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102A -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 Google Patents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102A
KR20090034102A KR1020070099268A KR20070099268A KR20090034102A KR 20090034102 A KR20090034102 A KR 20090034102A KR 1020070099268 A KR1020070099268 A KR 1020070099268A KR 20070099268 A KR20070099268 A KR 20070099268A KR 20090034102 A KR20090034102 A KR 20090034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engine compartment
excavator
side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득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7009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4102A/ko
Publication of KR2009003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굴삭기의 엔진실 내부에 장착되는 유압펌프 등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엔진실 상부에 올라갈 경우, 사이드 도어를 개방한 후 운접실캡 후방으로 설치된 승강용 발판을 밟고 엔진실 상부에 올라갈 수 있도록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의 구동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운전실캡 및 엔진실과,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붐, 아암 및 버킷과, 이들을 각각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작업장치와,
상부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며, 작업중 장비의 중량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와,
엔진실 프레임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사이드 도어와,
사이드 도어의 개방시, 엔진실에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승강용 발판을 포함한다.
엔진후드, 운전실캡, 사이드 도어, 승강용 발판, 승강장치

Description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excavator of having going up and down apparatus of fixed to the backward cabin}
본 발명은 굴삭기의 엔진실 내부에 장착되는 유압펌프 등을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엔진실 상부에 올라갈 경우, 툴박스 도어를 밟지않고 올라 갈 수 있고, 핸드레일 및 미끄럼방지판(anti-slip) 등의 보조 기구물이 불필요하므로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한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실 프레임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도어를 개방한 후, 운접실캡 후방으로 설치된 승강용 발판을 밟고 엔진실 상부에 올라갈 수 있도록한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궤도형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1)와,
하부 주행체(1) 상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의 구동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2)과,
상부 프레임(2)의 전방 및 후방에 장착되는 운전실캡(3) 및 엔진실(4)과,
상부 프레임(2)에 연결되는 붐(5), 아암(6) 및 버킷(7)과, 이들을 각각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8,9,10)를 포함하는 작업장치(11)와,
상부 프레임(2)의 후방에 장착되며, 작업시 장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카운터웨이트(12)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굴삭기용 승강장치는 툴박스 도어(13)가 장비의 전방(장비의 주행방향을 말함)에서 후방쪽으로 개폐가능하게 상부 프레임(2)에 장착되고, 작업자가 툴박스 도어(13)를 밟고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16), 스탭(18) 및 미끄럼방지판(17)(anti-slip)이 설치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4는 주행시 또는 작업시 툴박스 도어(13)의 유동 및 진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툴박스 몸체(15)에 툴박스 도어(13)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캐취(catch)이다.
종래 기술의 툴박스 구조 에서는, 엔진실(4)에 장착되는 부품의 성능을 확인하는 경우 또는 해당 부품을 점검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툴박스 도어(13)를 반드시 밟고 엔진실(4)에 올라가게 된다. 이때 핸드레일(16), 미끄럼방지판(17) 및 스탭(18)과 같은 별도의 안전용 보조 기구물 등을 이용하므로 원가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엔진실(4) 상부에 승강시 툴박스 도어(13)가 이동통로로서 사용되므 로, 작업자가 밟는 툴박스 도어(13)의 상면이 평면을 유지하고 툴박스의 단면이 계단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툴박스 도어(13)를 상부 프레임(2)에 장착시 크기 및 형상에 구조적인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툴박스 도어(13)가 장비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개방(툴박스 도어(13)가 장비의 밑에서 위를 향하도록 개방됨)되므로, 툴박스 도어(13)를 상부 프레임(2)에 장착시 구조적인 제약을 받게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캐취(14)의 로킹을 해제시킨 후, 운전자의 의사에 반하여 툴박스 도어(13)를 수시로 간단하게 개방할 수 있어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엔진실 프레임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도어를 개방한 후, 운접실캡 후방으로 설치된 승강용 발판을 밟고 엔진실 상부에 올라갈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한 장비의 앞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툴박스를 갖는 중장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가 엔진실 상부에 올라갈 경우 툴박스 도어를 밟지않고 올라가므로 훼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핸드레일 및 미끄럼방지판 등의 보조 기구물이 불필요하므로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한 장비의 앞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툴박스를 갖는 중장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가 엔진 후드 쪽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사이드를 도어를 개방하여 엔진실 쪽으로 올라가므로, 사이드 도어를 로킹시킬 경우 운전자 의사에 반하여 엔진 후드 쪽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한 장비의 앞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툴박스를 갖는 중장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의 구동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운전실캡 및 엔진실과,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붐, 아암 및 버킷과, 이들을 각각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작업장치와,
상부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며, 작업중 장비의 중량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와,
엔진실 프레임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사이드 도어와,
사이드 도어의 개방시, 엔진실에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승강용 발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엔진실 프레임에 형성되는 승강용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승강용 발판의 상면에 돌출되며, 승강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엠보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엠보싱부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사이드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부 프레임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동홈에 타단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사이드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와 대응되게 엔진실 프레임에 형성되고 사이드 도어를 닫는 경우 돌출부의 결합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엔진실 프레임에 장착되는 사이드 도어를 개방한 후 운접실캡 후방으로 설치된 승강용 발판을 밟고 엔진실 상부에 올라가므로, 엔진후드쪽으로 접근이 용이하고, 운전실캡과 엔진실사이에 확보되는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엔진실 상부에 올라갈 경우 툴박스 도어를 밟지않고 올라가므로 훼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핸드레일 및 미끄럼방지판 등의 보조 기구물이 불필요하므로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엔진 후드 쪽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사이드를 도어를 개방하여 엔진실쪽으로 올라가므로, 사이드 도어를 로킹시킬 경우 운전자 의사에 반하여 엔진 후드 쪽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1)와,
하부 주행체(1) 상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의 구동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2)과,
상부 프레임(2)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운전실캡(3) 및 엔진실(4)과,
상부 프레임(2)에 연결되는 붐(5), 아암(6) 및 버킷(7)과, 이들을 각각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8,9,10)를 포함하는 작업장치(11)와,
상부 프레임(2)의 후방에 장착되며, 작업중 장비의 중량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12)와,
엔진실 프레임(20)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사이드 도어(21)와,
사이드 도어(21)의 개방시, 사용자가 엔진실(4)에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용 발판(22)(일예로서 도면에는 3개가 설치됨)을 포함한다.
이때 엔진실 프레임(20)(또는 운전실캡(3)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음)에 형성되는 승강용 손잡이(23)를 더 포함한다.
승강용 발판(22)의 상면에 돌출되며 승강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엠보싱부(24)를 더 포함한다. 엠보싱부(24)에 관통공(25)이 각각 형성된다.
사이드 도어(21)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이동홈(26)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레일(27)과, 상부 프레임(2)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동홈(26)에 타단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구(28)를 더 포함한다.
사이드 도어(2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29)와, 돌출부(29)와 대응되게 엔진실 프레임(20)에 형성되고 사이드 도어(21)를 닫는 경우 돌출부(29)의 결합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30)(일예로서 고무재 등이 사용됨)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하부 주행체(1), 상부 프레임(2), 엔진실(4) 및 작업장치(11) 등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9는 키이 삽입구(18)에 결합되는 키이 조작에 따라 사이드 도어(21)를 엔진실 프레임(20)에 로킹시키는 로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실(4)에 설치되는 유압펌프 등의 성능을 확인하거나, 또는 유압배관 등을 수리, 교체하기 위하여 엔진실(4) 상부로 올라갈 경우, 키이 삽입구(미도시됨)에 결합되는 키이를 조작하여 로커(19)의 로킹을 해제시킨 후, 사이드 도어(21)를 이의 힌지부재(일예로서 경첩이 사용됨)를 중심축으로 회전(반시계방향으로 회점됨)시켜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레임(2)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28)가 사이드 도어(21)의 내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27)의 이동홈(26)을 따라 슬라이드 이 동된다. 고정구(28)가 이동홈(26)의 일단부에 형성된 고정홈(26a)에 안착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사이드 도어(21)의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하부 주행체(1)(트랙체인을 말함)와, 상부 프레임(2)에 설치된 승강용 발판(22)(일예로서 3개가 설치됨)을 차례로 밟고 엔진실(4) 상부에 올라갈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엔진실 구조물(20) 일측에 설치된 승강용 손잡이(23)를 붙잡고 안전한 상태에서 올라갈 수 있다.
이때, 동절기 또는 우기(雨期)에 엔진실(4) 상부에 올라갈 경우, 승강용 발판(22)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엠보싱부(24)와, 엠보싱부(24)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5)에 의해 작업자의 신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운전실캡(3)의 후방과 엔진실(4)사이의 공간과, 엔진실(4)과 사이드 도어(21)사이의 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되므로, 엔진후드(31)를 개방하여 해당 부품을 수리 또는 교체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엔진실(4)과 사이드 도어(21)사이에 격벽 또는 엔진후드 커버(미도시됨) 등의 구조물이 불필요하므로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도어(21)를 개방후 승강용 발판(22)을 밟고 작업자가 엔진실(4) 상부에 올라갈 경우, 도 1에 도시된 툴박스 도어(13)를 밟지않아도 가능 하므로(즉 툴박스 도어(13)가 승강용 발판 기능을 하지 않음) 툴박스 도어(13)의 훼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드레일(16) 및 미끄럼방지판(17) 등이 불필요하므로 해당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도어(21)를 닫을 경우 승강용 발판(22) 및 승강용 손잡이(23)는 사이드 도어(21)에 의해 은폐되고, 로커(19)에 의해 사이드 도어(21)를 엔진실 프레임(20)에 로킹시키는 경우, 운전자 의사에 반하여 사이드 도어(21)를 임의로 개방하고 엔진실(4) 상부에 올라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무한궤도형 굴삭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이드 도어를 개방시킬 경우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0; 엔진실 프레임
21; 사이드 도어
22; 승강용 발판
23; 승강용 손잡이
24; 엠보싱부
25; 관통공
26; 이동홈
27; 슬라이드 레일
28; 고정구
29; 돌출부
30; 완충부재

Claims (6)

  1.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의 구동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운전실캡 및 엔진실;
    상기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붐, 아암 및 버킷과, 이들을 각각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작업장치;
    상기 상부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며, 작업중 장비의 중량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
    상기 엔진실 프레임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사이드 도어; 및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개방시, 상기 엔진실에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승강용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실 프레임에 형성되는 승강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발판의 상면에 돌출되며, 승강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엠보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동홈에 타단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게 상기 엔진실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도어를 닫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결합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KR1020070099268A 2007-10-02 2007-10-02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KR20090034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268A KR20090034102A (ko) 2007-10-02 2007-10-02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268A KR20090034102A (ko) 2007-10-02 2007-10-02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102A true KR20090034102A (ko) 2009-04-07

Family

ID=4076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268A KR20090034102A (ko) 2007-10-02 2007-10-02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41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5241B2 (en) * 2017-08-24 2022-12-13 Caterpillar Sarl Hydraulic shov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5241B2 (en) * 2017-08-24 2022-12-13 Caterpillar Sarl Hydraulic shov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190B1 (ko) 장비의 앞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툴박스를 갖는 중장비
US9347201B2 (en) Emergency egress system for a construction machine
JP2009203675A (ja) 建設機械における化粧カバー構造
KR101556413B1 (ko) 캐빈의 도어 개폐 시스템
JP2008195348A (ja) 車両および作業機械
CN111601932B (zh) 作业机械用驾驶室及作业机械
KR20090034102A (ko) 운전실캡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를 갖는 굴삭기
CN111601931B (zh) 作业机械用驾驶室及作业机械
JP3157418U (ja) 昇降用ラダー装置
JP2002256593A (ja) 建設機械における昇降用ステップ構造
RU152019U1 (ru) Техническая платформа и лестница
JP2007197966A (ja) 作業機械
KR100934946B1 (ko) 운전실캡 라이저가 장착되는 굴삭기
JP2001182099A (ja) ハイキャブ型作業機
JP7096149B2 (ja) 作業車両
JP2002227245A (ja) 油圧ショベルの車載はしご支持手段
JP2022060868A (ja) 建設機械
WO2020202672A1 (ja) 建設機械の足場装置
JP2012206526A (ja) 作業車両のキャビン
JP2013053478A (ja) 作業機の昇降装置
KR20090080353A (ko) 운전실캡의 외부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건설중장비
JP2000144808A (ja) 建設機械の昇降装置のロック機構
KR20080075941A (ko) 슬라이드 개폐되는 엔진후드 도어를 갖는 중장비
JP2000257118A (ja) 建設機械の昇降装置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