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650B1 -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650B1
KR101262650B1 KR1020110065543A KR20110065543A KR101262650B1 KR 101262650 B1 KR101262650 B1 KR 101262650B1 KR 1020110065543 A KR1020110065543 A KR 1020110065543A KR 20110065543 A KR20110065543 A KR 20110065543A KR 101262650 B1 KR101262650 B1 KR 10126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natant
diffuser
air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903A (ko
Inventor
임세택
Original Assignee
(주)한라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라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한라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110065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6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C02F3/16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the aerator having a vertical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폭기조 내부로 에어 공급(폭기)과 상등수 유출을 하나의 산기장치로써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단순화 및 폭기조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침전조 내부에 화산 분출물인 스코리아의 다공질 담체 월류장치를 부착하여 폭기조에서 처리되어 넘어오는 상등수의 냄새제거 및 항균작용을 친환경적으로 수행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diffuser and scoria filter overflower}
본 발명은 오ㆍ폐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의 산기장치로써 폭기조 내부로 에어 공급(폭기)과 상등수 유출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비용 절감 및 폭기조의 공간활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침전조 내부에 화산 분출물인 스코리아(Scoria: 송이) 다공질 담체 월류장치를 장착하여 폭기조에서 넘어온 처리수의 냄새제거 및 항균작용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 발생되는 하수, 오수, 축산분뇨 등과 같은 오폐수는 함유된 모래나 협잡물 등과 같은 잔존물을 별도 분리한 후 오ㆍ폐수처리 시스템을 통하여 정화시켜 방류하게 된다.
이러한 오ㆍ폐수처리 시스템은 특허등록번호 10-0724778호(발명의 명칭: 오폐수처리장치)에 제시된 내용을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의 발원으로부터 적정량 이상의 오폐수가 시간대별로 유량을 달리하여 유입될 때 이를 저장하며 일정한 양을 폭기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집수조(100)와; 상기 집수조(10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포함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시켜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고, 미생물이 분리되어 처리된 상등수를 침전조로 유출시키기 위한 폭기조(200)와; 상기 폭기조(200)를 통해 처리된 유입된 상등수를 침전시켜 방류수조(400)로 보내게 되는 침전조(300)와; 상기 침전조(300)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방류유량계(410)를 통해 일정수량 방류하는 방류수조(400)로 이루어진다.
이때, 폭기조(200)는 집수조(10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포함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시키는 에어공급수단(220)과 상등수를 침전조(300)로 유출하기 위한 상등수유출수단(26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에어공급수단(220)은 폭기조(200)의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에어를 폭기조(2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산기관(230)과; 산기관(230) 상부에 연결되는 에어공급관(240)과; 에어공급관(240)에 장착되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펌프(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등수유출수단(260)은 에어공급수단(220)에 의해 발생되는 상등수를 침전조(300)로 공급하기 위하여 폭기조(200) 상부 영역에 구비된 상등수유출라인(270)과; 상등수유출라인(270)에 장착되어 상등수를 침전조(300)로 유출시키기 위한 펌프(28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오ㆍ폐수처리 시스템은 집수조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포함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에어공급수단과, 폭기조 내부의 깨끗한 상등수를 침전조로 유출시키기 위한 상등수유출수단이 각각 폭기조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폭기조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여 설비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처리된 처리수에서 여전히 냄새 및 다량의 대장균 등이 검출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폭기조 내부로 에어 공급(폭기)과 상등수 유출을 하나의 산기장치로써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단순화 및 폭기조의 공간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오ㆍ폐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조 내부에 화산 분출물인 스코리아의 다공질 형태의 담체 월류장치를 구비하여 오ㆍ폐수처리 시스템에 적용함은 물론 폭기조에서 적정한 기준치 이하로 처리되어 넘어오는 처리수의 냄새제거 및 항균작용을 화학약품 없이 친환경적으로 수행하여 적정하게 처리된 물을 조경용수 또는 청소용수 등으로 재이용할 수 있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과제해결수단은 오폐수가 유입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포함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하여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고, 미생물이 분리된 상등수를 침전조로 유출시키기 위한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를 통해 처리되어 유입된 상등수를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방류 처리하기 위한 방류수조로 이루어진 오ㆍ폐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에는 오폐수에 포함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기 위한 에어 공급과 상등수를 유출하기 위한 산기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산기장치는 상기 폭기조의 내부 바닥면에 하부가 고정되어 에어가 내부로 공급되는 하부산기관과; 상기 하부산기관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중앙 연결관과; 상기 중앙 연결관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폭기조 상부의 상등수가 유입되어 유출되는 상등수유출관으로 이루어진 산기관; 상기 산기관의 상등수유출관 상부에 연결되어 상등수를 침전조로 유출하기 위한 상등수유출수단; 및 상기 상등수유출수단에 연결되어 산기관을 통해 폭기조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여 오폐수를 폭기하기 위한 에어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폭기조 내부로 에어 공급(폭기)과 상등수 유출을 하나의 산기장치로써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단순화 및 폭기조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침전조 내부에 화산 분출물인 스코리아의 다공질 담체 월류장치를 장착하여 폭기조에서 처리되어 넘어오는 상등수의 냄새제거 및 항균작용을 친환경적으로 수행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오ㆍ폐수처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B"와 "A"부분에 대한 확대 구성도.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의 동작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3의 "B"와 "A"부분에 대한 확대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ㆍ폐수처리 시스템은 오폐수의 발생원으로부터 적정량 이상의 오폐수가 시간대 별로 유량을 달리하여 유입될 때 이를 저장하며 일정한 수량으로 폭기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집수조(10)와; 상기 집수조(1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포함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하여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고, 미생물이 분리되어 처리된 상등수를 침전조로 유출시키기 위한 폭기조(20)와; 상기 폭기조(20)를 통해 처리되어 유입된 상등수를 침전시켜 방류수조(90)로 보내게 되는 침전조(70)와; 상기 침전조(70)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방류유량계(92)를 통해 일정수량 방류하는 방류수조(9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폭기조(2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조(1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포함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기 위한 에어 공급과 상등수를 다음 공정으로 유출하기 위한 산기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산기장치(30)는 폭기조(20)의 바닥에 수직으로 고정된 산기관(40)과; 산기관(40) 상부에 연결되어 상등수를 침전조(70)로 유출하기 위한 상등수유출수단(50)과; 상등수 유출수단(50)에 연결되어 산기관(40)을 통해 폭기조(20)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여 오폐수를 폭기하기 위한 에어공급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산기관(40)은 폭기조(20)의 내부 바닥면에 하부가 고정되어 에어가 폭기조(20) 내부로 공급되는 하부산기관(41)과; 하부산기관(41)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중앙연결관(45)과; 중앙 연결관(45)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폭기조(20) 상부 영역에 발생 되는 상등수가 유입되어 유출되는 상등수유출관(4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산기관(41)은 폭기조(20)의 바닥면에 하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에어분출공(42a)이 형성된 내부고정관(42)과; 내부고정관(42)의 외주연에 삽입되고, 에어분출공(42a)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세부수직구멍(43a)이 어긋나게 위치된 외부고무관(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 연결관(45)은 하부산기관(41)의 내부고정관(42) 상부와 하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체결되어 에어가 공급된다.
상기 상등수유출관(46)은 중앙 연결관(45)의 상부에 하부가 분리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내부상등수유입공(47a)이 형성된 내부관(47)과; 내부관(47)의 상단에 삽입되고, 내부상등수유입공(47a)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외부상등수유입공(48a)이 어긋나게 위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외부관(48)과; 내부관(47)과 외부관(48) 사이에 유동이 발생 되도록 끼워지고, 내부상등수유입공(47a)과 일치되게 다수의 세부수직구멍(49a)이 형성된 내부고무관(49)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등수유출수단(50)은 산기관(40)을 구성하는 상등수유출관(46)의 외부관(48)에 하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상등수유출라인(52)과; 상등수유출라인(52)에 장착되어 상등수를 침전조(70)로 유출시키기 위한 흡입 펌프(5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등수유출라인(52)에는 에어공급수단(60)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면 닫히고, 에어공급이 중단되면 열리도록 구성된 전동제어밸브(56)가 장착되어 에어가 공급될 때에는 상등수가 침전조(70)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에어공급수단(60)은 상등수유출수단(50)의 상등수유출라인(52)에 하부가 연통되게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라인(62)과; 에어공급라인(62)의 단부에 연결되어 에어를 산기관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에어 펌프(64)로 이루어진다.
한편, 침전조(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기조(20)에서 처리되어 유입된 상등수를 침전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벽에 화산 분출물인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 월류장치(80)를 장착하여 처리되어 넘어오는 상등수의 냄새제거 및 항균작용이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 월류장치(80)는 냄새제거 및 항균작용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면서도 막히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며 장시간사용시 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 월류장치(80)는 내부에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82)가 상호 어긋나게 장착되어 침전조(70) 내벽에 장착된다. 이때, 코리아 다공질 담체(82)는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 월류장치(80) 내부에 상호 어긋나게 장착되어 상등수가 통과하게 되거나,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82) 사이를 통과하여 상등수의 항균 및 냄새제거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담체가 막히지 않도록 하고 2중의 캐비닛 구조로 장시간 사용시 쉽게 교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ㆍ폐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오폐수의 발생원으로부터 적정량의 오폐수가 시간대 별로 유량을 달리하여 집수조(10) 내부로 집수되고, 집수조(10)에서는 펌핑(미도시) 등으로 오폐수를 폭기조(20)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폭기조(20)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에 포함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기 위해, 외부에서 에어를 내부로 공급하여 공기로써 폭기시켜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한 다음, 미생물이 분리되어 처리된 상등수를 다음 공정인 침전조(70)로 유출시키게 된다.
이때, 침전조(70)의 내벽에는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 월류장치(80)가 장착되어 있어, 상등수가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 월류장치(80) 내부에 분리 가능하고, 상호 어긋나게 장착된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82)를 직접 통과하거나,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82) 사이를 통과하게 됨에 따라 처리수의 냄새제거 및 항균작용을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침전조(70) 내부에서 냄새제거 및 항균 처리된 방류수조(90) 내부로 유입되어 방류유량계(92)를 통해 일정 수량이 방류됨으로써 친환경적인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적정하게 처리된 방류수는 조경용수 또는 청소용수 등으로 재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폭기조(20) 및 침전조(70)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집수조(10)로부터 호기성 미생물이 포함된 오폐수가 폭기조(20) 내부로 유입되어 적정량이 채워지게 되면, 산기장치(30)를 구성하는 에어공급수단(60)을 동작시켜 외부에서 적정 압력으로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에어공급수단(60)을 구성하는 에어 펌프(64)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에어가 에어공급라인(62)을 통하고, 상등수유출라인(52) 하부를 통하며 산기관(40)을 구성하는 상등수유출관(46), 중앙 연결관(45)을 통하여 하부산기관(41)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등수유출수단(50)의 상등수유출라인(52)에 장착된 전동제어밸브(56)가 닫힌 상태가 유지되어, 에어가 하부산기관(41)을 통과하여 폭기조(20) 내부로 신속하게 공급되어 호기성 미생물이 포함된 오폐수를 폭기하여 활성화하게 된다.
즉, 에어가 폭기조(20)의 바닥면에 하부가 고정된 다수의 에어분출공(42a)을 통하여 동시에 외부로 분출되고, 이 압력에 의해 내부고정관(42)의 외주연에 삽입된 외부고무관(43)이 재질의 특성으로 외측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내부고정관(42)의 에어분출공(42a)과 어긋나게 위치된 세부수직구멍(43a)이 벌어지게 되어 이를 통하여 신속하게 폭기조(20) 내부로 공급하여 호기성 미생물이 포함된 오폐수를 폭기하여 활성화하게 된다(도 6a참조).
이와 같이 적정 시간을 유지하여 에어를 공급하여 오폐수를 폭기시키면, 호기성 미생물이 포함된 오폐수가 활성화되면서 상부에는 상등수가 발생되어 다음 공정인 침전조(70)로 유출하게 되고, 하부에 발생 되는 슬러지는 별도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에 발생되는 상등수를 침전조(70)로 유출하기 위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등수유출수단(50)을 구성하는 흡입 펌프(54)를 동작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전동제어밸브(56)가 개방되고, 하부산기관(41)의 내부고정관(42) 외주연에, 외부고무관(43)이 재질의 특성상 밀착되어, 상등수유출라인(52)의 내부에서 강한 흡입력이 발생 된다.
이에 따라 내부관(47)의 내부상등수유입공(47a)을 통하여 흡입력이 발생되어, 내부관(47)과 외부관(48) 사이에 유동이 발생 되도록 끼워진 내부고무관(49)이 내부관(47)의 외주연에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내부상등수유입공(47a)과 일치된 내부고무관(49)의 세부수직구멍(49a)이 흡입력으로써 벌어지게 외부관(48)의 외부상등수유입공(48a)을 통하여 상등수가 흡입되어 내부고무관(49)의 세부수직구멍(49a)과 내부상등수유입공(47a)을 통하여 내부관(47) 내부로 신속하게 흡입된다(도 6b참조).
이에 따라 상등수유출라인(52)을 통해 상등수가 유출되어 침전조(70)로 유입됨으로써 침전조(70)의 내부에서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82)에 의해 냄새제거 및 항균작용이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몇 가지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로써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이 갖는 많은 기능들의 조합 및 선택적 부가 등의 변경은 물론이고, 이하에서 기재되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기술사상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집수조 20 : 폭기조
30 : 산기장치 40 : 산기관
41 : 하부산기관 42 : 내부고정관
42a : 에어분출공 43 : 외부고무관
43a : 세부수직구멍 45 : 중앙 연결관
47 : 내부관 47a : 내부상등수유입공
48 : 외부관 48a : 외부상등수유입공
49 : 내부고무관 49a : 세부수직구멍
50 : 상등수유출수단 52 : 상등수유출라인
54 : 흡입 펌프 60 : 에어공급수단
62 : 에어공급라인 64 : 에어 펌프
70 : 침전조 80 :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 월류장치
82 :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 90 : 방류수조

Claims (6)

  1. 오폐수가 유입되는 집수조(10)와; 상기 집수조(1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포함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하여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고, 미생물이 분리된 상등수를 침전조로 유출시키기 위한 폭기조(20)와; 상기 폭기조(20)를 통해 처리되어 유입된 상등수를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조(70)와; 상기 침전조(70)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방류 처리하기 위한 방류수조(90)로 이루어진 오ㆍ폐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20)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고, 상등수를 유출하기 위한 산기장치(30)를 구비하되,
    상기 산기장치(30)는
    상기 폭기조(20)의 내부 바닥면에 하부가 고정되어 에어가 내부로 공급되는 하부산기관(41)과; 상기 하부산기관(41)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중앙연결관(45)과; 상기 중앙 연결관(45)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폭기조(20) 상부의 상등수가 유입되어 유출되는 상등수유출관(46)으로 이루어진 산기관(40);
    상기 산기관(40)의 상등수유출관(46) 상부에 연결되어 상등수를 침전조(70)로 유출하기 위한 상등수유출수단(50); 및
    상기 상등수유출수단(50)에 연결되어 산기관(40)을 통해 폭기조(20)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여 오폐수를 폭기시키기 위한 에어공급수단(6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산기관(41)은
    폭기조(20)의 바닥면에 하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에어분출공(42a)이 형성된 내부고정관(42)과;
    상기 내부고정관(42)의 외주연에 삽입되고, 에어분출공(42a)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세부수직구멍(43a)이 어긋나게 위치되는 외부고무관(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등수유출관(46)은
    중앙 연결관(45)의 상부에 하부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내부상등수유입공(47a)이 형성된 내부관(47)과;
    상기 내부관(47)의 상단에 삽입되고, 내부상등수유입공(47a)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외부상등수유입공(48a)이 어긋나게 위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외부관(48)과;
    상기 내부관(47)과 외부관(48) 사이에 유동이 발생 되도록 끼워지고, 내부상등수유입공(47a)과 일치되게 다수의 세부수직구멍(49a)이 형성된 내부고무관(4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등수유출수단(50)은
    상기 상등수유출관(46)의 외부관(48) 상부에 하부가 연통되게 연결되고, 에어공급수단(60)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면 닫히고, 에어공급이 중단되면 열리도록 구성된 전동제어밸브(56)가 장착된 상등수유출라인(52)과;
    상기 상등수유출라인(52)에 장착되어 상등수를 침전조(70)로 유출시키기 위한 흡입 펌프(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수단(60)은
    상기 상등수유출수단(50)의 상등수유출라인(52)에 하부가 연통되게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라인(62)과;
    상기 에어공급라인(62)의 단부에 연결되어 에어를 산기관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에어 펌프(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70)는
    내부에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82)가 상호 어긋나고,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코리아 다공질 담체 월류장치(80)를 내벽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ㆍ폐수처리시스템.
KR1020110065543A 2011-07-01 2011-07-01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KR101262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543A KR101262650B1 (ko) 2011-07-01 2011-07-01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543A KR101262650B1 (ko) 2011-07-01 2011-07-01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903A KR20130003903A (ko) 2013-01-09
KR101262650B1 true KR101262650B1 (ko) 2013-05-15

Family

ID=4783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543A KR101262650B1 (ko) 2011-07-01 2011-07-01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239B1 (ko) 2015-08-04 2015-10-16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고농도 슬러지 배출을 겸한 포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653B1 (ko) * 2019-07-29 2020-01-17 (주)화인테크워터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502B1 (ko) 2007-10-04 2009-11-05 (주)에이치앤텍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JP2011011098A (ja) 2009-03-04 2011-01-20 Blue Aqua Industry Kk 水質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502B1 (ko) 2007-10-04 2009-11-05 (주)에이치앤텍 상징수 배출용 디켄터 이동장치
JP2011011098A (ja) 2009-03-04 2011-01-20 Blue Aqua Industry Kk 水質浄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239B1 (ko) 2015-08-04 2015-10-16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고농도 슬러지 배출을 겸한 포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903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80449Y (zh) 一种超滤反洗水回收装置
CN206142914U (zh) 厌氧缺氧好氧a3o‑mbbr一体化污水处理装置
KR101132978B1 (ko) 여과 장치를 구비한 무급수 무방류 수세식 화장실
KR101262650B1 (ko)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CN108069572B (zh) Mbr一体化印染废水处理设备及其使用方法
KR100964528B1 (ko) 해수 순환여과시스템의 수류전환막을 가진 유동상 여과조
KR100826971B1 (ko) 원수 정수장치
KR101074481B1 (ko) 토출박스를 이용한 생태연못 수질 정화 시스템
CN204779259U (zh) 新型独栋式mbr中水回用一体机
KR100574672B1 (ko) 막분리 공정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장치
US20130118969A1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including BOD reduction apparatus
KR101284213B1 (ko) 자연 발효소멸식 화장실의 분뇨처리장치
JP2004276011A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CN108249556B (zh) 反应器
KR101206476B1 (ko) 하천 및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재이용한 농업용수 공급장치
KR100983312B1 (ko) 분리막과 오존을 이용한 하폐수의 재이용장치
RU2279407C1 (ru) Способ глубок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9020048A (zh) 一种锂电池废水初期处理一体化装置
CN210419653U (zh) 一种具有mbr池反冲洗装置的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101173850B1 (ko) 고액분리식 축산폐수처리장치
CN206751608U (zh) 一种印染废水微电解联合生物降解一体化深度处理装置
CN205953791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装置
CN205653836U (zh) 高效雨水收集利用系统
JP2007038096A (ja) 剥離汚泥分離装置および汚水浄化槽
JP4230088B2 (ja) 合併処理浄化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