会社ディセンター 課題分析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12334A (zh) 2009-04-22
JP2009099029A (ja) 2009-05-07
TW200937321A (en)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1026B1 (ko) 할일 맵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90050812A1 (en) Project management and activity tracking methods and systems
CN101356522B (zh) 终端用户对工作流进行动态重新定位的计算机实现的系统
US200801781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student assignments
US9569754B2 (en) Unified view of aggregated calendar data
US20060085245A1 (en) Team collaboration system with business process management and records management
US20100324948A1 (en) Managing event timelines
US20050198085A1 (en) Tool for synchronization of business information
US11900326B2 (en) Method of managing strategy-map executable by comput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US20140350988A1 (en) Managing business process calendars
CN104471595A (zh) 工作流管理装置及工作流管理方法
US20170337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and controlling production processes and inter-related decision making processes
CN109753530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其装置、介质、终端
US201703089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he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sites
KR20090039617A (ko) 행동 계획을 관리하는 시트 및 시스템
KR20210097921A (ko)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US7564959B2 (en) Billable activity processing
TWM510498U (zh) 專案進度控管裝置
US118420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interactive roadmap portal
Ellermann et al. Microsoft system center optimizing service manager
US2022035846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mployment management
Foreman et al. Using technology to improve capacity management at a pediatric hospital
US11755197B1 (en) Move tool system
JP2006048376A (ja) リソース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040155A (ko) 업무 일정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