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656A - 전선관 고정 클램프 - Google Patents

전선관 고정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656A
KR20090036656A KR1020070101805A KR20070101805A KR20090036656A KR 20090036656 A KR20090036656 A KR 20090036656A KR 1020070101805 A KR1020070101805 A KR 1020070101805A KR 20070101805 A KR20070101805 A KR 20070101805A KR 20090036656 A KR20090036656 A KR 20090036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ece
conduit
insertion groo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9383B1 (ko
Inventor
김상섭
Original Assignee
김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섭 filed Critical 김상섭
Priority to KR102007010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3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는,일측이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중단이 전선관을 감싸는 한 쌍의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중 어느 하나의 고정편 타측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편 타측에는 일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체결편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를 이용하면, 체결볼트나 체결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전선관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전선관 고정 작업이 간편해지고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보다 미려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전선, 전선관, 고정, 클램프, 삽입, 체결, 벤딩

Description

전선관 고정 클램프{Clamp for fixing wire tube}
본 발명은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관을 건물의 벽이나 천정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서도 상기 튜브를 감싸는 한 쌍의 고정편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전선관 또는 케이블(이하, 전선관으로 통칭함)을 배선할 경우, 상기 전선관을 상호 얽히지 않고 잘 고정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상기 전선관을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직접 고정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와 같이 전선관이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직접 고정되면, 외관상 보기 좋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합선 등으로 인하여 전선에 스파크가 발생되는 경우 스파크가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화재의 우려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관을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간접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사용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는, 건물의 벽이나 천정 등에 결합되는 별도의 고정부재(10)에 결합됨으로써, 전선관(T)이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는, 중단이 전선관(T)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이 상기 고정부재(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편(20)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20) 타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볼트(32) 및 체결너트(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의 끝단에는 고정부재(10)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1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20)은 일단이 상기 개구부(12)를 지나 고정부재(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20)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턱(14)에 걸릴 수 있는 형상의 후크(22)가 형성되는바, 상기 고정편(20)은 상기 후크(22)가 파손될 만큼의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한 상기 고정부재(1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게 된다.
종래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22)가 걸림턱(14)에 걸려 고정되도록 고정편(20)의 일단을 고정부재(10)의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한 쌍의 고정편(20) 사이에 전선관(T)을 위치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32) 및 체결너트(34)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편(20) 타단을 상호 밀착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편(20)은 하단이 상호 밀착되므로 상단은 상호 멀어지도록 벌어지게 되며, 상기 전선관(T)은 고정부재(10)의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를 이용하면 전선관(T)이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고 고정부재(10)에 고정되므로, 전선관(T)에 스파크가 발생되더라도 건물의 벽이나 천정으로 직접 전달되지 아니함으로써 화재의 우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선관(T)을 고정부재(10) 길이방향을 따라 곧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외관이 깔끔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는, 한 쌍의 고정편 하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전선관 고정작업 시 고정편과 별도로 분리된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를 미리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를 결합시키기 별도의 공구를 준비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선관을 한 쌍의 고정편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아니하므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높은 숙련도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녹이 스는 경우 외관이 나빠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서도 한 쌍의 고정편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는,
일측이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중단이 전선관을 감싸는 한 쌍의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중 어느 하나의 고정편 타측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편 타측에는 일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체결편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홈과 체결편은 상기 고정편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은 일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벤딩되더라도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연성을 갖는 물질로 제작된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편의 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은 상기 삽입홈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이후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인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삽입홈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는, 끝단이 상기 체결편의 삽입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끝단이 상기 체결편의 삽입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의 일측 양단에는 상기 개구부의 입구 내측면에 걸리는 후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를 이용하면, 체결볼트나 체결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전선관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전선관 고정 작업이 간편해지고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보다 미려해진다는 장 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는, 전선관을 감싸는 한 쌍의 고정편 외측 끝단이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에 적용되는 삽입홈(210)과 체결편(220)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는, 일단이 고정부재(10)에 결합되고 중단이 전선관(T)을 감싸는 한 쌍의 고정편(100)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100) 중 어느 하나의 고정편(100) 타단에 형성되는 삽입홈(210)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100) 중 다른 하나의 고정편(100) 타단에 구비되는 체결편(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편(220)은 일측이 상기 고정편(10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삽입홈(210)을 향하도록 180도 벤딩된 후 상기 삽입홈(210)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편(220)은 일측이 상기 삽입 홈(210)에 삽입되도록 벤딩되더라도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연성을 갖는 물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체결편(220)이 삽입홈(21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즉, 상기 체결편(220)이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된 이후 상기 삽입홈(210)으로부터 인출되지 아니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10)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2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222)에는 상기 걸림돌기(212)에 걸려 고정되는 체결돌기(2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홈(210)과 체결편(220)에 각각 걸림돌기(212)와 체결돌기(222)가 형성되면, 상기 체결편(220)이 삽입홈(210)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설림돌기와 체결돌기(222)가 서로 걸리게 되므로, 상z기 체결편(220)은 삽입홈(210) 외측으로 빠지지 아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편(220)이 상기 삽입홈(210) 내부로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나 상기 삽입홈(210) 외측으로는 잘 빠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체결돌기(222)는 끝단이 상기 체결편(220)의 삽입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212)는 끝단이 상기 체결편(220)의 삽입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12)와 체결돌기(22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기 체결편(220)이 삽입홈(210) 내측으로 인입될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212)와 체결돌기(222)는 각각의 경사면이 맞닿게 되어 상기 체결돌기(222)가 상기 걸림돌기(212)를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되지만, 상기 체결편(220)이 삽입홈(210) 외측으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212)와 체결돌기(222)가 상기 체결편(220)의 삽입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 로 면접촉을 하게 되어 상기 체결돌기(222)가 상기 걸림돌기(212)를 타고 넘어갈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체결편(220)과 삽입홈(210) 간의 결합구조는, 다수 개의 전선을 하나로 묶는 묶음 밴드(일명 '전선 타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는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고정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으로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저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의 입구 내측에는 상기 고정부재(1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후 측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턱(14)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편(100)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고정부재(10)에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 양단에 상기 개구부(12)의 입구 내측면 더 정확하게는 걸림턱(14)에 걸리는 후크(11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고정부재(10)에 걸림턱(14)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개구부(12)만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후크(110)는 개구부(12)의 입구 내측면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사용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를 이용하여 전선관(T)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10)가 걸림턱(14)에 걸려 고정되도록 고정편(100)의 일단을 고정부재(10)의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한 쌍의 고정편(100) 사이에 전선관(T)을 위치시킨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편(220)을 일측을 벤딩시켜 삽입홈(210) 내부로 인입시켜 결합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편(220)이 삽입홈(210)에 고정 결합되면 상기 한 쌍의 고정편(100) 타단이 상호 결합되므로, 상기 전선관(T)은 고정부재(10)의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를 이용하면, 종래와 같이 체결볼트(32)나 체결너트(34)를 사용하지 아니하고서도 전선관(T)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체결볼트(32)와 체결너트(34)를 결합시키기 위한 공구가 필요치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를 이용하면, 체결편(220)을 삽입홈(210)에 삽입시키는 작업만으로 전선관(T)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전선관(T)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편(220)이 삽입홈(2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즉, 상기 체결편(220)과 삽입홈(210) 간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상기 삽입홈(210)과 체결편(220)이 고정편(10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삽입홈(210)과 체결편(220)의 방향은 다양한 각도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홈(210)은 상기 고정편(100)의 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으로 즉, 고정편(100)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고정편(100)의 하측을 관통하는 관통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220) 역시 상기 삽입홈(210)과 동일한 방향 즉, 고정편(10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홈(210)과 고정편(100)이 고정편(10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면, 상기 삽입홈(210)과 체결편(220) 간의 접촉면적이 좁아지므로 상호 간의 체결력이 다소 약해질 수는 있지만, 상기 한 쌍의 고정편(100) 하측을 서로 맞닿게 하는 조작만으로 한 쌍의 고정편(100)을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전선관(T)을 고정부재(10)에 밀착시키는 힘이 삽입홈(210)의 입구측 즉, 체결편(220)이 삽입이 시작되는 측에 편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삽입홈(210)과 체결편(220)은 상기 고정편(100)의 길이방향으로 즉,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홈(210)과 체결편(220)이 고정편(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삽입홈(210)과 체결편(220)을 고정편(100)의 수직 중심축 상에 형성함으로써 전선관(T)을 고정부재(10)에 밀착시키는 힘이 고정편(100)의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사용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에 적용되는 삽입홈과 체결편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사용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부재 12 : 개구부
14 : 걸림턱 100 : 고정편
110 : 후크 210 : 삽입홈
220 : 체결편 T : 전선관

Claims (6)

  1. 일측이 고정부재(10)에 결합되고 중단이 전선관(T)을 감싸는 한 쌍의 고정편(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편(100) 중 어느 하나의 고정편(100) 타측에는 삽입홈(210)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편(100) 타측에는 일측이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체결편(2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10)과 체결편(220)은 상기 고정편(100)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220)은 일측이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되도록 벤딩되더라도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연성을 갖는 물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고정 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10)은 상기 고정편(100)의 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220)은 상기 삽입홈(210)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220)이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된 이후 상기 삽입홈(210)으로부터 인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삽입홈(210)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2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222)에는 상기 걸림돌기(212)에 걸려 고정되는 체결돌기(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222)는, 끝단이 상기 체결편(220)의 삽입방향과 반대인 방향 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212)는, 끝단이 상기 체결편(220)의 삽입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에는 일측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00)의 일측 양단에는 상기 개구부(12)의 입구 내측면에 걸리는 후크(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KR1020070101805A 2007-10-10 2007-10-10 전선관 고정 클램프 KR100939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805A KR100939383B1 (ko) 2007-10-10 2007-10-10 전선관 고정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805A KR100939383B1 (ko) 2007-10-10 2007-10-10 전선관 고정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656A true KR20090036656A (ko) 2009-04-15
KR100939383B1 KR100939383B1 (ko) 2010-01-29

Family

ID=4076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805A KR100939383B1 (ko) 2007-10-10 2007-10-10 전선관 고정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475B1 (ko) 2018-12-28 2019-06-03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관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313B1 (ko) * 2006-07-07 2007-11-09 경신공업 주식회사 직경 가변형 클립
KR200431085Y1 (ko) * 2006-09-04 2006-11-14 한찬엄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383B1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59061A (ja) スタッド係合装置
KR200453855Y1 (ko) 케이블 행거
KR100939383B1 (ko) 전선관 고정 클램프
BRPI0610758A2 (pt) arranjo, elemento de conexão, e objeto
EP1975491A1 (en) Snap-acting clip, particularly for supporting conduits for the distribution of electricity
KR101873114B1 (ko)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KR200433444Y1 (ko) 통신케이블용 원터치 조가선 클램프
JP5067640B2 (ja) 結束バンド用支持部材
JP5342723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連結体
JP6486854B2 (ja) 接続端子函補助クランプ
JP2001136643A (ja) ケーブル架設用の留め金具
KR101706788B1 (ko) 애자와 연결되는 장치
JP3207104U (ja) 落下防止機能を備えた配管支持具
KR200269701Y1 (ko) 케이블 고정구
JP6852900B2 (ja) 配管取付け金具
KR20140146404A (ko)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KR200366024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0392686Y1 (ko) 통신케이블용 조가선 클램프
JP3172991U (ja) 終端クランプ
KR200223916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JP2002181138A (ja) ロープの環状部保持金具
JP7415587B2 (ja) ケーブル架設具
KR20090129790A (ko)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
JP5342909B2 (ja) ケーブル支持線引留め具
KR0119372Y1 (ko) 매입형 등기구전원연결용 복스카바와 후렉시블전선관의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