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653B1 -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653B1
KR102067653B1 KR1020190091896A KR20190091896A KR102067653B1 KR 102067653 B1 KR102067653 B1 KR 102067653B1 KR 1020190091896 A KR1020190091896 A KR 1020190091896A KR 20190091896 A KR20190091896 A KR 20190091896A KR 102067653 B1 KR102067653 B1 KR 102067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filter
blocking plate
deodorization
cultur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훈
정해임
김세호
노성일
Original Assignee
(주)화인테크워터
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테크워터, 임훈 filed Critical (주)화인테크워터
Priority to KR1020190091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악취가스와 접촉성을 높이기 위한 바이오필터를 포함하되, 전처리수단을 더 구비하여 전처리수단에 배양슬러지와 악취를 선접촉시켜 바이오필터에 잔여슬러지의 끼임현상을 방지하고, 이중으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VOCs, 암모니아가스, 황화수소, 황산화가스, 질산화가스 등과 같은 악취가스 포함 악취물질을 효율적이고 완벽하게 필터링 할 수 있는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DEODORIZING SYSTEM}
본 발명은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악취가스와 접촉성을 높이기 위한 바이오필터를 포함하되, 전처리수단을 더 구비하여 전처리수단에 배양슬러지와 악취를 선접촉시켜 바이오필터에 잔여슬러지의 끼임현상을 방지하고, 이중으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VOCs, 암모니아가스, 황화수소, 황산화가스, 질산화가스 등과 같은 악취가스 포함 악취물질을 효율적이고 완벽하게 필터링 할 수 있는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하폐수 처리시설이나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공기오염물질, 특히 악취물질로 인하여 대기오염은 물론 주요 민원문제를 일으키고 있는바, 악취 원인물질로는 VOCs, 암모니아가스, 황화수소, 황산화가스, 질산화가스 등이 있다.
이러한 악취 원인물질을 포함한 각종 악취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방법들이 제시된 바,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냉각응축법, 촉매식 연소법, 물리적 흡착법 및 세정법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물리/화학적 방법은 오염가스의 제거 효율은 높지만 시설비 및 재료비, 약품비 등과 같은 조업비가 많이 소요되고, 저농도의 폐가스를 배출 허용기준까지 저감시키는데 비경제적이고, 2차 오염물질(SOx, CO, NOx)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다 환경 친화적이면서 고효율 저비용의 청정기술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으며, 그 결과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VOCs와 악취물질을 이산화탄소, 무취 혹은 취기가 적은 물질로 전환시키는 방법인 생물여과법(Biofiltration)이 대두되었다.
다른 악취 및 VOCs 저감방법들과 비교하여 생물여과법은 낮은 투자비와 조업비, 낮은 에너지 소비율, 낮은 화학물질과 연료 사용량, 저렴한 유지 관리비와 함께 2차 오염물질의 발생이 거의 없는 청정기술이다.
특히 생물여과법의 최대 장점은 상온/상압하에서 조업하기 때문에 운전비가 가장 적게 소요되며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VOCs와 악취 제거 방법이 물리/화학적 방식에서 생물학적방법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생물여과법이 VOCs와 악취 저감을 위한 가장 유망한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와 VOCs 물질의 제거장치는 바이오필터의 조업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이 증식하여 담체와 담체 사이의 빈공간이 생물막으로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따라서 바이오 필터의 조업 초기에는 제거성능이 우수하나 미생물의 과대증식에 의한 담체 기공의 막힘에 따라 공기의 편류 현상에 의한 바이오 필터 성능의 급격한 저하가 있게 되고 높은 압력손실에 의한 많은 동력 소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즉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115691호 (2006.11.09) "슬러지 건조장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129144호(2006.12.15) "유기물 슬러지 처리장치" 등이나 그외 선행기술들이 존재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슬러지 건조처리에 주안점을 둠으로써, 그 건조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에 대해서는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5340호(2003.11.27) "유기성폐기물 건조장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1200호(2005.03.31)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등도 개시되어 있지만, 유기성 폐기물인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장치적 구성에 대해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종래 대부분의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에 대한 기술들은 건조에 대한 효율 및 수분의 완전한 제거를 목표로 함으로써, 악취 및 대기오염의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 환경오염에 대한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개선을 위한 또 다른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81793호(2007.11.27) "하수슬러지 및 음식물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제거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출되는 처리가스에는 유해성 중금속을 포함한 악취성분이 남아 있기 때문에 특히 지역주민들이 이러한 악취로 인해 하수처리장의 건설을 극심하게 반대하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완벽한 처리시스템의 구현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더 나아가 보다 환경 친화적이면서 고효율 저비용의 청정기술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으며, 그 결과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VOCs와 악취물질을 이산화탄소, 무취 혹은 취기가 적은 물질로 전환시키는 방법인 생물여과법(Biofiltration)이 대두되었다.
다른 악취 및 VOCs 저감방법들과 비교하여 생물여과법은 낮은 투자비와 조업비, 낮은 에너지 소비율, 낮은 화학물질과 연료 사용량, 저렴한 유지 관리비와 함께 2차 오염물질의 발생이 거의 없는 청정기술이다. 특히 생물여과법의 최대 장점은 상온ㅇ상압하에서 조업하기 때문에 운전비가 가장 적게 소요되며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VOCs와 악취 제거 방법이 물리ㅇ화학적 방식에서 생물학적방법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생물여과법이 VOCs와 악취 저감을 위한 가장 유망한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와 VOCs 물질의 제거장치는 바이오필터의 조업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이 증식하여 담체와 담체 사이의 빈공간이 생물막으로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따라서 바이오 필터의 조업 초기에는 제거성능이 우수하나 미생물의 과대증식에 의한 담체 기공의 막힘에 따라 공기의 편류 현상에 의한 바이오 필터 성능의 급격한 저하가 있게 되고 높은 압력손실에 의한 많은 동력 소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형성된 생물막을 탈리시키기 위해 주기적으로 담체를 교반/세정 및 교환 작업이 필요하고, 오염가스 처리를 위해 긴 체류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장치 규모가 크고, 넓은 시설 부지를 필요로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 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악취/VOCs 물질을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악취가스와 접촉성을 높이기 위한 바이오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오필터 전에 악취가스가 배양슬러지와 선접촉할 수 있는 전처리수단을 통하여 바이오필터가 슬러지에 의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미생물이 배양된 슬러지와 악취가스가 접촉하여 1차 탈취가 진행되고, 바이오필터로 유입되어 2차 탈취가 진행됨에 따라 악취가스 내의 VOCs, 암모니아가스, 황화수소, 황산화가스, 질산화가스 등과 같은 악취물질을 효율적으로 필터링하여 청정 여과 공기를 배기할 수 있는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바이오필터가 구비되는 바이오탈취탑의 배양탈취액을 살포하는 살포부를 살포노즐과 이격된 확산패널로 구성하여, 살포되는 배양탈취액이 이 확산패널과 충돌하여 에어접촉 및 비산효과를 얻을 수 있어, 악취물질의 흡착 및 포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은
시수공급부와, 블로어 및 상기 블로어와 연결되고 산기관이 배열되어 배양조 내의 미생물에 호기조건을 제공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생물배양조;
상기 미생물반응조에서 생성된 배양슬러지가 유입되어 상기 악취가스발생원으로부터 유입된 악취가스를 상기 배양슬러지와 접촉시키는 전처리수단;
상기 전처리수단을 거친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 상부에 구비되는 바이오필터, 상기 유입부에 의해 유입된 악취가스에 배양탈취액을 살포하는 살포부를 포함하는 바이오탈취탑;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은
악취가스와 접촉성을 높이기 위한 로터리메디아 필터층과 다공체 필터층으로 구성된 바이오필터를 포함하고, 바이오리액터가 구비된 미생물배양조에서 공급되는 배양탈취액의 살포부를 구비한 바이오탈취탑을 구성하여 VOCs, 암모니아가스, 황화수소, 황산화가스, 질산화가스 등과 같은 악취가스 포함 악취물질을 효율적으로 필터링하여 청정 여과 공기 상태로 배기하여 다양한 수처리장의 주된민원 중 하나인 악취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바이오탈취탑 이전에 전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이 전처리수단에 미생물배양조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투입하여 악취가스가 선접촉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필터에 슬러지가 직분사되어 필터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전처리수단에서 1차적으로 악취가스를 필터링하고, 필터탈취탑에서 2차적으로 필터링함에 따라 탈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바이오탈취탑의 배양탈취액 살포부를 살포노즐과 이격된 확산패널로 구성하여 살포되는 배양탈취액이 이 확산패널과 충돌하여 에어접촉 및 비산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배양탈취액의 악취물질 흡착 및 포집 효율 및 미생물 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다.
도 1은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미생물배양조에 구비되는 산기관의 연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은 미생물배양조와, 전처리수단 및 바이오탈취탑으로 이루어져 오염가스 내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하폐수 처리시설의 반응조, 침전조, 저류조 등의 지붕 돔(dome)에서 배기되는 악취가스나, 본 탈취시스템(DS)에 포함된 통합 저류조(Fd)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 기타 유래의 악취가스가 악취가스발생원(Sm)으로서 포집되어 이송덕트(Sd)를 거쳐 펌프 등에 의한 강제로 전처리수단으로 유입되고, 전처리수단을 거친 악취가스는 바이오탈취탑(T)의 악취가스 유입부(TA)로 송입된다. 도1에서 이송덕트는 통합 저류조(Fd) 부위에 가스의 배출을 위한 바이패스(Sb)를 갖는다.
본 발명은 크게 바이오탈취탑(T)과, 배양탈취액을 바이오탈취탑(T)의 살포부(T2)로 공급하는 미생물배양조(R)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바이오탈취탑(T)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바이오탈취탑(T)은 상기 악취가스발생원(Sm)에서 이송덕트(Sd)를 통하여 공급되는 악취가스 유입부(TA), 미생물배용조(R)의 순환유입부(Ra)와 연결된 필터링처리액 배출부(Tb), 상기 유입부(Ta) 상부에 구비된 바이오필터(T1), 이 바이오필터 상부에 구비되고 미생물배양조(R)의 순환공급부(Rb)와 연결되어 배양액을 공급받는 살포배양액공급부(Ta)와 연결된 배양탈취액 살포부(T2), 그리고 이 살포부 상부에 구비된 배기부(T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바이오필터(T1)는 메디아층(T1A)과 다공체층으로 구성되고, 특히 바이오필터는 도 1의 상부 중간 일점 쇄선 원내 확대도와 같이, 다공체층이 메디아층(T1A)을 사이에 두고 상하 두 다공체층(T1B,T1C)로 구성된다.
또 메디아층(T1A)의 메디아(T1a)는 도 1의 상부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확대도와 같이, 살포부에서 배출되는 배양탈취액에 의하여 유동하고 상호 접촉하여 회전하여 악취 물질과 접촉확률을 높이며(결국 미생물과 악취물질의 접촉확률을 높임) 미생물의 거주 면적을 높이기 위한 외주면 방사상 돌기(부유하는 메디아끼리 접촉시 상대 메디아를 회전시키는 역할에도 기여함)를 갖는 원통형 부재이고, 소재(합성수지)의 비중 선택을 통하여 물 속에서의 유동성을 높이고, 내주면에는 보강살(십자형)이 구비되어 있는 로터리(rotary)메디아이고, 메디아층(T1A)을 형성하는 상하 타공격판 사이에 다수 개 충진하여 구성된다.
다공체층(T1B,T1C)을 구성하는 다공체(T1b)는 역시 타공 격판 사이에 다수 개 충진되어 구성되며, 각 다공체는 천연 또는 인공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석, 진주석(펄라이트)와 같은 천연소재이거나, 발포 부재(발포 질석 등) 등의 인공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필터(T1)는 도 1과 같이 배양탈취액 살포부(T2)와 한 세트를 이루어 다층 구성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의 악취가스 유통 공간을 구성하고, 복수의 바이오필터 및 살포부가 각각의 여과실에 배열되어 악취가스가 반복 접촉하여 보다 완벽하게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바이오탈취탑의 각 배양탈취액 살포부(T2)는 도 1의 우측 중간 일점 쇄선 원 내 확대도와 같이, 살포노즐(T2A)과, 이 살포노즐과 이격링크(T2A)에 의하여 이격되고 살포되는 배양탈취액과 충돌하여 에어접촉 및 비산효과를 제공하는 확산패널(T2B)로 구성되어 배양탈취액의 악취물질 흡착ㅇ포집 효율 및 미생물 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확산패널의 도입은 또 살포노즐의 크기를 확대하여도 배양탈취액의 확실하고 충분한 흩뿌림 특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만큼 살포노즐(T2A)의 막힘 문제를 해소하고, 이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미생물배양조(R)는 도 1 및 도 1의 상부 좌측 일점 쇄선 원 내 확대도와 같이, 시수공급부(R0), 블로어(R2A) 및 이 블로어와 연결되고 내저면에 배열된 산기관(R2B)을 포함하며 배양조 내의 미생물에 호기조건을 제공하는 에어공급부(R2), 상기 바이오탈취탑(T)의 필터링처리액 배출부(Tb)와 연결된 순환유입부(Ra), 상기 바이오탈취탑의 살포배양액공급부(Ta) 및 배양탈취액 살포부(T2)로 순차 연결되어 미생물배양조 내의 배양탈취액을 공급하는 순환공급부(Rb), 수중형 또는 지상형, 또는 이 둘 모두로 구성된 바이오리액터(R1), 그리고 배수부(R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미생물배양조(R)는 시수공급부(R0)가 다른 반응조나 침전조 등과 연계된 통합 저류조(Fd)와 연결되어 시수의 공급을 보장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미생물배양조(R)에서는 미생물, 특히 이탄, 토탄 및 부식토 등을 혼합하여 킬레이트화(chelation)를 촉진시키고, 혐기성균류(嫌氣性菌類)를 우점종화(優占種化)시킨 토양미생물을 활용하고, 특히 토양성균군이 유기물을 토양미생물로 쉽게 변성시키기 위한 양질의 토양성분을 가진 물질인 이탄, 토탄 및 부식토 등을 배합하여 용해가 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 크기로 고형화한 담체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수중형 또는 지상형 바이오리액터(R1A,R1B)에 충진된다.
바이오탈취탑(T)의 살포부(T2)에서 비산 배출되어 악취가스와 접촉하여 탈취과정을 거친 배양탈취액은 탈취탑 하부의 배출부(Tb)에서 필터링처리액으로서 배출되어 미생물배양조(R)의 순환유입부(Ra)로 재유입되어 탈취에 활용된 미생물이 미생물배양조에서 활성화되도록 하고, 다시 순환공급부(Rb)와 살포부(T2)를 거쳐 탈취 용도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순환되고, 순환 및 살포를 위하여 펌프(예: 순환공급부(Rb)의 펌프(Rp)) 및 밸브(솔레노이드밸브, 체크밸브 등)가 활용되며, 마이컴 등을 활용한 제어반을 구성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바이오탈취탑으로 악취가스가 유입되기 전, 전처리수단(K)을 더 구비하여 슬러지가 상기 바이오필터에 직분사되어 필터에 잔여슬러지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처리수단은 상기 미생물배양조에서 생성된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유입부(K1)가 구비되고, 상기 악취가스발생원으로부터 포집된 악취가스가 상기 바이오탈취탑에 유입되기 전 선 유입되는 가스유입부(K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악취가스는 상기 전처리수단에서 상기 배양슬러지와 접촉하여 미생물 반응에 의해 악취가스 내의 오염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지며, 1차 정화된 악취가스가 상기 바이오탈취탑으로 유입되어 2차적으로 오염물질을 걸러 깨끗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2는 산기관(A)의 결합형태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도2에서는 산기관(R2B)를 편의를 위해 도면부호(A)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산기관(A)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로어와 연통되는 메인파이프가 구비되고, 이 메인파이프에 복수개의 분기관이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분기관에 상기 산기관(A)에 구비되는 연결관이 결합됨으로서 산기관(A)을 통해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복수의 산기관(A) 중 어느 하나의 산기관(A)을 유지보수 하기 위해 분기관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분기관을 통해 에어가 방출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로어의 동작을 중지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단부재(50)의 구성을 통해 상기 분기관에 연결관이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연결관을 결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분기관 내부를 차단하여 공기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먼저, 상기 분기관(B2)은 상기 메인파이프(B1) 일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관(A1)의 단부는 3개의 분체로 이루어져 상기 분기관(B2)의 상부방향에서 아래로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본 명세서에서의 상하는 도2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지칭하였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관(A1)은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을 기준으로 상부반원을 형성하는 제1분체(A13)와, 상기 제1분체(A13) 양단에 각각 힌지부(A16)를 통해 결합되는 제2분체(A14) 및 제3분체(A15)로 이루어지며, 이 제2분체(A14)와 제3분체(A15)가 연결관(A1)의 단면을 기준으로 각각 1/4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분체(A14)와 제3분체(A15)의 단부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넷(A17)이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분기관(B2) 상부에서 상기 제2분체(A14)와 제3분체(A15)를 벌려 끼워 결합한 후, 상기 제2분체(A14)와 제3분체(A15)를 닫아 상기 마그넷(A17) 끼리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면 상기 연결관(A1)이 상기 분기관(B2)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분기관(B2)에는 차단부재(5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연결관(A1)이 결합된 경우에만 정화된 공기를 연결관(A1)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연결관(A1)이 결합되지 않는 분기관(B2)에서는 공기가 세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단부재(50)는 제1차단판(51), 제2차단판(52) 및 탄성부재(54)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2[B]를 참고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제1차단판(51)과 제2차단판(52)은 각각 상기 분기관(B2)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차단판(51)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제1배출공(511)이 구비되고, 제2차단판(52)에도 상기 제1배출공(511)과 마찬가지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2배출공(5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차단판(51)은 상기 분기관(B2) 내부에 고정되게 되며, 상기 제1차단판(51) 일측,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관(A1) 방향으로는 제2차단판(52)이 중첩배열되게 되고, 상기 제2차단판(52)은 상기 분기관(B2) 내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차단판(52)의 상부에는 푸쉬부(522)가 더 형성되고, 이 푸쉬부(522)는 상기 분기관(B2) 상부에 형성된 노출홀(251)을 통하여 상기 분기관(B2) 상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차단판(52)의 하부에는 탄성부재(54)가 구비되어 상기 제2차단판(52)에 상부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제1차단판(51)의 원 중심보다 상기 제2차단판(52)의 원 중심이 위로 올라간 형태로 서로 동심원을 이루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푸쉬부(522)가 눌리게 되면, 상기 제2차단판(52)이 하강하여 상기 제1차단판(51)과 제2차단판(52)이 동심원을 갖는 형태로 위치가 변형되게 된다.
여기서, 푸쉬부(522)가 눌리는 상황은 상기 연결관(A1)이 상기 분기관(B2)에 결합될 때이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관(A1)이 분기관(B2)에 결합되는 경우에만 공기가 연통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는 상기 제1배출공(511)과 제2배출공(521)의 형성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배출공(511)과 제2배출공(521)은 제1차단판(51)과 제2차단판(52)이 서로 동심원 위치에 있을 때만 서로 연통되게 되며, 상기 제2차단판(52)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제1배출공(511)들 사이의 이격부분에 상기 제2배출공(521)이 위치함으로서, 공기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메인파이프(B1)에 복수의 분기관(B2)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상기 연결관(A1)이 결합되지 않으면, 별도의 차단동작 없이 자연스럽게 분기관(B2)이 막혀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으며, 연결관(A1)이 결합된 분기관(B2)만 상기 제1배출공(511)과 제2배출공(521)이 서로 연통하게 됨으로서, 정화된 공기를 메인파이프(B1)으로부터 상기 연결관(A1)으로 공급하여 제1배기공(A11)을 통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기관(B2)의 내측, 즉 상기 제1차단판(51)의 내측에는 메쉬판(53)이 더 구비되어, 유입되는 공기 내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거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m: 악취발생원 K : 전처리수단
T: 바이오탈취탑 T1: 바이오필터
T2: 살포부 Ta: 유입부
Tb: 배출부 Tc: 배기부
R: 미생물배양조 R1,R1A,R1B: 바이오리액터
R2: 에어공급부 Ra: 순환유입부
Rb: 순환공급부 Fd: 통합저류조

Claims (4)

  1. 시수공급부(R0)와, 블로어(R2A) 및 상기 블로어와 연결되고 산기관(R2B)이 배열되어 배양조 내의 미생물에 호기조건을 제공하는 에어공급부(R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생물배양조(R);
    상기 미생물배양조(R)에서 생성된 배양슬러지가 유입되어 악취가스발생원(Sm)으로부터 유입된 악취가스를 상기 배양슬러지와 접촉시키는 전처리수단(K);
    상기 전처리수단(K)을 거친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부(TA)와, 상기 유입부(TA) 상부에 구비되는 바이오필터(T1), 상기 유입부에 의해 유입된 악취가스에 배양탈취액을 살포하는 살포부(T2)를 포함하는 바이오탈취탑(T);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블로어(R2A)에는 산기관(A)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파이프(B1)가 더 구비되되,
    상기 메인파이프(B1)에는 복수의 분기관(B2)이 구비되고, 상기 산기관(A)에는 상기 각각의 분기관(B2)에 결합되는 연결관(A1)이 구비되어,
    상기 블로어(R2A)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복수의 산기관(A)으로 분기되어 분사되고,
    상기 분기관(B2)에는 연결관(A1)을 결합하는 경우에만 에어가 새어나오도록 서로 중첩배열되는 제1차단판(51)과 제2차단판(52)을 포함하는 차단부재(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차단판(51)에는 복수의 제1배출공(511)이 일정간격 이격 구비되고, 상기 제2차단판(52)에는 복수의 제2배출공(521)이 일정간격 이격 구비되며,
    상기 제2차단판(52)의 상부에는 상기 분기관(B2) 상부로 돌출되는 푸쉬부(522)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A1)이 결합되면 상기 푸쉬부(522)가 눌려 제2차단판(52)이 하강하여 제1차단판(51)과 동심원 위치가 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차단판(51)과 제2차단판(52)이 동심원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배출공(511)과 제2배출공(521)이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부(T2)는
    살포노즐(T2A)과, 상기 살포노즐(T2A)과 이격되고 살포되는 배양탈취액와 충돌하여 에어접촉 및 비산효과를 제공하는 확산패널(T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필터(T1)는
    메디아층(T1A)과 상기 메디아층(T1A)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구비되는 다공체층(T1B,T1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B2)의 내측에는 메쉬판(5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KR1020190091896A 2019-07-29 2019-07-29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KR102067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896A KR102067653B1 (ko) 2019-07-29 2019-07-29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896A KR102067653B1 (ko) 2019-07-29 2019-07-29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653B1 true KR102067653B1 (ko) 2020-01-17

Family

ID=6937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896A KR102067653B1 (ko) 2019-07-29 2019-07-29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6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220B1 (ko) * 2006-09-25 2008-02-11 신도건공 주식회사 토양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제거방법과 장치
KR20130003903A (ko) * 2011-07-01 2013-01-09 (주)한라산업개발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KR101549201B1 (ko) * 2015-03-23 2015-09-03 (주)화인테크워터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220B1 (ko) * 2006-09-25 2008-02-11 신도건공 주식회사 토양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제거방법과 장치
KR20130003903A (ko) * 2011-07-01 2013-01-09 (주)한라산업개발 산기장치 및 담체 월류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KR101549201B1 (ko) * 2015-03-23 2015-09-03 (주)화인테크워터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342649U (zh) 组合式一体化除臭设备
JP2004515281A (ja) 攪拌装置及び固形栄養剤注入装置を有するバイオフィルター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汚染ガス除去方法
CN202778234U (zh) 一种组合式有机废气处理装置
KR101588829B1 (ko) 산성 및 알칼리성 악취를 동시 정화하는 약액세정식 단일탑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CN202169138U (zh) 一种高温恶臭废气的生物处理装置
US20130137170A1 (en) Multi-Tube Biofilter System for Treating Waste Gas
CN104147921A (zh) 一种生物过滤-活性炭联合法处理恶臭气体的装置与方法
KR101056064B1 (ko) 고농도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스크러버와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장치
KR101549201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CN101433802B (zh) 一体式折流生物反应器废气处理设备及废气处理方法
Hansen et al. Bioscrubbing, an effective and economic solution to odour control a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KR102067809B1 (ko) 분진포집 및 악취가스 제거를 위한 복합 탈취장치
CN104524967B (zh) 一种生物处理有机废气的方法
KR101497273B1 (ko) 밀폐형 순환 타입의 미생물 친환경적 바이오필터
KR102067653B1 (ko) 이중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KR102031066B1 (ko) 배양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KR101041216B1 (ko) 회전형 바이오 탈취장치
CN104147919A (zh) 一种低pH废气生物净化反应器及其废气处理工艺
CN202156954U (zh) 一种生物滴滤-活性炭生物过滤的气液两相生物脱臭装置
CN105084654A (zh) 污水除臭的方法
KR100764558B1 (ko) 타워형 분리식 바이오필터
CN205933575U (zh) 一种全过程微生物除臭设备
CN206587596U (zh) 一种生物法废气处理的装置
KR20000012740A (ko) 폐가스 정화용 바이오필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거방법
CN111153721B (zh) 基于零排放架构的垃圾堆肥节能降耗和废气零排放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