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929A - 스티렌성 중합체에서의 리튬 감소 - Google Patents

스티렌성 중합체에서의 리튬 감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929A
KR20090034929A KR1020097001842A KR20097001842A KR20090034929A KR 20090034929 A KR20090034929 A KR 20090034929A KR 1020097001842 A KR1020097001842 A KR 1020097001842A KR 20097001842 A KR20097001842 A KR 20097001842A KR 20090034929 A KR20090034929 A KR 20090034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ic polymer
weight
water
average molecula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니 더블유 린
존 에프 발호프
Original Assignee
알베마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베마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베마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3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92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2Neutralisation of the polymerisation mass, e.g. killing the catalyst also removal of catalyst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2/06Hydrocarbons
    • C08F12/08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인 전체 혼합물을 액체상으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하나 이상의 압력에서 약 90℃ 이상의 하나 이상의 온도로 리튬 함유 혼합물을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리튬 함유 혼합물은 물, 리튬 이온, 하나 이상의 액체 포화 탄화수소, 및 음이온성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티렌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물의 양은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이고, 스티렌성 중합체는 약 1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리튬 함유 혼합물, 스티렌성 중합체

Description

스티렌성 중합체에서의 리튬 감소 {LITHIUM REDUCTION IN STYRENIC POLYMERS}
본 발명은 음이온성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티렌성 중합체에서의 이온성 리튬 잔기의 제거에 관한 것이다.
폴리스티렌은 플라스틱 물품 및 물질의 제조에서 많은 용도를 갖는다. 음이온성 스티렌성 중합체를 위한 중요한 한 용도는 브롬화된 스티렌성 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원료 물질로서이다. 브롬화된 음이온성 폴리스티렌은 열 가소성 물질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에서의 사용을 위한 매우 유용한 난연제로 공지되어 있다. 유기리튬 화합물은 음이온성 스티렌성 중합체 (예컨대 음이온성 폴리스티렌)의 합성에서 개시제로서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음이온성 스티렌성 중합체를 효과적으로 브롬화시키기 위해서, 중합체로부터 이온성 리튬 촉매 잔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기본적이다. 폴리스티렌이 음이온성 중합을 통해 제조되고 리튬 이온이 존재하는 경우, 폴리스티렌 생성물에 남아 있는 리튬 이온은 폴리스티렌의 추가적인 가공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예컨대 가공 기기에서 고체 리튬염으로서 침전되고, 폐색을 일으키거나, 또는 폴리스티렌에 남아 있는 리튬 이온은 추가적인 반응, 예 를 들어 브롬화 (여기서, 리튬 이온이 브롬화 방법에서 사용되는 용매와 반응할 수 있음)에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거나, 또는 브롬화 촉매를 간섭할 수 있다.
스티렌성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스티렌성 단량체의 음이온성 중합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657,028 호. 지금까지 리튬 이온은, 소량의 물 (유기리튬 개시제 몰 당 약 1 내지 약 5 몰의 물)을 첨가한 후 다량의 물 (7 중량부의 스티렌성 중합체 용액 당 통상 약 1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약 50℃ 내지 약 7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낮은 Mw (약 1000~10000) 스티렌성 중합체로부터 제거되어왔다. 가열 후, 혼합물을 유착기 (coalescer)를 통해 보내어 유기상으로부터 수성상을 분리시키는데 도움이 되게 하고, 그에 의해 음이온성 폴리스티렌의 리튬 함량이 크게 감소된다. 수성상 (리튬 함유) 및 유기상 (스티렌성 중합체 함유)을 분리하기 위해, 낮은 Mw 음이온성 스티렌성 중합체를 위해 일반적으로 유착기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물 (수성상)이 통상 소액적으로서 유기상에 현탁되기 때문이다. 유착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음이온적으로 제조된 스티렌성 중합체로부터 리튬을 제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요약
놀랍게도,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스티렌성 중합체가 물과 혼합시 종종 에멀젼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음이온성 중합에 의해 제조된 스티렌성 중합체로부터 리튬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유기상으로부터 수성상을 분리시키는데 유착기가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에멀젼은, 유착기를 통해 지나가는 경우 분해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에멀젼화된 혼합물은 본 발명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착기의 사용 없이, 스티렌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유기상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함유하는 수성상을 분리시킬 수 있다. 스티렌성 중합체와 함께 존재하는 리튬 이온량의 큰 감소가 관찰된다. 특히, 실험실 규모에서, 리튬 이온의 수준은 100만 분의 18 (ppm) 만큼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티렌성 중합체에서의 리튬 이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실질적인 전체 혼합물을 액체상으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하나 이상의 압력에서 리튬 함유 혼합물을 약 90℃ 이상의 하나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리튬 함유 혼합물은 물, 리튬 이온, 하나 이상의 액체 포화 탄화수소, 및 음이온성 중합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티렌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물은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의 양이고, 스티렌성 중합체는 약 1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하나 이상의 스티렌성 단량체의 음이온성 중합 방법에서의 개선이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유기리튬 개시제가 생성물 용액에서의 스티렌성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여기서 음이온성 중합은 물로 종결된다. 스티렌성 중합체는 약 1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상기 개선은 음이온성 중합이 종결된 후 상기 생성물 용액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되는 생성물 용액의 실질적인 전체 부분을 액체상으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하나 이상의 압력에서 약 90℃ 이상의 하나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 및 특징은, 또한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
상세한 설명에 제공된 ppm 이라는 표현은 중량 기준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티렌성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티렌성 단량체는 임의의 음이온적으로 중합가능한 스티렌성 단량체일 수 있다. 적합한 비제한적인 예는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tert-부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등을 포함하며, 전술한 것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성 단량체는 본질적으로 스티렌으로 이루어진다. 단독 또는 스티렌과 공중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단량체의 존재 하 스티렌의 음이온성 중합은 당업계에 공지되며, 음이온성 중합 방법은 본원에 토의되지 않는다; 스티렌의 음이온성 중합을 위한 한 방법의 기재에 대해서는, 참고 문헌으로서 본원에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 6,657,028 호를 참고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거치는 스티렌성 중합체는 약 1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의 음이온성 스티렌성 중합체 (즉 음이온성 개시제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스티렌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3000 내지 약 30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의 음이온성 스티렌성 중합체는 약 3000 내지 약 15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약 3000 내지 약 12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음이온성 스티렌성 중합체이다. Mw는 광 산란 검출기를 사용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기술을 근거로 하며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의 상세한 기재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국제 특허 공보 WO 98/50439를 참고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음이온성 중합을 통해 제조되는 스티렌성 중합체의 리튬 이온 함량은 감소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스티렌성 중합체, 하나 이상의 액체 포화 탄화수소, 리튬 이온 및 물로부터 리튬 함유 혼합물이 형성된다. 액체 포화 탄화수소의 양은, 스티렌성 중합체 및 액체 포화 탄화수소의 배합된 중량에 대해 약 5 wt% 내지 약 70 wt%,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wt% 내지 약 60 wt%의 스티렌성 중합체이다.
액체 포화 탄화수소는 임의의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이러한 것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며, 이는 음이온성 중합 반응 조건 하에서 액체이다. 포화 탄화수소는 바람직하게는 분자 중 약 4 내지 약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지방족 탄화수소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적합한 지방족 탄화수소의 비제한적인 예는 펜탄, 이소펜탄, 헥산, 2-메틸펜탄, 옥탄, 2,2,4-트리메틸펜탄 등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포화 탄화수소는 하나 이상의 액체 포화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이다. 이러한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의 적합한 비제한적인 예는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1,3-디메틸시클로헥산, 1,4-디메틸시클로헥산 등이며, 액체 포화 탄화수소로서 시클로헥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리튬 함유 혼합물에서, 물의 양은 스티렌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0 wt% 내지 약 100 wt%이다. 보다 바람직한 물의 양은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5 wt% 내지 약 40 wt%의 범위이다. 다량의 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필요하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는데, 다량의 물은 일반적으로 스티렌성 중합체로부터 제거되는 리튬 이온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큰 부피의 폐기물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리튬 함유 혼합물을 교반하고 약 90℃ 이상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9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리튬 함유 혼합물을 약 100℃ 내지 약 22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것은 약 110℃ 내지 약 200℃ 범위의 온도이다. 이론에 속박되는 것을 바라지 않고, 비교적 높은 온도는 리튬 함유 혼합물에서 전형적으로 형성되는 에멀젼을 분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상기 사용되는 높은 온도의 장점은 리튬 함유 혼합물의 점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리튬 함유 혼합물이 가열되는데 필요한 시간이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짧다. 특히, 실험실 규모에서, 가열 시간은 약 1시간이다. 대안적으로, 약 9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기 전에, 리튬 함유 혼합물을 더 낮게 승온, 예를 들어 약 55℃ 내지 약 7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의 증가한 압력의 적용은, 실질적인 전체 혼합물을 액체상으로 유지하면서 리튬 함유 혼합물이 높은 온도로 가열되게 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증가한 압력"이라는 표현은 대기압 초과의 압력을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되는 "실질적인 전체 혼합물"이라는 표현은 완전한 액체인 것으로부터 약간 일탈할 수 있는 혼합물을 나타낸다; 이러한 작은 일탈은 소량의 수증기 형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리튬 함유 혼합물에 적용되는 압력은 평방 인치 당 약 20 내지 약 1000 파운드의 범위이다 (1.38 x 105 내지 6.90 x 106 Pa). 보다 바람직하게는, 압력은 평방 인치 당 약 20 내지 약 500 파운드 범위이다 (1.38 x 105 내지 3.45 x 106 Pa).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편리하고 바람직한 방식은 리튬 함유 혼합물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하는 것이다.
가열 후 리튬 함유 혼합물은 보통 냉각되어 통상적인 상 분리 방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수성상 및 유기상을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수산화리튬 또는 하나 이상의 리튬 염의 형태인 리튬 이온 중 큰 비율이 수성상에 있는 반면, 스티렌성 중합체는 유기상에 남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티렌성 단량체의 음이온성 중합을 위한 방법에 대한 개선이 있는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유기리튬 개시제가 생성물 용액에서 스티렌성 중합체 (스티렌성 중합체는 약 1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짐)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음이온성 중합은 물을 이용하여 종결된다. 개선에서, 리튬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처리되는 상기 생성물 용액은 음이온성 스티렌성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액체 포화 탄화수소를 우세하게 포함한다; 또한, 생성물 용액에 존재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유기리튬 개시제 및/또는 이의 부산물이다. 음이온성 중합이 종결된 후, 물 또한 생성물 용액에 존재한다. 다른 종류가 생성물 용액에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반응 스티렌성 단량체 및 하나 이상의 에테르 촉진제를 포함한다. 생성물 용액 중 액체 포화 탄화수소의 양은 다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생성물 용액은 약 5 wt% 내지 약 70 wt%,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wt% 내지 약 60 wt%의 스티렌성 중합체를 함유하도록 한다; 액체 포화 탄화수소는 리튬 함유 혼합물에 대해 상기 기재한 바와 같다.
이러한 물-종결 구현예를 사용하는 경우, 음이온성 중합을 종결시키는데 사용하는 물의 양이 유기리튬 개시제의 몰 당 약 1 내지 약 10몰의 물,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래 충전된 유기리튬 개시제의 몰 당 약 1.25 내지 약 5몰의 물인 것이 권장되며 바람직하다. 생성물 용액과 물을 함께 혼합하여 음이온성 중합 반응을 종결시킨다 (통상 수화된 수산화리튬을 형성함).
음이온성 중합 종결 후 및 본 발명의 리튬 감소 방법 단계 이전에 포함되도록 권장되며 바람직한 또 다른 단계는, 물 및 적어도 일부의 생성물 용액의 또 다른 혼합이다. 첫 번째로 혼합된 물의 양이 분리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두 번째 물 혼합 단계가 불필요한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두 개의 별도의 분리 단계로 물을 혼합하면 에멀젼이 형성되는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이러한 두 번째 물 혼합 단계에서, 물의 양은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단계에 사용되는 물은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0 wt% 내지 약 100 wt%이다. 보다 바람직한 물의 양은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5 wt% 내지 약 40 wt% 범위이다. 상기 언급한 것과 같이, 다량의 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필요하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는데, 다량의 물은 일반적으로 스티렌성 중합체로부터 제거되는 리튬 이온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큰 부피의 폐기물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생성물 용액에 존재하는 유기리튬 개시제는 많은 리튬 함유 탄화수소 중 하나일 수 있다. 적합한 비제한적인 예는 메틸리튬, 에틸리튬, n-부틸리튬, sec-부틸리튬, 이소프로필리튬, 시클로헥실리튬 또는 페닐리튬을 포함하며, 전술한 것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음이온성 중합이 종결된 후, 생성물 용액의 적어도 일부는 리튬 함유 혼합물에 대해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가열되는 생성물 용액의 실질적인 전체 부분을 액체상으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하나 이상의 압력에서 약 90℃ 이상의 하나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다. 바람직한 온도는 리튬 함유 혼합물에 대해 상기 기재한 바와 같다. 바람직한 압력을 포함하는 증가한 압력 또한, 리튬 함유 혼합물에 대해 상기 기재한 바와 같다. 생성물 용액의 가열에 대한 고려 사항은 리튬 함유 혼합물에 대해 상기 기재한 바와 같으며, 낮은 승온으로의 임의 가열을 포함한다. 가열 후 후-종결 혼합물은, 보통 냉각되어 통상적인 상 분리 방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수성상 및 유기상을 형성한다.
설명의 목적으로 하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나, 본 발명의 범주 상에 제한을 주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하기 실시예에서, 유기상에 존재하는 리튬량을 측정 (스티렌성 중합체로) 하기 전에 상들을 분리시키고, 방사 검출기를 갖는 ICP에 의해 존재하는 리튬 이온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스티렌 (0.7 mol)을 30~53℃에서 시클로헥산 (70 g) 중 1-BuLi (0.0162 mol) 및 THF (0.0486 mol)의 용액에 공급함으로써, 스티렌의 음이온성 중합을 수행하여, 폴리스티렌을 형성시켰다. 물 (리빙 중합체 또는 Li
Figure 112009005632784-PCT00001
의 몰 당 3 mol)을 4분 내에 공급시켜 리빙 중합을 불활성화시켰다. 그 후 물을 더 (21 g)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57~64℃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5분 동안 정치시킨 후, 수성상 및 유기상이 분리되게 하였다; 유기상 (폴리스티렌 및 현탁된 물을 함유함)이 88 ppm Li
Figure 112009005632784-PCT00002
을 함유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후 혼합물 (유기상 및 수성상으로 이루어짐)을 오토클레이브에서 110℃에서 가열 및 교반하였다. 30분 후, 유기상은 34 ppm의 Li
Figure 112009005632784-PCT00003
을 함유하였다. 오토클레이브에서 130℃에서 추가적인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상은 18 ppm의 Li
Figure 112009005632784-PCT00004
을 함유하였다.
유기리튬 개시제 (이 실시예에서는 1-BuLi)의 각각의 몰은 적어도 이론상으로는 리빙 중합체의 1몰을 만든다. 따라서 유기리튬 개시제의 몰 당 보다는, 예를 들어 리빙 중합체의 몰 당 약 3몰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유기리튬 개시제의 양은 리빙 중합체의 양보다는 통상 보다 쉽게 측정되며, 따라서 종결을 위한 물의 양은 종종 유기리튬 개시제의 양에 대해 나타낸다.
실시예 2
104 ppm Li
Figure 112009005632784-PCT00005
을 함유하는 폴리스티렌의 우윳빛 시클로헥산 용액 (40 wt%; Mw 10,000;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방법에서 음이온성 중합에 의해 형성됨) 및 이의 본래의 물 세척액 (음이온성 폴리스티렌 용액에 대해 15 wt%; 1,170 ppm Li
Figure 112009005632784-PCT00006
)을 배합하였고, 오토클레이브에 채웠다. 이러한 액체 혼합물을 가압 하 130℃에서 가열 및 교반하였다. 1시간 후, 유기상은 37 ppm Li
Figure 112009005632784-PCT00007
을 함유하였다. 오토클레이브에서 150℃에서 추가적인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유기상은 24 ppm의 Li
Figure 112009005632784-PCT00008
을 함유하였다.
단수형 또는 복수형으로 지칭되는, 본 문헌 중 임의의 곳에서 화학명 또는 화학식으로 지칭되는 반응물 및 성분은, 이들이 화학명 또는 화학 유형 (예를 들어 또 다른 반응물, 용매 등)으로 지칭되는 또 다른 물질과 접촉되기 전에 존재하는 것과 동일시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비적인 화학 변화, 전환 및/또는 반응이 (존재하는 경우) 생성 혼합물 또는 용액 또는 반응 매질에서 발생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데, 이러한 변화, 전환 및/또는 반응은 본원에 따라 요청되는 조건 하에서 특정 반응물 및/또는 성분을 함께 접촉시킴으로써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결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반응물 및 성분은 목적된 화학적 작업 또는 반응의 수행, 또는 목적된 작업 또는 반응의 수행에 사용될 혼합물의 형성과 관련하여 함 께 접촉되는 성분으로서 동일시된다. 또한, 구현예가 물질, 성분 및/또는 구성 요소를 현재형 (예를 들어 "~로 이루어진다", "포함한다", "이다" 등)으로 칭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는 본원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다른 물질, 성분 및/또는 구성 요소와 최초로 접촉, 블렌딩 또는 혼합되기 직전에 존재하는 물질, 성분 또는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이 물질을 현재형 (예를 들어 "포함한다", "이다" 등)으로 칭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는 본원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다른 물질과 최초로 접촉, 블렌딩 또는 혼합되기 직전에 존재하는 물질을 지칭하는 것이다.
명시적으로 별도 표기가 없는 한, 본원에 사용된 단수의 표현은 그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단수가 언급하는 단일 요소에 대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이 한정적으로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본원에 사용된 단수의 표현은, 본 문헌이 명시적으로 별도 표기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그러한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의 임의의 부분에 인용되는 각각의 그리고 모든 특허 또는 다른 공보 또는 공보 문헌은, 본원에 전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같이, 그 전체가 참고 문헌으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취지 및 범주 내에서 상당한 변형이 허용된다.

Claims (21)

  1. 리튬 함유 혼합물을 실질적인 전체 혼합물이 액체상으로 유지되기에 충분한 하나 이상의 압력에서 약 90℃ 이상의 하나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리튬 함유 혼합물이 물, 리튬 이온, 하나 이상의 액체 포화 탄화수소, 및 음이온성 중합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티렌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물이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의 양이고,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1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이 약 9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로 실행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이 평방 인치 당 약 20 파운드 내지 평방 인치 당 약 1000 파운드 범위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물의 양이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0 wt% 내지 약 100 wt%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3000 내지 약 30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3000 내지 약 15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액체 포화 탄화수소의 양이 스티렌성 중합체 및 액체 포화 탄화수소의 배합된 중량에 대해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20 wt% 내지 약 60 wt%가 되도록 하는 양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3000 내지 약 30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물의 양이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5 wt% 내지 약 40 wt%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3000 내지 약 30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물의 양이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5 wt% 내지 약 40 wt%이며, 상기 가열이 약 100℃ 내지 약 220℃ 범위의 온도로 실행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3000 내지 약 30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물의 양이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5 wt% 내지 약 40 wt%이며, 상기 가열이 약 100℃ 내지 약 220℃ 범위의 온도로 실행되 고, 상기 압력이 평방 인치 당 약 20 파운드 내지 평방 인치 당 약 500 파운드 범위인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3000 내지 약 15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물의 양이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5 wt% 내지 약 40 wt%이며, 상기 가열이 약 100℃ 내지 약 220℃ 범위의 온도로 실행되는 방법.
  12. 하나 이상의 유기리튬 개시제가 생성물 용액에서 스티렌성 중합체 (여기서 스티렌성 중합체는 약 1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짐)를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음이온성 중합이 물로 종결되는, 하나 이상의 스티렌성 단량체의 음이온성 중합 방법에서의 개선으로서, 음이온성 중합이 종결된 후 상기 생성물 용액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되는 생성물 용액의 실질적인 전체 부분을 액체상으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하나 이상의 압력에서 약 90℃ 이상의 하나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이 약 90℃ 내지 약 250℃ 범위의 온도로 실행되는 개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이 평방 인치 당 약 20 파운드 내지 평방 인치 당 약 1000 파운드의 범위인 개선.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3000 내지 약 30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개선.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3000 내지 약 15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개선.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생성물 용액이 약 20 wt% 내지 약 60 wt%의 스티렌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개선.
  18. 제 12 항에 있어서, 종결된 혼합물과 함께 혼합된 물의 양이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0 wt% 내지 약 100 wt%인 개선.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3000 내지 약 30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종결된 혼합물과 함께 혼합된 물의 양이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5 wt% 내지 약 40 wt%인 개선.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3000 내지 약 15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종결된 혼합물과 함께 혼합된 물의 양이 스티렌성 중 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5 wt% 내지 약 40 wt%이며, 상기 가열이 약 100℃ 내지 약 220℃ 범위의 온도로 실행되는 개선.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성 중합체가 약 3000 내지 약 15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종결된 혼합물과 함께 혼합된 물이 양이 스티렌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약 25 wt% 내지 약 40 wt%이며, 상기 가열이 약 100℃ 내지 약 220℃ 범위의 온도로 실행되고 상기 압력이 평방 인치 당 약 20 파운드 내지 평방 인치 당 약 500 파운드 범위인 개선.
KR1020097001842A 2006-08-01 2007-07-25 스티렌성 중합체에서의 리튬 감소 KR20090034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462906P 2006-08-01 2006-08-01
US60/834,629 2006-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929A true KR20090034929A (ko) 2009-04-08

Family

ID=3829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842A KR20090034929A (ko) 2006-08-01 2007-07-25 스티렌성 중합체에서의 리튬 감소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00016530A1 (ko)
EP (1) EP2046844B1 (ko)
JP (1) JP2009545654A (ko)
KR (1) KR20090034929A (ko)
CN (1) CN101495521B (ko)
AT (1) ATE491731T1 (ko)
BR (1) BRPI0714918A2 (ko)
CA (1) CA2659058A1 (ko)
DE (1) DE602007011276D1 (ko)
ES (1) ES2357264T3 (ko)
IL (1) IL196791A0 (ko)
MX (1) MX2009001038A (ko)
PL (1) PL2046844T3 (ko)
TW (1) TW200813097A (ko)
WO (1) WO2008016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3775B (zh) * 2017-08-31 2022-10-25 英力士苯领集团股份公司 低雾度和颜色稳定的苯乙烯聚合物的制备方法
US11059931B2 (en) 2017-08-31 2021-07-13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tyrenic polymers having an improved color st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6546A (en) * 1942-05-14 1945-01-02 Westvaco Chlorine Products Cor Method of decolorizing aqueous solution of alkali metal hydroxides
US2979509A (en) * 1957-05-06 1961-04-11 Phillips Petroleum Co Treatment of polymers produced by alkali metal catalyzed polymerization
US3621077A (en) * 1968-11-01 1971-11-16 Goodrich Co B F Solvent resistant thermoplastic polymers
DE2332796A1 (de) * 1973-06-28 1975-01-16 Huels Chemische Werk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rieselfaehiger, pulverfoermiger kautschuk-fuellstoffmischungen
US4033829A (en) * 1974-12-26 1977-07-05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inhibiting polymerization of styrene during distillation
US4587330A (en) * 1985-02-22 1986-05-06 Atlantic Richfield Company Purification of polymer solutions
BE1000914A4 (fr) * 1987-09-21 1989-05-16 Labofina Sa Procede de decoloration de polymeres resineux du type vinylaromatique-diene conjugue.
US4992529A (en) * 1987-10-29 1991-02-12 Shell Oil Company Method for separating metal contaminants from organic polymers
JP3063908B2 (ja) * 1989-03-13 2000-07-12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アニオン重合によるポリマーの製造方法
US5358981A (en) * 1992-12-07 1994-10-25 Shell Oil Company Solvent-free water-based emulsions of anionically polymerized polymers
ES2132467T3 (es) * 1994-07-18 1999-08-16 Bridgestone Corp Elastomeros y productos que tienen histeresis reducida y procedimiento para su preparacion.
TW370534B (en) * 1995-01-24 1999-09-21 Shell Internattonale Res Mij B V Process for manufacturing isoprene containing block copolymers
US6232408B1 (en) * 1996-09-26 2001-05-15 Albemarle Corporation Brominated polstyrenic resins
US6136914A (en) * 1998-03-13 2000-10-24 Bridgestone Corporation An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s for preparing macro-branched diene rubbers
US6448353B1 (en) * 2000-02-08 2002-09-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ntrolled architecture materials
US6759498B2 (en) * 2000-05-08 2004-07-06 Asahi Kadei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ing styrene resin reduced in content of low-molecular ingredient
DE10053324A1 (de) * 2000-10-27 2002-05-08 Basf Ag Verfahren zum Kettenabbruch bei der anionischen Polymerisation
US6657028B1 (en) * 2002-08-01 2003-12-02 Albemarle Corporation Anionic polymeriza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9001038A (es) 2009-02-06
IL196791A0 (en) 2009-11-18
TW200813097A (en) 2008-03-16
CA2659058A1 (en) 2008-02-07
EP2046844A1 (en) 2009-04-15
CN101495521B (zh) 2011-04-27
PL2046844T3 (pl) 2011-05-31
ATE491731T1 (de) 2011-01-15
EP2046844B1 (en) 2010-12-15
ES2357264T3 (es) 2011-04-20
JP2009545654A (ja) 2009-12-24
DE602007011276D1 (de) 2011-01-27
CN101495521A (zh) 2009-07-29
US20100016530A1 (en) 2010-01-21
BRPI0714918A2 (pt) 2013-05-28
WO2008016810A1 (en)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3338B2 (ja) 付加物、または付加物とオリゴマー、または付加物とオリゴマーと低分子量ポリマー、ならびにそれらの調製
CN103172870A (zh) 多面体低聚倍半硅氧烷改性的含双键弹性体及其制备方法
JP4264416B2 (ja) アニオン重合方法
SG171741A1 (en) Toluene and styrene derived telomer distributions and brominated flame retardants produced therefrom
WO2000015678A1 (en) Highly pure polystyren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disposable food container using the same
KR20010039638A (ko) 연속적인 폴리부타디엔 원료를 사용하여 내충격성폴리스티렌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90034929A (ko) 스티렌성 중합체에서의 리튬 감소
RU2644357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еновых полимеров или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виниларен-диеновых сополимеров
US9593192B2 (en) Method for producing modified polymer and hydrogenated product thereof
CN106661161A (zh) 用于制备二烯聚合物或无规乙烯基芳烃‑二烯共聚物的工艺
EP2207812B1 (en) Partial solvent stripping process for recovering brominated butadiene polymers from solution
JP2011506648A (ja) 順次アニオン/ラジカル重合することにより耐衝撃性ビニル芳香族(コ)ポリマーを製造するための半連続統合プロセス
US20150158960A1 (en) Process for continuous sytnthesis of a diene elastomer
JP5710258B2 (ja) アニオン重合においてそれらを用いるための溶媒およびモノマーの乾燥および精製におけるアルカリ金属−シリカゲル(m−sg)材料の使用
US20110009657A1 (en) Method for the Synthesis of a Rare-Earth Organophosphate and Use Thereof for Preparing a Preformed Catalytic System
EP0135962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ranched polymers
US2543440A (en) Process for treating polymers produced by alkali metal catalyzed polymerizations
RU273277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го диенсодержащего (cо)полимера
TW201004986A (en) Low chloride polybutadiene
KR100834962B1 (ko) 커플링된 비닐방향족-공역디엔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JP6883091B2 (ja) エラストマー配合物の製造から得られる溶媒の精製方法
JP2001323013A (ja) イソブチレ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方法
Bukanova et al. On the epoxidation of 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s
WO2016146442A1 (en) Solu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tyrene-diene copolymers.
JP2000063429A (ja) 水溶性スルホン化ポリマーの一貫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