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382A - 싱크로나이저 링 - Google Patents

싱크로나이저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382A
KR20090039382A KR1020070104994A KR20070104994A KR20090039382A KR 20090039382 A KR20090039382 A KR 20090039382A KR 1020070104994 A KR1020070104994 A KR 1020070104994A KR 20070104994 A KR20070104994 A KR 20070104994A KR 20090039382 A KR20090039382 A KR 20090039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ne
synchronizer ring
lubrication hole
synchro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4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382A/ko
Publication of KR2009003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25Synchro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2Overheat protection, i.e.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overheating
    • F16D2300/021Cooling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13/72 or F16D25/123, e.g. heat transfer details
    • F16D2300/0214Oil or fluid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로나이저 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로나이저 링을 형성하는 아웃링과 콘 상의 둘레를 따라 관통공의 윤활 홀을 형성하여 카본 마찰재와 콘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방출시킴으로써 싱크로나이저 링의 방열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카본 싱크로나이저 링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로나이저 링의 구조{SYNCHRONIZING RING STRUCTURE}
본 발명은 싱크로나이저 링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로나이저 링을 형성하는 아웃링과 콘상의 둘레를 따라 윤활 홀을 형성하여 마찰재와 콘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히 방출시켜 방열성이 향상되도록 한 싱크로나이저 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로나이저 링(Synchronizing Ring)은 싱크로나이저 어셈블리에서 주축과 클러치 기어를 동기화시키도록 시프트 레버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는 슬리브에 의해 클러치기어의 콘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클러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싱크로 나이즈 링은 아웃링(Out Ring)과 이너링(Inner Ring) 및 콘(Cone)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주부로 장착되는 마찰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재는 마찰계수를 향상시키도록 수지 또는 카본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은 동(Brass) 합금재로 형성된다.
특히 마찰면에 코팅되는 마찰재로 카본을 사용하는 카본 싱크로 나이즈 링의 경우, 마찰면에 단순히 나사산을 가공하는 동합금재의 브래스 싱크로나이저 링(Brass Synchronizing Ring)에 비해 방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싱크로나이저 링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 의 (a)는 종래의 싱크로나이저 링의 조립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 의 (b)와 (c) 는 도 1 의 (a)에 도시된 싱크로나이저 링에서 분해된 상태의 아웃링(10)과 콘(3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싱크로나이저 링(50)은 아웃링(10)과 이너링(20) 및 가운데의 콘(30)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아웃링(10)과 이너링(20)의 마찰면에 카본 마찰재가 코팅된 카본 링의 경우는, 아웃링(10)과 이너링(20)의 마찰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동합금의 브래스 싱크로 나이즈 링(Brass Synchronizing Ring)의 구조에 비해 방열성이 떨어져 냉각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브래스 싱크로 나이즈 링은 이너링(20)과 아웃링(10) 및 콘(30) 모두에서 방열이 이루어지므로 방열효과가 우수한 반면, 카본 링의 경우는 이너링(20)과 아웃링(10)으로 방열되는 양이 적고, 대부분 콘(30)으로 방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브래스 싱크로나이저 링에 비해 방열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특히 싱크로나이징의 상대속도가 큰 경우(1,2,R단)에는 열 방출이 늦어 콘 면이 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싱크로나이저 링의 아웃링과 콘 상에 윤활 홀을 형성하여 마찰재와 콘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방출시킴으로써 싱크로나이저 링의 방열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싱크로나이저 링의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싱크로나이저 링 구조는 클러치기어의 콘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클러치 작용을 하며, 아웃링과 이너링 및 콘을 포함하는 구성의 싱크로나이저 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웃링과 콘상에 다수의 윤활 홀을 둘레를 따라 각각 형성하여, 싱크로나이저 링의 방열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윤활 홀은 마찰재로 방열성이 떨어지는 카본이 부착된 카본 싱크로나이저 링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윤활 홀은 아웃링과 콘을 관통하는 중공 홀로서, 링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아웃링과 콘 상에 형성되는 윤활 홀(70)의 폭이 각기 다른 경우에는, 폭이 좁은 쪽의 윤활홀(70)의 범위는 1.0 - 1.5m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싱크로나이저 링 구조에 따르면, 싱크로나이저 링의 방열성이 향 상되고, 이에 의해 콘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싱크로 나이즈 링의 더 높은 상대속도 하에서도 사용가능하여 적용범위가 확대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카본 싱크로나이저 링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싱크로나이저 링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로나이저 링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 의 (a)는 본 발명의 싱크로나이저 링의 조립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 의 (b) 와 (c) 는 도 2 의 (a)에 도시된 싱크로나이저 링(50')에서 분해된 상태의 아웃링(10')과 콘(3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로나이저 링(50')은 종래의 아웃링(10)과 콘(30)상에 윤활 홀(70)이 각각 형성된 아웃링(10')과 콘(3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윤활 홀(70)은 종래의 아웃링(10)과 콘(30) 상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링(10)과 콘(30) 상에 형성되는 윤활홀(70)의 폭은 같게 형성하거나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윤활 홀(70)은 종래의 아웃링(10)과 콘(30)을 관통하는 중공의 홀로서, 아웃링(10)과 콘(30) 상에 형성되는 윤활홀(70)의 폭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폭이 좁은 쪽의 윤활홀(70)의 폭은 1.0mm - 1.5mm 가 되도록 하고,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길이는 아웃링(10)과 콘(30)의 직경 크기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 될 수 있는 크기가 되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싱크로나이저 링의 조립상태의 단면도로서, 종래의 아웃링(10)과 콘(30)상에 윤활 홀(70)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콘(30')의 저부에는 이너링(20)이 위치하며, 콘(30')과 아웃링(10') 및 콘(30')과 이너링(20)이 접촉되는 부위에는 오일홈(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아웃링(10)과 콘(30) 상에 윤활 홀(70)이 형성된 본 발명의 싱크로나이저 링(50') 구조에서는, 상기 윤활 홀(70)을 통해 오일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져 마찰재와 싱크로나이저 링 모재(하우징) 사이로 오일이 용이하게 통과하면서 마찰재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용이하게 방출시키게 된다.
아울러, 콘(30') 자체에 형성된 윤활 홀(70)을 통해서도 오일이 통과하게 됨으로써 콘(30')에서 발생된 열이 신속하게 제거된다. 특히 본 발명의 윤활 홀(70)이 카본 싱크로나이저 링에 적용될 경우, 카본의 특성으로 인한 방열성 저하를 막아 카본링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윤활 홀(70)의 형성을 통해 오일의 흐름이 보다 원활이 이루어지짐에 의해 싱크로나이저 링(50')의 방열성이 향상되고, 콘(30)의 열손상을 막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상기 윤활 홀(70)의 크기 및 형성 위치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싱크로나이저 링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용 윤활 홀이 구비된 싱크로나이저 링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싱크로나이저 링의 결합상태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아웃링 20 : 이너링
30.30' : 콘(Cone) 40 : 오일홀
50,50' : 싱크로나이저 링 70 : 윤활 홀

Claims (4)

  1. 클러치기어의 콘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클러치 작용을 하며, 아웃링(10)과 이너링(20) 및 콘(30)을 포함하는 구성의 싱크로나이저 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웃링(10)과 콘(30)상에 다수의 윤활 홀(70)을 둘레를 따라 각각 형성하여, 싱크로나이저 링의 방열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로나이저 링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홀(70)은 마찰재로 방열성이 떨어지는 카본이 사용된 카본 싱크로나이저 링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로나이저 링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홀(70)은 아웃링(10)과 콘(30)을 관통하는 중공 홀로서, 링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로나이저 링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링(10)과 콘(30) 상에 형성되는 윤활홀(70)의 폭은 각기 다르게 형성하며, 폭이 좁은 쪽의 윤활홀(70)의 폭은 1.0mm - 1.5mmm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싱크로나이저 링 구조.
KR1020070104994A 2007-10-18 2007-10-18 싱크로나이저 링 KR20090039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994A KR20090039382A (ko) 2007-10-18 2007-10-18 싱크로나이저 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994A KR20090039382A (ko) 2007-10-18 2007-10-18 싱크로나이저 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382A true KR20090039382A (ko) 2009-04-22

Family

ID=4076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994A KR20090039382A (ko) 2007-10-18 2007-10-18 싱크로나이저 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3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634B1 (ko) * 2012-11-29 2014-06-10 현대다이모스(주) 싱크로나이저 링 윤활 구조
CN107975544A (zh) * 2016-10-21 2018-05-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离合器
KR20190068116A (ko) * 2017-12-08 201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634B1 (ko) * 2012-11-29 2014-06-10 현대다이모스(주) 싱크로나이저 링 윤활 구조
CN107975544A (zh) * 2016-10-21 2018-05-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离合器
KR20180044494A (ko) * 2016-10-21 2018-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
US10041550B2 (en) 2016-10-21 2018-08-07 Hyundai Motor Company Clutch for vehicle
CN107975544B (zh) * 2016-10-21 2021-06-1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离合器
KR20190068116A (ko) * 2017-12-08 201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70494A (ja) 摩擦板及び摩擦板を備えた湿式多板クラッチ
KR101866077B1 (ko) 차량의 클러치
JP4480032B2 (ja) 湿式多板クラッチのフリクションプレート
JP6189533B2 (ja) クラッチにおける冷却構造
JP2008144864A (ja) スラスト軸受
KR20090039382A (ko) 싱크로나이저 링
JP2012017808A (ja) 湿式多板クラッチ
WO2009072248A1 (ja) シフトフォーク
JP4977728B2 (ja) ブレーキ装置
KR100864757B1 (ko) 오일 윤활 구조를 갖춘 차량 동기장치
JP2008223981A (ja) 湿式多板クラッチのフリクションプレート
JP2008190638A (ja) 湿式多板クラッチのフリクションプレート
JP2008057729A (ja) 変速機の同期装置
JP2017133553A (ja) 車両用変速機のクラッチ装置
JP6952694B2 (ja) 摩擦クラッチ
JP2018071646A (ja) 軸受
KR102003711B1 (ko) 유성기어장치의 오일가이드
JP2020046013A (ja) 同期装置
JP2005133794A (ja) 湿式多板クラッチ用のハブ
JP2015169264A (ja) ブレーキディスク
JP2011144822A (ja) 手動変速機の同期装置
TWI712748B (zh) 用於滾珠軸承之滾珠保持器
KR100360651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JP2016114198A (ja) 摩擦係合装置の潤滑構造、及びこれを具える摩擦係合装置
RU2005135522A (ru) Водило для планетарного редук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