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680A - 바스켓 전복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장치 - Google Patents

바스켓 전복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680A
KR20090038680A KR1020070104109A KR20070104109A KR20090038680A KR 20090038680 A KR20090038680 A KR 20090038680A KR 1020070104109 A KR1020070104109 A KR 1020070104109A KR 20070104109 A KR20070104109 A KR 20070104109A KR 20090038680 A KR20090038680 A KR 20090038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wire
level bar
stopp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익희
Original Assignee
진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익희 filed Critical 진익희
Priority to KR102007010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8680A/ko
Publication of KR2009003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는, 회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회동링크와,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바스켓과, 일단이 상기 바스켓에 힌지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링크와 나란하게 장착되어 상기 바스켓이 기울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바스켓의 자세를 조정하는 레벨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벨바가 상기 바스켓을 향해 설정 거리 이상 이송되지 못하도록 상기 회동링크에는 레벨바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레벨바에는 상기 레벨바스토퍼에 간섭되는 걸림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는, 바스켓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 자세제어를 위한 레벨바가 파손되더라도 바스켓이 전복되지 아니하며, 회동링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와이어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회동링크가 정상 회동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므로, 바스켓에 탑승한 사용자가 낙하하는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소작업, 바스켓, 전복, 회전, 레벨바, 와이어

Description

바스켓 전복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장치{High place working device for preventing overturn of basket}
본 발명은 바스켓을 구비하는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바스켓의 자세 제어를 위한 레벨바 및 와이어가 절단되더라도 바스켓이 완전히 전복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 고층화를 이루면서 고소작업을 위한 특수 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서 절첩 구조의 붐대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차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에는, 다수의 붐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된 고소작업장치가 차량에 설치되고, 이 고소작업장치의 최상단 선단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바스켓(필요에 따라서는 적재대를 설치)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소작업차는 붐대의 선단에 적재대가 설치되어 고층아파트나 빌딩에 물품운송용으로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붐대의 선단에 탑승함이 설치되고, 설 치된 탑승함에 작업자를 탑승시켜서 가로수나 가로등 및 신호등을 보수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정비용, 또한 전신주의 보수작업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고소작업차는 고층 건물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방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고소작업차에 설치되는 고소작업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고소작업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이고, 도 2는 레벨바가 파손되었을 때 종래 고소작업장치의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와이어가 과도하게 감겨졌을 때 종래 고소작업장치의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소작업장치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회동링크(10)와,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링크(10)의 타단에 힌지(22) 결합되는 바스켓(20)과, 상기 바스켓(20)이 기울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바스켓(20)의 자세를 조정하는 레벨바(30)와, 상기 회동링크(10)를 회동시키기 위한 와이어(40)와, 상기 레벨바(30)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실린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벨바(30)는 일단이 상기 실린더(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바스켓(20)에 연결되는데, 상기 회동링크(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면서 상기 바스켓(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단이 별도의 절곡링크(32)를 통해 상기 실린더(50) 및 바스켓(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레벨바(30)가 아래로 당겨지면 상기 바스켓(20)은 힌지(2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레벨바(30)가 위로 올려지면 상기 바스켓(2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바스켓(20)은 상기 레벨바(30)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아니하도록 자세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40)는 상기 회동링크(10)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40)가 감겨지면 상기 회동링크(10)는 상기 바스켓(20)이 올라가도록 세워지고, 상기 와이어(40)가 풀리면 상기 회동링크(10)는 자중에 의해 상기 바스켓(20)이 내려가도록 아래로 처지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와이어(40)를 감거나 푸는 조작을 함으로써, 상기 바스켓(20)을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벨바(30)는 상기 회동링크(1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바스켓(20)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아니하도록 적절하게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고소작업장치는, 상기 바스켓(20)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레벨바(30)가 절단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20)이 자중에 의해 일방향(도 2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바스켓(20)에 탑승하고 있던 작업자가 추락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40)가 과도하게 감겨지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링크(10)가 과도하게 회전하여 상기 바스켓(20)에 탑승하고 있던 작업자가 추락하게 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바스켓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 자세제어를 위한 레벨바가 파손되더라도 바스켓이 전복되지 아니하며, 회동링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와이어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회동링크가 정상 회동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스켓에 탑승한 사용자의 인명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는,
회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회동링크;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바스켓; 및
일단이 상기 바스켓에 힌지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링크와 나란하게 장착되어, 상기 바스켓이 기울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바스켓의 자세를 조정하는 레벨바;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벨바가 상기 바스켓을 향해 설정 거리 이상 이송되지 못하도록, 상기 회동링크에는 레벨바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레벨바에는 상기 레벨바스토퍼에 간섭되는 걸림부가 구비된다.
상기 레벨바스토퍼는 상기 레벨바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벨바의 외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레벨바스토퍼 및 걸림부는,
상기 바스켓이 최고점까지 상승되었을 때 상호 간섭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레벨바 외주면 중 상기 바스켓 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구비된다.
상기 회동링크를 회동시키기 위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감기도록 상기 회동링크 일측에 설치되는 와이어풀리를 더 포함하고,
사전에 설정된 설청치 이상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풀리에 감기지 못하도록, 상기 회동링크에는 와이어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스토퍼에 간섭되는 와이어클램프가 장착된다.
상기 와이어스토퍼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클램프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스토퍼와 와이어클램프는,
상기 회동링크의 일단이 최저점에 위치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호 간섭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는, 바스켓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 자세제어를 위한 레벨바가 파손되더라도 바스켓이 전복되지 아니하며, 회동링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와이어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회동링크가 정상 회동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므로, 바스켓에 탑승한 사용자가 낙하하는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는, 레벨바의 중단이 절단되더라도 바스켓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전복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레벨바의 이송을 제한하는 레벨바스토퍼 및 걸림부가 구비되며, 와이어가 과도하게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스토퍼 및 와이어클램프가 구비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바스켓이 최고점에 위치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바스켓이 최저점에 위치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 업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는, 하측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회동링크(100)와,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회동링크(100)의 상측단에 힌지축(210)으로 결합되는 바스켓(200)과, 일단(도 4에서는 상측단)이 상기 바스켓(200)에 힌지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링크(100)와 나란하게 장착되어 상기 바스켓(200)이 기울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바스켓(200)의 자세를 조정하는 레벨바(300)와, 상기 회동링크(100) 일측에 설치된 와이어풀리(410)에 감기고 풀림으로써 상기 회동링크(100)를 회전시키는 와이어(400)와, 상기 레벨바(300)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실린더(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벨바(300)는, 상기 회동링크(10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바스켓(200)의 기울기가 변경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회동링크(100)와 바스켓(200)의 상대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레벨바(300)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면 상기 바스켓(2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레벨바(300)가 하측으로 끌어 내려지면 상기 바스켓(2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레벨바(300)와 바스켓(200)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직접 결합되면 상기 레벨바(300)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질 때 상기 레벨바(300)가 길이방향으로 직 선 이송되지 아니하고 바스켓(200)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다른 구성요소들과 간섭될 우려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벨바(300)와 바스켓(200)은, 일단이 바스켓(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레벨바(3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곡링크(31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레벨바(300)와 바스켓(200) 간의 결합구조는 종래의 고소작업장치에도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스켓(200)과 회동링크(100)의 결합축 즉, 상기 힌지축(210)은 바스켓(200)의 무게중심에 비해 회동링크(100) 측으로 치우쳐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200)이 최고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벨바(300)가 파손되면, 상기 바스켓(200)은 자중에 의해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는 상기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레벨바(300)가 절단되더라도 상기 바스켓(200)이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전복되지 아니하도록 즉, 상기 바스켓(200)에 연결된 레벨바(300)가 일정 거리 이상 바스켓(200) 측으로 이송되지 아니하도록 레벨바스토퍼(110) 및 걸림부(320)가 추가로 구비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상기 레벨바스토퍼(110)는 상기 레벨바(3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링크(10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320)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벨바(300)의 외측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레벨바스토퍼(110) 및 걸림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200)이 최고점까지 상승되었을 때 상호 간섭되는 위치에 장착되므로,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레벨바(300)가 절단되더라도 상기 바스켓(200)은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를 이용하면, 상기 바스켓(200)이 최고점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레벨바(300)가 절단되더라도 상기 바스켓(200)이 전복될 우려가 없으므로, 인명사고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레벨바(300)와 같은 강봉부재는 인장력을 받을 때 통상적으로 중단 부위가 절단되므로, 상기 걸림부(320)는 상기 레벨바(300) 외주면 중 상기 바스켓(200) 측(도 4에서 상단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레벨바스토퍼(110) 역시 회동링크(100) 중 상기 바스켓(200) 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걸림부(320)와 레벨바스토퍼(110)가 바스켓(200) 반대측(도 4에서 하단측)에 구비되면, 레벨바(300)의 중단 부위가 절단되었을 때 레벨바(300) 중 바스켓(200)과 연결된 부위가 걸림부(320) 및 레벨바스토퍼(110)에 의해 이송이 제한되지 아니하고 바스켓(200)의 회전력에 의해 상측으로 계속 이송되므로, 바스켓(200)의 전복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상태 즉, 바스켓(200)이 최저점에 위치하도록 회동링크(10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풀리(410)에 와이어(400)가 더 감기면, 상 기 회동링크(100) 및 이에 결합된 바스켓(200)은 상기 회동링크(100)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바스켓(200)이 기울어지게 된다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는, 상기 와이어(400)가 사전에 설정된 설청치(상기 바스켓(200)이 최저점에 위치하도록 회동링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해 와이어(400)를 감는 길이) 이상 상기 와이어풀리(410)에 감기지 못하도록, 상기 회동링크(100)에는 와이어스토퍼(120)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400)에는 상기 와이어스토퍼(120)에 간섭되는 와이어클램프(420)가 장착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스토퍼(120)는 상기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클램프(420)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클램프(420)가 상기 와이어스토퍼(120)의 관통공 입구에 밀착되면, 상기 와이어(400)는 더 이상 와이어클램프(420)에 감기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링크(100) 및 바스켓(200)은 더 이상 회동하지 아니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스토퍼(120)와 와이어클램프(420)는 상기 회동링크(100)가 도 5에 도시된 상태까지 회전하지 아니하더라도 상호 간섭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회동링크(100)가 도 5에 도시된 상태까지 회동되지 못하게 되므로 바스켓(200)이 최저점까지 낮춰지지 아니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스토퍼(120)와 와이어클램프(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링 크(100)의 일단이 최저점에 위치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호 간섭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클램프(42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와이어스토퍼(120)의 관통공을 관통하지 못하면서 상기 와이어(4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로도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소작업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2는 레벨바가 파손되었을 때 종래 고소작업장치의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와이어가 과도하게 감겨졌을 때 종래 고소작업장치의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바스켓이 최고점에 위치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바스켓이 최저점에 위치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회동링크 110 : 레벨바스토퍼
200 : 바스켓 210 : 힌지축
300 : 레벨바 310 : 절곡링크
320 : 걸림부 400 : 와이어
410 : 와이어풀리 420 : 와이어클램프
500 : 실린더

Claims (7)

  1. 회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회동링크(100);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링크(1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바스켓(200); 및
    일단이 상기 바스켓(200)에 힌지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링크(100)와 나란하게 장착되어, 상기 바스켓(200)이 기울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바스켓(200)의 자세를 조정하는 레벨바(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벨바(300)가 상기 바스켓(200)을 향해 설정 거리 이상 이송되지 못하도록, 상기 회동링크(100)에는 레벨바스토퍼(110)가 구비되며, 상기 레벨바(300)에는 상기 레벨바스토퍼(110)에 간섭되는 걸림부(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바스토퍼(110)는 상기 레벨바(300)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320)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벨바(30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바스토퍼(110) 및 걸림부(320)는,
    상기 바스켓(200)이 최고점까지 상승되었을 때 상호 간섭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320)는,
    상기 레벨바(300) 외주면 중 상기 바스켓(200) 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링크(100)를 회동시키기 위한 와이어(400)와, 상기 와이어(400)가 감기도록 상기 회동링크(100) 일측에 설치되는 와이어풀리(410)를 더 포함하고,
    사전에 설정된 설청치 이상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와이어풀리(410)에 감기지 못하도록, 상기 회동링크(100)에는 와이어스토퍼(120)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400)에는 상기 와이어스토퍼(120)에 간섭되는 와이어클램프(42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스토퍼(120)는 상기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클램프(420)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스토퍼(120)와 와이어클램프(420)는,
    상기 회동링크(100)의 일단이 최저점에 위치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호 간섭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KR1020070104109A 2007-10-16 2007-10-16 바스켓 전복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장치 KR20090038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09A KR20090038680A (ko) 2007-10-16 2007-10-16 바스켓 전복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09A KR20090038680A (ko) 2007-10-16 2007-10-16 바스켓 전복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680A true KR20090038680A (ko) 2009-04-21

Family

ID=4076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109A KR20090038680A (ko) 2007-10-16 2007-10-16 바스켓 전복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86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9359A (ko) 소방차용 다기능 바스켓
KR20090038680A (ko) 바스켓 전복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장치
WO2018003385A1 (ja) 建設機械のガントリ
WO2016159762A2 (en) Pedestal crane assembly and hoist block storage and exchange device
KR20180111123A (ko) 크레인
US10173869B2 (en) Gravity actuated crane stop
JP2007015774A (ja) 高所作業車
JPH08199800A (ja) ゴンドラ装置
JP2007290782A (ja) タワークレーン
KR20180100858A (ko) 크레인
JP7042080B2 (ja) 水平ジブを備えた揚重装置
JP7275702B2 (ja) フロントストラットのバックストップ
JP6296102B2 (ja) 移動式クレーンのガイラインとパレットウエイトとの接続方法及び移動式クレーン
JP2006199392A (ja) ライブマストを有するクレーン
JP3872495B1 (ja) 移動式足場装置
JP2012166945A (ja) 高所作業車
JP7322610B2 (ja) クレーンのバックストップ姿勢変更装置
WO2022163500A1 (ja) 上部スプレッダ案内装置
JP7039291B2 (ja) 水平ジブを備えた揚重装置
JP3790210B2 (ja) ゴンドラ装置における作業員救助方法及び装置
JP7028636B2 (ja) 水平ジブを備えた揚重装置
JP7028635B2 (ja) 水平ジブを備えた揚重装置
JP2006143445A (ja) クライミング型ジブクレーン
KR102420067B1 (ko) 리프트카용 추락방지 안전 네트장치 및 그 설치구조
JP6956627B2 (ja) 水平ジブを備えた揚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