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526A -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526A
KR20090034526A KR1020070099792A KR20070099792A KR20090034526A KR 20090034526 A KR20090034526 A KR 20090034526A KR 1020070099792 A KR1020070099792 A KR 1020070099792A KR 20070099792 A KR20070099792 A KR 20070099792A KR 20090034526 A KR20090034526 A KR 20090034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low body
inlet pipe
decan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502B1 (ko
Inventor
김범수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앤텍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앤텍, 이경호 filed Critical (주)에이치앤텍
Priority to KR102007009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5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오폐수를 처리하는 동안에는 스컴의 유입을 차단하고, 처리후 수위를 따라 이동하며 상징수를 배출하도록 한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부력체의 도움을 받아 수위를 따라 이동하며 상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입관체에 중공체를 설치하고, 그 중공체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공기공급수단을 연결 설치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동안에는 스컴이 유입되지 않도록 중공체에 공기를 공급하여 유입관체가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처리후 침전물이 침전되면 중공체에 공급된 공기를 회수함으로써 유입관체가 상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오폐수처리시설, 스컴, 상징수, 디켄터, 부력체, 중공체, 콤프레샤

Description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Apparatus For Moving Decanter For Discharging Waste Water Treating Water}
본 발명은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로서 오폐수를 처리하는 동안에는 스컴의 유입을 차단하고, 처리후 수위를 따라 이동하며 상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처리시설은 오폐수를 유입시켜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반응을 시킨 후 발생되는 침전물(오니)을 침전시키고 그 위로 고이는 처리수(상징수)를 뽑아 배출함으로써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고 있다. 일예로, 반응조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산기관 등을 작동시켜(폭기) 질산화와 탈질 처리를 하여 오니를 침전시킨 다음 그 위로 고이는 상징수를 디켄터를 사용하여 배출함으로써 정화 처리하고 있다. 이때 디켄터를 오폐수를 처리하는 동안 발생되는 스컴(scum) 즉, 부유성 고형물이 빠져 나가지 않도록 위치시킴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9-0084731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64110호에서는 각각 공기튜브와 다이아프램식의 격막을 설치하여 오폐수를 처리 하는 동안에는 공기튜브와 격막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디켄터가 수면 위로 떠 있게 하고, 또한 처리후 침전물이 침전되면 공기튜브와 격막에 공급된 공기를 회수함으로써 디켄터가 상징수의 수면 아래에 떠 있게 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동안에는 스컴(scum)이 디켄터를 통해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선행기술은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가 번거롭고, 또한 이 때문에 고가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오폐수를 처리하는 동안에는 스컴의 유입을 차단하고, 처리후 수위를 따라 이동하며 상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시설의 반응조의 내부에 위치하여 침전물이 침전된 후 그 위에 고인 상징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체와, 그 유입관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체가 유입하는 상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요성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상징수 배출수단; 상기 유입관체에 설치되어 상징수의 수위를 따라 상기 유입관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의 아래에서 상기 유입관체에 설치되는 내부가 빈 구조의 중공체와, 상기 중공체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가 오폐수를 처리하는 동안에는 상기 중공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유입관체의 유입구가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처리후 침전물이 침전되면 상기 중공체에 공급된 공기를 회수하여 상기 유입관체의 유입구가 상징수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상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공기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이동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체는 상기 유입관체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그 부력체의 하부에 상기 중공체가 일체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중공체는 상기 유입관체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중공체의 위에서 상기 유입관체의 유입구와는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입관체는 상기 반응조의 바닥으로부터 입설되는 가이드 라인을 따라 상하로 안정되게 이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상기 중공체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공급 및 회수라인에 각각 설치되는 밸브들을 통해서 공기 공급량 및 회수량을 조절하고, 상기 공기 회수라인의 중간에는 상기 밸브 앞에 보조탱크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디켄터의 제작이 용이해질 것이고, 이 때문에 저렴한 제품이 제공될 것이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가 오폐수처리시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상징수 배출용 디켄 터 이동장치는 오폐수처리시설의 반응조(3)의 내부에 위치하여 침전물이 침전된 후 그 위에 고인 상징수를 외부로, 도면에서는 처리수조(5)로 배출하기 위한 상징수 배출수단(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징수 배출수단(10)은 양단이 개구된 유입관체(11)와 그 유입관체(11)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요성 배출관(13)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관체(11)로 유입되는 상징수를 상기 가요성 배출관(13)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입관체(11)는 부력체(20)의 도움을 받아 상징수의 수면 아래에 떠 있는 상태에서 상징수를 유입한다.
상기 부력체(20)는 내부에 완전히 밀페된 공간을 형성한 구조로서, 상기 유입관체(11)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체(11)가 상징수의 수면 아래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한다. 상기 부력체(20)는 상기 유입관체(1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일체화 되게 설치되어 오폐수 처리시 상기 유입관체(11)와의 틈사이를 통해서 오폐수가 상기 유입관체(11)로 넘어오는 일을 없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유입관체(11)는 이동조절수단(30)에 의해서 오폐수 처리시 수면 위에 떠 있게 되어 오폐수를 처리하는 동안 발생되는 스컴을 유입시키지 않는다. 즉 상기 이동조절수단(30)은 내부가 빈 구조의 중공체(31)와 그 중공체(31)와 연결되는 공기공급수단(33)으로 이루어져, 상기 반응조(3)가 오폐수를 처리하는 동안에는 상기 공기공급수단(133)이 상기 중공체(31)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유입관체(11)의 유입구(11a)가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또한 처리후 침전물이 침전되면 상기 공기공급수단(133)이 상기 중공체(31)에 공급된 공기를 회수함으로써 상기 유입관체(11)의 유입구(11a)가 상징수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중공체(31)는 상기 부력체(20)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유입관체(11)에 설치되는데, 이와 달리 상기 부력체(20)의 내부를 상하 2개로 구획 분할하여 그 하부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수단(33)은 예컨대, 콤프레샤로서 상기 반응조(3)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체(31)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회수한다. 이러한 상기 공기공급수단(33)은 상기 중공체(31)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공급 및 회수라인(34,35)을 통해서 상기 중공체(31)에 공기를 공급 및 회수하며, 상기 라인(34,35)의 중간에 밸브들(36,37)을 설치하여 공기 공급량 및 회수량을 조절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회수라인(35)의 중간에는 상기 밸브(37) 앞에 보조탱크(38)를 설치하여 회수되는 공기가 상기 보조탱크(38)에서 일시 저장된 후에 빠져 나가도록 함으로서 상기 유입관체(11)의 급격한 침수를 방지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가 오폐수처리시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이동조절수단(130)의 중공체(131)가 상징수 배출수단(110)의 유입관체(111)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상징수 배출시 상기 유입관체(111)에 부력를 제공하는 부력체(120)는 상기 중공체(131)의 좌우측으로부터 입설되는 지지 프레임(141)의 지지를 받아 상기 중공체(131)의 위에서 상기 유입관 체(111)의 유입구(111a)와는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 것이다.
또한 오폐수처리시설의 반응조(103)의 바닥으로부터 1쌍의 가이드 라인(151,152)를 수직하게 입설하고, 그 가이드 라인(151,152)을 타고 다니는 돌기(143)를 상기 지지 프레임(141)의 좌우측에 설치하여, 상기 유입관체(111)가 수위를 따라 상하로 안정되게 이동하면서 상징수를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면부호 113은 상기 유입관체(111)가 유입하는 상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요성 배출관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133은 상기 중공체(131)에 공기를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공기공급수단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134와 135는 상기 공기공급수단(133)과 중공체(131)와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공기공급 및 회수라인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136과 137은 상기 공기공급수단(133)의 공기 공급량 및 회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들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138은 보조탱크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서 오폐수를 처리하는 동안에는 스컴의 유입을 차단하고, 처리후 수위를 따라 이동하며 상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작이 쉽고, 이로써 제조, 판매 등의 가격을 저렴하게 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가 오폐수처리시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가 오폐수처리시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3:반응조 10,110:상징수 배출수단
11,111:유입관체 11a,111a:유입구
13,113:가요성 배출관 20,120:부력체
30,130:이동조절수단 31,131:중공체
33,133:공기공급수단 34,134:공기 공급라인
35,135:공기 회수라인 36,37,136,137:밸브
38,138:보조탱크 141:지지 프레임
143:돌기 151,152:가이드 라인

Claims (5)

  1. 오폐수처리시설의 반응조의 내부에 위치하여 침전물이 침전된 후 그 위에 고인 상징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체와, 그 유입관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체가 유입하는 상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요성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상징수 배출수단;
    상기 유입관체에 설치되어 상징수의 수위를 따라 상기 유입관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의 아래에서 상기 유입관체에 설치되는 내부가 빈 구조의 중공체와, 상기 중공체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가 오폐수를 처리하는 동안에는 상기 중공체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유입관체의 유입구가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처리후 침전물이 침전되면 상기 중공체에 공급된 공기를 회수하여 상기 유입관체의 유입구가 상징수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상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공기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이동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유입관체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그 부력체의 하부에 상기 중공체가 일체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는 상기 유입관체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중공체의 위에서 상기 유입관체의 유입구와는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체는 상기 반응조의 바닥으로부터 입설되는 가이드 라인을 따라 상하로 안정되게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상기 중공체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공급 및 회수라인에 각각 설치되는 밸브들을 통해서 공기 공급량 및 회수량을 조절하고, 상기 공기 회수라인의 중간에는 상기 밸브 앞에 보조탱크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KR1020070099792A 2007-10-04 2007-10-04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KR10092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792A KR100925502B1 (ko) 2007-10-04 2007-10-04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792A KR100925502B1 (ko) 2007-10-04 2007-10-04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526A true KR20090034526A (ko) 2009-04-08
KR100925502B1 KR100925502B1 (ko) 2009-11-05

Family

ID=4076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792A KR100925502B1 (ko) 2007-10-04 2007-10-04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5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6743A1 (en) * 2013-05-17 2014-11-20 Sw Feesaver, Llc Water skimming device and method
KR101507689B1 (ko) * 2014-10-21 2015-03-31 (주)이앤이솔루션 중력수를 이용한 사이펀식 상등수 배출 장치
US11692367B2 (en) 2020-02-23 2023-07-04 James McCutchen Skimmer with flexible peripheral membrane, and related skimmer kit with multiple flexible peripheral membranes
KR102583600B1 (ko) * 2023-04-25 2023-09-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 및 미세먼지 저감형 인공습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650B1 (ko) 2011-07-01 2013-05-15 (주)한라산업개발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KR101280308B1 (ko) 2013-04-19 2013-07-01 주식회사 삼우이엔지 Scum 유입 방지 장치를 구비한 무동력 상등수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9906A (ja) * 1989-09-26 1991-05-09 Kubota Corp 上澄水排出装置
JP3200810B2 (ja) 1997-04-18 2001-08-20 水道機工株式会社 フロート式上澄水集水装置
KR100364110B1 (ko) 2000-08-01 2002-12-12 (주)엠에스테크 상징수 배출장치
KR100811846B1 (ko) 2007-09-10 2008-03-10 주식회사 부강테크 공기실린더에 의해 제어되는 부상식 상징수 배출장치, 및이를 채용한 폐수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6743A1 (en) * 2013-05-17 2014-11-20 Sw Feesaver, Llc Water skimming device and method
US10335715B2 (en) 2013-05-17 2019-07-02 Sw Feesaver, Llc Water skimming device and method
US11014024B2 (en) 2013-05-17 2021-05-25 Sw Feesaver, Llc Water skimming device and method
KR101507689B1 (ko) * 2014-10-21 2015-03-31 (주)이앤이솔루션 중력수를 이용한 사이펀식 상등수 배출 장치
US11692367B2 (en) 2020-02-23 2023-07-04 James McCutchen Skimmer with flexible peripheral membrane, and related skimmer kit with multiple flexible peripheral membranes
KR102583600B1 (ko) * 2023-04-25 2023-09-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 및 미세먼지 저감형 인공습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502B1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2323B2 (ja) ガリウム砒素含有排水の処理方法およびガリウム砒素含有排水の処理装置
KR100925502B1 (ko)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US20140097136A1 (en) Composite microorganism reac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CN105731724B (zh) 一种海上平台高盐生活污水处理回用方法
US5492620A (e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waste stream
KR101239249B1 (ko) 에너지 절감형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JP2010527787A (ja) ヒドロサイクロン方式の浮上分離装置及びそれを含む水質汚染防止システム
JP4702749B2 (ja) 水処理装置
JP2001054792A (ja)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装置
KR101779591B1 (ko)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KR100473885B1 (ko) 자연부상식 상등수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KR101779725B1 (ko) 유입분배장치 및 처리수 배출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20100104297A (ko) 음식물 폐수 처리 시스템
KR100414688B1 (ko) 침전 및 생물막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000076B1 (ko) 상등수 배출장치
KR100457657B1 (ko) 슬러지 농축저류 장치
KR20030076549A (ko) 스트루바이트 침전을 이용한 영양염류 처리장치
US8753511B2 (en) Integrated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and clarification
JP2017023943A (ja) 排水の嫌気発酵処理方法、嫌気発酵処理用の微生物担体、及び嫌気発酵処理装置
KR100707490B1 (ko) 상징수 배출장치
CN104860469A (zh) 炼油污水一体化组合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2614473B1 (ko) Mbr이 구비된 혼합형 하수처리 시스템
JP2007260515A (ja) 汚泥分離装置及び汚泥分離方法
KR101617804B1 (ko) 소형 유류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류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