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599A -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및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및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599A
KR20090036599A KR1020097003911A KR20097003911A KR20090036599A KR 20090036599 A KR20090036599 A KR 20090036599A KR 1020097003911 A KR1020097003911 A KR 1020097003911A KR 20097003911 A KR20097003911 A KR 20097003911A KR 20090036599 A KR20090036599 A KR 20090036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graft
bobbin
wall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073B1 (ko
Inventor
피터 필립스
에드리언 마이클 우드워드
앤드류 리차드 뷰캐넌 헬켓
게일 비턴
칼 존 퍽스
클리브 그래엄 앤젤
티모티 포그너 프로스트
Original Assignee
앤슨 메티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슨 메티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앤슨 메티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3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2Shuttles oscil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61F2002/075Stent-grafts the stent being loosely attached to the graft material, e.g. by sti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스텐트-그래프트를 형성하기 위해 튜브형 그래프트에 대해 보강 와이어를 재봉할 수 있는 재봉틀이 제공된다. 보빈(셔틀 내에 안착될 수도 있는)은 밑실을 튜브형 그래프트의 구멍을 통해 운반하며, 그래프트 벽을 관통하는 바늘 위에 운반되는 윗실과 조합하여 바늘땀을 형성한다.
재봉틀, 스텐트, 그래프트, 제조방법

Description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및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METHOD FOR STITCHING THREAD TO THE WALL OF TUBULAR MEDICAL IMPLANT AND APPARATUS FOR STITCHING THREAD TO SURFACE OF TUBULAR MEDICAL IMPLANT}
본 발명은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관의 스텐트-그래프트의 구축에 사용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그래프트는 내측 혈관을 사용하기 위한 튜브형 구조물이다. 이들은 통상 두개의 구성요소: 통상 직물 또는 막 물질로 형성되는 유사 혈액-밀착 튜브와, 통상 와이어 또는 기타 금속 섬유 물질로 이루어지는 보강 구조물을 포함한다.
튜브형 그래프트 구성요소는 통상 폴리에스터 직물로 이루어지며, 일부의 디자인만이 PTFE 멤브레인을 채용한다. 그래프트는 금속 링 위에서 지지되며, 금속 링은 일반적으로 와이어로 형성되지만, 때로는 금속 튜브를 레이저 또는 유사 수단을 사용하여 절단하여 형성한다. 그래프트에 부착되는 경우, 금속 링은 그래프트의 축에 대한 각도 상에서 단일 평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링은 주름이 잡혀져서 그래프트의 표면에 짧은 실린더의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링은 창이 형 성되거나 연결되어 그래프트의 표면상에 긴 원통형 보강 요소를 만든다.
대부분의 모든 디자인에 있어서, 보강 링은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행해지는 봉합에 의해 그래프트의 표면에 부착된다. 일부의 디자인은 수백 또는 수천의 봉합을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봉합과 관련된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더욱이, 모든 바느질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요구되며, 환자에게 이식되는 장기에 낮은 품질의 바느질이 행해진다면 이는 환자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환자의 조직에 적합한 스텐트-그래프트를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스텐트-그래프트의 길이, 직경, 기울기, 2차 기울기 및 측면-분기는 각 환자에 대해 맞춤식이 되어야 하며, 이는 스텐트-그래프트가 수작업으로 제조되는 경우 시간적으로 실행하기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WO 99/37242 (본 출원인의 명의로 출원됨)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바, 평판형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컴퓨터로 수를 놓는 방식이 채용되며, 이후 평판형 장치는 튜브 속으로 실질직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방식은 수작업과 관련된 많은 문제를 해결하지만 솔기(seam)가 발생하고 어느 정도 연속적인 구조가 설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GB 2165559 특허(런던 대학)는 외과 수술 중에 인체 조직과 같은 기질에 바느질을 하기 위한 재봉틀을 개시하고 있다. 이 재봉틀은 그 안으로 접혀 들어가는 기재의 부분을 당겨주기 위한 흡입부를 채용하여 그 부분이 바늘과 후크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바늘은 기질의 접혀진 부분을 통해 실을 공급하여 다른 쪽을 나 타나게 하고, 실을 후크와 결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기질을 따라 이동되는 바느질로 반복됨으로써 기질내의 바늘땀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재봉틀은 튜브형 그래프트의 벽에 대해 실을 꿰매도록 사용될 수는 없는 바, 이는 그래프트가 그의 접혀진 부분이 기계내로 흡입될 정도로 충분히 유순하지 않기 때문이다.
US 4,502,159 (Shiley Incorporated) 특허는 튜브 내로 심막 조직을 말아 넣고 길이방향 솔기를 형성하도록 튜브를 따라 바느질함으로써 튜브형 인공 삽입물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늘땀은 통상 실이 솔기의 한쪽에서 튜브의 외측의 다른 쪽으로 지나감으로써 형성된다.
US 4,241,681 (Porter) 특허는 방염 직물의 긴 가요성 튜브위에 일련의 이격된 보강 링을 바느질하는 재봉틀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재봉틀은 공작물이 팔위의 소매처럼 당겨지는 긴 튜브형 지지체를 포함한다. 고정된 바느질 메커니즘은 공작물 내의 체인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풀러(puller) 메커니즘은 바늘땀이 그 안에서 형성됨에 따라 공작물을 지지체 너머로 전진시킨다.
US 4,414,908 (Janome Sewing Machine Co., Limited) 특허는 환자의 절개부를 봉합하기 위한 봉합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봉합기는 니들 홀더(효과적으로는 2겹)와, 상기 니들 홀더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는 셔틀 홀더를 포함한다. 이는 셔틀에 대해 독립적으로 바늘이 움직이는 것이 모든 자유도에 대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튜브형 이식 조직편(implant)을 통해 바늘을 관통시키기 위한 니들 홀더의 이동은 이식 조직편의 구멍내의 셔틀의 대응 이동을 필연적으로 수반한다. 실제로, 셔틀을 이식 조직편의 측벽에 충돌시키지 않고 바늘을 조작한다 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이는 이식 조직편에 손상을 입힐 위험성이 있다.
US 4,414,908 특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셔틀은 봉에 장착되며, 상기 봉은 니들 홀더의 종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가능하며, 니들 홀더는 셔틀 봉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는 니들 홀더의 회전이 바늘이 셔틀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주변 경로를 따르도록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바늘은 결코 튜브형 이식 조직편의 측벽을 관통할 수 없다. 이는 단순히 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식 조직편의 둘레를 회전할 뿐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제어되는 재봉틀로 실시되는 봉합에 의해 보강 링이 부착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상술한 단점들을 해결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재봉틀은 좁은 튜브의 표면상에 재봉을 허용하고 튜브의 표면상에 와이어 또는 다른 구조물을 바느질하는 것을 허용하는 복수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특히, 여러 구조물들이 내외 표면에 대해 재봉될 수 있다.
상술한 재봉틀은 섬유형 구성요소를 만드는 다른 튜브형 장치를 제조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는 바, 섬유형 구성요소는 튜브 자체의 형성에 대해 별도의 작업으로 튜브의 표면에 대해 적용된다.
WO 01/30269 (본 출원인의 명의로 출원됨) 특허는 본 발명 출원의 우선권 주장일 후에 공개되었다. 이는, 예를 들면, 그래프트-스텐트를 향성하기 위한 그래프트의 벽에 대해 바느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바, 이 장치는 이식 조직편용 지지체, 이식 조직편의 벽을 통해서 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바늘, 및 제 1실과 조합하여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제 2실을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서 상기 구멍 안으로 운반하기 위한 보빈을 포함한다.
바늘 및 보빈은 그들의 종방향 축이 공통면 내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들은 90˚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과 보빈의 상대적인 위치 설정은 통상의 재봉틀에서 가능한 것보다 더욱 제한된 환경 속에서 바늘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튜브형 그래프트의 벽에서 바느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측면에 따라,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가 제공되는 바, 상기 장치는 이식 조직편용 지지체와, 벽을 통해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바늘과, 상기 제 1실과 조합하여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상기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 상기 구멍으로 통과하도록 제 2실을 운반하는 보빈을 포함하며, 긴 보빈 지지체가 제공되어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쪽의 보빈을 지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빈 지지체는 보빈이 즉시 떠날 수 있는 요홈을 갖는 봉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보빈 지지체는 보빈이 구멍 내외로 자유롭게 이동하 는 러너(runner)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러너는 슬롯을 구비하는 튜브 형태로서, 슬롯은 그를 통해 보빈을 향한 바늘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빈은 셔틀 내에 안착되며, 셔틀 자체는 봉 내의 요홈에 안착되거나 러너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셔틀은 바늘의 경로에 인접한 러너의 측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되어 제 1실의 고리와 결합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기울어짐은 셔틀이 사선으로부터 충분한 정도까지 이격되는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제 2실이 셔틀 상에 및 셔틀 외에 감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셔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폭이 좁으며 선택적으로 곡선을 이루어, 그의 배향이 상술한 바와 같이 러너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셔틀의 팁은 바늘의 팁과 봉합의 고리 중심을 폐쇄한다.
보빈이 러너 내에 안착하는 실시예는 특히 작은 직경의 그래프트 (대략 3~6mm)에 적합한 반면, 보빈이 봉의 요홈 내에 안착되는 실시예는 큰 직경 (대략 7~40mm)을 갖는 그래프트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실을 셔틀 또는 보빈 캐리어 내의 일련의 구멍을 통해 봉합함으로써 제 2실에 마찰이 가해지며, 구멍의 숫자가 클수록 제동 효과도 커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 2실을 팽팽하게 인장시켜 바늘땀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인장 수단은 상기 셔틀에 대해 독립적으로 러너를 따라 이동하도록 적용되는 트래핑 바디와 이 트래핑 바디에 대 해 셔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배열은 사용 중에 제 2실이 트래핑 바디 및 셔틀을 통과하도록 이루어는 바, 이는 스토퍼에 대해 트래핑 바디를 셔틀 내로 가압함으로써 셔틀을 떠나 트래핑 바디와 셔틀 사이에 걸리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바늘땀을 형성하는 경우 제 2실에 인장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실 인장 수단은 실을 잡기 위한 탄성 금속 (판스프링과 같은)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실의 인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 금속에 추가의 압력을 가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수단은 러너를 따라 셔틀을 이동시키는 부가적인 가능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셔틀의 이동은 가이드 튜브의 어느 단부이든 그에 작용되는 푸시로드에 의해 실제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보빈 위에 작용하는 스크류 형태로서, 바람직하게는 O링 고무 와셔를 통해, 보빈 위의 가변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제 2실이 그 표면을 가로질러 놓여져 제 2실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제동 효과를 갖게 되는 순서대로 말려질 수 있는 셔틀 또는 보빈 캐리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조 장치는 제조될 튜브의 다발을 통과할 수 있는 보빈-캐리어 (및 기구)에 의해 2실 체결 바늘땀을 형성한다. 제조 중에, 가이드 튜브는 스텐트-그래프트의 전체 길이를 통과하며, 그중 어느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가이드 튜브는 바늘이 통과하는 슬릿(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 음)을 구비하여 셔틀에 대해 접근할 수 있다. 바늘은 그의 팁에서 봉합 물질(또는 모든 실)의 고리를 스텐트-그래프트의 외면에 존재하는 양측 자유단으로 운반한다. 이상적으로, 가이드 튜브는 비(非)원형 단면을 가짐으로써, 길이방향 슬릿의 형성에 의해 저하된 강성을 제공한다.
가이드 튜브는 중력, 자력 또는 기타 유사 상수-힘 작용에 의해 셔틀을 유지하는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형상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스트립 물질은 제 1스트립 물질과 함께 튜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측면에 따라,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이식 조직편용 지지체와, 벽을 통해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바늘과, 제 1실과 조합하여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제 2실을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 구멍까지 운반하는 보빈을 포함하며, 보빈은 셔틀 내에 장착되며, 셔틀은 그의 길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D형 단면을 구비하는 긴 요소이다.
상기 바늘은 이식 조직편의 벽과 셔틀의 거의 평면인 종방향 표면 사이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틀은 길고 좁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보빈-캐리어 내에 보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적으로, 보빈-캐리어는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평탄 표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 튜브 내의 대응형상과 일치함으로써 그의 긴 축을 중심으로 보빈-캐리어의 배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바늘은 고리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거되는 부분(스카프)과 거의 직선이 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과 셔틀이 서로 접합되어 이들이 통상의 재봉틀보다 그래프트의 내측에 더 적은 공간을 점유하도록 하기 위해 셔틀로부터 "제거된" 대응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
스텐트-그래프트를 재봉하는 경우의 예외적인 요구는 구조가 바느질의 강도만으로 서로에 대해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보빈과 바늘 내의 실의 인장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보빈 실의 제어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바늘 실의 제어는 바늘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전자 제어식 인장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4측면예에 따라,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이식 조직편용 지지체와, 벽을 통해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바늘과, 제 1실과 조합하여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제 2실을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 구멍까지 운반하는 보빈과, 제 1실을 인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인장수단은 바늘을 구동하는 기구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킨다.
변형(strain)게이지는 제 1실, 제 2실 또는 양실 모두의 경로에 제공할 수 있다.
스텐트-그래프트 제조 장치는 보강부가 그 표면에 바느질되는 동안 튜브형 스텐트-그래프트를 잡기 위한 기구를 필요로 한다. 스텐트-그래프트는 그 안에 원통부와 원추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식 조직편의 길이를 따라, 그의 직경의 변화율은 각기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스텐트-그래프트는 또한 분기될 수도 있다.
스텐트-그래프트의 표면이 일정 방식의 재봉 헤드에 제공되기 위해, 재봉틀은 한 쌍의 부착 수단을 구성하는 바, 부착수단은 그래프트가 그 축을 따라 인장되며, 그 축을 따라 병진 운동하고,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각 단부에서 스텐트-그래프트를 파지한다. 추가로, 그래프트 및 부착 수단은 그래프트의 표면 위의 포인트 또는 포인트들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느질 된 그래프트의 벽이 재봉 헤드로부터의 일정 거리 및/또는 각도에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측면에 따라,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상기 방법은 바늘을 사용하여 벽을 통해서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단계와, 제 1실의 고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2실을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 구멍까지 운반하는 보빈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 2실을 제 1실에 형성되는 고리를 통과시키는 단계와,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해 고리를 폐쇄하는 단계와, 구멍으로부터 보빈을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늘 및 보빈은 그들의 종방향 축이 공통면 내에 놓이도록 배치되며, 보빈이 바늘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늘은 제 2실이 제 1실에 형성되는 고리를 통과하기 전에 충분히(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인출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이동 순서의 보빈-캐리어 및 바늘이 채용된다.
· 바늘은 스텐트-그래프트의 벽을 통과하여 스텐트-그래프트 내의 가이드 튜브의 반대쪽 벽에 접근한다.
· 바늘은 부분적으로 인출된다.
· 셔틀은 그의 코(nose)의 팁이 봉합의 고리와 결합할 때까지 전진한다.
· 셔틀은 이 포인트에서 정지할 수 있다.
· 바늘은 더 인출되어 스텐트-그래프트의 벽을 통과하도록 당겨진다.
· 셔틀은 봉합의 고리를 통해 전진한다. 실이 충분하게 있다면, 셔틀의 코의 형상은 스텐트-그래프트의 벽을 통과하여 가이드 튜브까지 바늘 실을 당김으로써 셔틀이 고리를 완전히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제 6측면에 있어서,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상기 방법은 바늘을 사용하여 벽을 통해서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단계와, 제 1실의 고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2실을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 구멍까지 운반하는 보빈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 2실을 제 1실에 형성되는 고리를 통과시키는 단계와,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해 고리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고리는 바늘을 인출하기 시작함으로써 제 1실에 형성되고, 바늘의 단부는 셔틀이 고리와 결합한 후에 구멍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다.
이 방법의 장점은 보빈과 바늘의 순차적 전개가 실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 방법(바늘과 보빈이 동시에 인접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에 비교하여 제한된 부피 내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제 1실은 셔틀로부터 제 2실이 감기지 않도록 충분한 인장을 주기 위해 바늘 땀이 형성되는 동안 고정될 수도 있다.
바늘을 구동하는 기구는 또한 신규하며, 어떤 순간에도 바늘의 위치를 제어하여 보빈에 대해 독립적으로 바늘을 제어할 수 있다. 통상의 재봉틀은 캠 기구를 채용하는 바, 상기 캠 기구는 보빈의 이동을 바늘의 이동과 연결시키며, 각 구성 요소의 이동을 유연하고 연속적으로 만든다. 상술한 순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늘과 보빈은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며, 연속적 이동은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7측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을 구비하는 직선부와 테이퍼진 벽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부를 갖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상기 방법은 바늘을 사용하여 벽을 통해서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단계와, 제 1실의 고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2실을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 구멍까지 운반하는 보빈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 2실을 제 1실에 형성되는 고리를 통과시키는 단계와,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해 고리를 폐쇄하는 단계와, 구멍으로부터 보빈을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식 조직편은 바늘땀이 형성되는 벽에 대해 보빈의 이동이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경사진다.
이식 조직편의 표면위로 형상의 배치를 돕기 위해, 복수의 와이어 또는 보강 조종 형상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측면에 따라,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에 보강 와이어를 부착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상기 방법은 와이어가 부착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와이어를 그 위치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와, 바늘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상기 위치에 보다 가깝게 이동시키는 단계와, 바늘을 사용하여 표면에 바늘땀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늘은 와이어가 표면의 평면과 그에 대해 평행한 와이어의 접선의 평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바늘의 팁에 부착되는 위치의 반대쪽에 있는 와이어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가 와이어와 접촉하여 위치에 보다 가깝게 이동하도록 위치를 향해 이동하며,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표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이동된다.
상기 방법은 그 후 반복되며, 바늘은 제 2사이클에 채용되어 와이어를 제 1사이클에서 형성된 바늘땀에 보다 가깝게 이동시키며, 상기 실은 제 1부터 제 2바늘땀까지 와이어를 넘어 통과하여 상기 위치에 인접하는 표면 또는 상기 위치의 표면에 대해 와이어를 부착시킨다.
상기 장치는 그래프트 표면의 레벨을 결정하며 이 레벨에 대한 바늘의 높이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순히 그래프트 표면을 참조로 하는 개방형 루프 제어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으며, 그래프트의 표면을 감지하는 수단이 제공되더라도, 피드백 소프트웨어는 바늘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이는 예를 들면 튜브형 그래프트의 표면 위에 와이어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허용하며, 이 위치설정 단계는 재봉 단계와 협동하여 효율적이며 신속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는 또한 와이어를 원래 형상으로 복귀시키며, 외이어가 어디 있는지 정확하게 감지할 필요성을 없애며, 바늘이 와이어를 쳐서 손상을 입히는 상황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와이어를 상기 형상으로 미리 변형 시킬 필요 없이 그래프트에 대한 소정의 형상으로 와이어를 부착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9측면에 있어서,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에 대해 보강(또는 다른) 필라멘트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바, 상기 장치는 이식 조직편용 지지체와, 벽을 통해서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바늘과, 제 1실과 조합하여 바늘땀을 형성하여 보강 필라멘트를 이식 조직편의 벽에 부착하도록 제 2실을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 구멍까지 운반하는 셔틀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보강 필라멘트용 지지체(테이블과 같은)를 추가로 포함하고, 지지체는 이식 조직편에 대해 이동 가능하여 이식 조직편에 부착되기 전에 보강 필라멘트가 이식 조직편(바람직하게는 인장 상태에서) 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어 보강 링은 평판,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는 와이어의 연속 조각으로부터 형성된다. 스텐트-그래프트에 대해 와이어를 적용하기 위해, 벨트 공급 기구를 포함하는 이동 트레이 위에 유지된다. 공급기는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트레이 아래로 밀어 와이어가 이식 조직편의 길이를 따라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트레이는 측면에서 측면으로 병진 이동하여 와이어가 스텐트-그래프트의 원주 둘레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구에 의해, 스텐트-그래프트는 그래프트 튜브의 구성 부품과 미리 형성된 와이어 보강부로부터 자동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측면에 있어서, 의료 이식 조직편에 대해 와이어를 부착하기 전에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보강 와이어를 형성하는 장치가 제 공되는 바, 상기 장치는 와이어를 유지 및 분배하는 수단과, 이식 조직편 위의 요구 패턴 내에 와이어를 위치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와이어를 이식 조직편에 대해 부착하기 전에 요구되는 패턴 내로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국부 가열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넓은 범위의 스텐트-그래프트가 자동으로 제조되도록 하는 향상된 상기 시스템은 스텐트-그래프트의 표면에 대해 부착되기 직전에 와이어 내에 적당한 굽힘을 형성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구는 한 틀의 와이어와, 공급 기구과, 원하는 반경의 굽힘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조오(jaw)를 포함하거나, 원하는 직경을 형성하도록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오가 와이어를 파지하고 열이 가해지는 경우, 와이어는 조오의 곡률반경 또는 한 쌍의 조오가 서로에 대해 위치되는 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설정"을 적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은 와이어를 통해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가해지거나 조오를 직접 가열함으로써 가해지지만, 공지된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적으로, 조오는 엔지니어링 세라믹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물질은 와이어를 형성하고 열에 저항하는 강도를 가지며, 절연 특성은 전류가 와이어를 통과하도록 요구된다.
스텐트-그래프트의 표면에 대해 적용되는 다른 구조들은 또한 성형을 필요로 하지만 필수 "설정"을 달성하기 위한 열 또는 높은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의 실례는 고주파-비전도 마커로서 이는 높은 원자수를 갖는 물질 또는 유사한 원자수를 갖는 금속 또는 염을 구성하는 중합체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하나의 적절한 금속으로서 높은 적응성을 갖는 탄탈륨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1측면에 있어서, 이식 조직편의 원주 둘레와 이식 조직편을 따라 종방향으로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에 대해 와이어(바람직하게는 마커 와이어)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바, 상기 장치는 이식 조직편용 지지체와, 벽을 통해서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바늘과, 제 1실과 조합하여 바늘땀을 형성하여 와이어를 이식 조직편의 벽에 부착하도록 제 2실을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 구멍까지 운반하는 보빈과, 이식 조직편에 대해 부착하기 전에 정확한 위치에 이식 조직편을 위치시키기 위해 와이어가 공급되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이식 조직편의 종방향 축에 대해 수직인 제 1위치로부터 축과 평행한 제 2축까지 이동하도록 적용되어 이식 조직편 위의 와이어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튜브는 바늘의 축 둘레의 모든 방향으로부터 바늘에 인접한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치 롤러가 상기 튜브 아래로 상기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장치는 한 틀의 탄탈륨 와이어, 또는 고주파-비전도 및 안내 오리피스 또는 튜브의 유사 필라멘트 물질을 유익하게 활용한다. 안내 오리피스 또는 튜브의 배향은 컴퓨터로 제어되어 스텐트-그래프트의 이동에 따라(즉, 축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병진 이동하는) 필라멘트 물질은 스텐트-그래프트의 표면의 이동 라인을 따라 재봉 헤드 아래로 공급될 수 있다. 필라멘트 물질의 적응 특성의 결과, 스텐트-그래프트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향상에 따라, 기구는 스텐트-그래프트의 바디를 따라 나선 모양으로 와이어를 감싸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보강 수단의 다른 디자인을 허용하여 이식 조직편의 표면에 부착될 다른 패턴의 필라멘트 구조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보면, 재봉틀(1)은 그위에 장착된 재봉암(10)을 갖는 베이스(2), 셔틀튜브(20) 및 스텐트 테이블(30)을 포함한다.
그래프트(5)는, 이 그래프트(5)의 다발을 통과하고 역시 베이스(2) 상에 장착되는 셔틀튜브 지지체(25)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셔틀튜브(20)와 함께 그래프트(5) 양단의 한쌍의 손잡이(도시생략)에 의해서 유지된다.
재봉암(10)은, (각각 화살표 A와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셔틀튜브(20)에 대해 평행인 방향 및 수직인 방향으로 캐리지 구동기(4)에 의해서 구동되는 캐리지(3)에 장착되어 있어, 재봉암(10)은 그래프트(5)에 대해 원하는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재봉암(10)은 캐리지(3)의 가장자리 위로 돌출되고 그래프트(5)에 대해 상하로,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 요동 구동기에 의해 좌우로(소위 "바늘 요동") 구동될 수 있는 바늘(12)을 갖는 바늘 헤드(11)를 포함한다. 바늘 헤드(11)는 실패(도시 생략)로부터 바늘(12)의 눈을 통해 (재봉기 모터(16)에 의해 구동되는) 재봉기(stitch maker)(15)까지 통과한 다음 윗실용 인장기(14)와 결합하는 윗실용 실패(도시생략)의 전개를 제어한다.
그래프트(5)의 표면에 스텐트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와이어는 스텐트 테이블(30)위에 미리 형성되어 배치되며, 이것은 화살표(E)로 나타낸 방향을 따라 스텐트 테이블 구동기(31)에 의해서 그래프트(5)에 관련된 위치로 구동된다. 와이어(도시생략)는 재봉암(10)에 부착되는 와이어 가이드(32)에 의해서 그래프트(5)에 재봉되는 동안 그 위치에 유지된다.
도 2와 3을 보면, 셔틀(40)은 밑실(도시생략)과 보빈(41)용 보빈 캐리어(44)를 지니는 보빈(41)을 포함한다. 보빈(41)은 밑실이 감길 수 있는 가는 중심축(42)과 보빈(41)이 회전하여 밑실이 축(42)에 감기지 않게 할 수 있는 엔드 롤러(43)를 갖는 연장형 실패 형상을 갖는다. 보빈(41)은 밑실이 보빈(41)으로부터 쉽게 풀리도록 하기 위해 보빈 캐리어(44)의 중앙 공동부에 느슨하게 위치한다.
보빈 캐리어(44)는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보빈 캐리어(44)의 종방향 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윗실의 고리와 결합하게 되는 비대칭 코(45)를 갖는다. 보빈 캐리어(44)의 몸체(코(45)이외의 부분)는 평탄 측벽(46) 및 이 측벽(46)에 대향인 둥근 측벽에 의해서 연결된 평행한 상부벽 및 하부벽을 구비함으로써, 셔틀(40)은 셔틀 튜브(20)의 평탄 측벽(2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탄 측벽(46)과 함께 셔틀 튜브(20)내에 느슨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벽(46)이 셔틀 튜브(20)의 둥근 단면의 개념적인 내경보다 길기 때문에 셔틀(40)은 그의 종방향 축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면서도 셔틀 튜브(20)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다.
도 2와 3은 약간 다른 실시예를 타나내는 것으로, 보빈 캐리어(44)의 외형이 약간 다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능은 변경되지 않았으며, 특히 측벽(46)은 2가지 모든 경우에 셔틀 튜브(20)내에서의 보빈 캐리어(44)의 회전이 방지되록 작용한다.
또한, 도 3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재봉 과정 동안에 바늘(12)이 통과하는 셔틀 튜브(20)내의 슬롯(21)을 나타낸다.
도 4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축(42)과 엔드 롤러(43)를 갖는 보빈(41), 및 보빈 캐리어(51)의 코(52)가 그의 종방향 축을 포함하는 수직평면에 대해 대칭인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보빈 캐리어(44)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된 보빈 캐리어(51)를 포함한다.
도 4c는 그 자체를 도 4b에 도시한, 셔틀봉(53)의 요홈(54)에 안착된 셔틀(50)을 나타낸다. 또한, 셔틀봉(53)은 그의 종방향 축을 포함하는 수직면에 배치된 슬릿(55)을 그내에 갖는다.
도 1로 돌아가서, 셔틀 구동모터(26)는 셔틀 구동암(23)을 화살표(F)방향으로 셔틀튜브(20)의 양단 내외로 구동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셔틀(40)을 셔틀튜브(20)를 따라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셔틀 밑실 인장기(24)는 판스프링(47)상의 압력 증가에 의해서 보빈(41)상의 밑실에 인장을 가함으로써 판스프링(47)아래의 밑실을 잡아 인장이 가해지도록 한다.
셔틀튜브(20)에 대한 그래프트(5)의 위치는 그래프트 베드 승강 구동기(6)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는데, 이 구동기는 (그래프트(5)가 안착되는) 그래프트 베 드(7)를 셔틀 튜브(20)에 대해 상하로(화살표G 방향으로), 셔틀튜브(20)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좌우로(화살표H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필요한 경우(가령, 테이퍼진 위치의 표면에서 재봉질할 때에), 틸트 그래프트(5)는 다음에 그래프트 틸트 구동기(8)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그래프트 틸트 구동기는 화살표(I)방향으로 그래프트(5)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 그래프트(5)는 양단에서의 그래프트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서 그의 종방향 축(화살표J의 방향으로)에 대해 회전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재봉틀(1)의 동작을 설명한다.
그래프트(5)는 셔틀튜브 지지체(25)로부터 셔틀튜브(20)를 분리하고 그래프트(5)를 셔틀튜브(20)위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서 셔틀튜브(20)위에 배치되며, 셔틀튜브(20)는 그래프트(5)다발을 관통하게 된다. 다음에, 그래프트 손잡이(도시생략)는 그래프트(5)의 양단에 결합되고, 이 그래프트(5)는 그래프트 베드 승강 구동기(6) 및 그래프트 틸트 구동기(8)의 동작에 의해서 바늘 헤드(11)에 대해서 정확하게 위치된다. 그의 종방향 축에 대한 그래프트(5)의 회전이 발생하여 그래프트(5)의 표면이 재봉될 지지체 와이어가 베이스(2)로부터 떨어져 상방에서 대면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그래프트(5)상에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지지체 와이어는 스텐트 테이블(30)상에 미리 형성되는데, 이 테이블은 스텐트 테이블 구동기(31)의 동작에 의해서 그래프트(5)의 표면 위에 배치된다. 지지체 와이어는 재봉암(10)상의 와이어 가이드(32)에 의해서 그래프트(5)상의 위치에 유지되며, 이어서 캐리지(3)를 구동 하는 캐리지 구동기(4)의 동작에 의해서 그래프트(5)상으로 구동된다.
상기 공정에 의해서 지지체 와이어는 거의 그래프트(5)에 대한 위치에 배치된다. 지지체 와이어는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바늘 요동 구동기의 동작에 의해서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윗실(61)을 지니는 바늘(12)은 우선 지지체 와이어(60)에 밀접하게 배치된 다음, 하강하여(화살표 C) 그래프트(5)의 표면 바로 위에 있게 된다. 다음에, 바늘(12)은 바늘 요동 구동기에 의해서 옆으로(화살표 D) 이동되어 와이어(60)를 이전 바늘땀에 밀착시킨다. 다음에, 바늘(12)은 와이어(60)에 근접한 위치(62)에서 그래프트(5)의 벽을 통해 하방으로 구동된다.
일단 바늘(12)이 그래프트(5)의 벽을 충분히 관통하면, 이것은 셔틀튜브(20)내의 슬롯(21)을 관통함으로써, 바늘(12)의 끝이 슬롯(21)으로부터 끝단인 측벽의 단부 쪽에 위치된다. 다음에, 바늘(12)은 부분적으로 인출하여 윗실과 그래프트(5)의 벽 사이의 마찰로 인해 셔틀튜브(20)내에서 윗실에 고리가 생성된다.
이제 셔틀 구동모터(26)가 셔틀 구동암(23)상에서 작동하여 셔틀(40)을 셔틀튜브(20)아래로, 정면에서 보빈 캐리어(44)의 비대칭 코(45)와 함께 그래프트(5)의 다발속으로 구동시킨다. 셔틀(40)이 윗실의 고리쪽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보빈 캐리어(44)의 평탄 측벽(46)쪽으로의 코(45)의 비대칭 위치결정의 덕분에 코(45)는 고리와 결합한다. 보빈(41)의 중심축(42)둘레에 감겨지는 밑실은 셔틀(40) 뒤로 끌려간다.
일단 셔틀(40)이 윗실의 고리와 결합되면, 그의 이동은 정지되며 윗실의 고 리를 남겨두고 바늘(12)은 그래프트(5)의 벽으로부터 완전히 인출한다. 다음에, 셔틀(40)이 전진함으로써 이것은 윗실의 고리를 완전히 통과하여 타측 위로 빠져나온다.
이제 윗실 위로 밑실이 통과함으로써 바늘땀이 형성된다. 이것은 위실 인장기(14)와 그래프트(5)로부터 상방으로 재봉기 모터(16)에 의해 구동되어 위실 내의 고리에 밀착되는 재봉기(15)의 복합 작용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와 동시에, 위실 인장기(14)는 윗실에 인장 가하도록 작용함으로써 재봉기(15)가 이 인장력을 이기고 당겨지면서 바늘땀이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셔틀 밑실 인장기(24)는 셔틀(40)상의 판스프링(47)을 가압함으로써, 밑실을 잡아주어 이것이 보빈(41)으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일단 바늘땀이 형성되면, 셔틀 구동암(23)이 역으로 작동하여 그래프트(5) 다발 밖의 후방으로 셔틀(40)을 구동함으로써, 바늘(12)을 위한 룸을 만들며, 그래프트(5)내로 구동하여 다음 고리를 형성한다. 2번째 바늘땀의 배치는 지지체 와이어 위에 바늘땀이 형성되어 이것이 그래프트(5)에 대해 바느질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바늘(12)위에서 작동하는 바늘 요동 구동기(13)에 의해서 달성됨으로써, 지지체 와이어 및 그래프트(5)에 대한 바늘(12)의 정밀 위치결정을 달성할 수 있다.
지지체 와이어가 그래프트(5)에 바느질됨에 따라서, 재봉암(10)에 대한 그래프트(5)의 위치는 그래프트 손잡이, 그래프트 베드 승강 구동기(6) 및 그래프트 틸트 구동기(8)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조절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셔틀(40) 대신에 셔틀(50)이 채용된다. 실은 보빈 캐리어(51)내에 조립되는 보빈(41)위에 감겨지고, 보빈 캐리어(51)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틀봉(53)내의 요홈(54)에 안착된다. 다음에, 셔틀봉(53)은 셔틀튜브(20)내의 셔틀(40)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후로 이동된다. 바늘(12)이 슬릿(55)을 통과하고, 다음에 약간 잡아당겨지면서 고리를 형성한다. 다음에, 셔틀봉(53)이 더욱 전진하여 상기 고리 내의 코(52)와 결합한다. 그후, 바늘땀이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은 그래프트, 스텐드, 그래프트-스텐트, 그래프트 고정장치, 안과용 보강기구, 심장밸브 지지체용 아눌리(annuli), 정맥 이식 조직편, 정맥 밸브 지지체 또는 어떤 다른 관형상 의료 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에 실을 공급하는 것에 관해서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어떠한 관형상 형태의 표면에 실을 바느질하는데 동일하게 채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기술된 장치의 일부는 특별한 설명이 아닌 추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동작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가령, 이 장치는 인조 조직 구조체나 그것을 지지하기 위한 기질과 같은 3차원 피륙 구조체를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셔틀의 부분 측면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가이드에 있어서 도 2의 셔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셔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셔틀 지지체의 사시도.
도 4c는 도 4b의 셔틀 지지체에 안착된 도 4a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그래프트 표면에 와이어를 붙이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Claims (20)

  1. (a) 바늘을 사용하여 벽을 통해서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실의 고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제 2실을 상기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 상기 구멍 안으로 운반하는 보빈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제 2실을 상기 제 1실에 형성되는 상기 고리를 통과시키는 단계와;
    (e)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고리를 폐쇄하는 단계; 및
    (f)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보빈을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이 이동하는 축이 상기 바늘땀이 형성되는 상기 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이식 조직편은 경사지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을 구비하는 직선부와 테이퍼진 벽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부를 갖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기계화된 재봉틀에 구비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조직편은 튜브형 그래프트인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바늘은 상기 보빈과 상기 바늘의 종방향 축이 같은 공통면에 놓이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바늘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바늘은 상기 제 2실이 상기 고리를 통과하기 전에 충분히 인출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바늘의 인출 개시에 의해서 상기 제 1실에 형성되나, 상기 바늘의 끝단은 상기 보빈이 상기 고리에 결합된 후에만 상기 구멍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6. 이식 조직편용 지지체와;
    표면을 통해서 상기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바늘과;
    제 2실을 운반하는 보빈과;
    상기 제 1실과 조합하여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상기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서 상기 구멍 안으로 상기 보빈을 이동하는 수단; 및
    상기 이식 조직편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이식 조직편을 경사지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조직편 표면의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레벨에 대 한 상기 바늘의 높이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바늘은 상기 보빈과 상기 바늘의 종방향 축이 같은 공통면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연장형 보빈 지지체는 상기 이식 조직편의 상기 구멍 내부에서 상기 보빈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지지체는 상기 보빈이 안착될 수 있는 요홈을 갖는 봉(rod)인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지지체는, 상기 보빈이 상기 구멍 안, 밖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는 러너인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는 상기 바늘이 슬롯을 통해 상기 보빈에 접근하도록 그 내부에 상기 슬롯을 구비하는 튜브 형태인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셔틀 내에 안착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은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D형상 단면을 갖는 연장형 요소인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실을 인장시키기 위한 인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수단은 상기 바늘을 구동하기 위한 기구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16. (a) 바늘을 사용하여 이식 조직편의 직선부의 벽을 통해서 상기 이식 조직편의 구멍 안으로 제 1실을 구동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1실의 고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제 2실을 상기 이식 조직편의 개방단을 통해 상기 구멍 안으로 운반하는 보빈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제 2실을 상기 제 1실에 형성되는 상기 고리를 통과시키는 단계와;
    (e)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고리를 폐쇄하는 단계와;
    (f)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보빈을 인출하는 단계와;
    (g) 상기 이식 조직편의 테이퍼부의 벽들 중 하나가 상기 보빈의 이동 방향 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이식 조직편을 경사지게 하는 단계; 및
    (h) 테이퍼진 벽에 바늘땀이 형성되도록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을 구비하는 직선부와 테이퍼진 벽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부를 갖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f) 단계가 반복되고, 상기 (g) 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h) 단계가 반복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기계화된 재봉틀에 구비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바늘은 상기 보빈과 상기 바늘의 종방향 축이 같은 공통면에 놓이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바늘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바늘은 상기 제 2실이 상기 고리를 통과하기 전에 충분히 인출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바늘의 인출 개시에 의해서 상기 제 1실에 형성되나, 상기 바늘의 끝단은 상기 보빈이 상기 고리에 결합된 후에만 상기 구 멍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는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KR1020097003911A 2001-05-01 2002-05-01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및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KR100949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110670.7A GB0110670D0 (en) 2001-05-01 2001-05-01 Machine for manufacturing graft-stents
GB0110670.7 2001-05-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222A Division KR100933949B1 (ko) 2001-05-01 2002-05-01 스텐트-그래프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599A true KR20090036599A (ko) 2009-04-14
KR100949073B1 KR100949073B1 (ko) 2010-03-25

Family

ID=99138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222A KR100933949B1 (ko) 2001-05-01 2002-05-01 스텐트-그래프트의 제조방법
KR1020097003911A KR100949073B1 (ko) 2001-05-01 2002-05-01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및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222A KR100933949B1 (ko) 2001-05-01 2002-05-01 스텐트-그래프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7073456B2 (ko)
EP (1) EP1385451A2 (ko)
JP (1) JP4287659B2 (ko)
KR (2) KR100933949B1 (ko)
CN (2) CN1286442C (ko)
AU (2) AU2002251350B2 (ko)
BR (1) BR0209377B1 (ko)
CA (1) CA2445975C (ko)
GB (1) GB0110670D0 (ko)
MX (1) MXPA03009953A (ko)
RU (2) RU2297199C2 (ko)
WO (1) WO200208747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69187A1 (en) * 2002-09-19 2004-04-08 Exstent Limited External stent
US8246673B2 (en) * 2002-09-19 2012-08-21 Exstent Limited External support for a blood vessel
GB0303002D0 (en) * 2003-02-11 2003-03-12 Vascutek Ltd Sewing apparatus
GB0402796D0 (en) * 2004-02-09 2004-03-10 Anson Medical Ltd An endoluminal surgical delivery system
DE102004039980B4 (de) 2004-08-12 2019-08-01 Aesculap Ag Textile Gefäßprothese mit einer Längsbiegung
US7739971B2 (en) * 2005-06-07 2010-06-22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components of a fabric-covered prosthetic heart valve
US8020503B2 (en) * 2006-07-31 2011-09-20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Automated surgical implant sewing system and method
US9089714B2 (en) 2009-04-08 2015-07-28 Saluda Medical Pty Limited Stitched components of an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
KR100994459B1 (ko) * 2009-04-28 2010-11-16 윤상진 재봉 기능을 갖는 외과용 봉합 기구
US8646397B2 (en) * 2010-12-17 2014-02-11 Midcon Cables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achine stitched flat wiring harness
US9775602B2 (en) 2011-01-25 2017-10-03 Isuturing, Ll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inuous surgical suturing
US8465504B2 (en) 2011-01-25 2013-06-18 Isuturing, Ll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inuous surgical suturing
JP2014138628A (ja) * 2011-09-16 2014-07-31 Midori Anzen Co Ltd ミシン、縫製物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US10880316B2 (en) 2015-12-09 2020-12-29 Check Point Software Technologies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initial execution of an attack
CN107333345B (zh) * 2017-08-08 2023-04-14 上海金洛安全装备有限公司 吸附夹持加热件
CN116831783A (zh) 2018-01-12 2023-10-03 爱德华兹生命科学公司 自动心脏瓣膜缝制
SG11202006146QA (en) 2018-01-25 2020-07-29 Reny & Co Inc Semi-automatic precision positioning robot apparatus and method
SG11202100705TA (en) 2018-08-22 2021-03-30 Edwards Lifesciences Corp Automated heart valve manufacturing devices and methods
CN111374795B (zh) * 2018-12-27 2021-12-07 上海微创投资控股有限公司 用于制备植入物的缝合装置
CN109394281B (zh) * 2019-01-24 2019-04-26 上海微创医疗器械(集团)有限公司 用于植入物的缝合设备及其缝合方法
EP4133125A1 (en) 2020-06-09 2023-02-15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Automated sewing and thread management
AU2021356662A1 (en) 2020-10-07 2023-06-15 Canary Medical Switzerland Ag Providing medical devices with sensing functionalit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5121C (ko)
US2344846A (en) * 1942-10-09 1944-03-21 Berg Bernhard Pliable reinforced ornament
US3316870A (en) * 1964-03-27 1967-05-02 Scovill Manufacturing Co Method of making coil type zipper fastener stringers
US3600767A (en) * 1969-06-17 1971-08-24 Singer Co Coil-type zipper stringer
US3714671A (en) * 1970-11-30 1973-02-06 Cutter Lab Tissue-type heart valve with a graft support ring or stent
FR2315562A1 (fr) 1975-06-26 1977-01-2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et dispositifs de fabrication de corps ou pieces en tissus tri-dimensionnels
US4414908A (en) 1979-12-04 1983-11-15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Suturing machine for medical treatment
JPS6025144B2 (ja) * 1981-12-08 1985-06-17 株式会社新飯田製作所 ハンドミシン
US4502159A (en) * 1982-08-12 1985-03-05 Shiley Incorporated Tubular prostheses prepared from pericardial tissue
US4625664A (en) * 1983-07-21 1986-12-02 Duell Virginia B Craft yarns
DE3824007A1 (de) 1988-07-15 1990-01-18 Baeckmann Reinhard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naeh-weben und web-steppen
US4901661A (en) * 1989-03-10 1990-02-20 Sturm Lillian P Decorative ribbon
US5226379A (en) * 1990-08-20 1993-07-13 Everett Sharon L Process for edging openwork fabric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US5489297A (en) * 1992-01-27 1996-02-06 Duran; Carlos M. G. Bioprosthetic heart valve with absorbable stent
US5618290A (en) * 1993-10-19 1997-04-08 W.L. Gore & Associates, Inc. Endoscopic suture passer and method
WO1996036297A1 (fr) * 1995-05-19 1996-11-21 Kanji Inoue Instrument de transplantation, procede pour le courber et procede pour le transplanter
US5755727A (en) * 1995-06-02 1998-05-26 Cardiologics L.L.C. Method device for locating and sealing a blood vessel
GB9518400D0 (en) 1995-09-08 1995-11-08 Anson Medical Ltd A surgical graft/stent system
GB9614950D0 (en) 1996-07-16 1996-09-04 Anson Medical Ltd A ductus stent and delivery catheter
US6178903B1 (en) 1997-04-01 2001-01-30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Web-fed chain-stitch single-needle mattress cover quilter with needle deflection compensation
GB2349827B (en) * 1998-01-26 2003-03-19 Anson Medical Ltd Reinforced graft
AU1233301A (en) * 1999-10-26 2001-05-08 H. Randall Craig Helical suture instrument
GB2355728A (en) * 1999-10-27 2001-05-02 Anson Medical Ltd Tubular medical impla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1339B (zh) 2012-08-08
CN1514702A (zh) 2004-07-21
WO2002087471A2 (en) 2002-11-07
BR0209377B1 (pt) 2012-09-04
AU2007203240A1 (en) 2007-08-02
JP4287659B2 (ja) 2009-07-01
WO2002087471A3 (en) 2003-09-25
AU2002251350B2 (en) 2007-04-26
MXPA03009953A (es) 2005-03-07
RU2297199C2 (ru) 2007-04-20
RU2003132788A (ru) 2005-03-20
CN1951339A (zh) 2007-04-25
KR100933949B1 (ko) 2009-12-28
CA2445975C (en) 2009-10-27
RU2006141499A (ru) 2008-05-27
AU2007203240B2 (en) 2009-09-10
JP2004528903A (ja) 2004-09-24
CA2445975A1 (en) 2002-11-07
GB0110670D0 (en) 2001-06-20
EP1385451A2 (en) 2004-02-04
US20050013841A1 (en) 2005-01-20
RU2425656C2 (ru) 2011-08-10
BR0209377A (pt) 2004-06-08
US7073456B2 (en) 2006-07-11
CN1286442C (zh) 2006-11-29
US7290494B2 (en) 2007-11-06
US20060213416A1 (en) 2006-09-28
KR20040024856A (ko) 2004-03-22
KR100949073B1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073B1 (ko)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벽을 실로 바느질하는 방법 및 튜브형 의료 이식 조직편의 표면을 실로 바느질하는 장치
EP122986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dical implant
AU200225135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grafts
JP2003253514A (ja) かつら製造用針
KR20210044870A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미싱 및 코드재를 공급하는 장치 그리고 코드 안내체
JP4722503B2 (ja) ミシン
JP2002113271A (ja) 糸体連結ビーズ物の縫付け用ガイド装置
JP4150067B2 (ja) 自動刺繍機用糸供給装置
JP2006192189A (ja) ミシン及び縫い目の形成方法
US20060070563A1 (en) Sewing apparatus and method
JPH0931792A (ja) 通糸自動結束装置およびその結束方法
JPS6257590A (ja) 自動糸通し可能な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