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150A -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 - Google Patents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150A
KR20090032150A KR1020070097110A KR20070097110A KR20090032150A KR 20090032150 A KR20090032150 A KR 20090032150A KR 1020070097110 A KR1020070097110 A KR 1020070097110A KR 20070097110 A KR20070097110 A KR 20070097110A KR 20090032150 A KR20090032150 A KR 20090032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ld forging
steel
less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사이또오
다쯔로 오찌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to KR102007009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2150A/ko
Publication of KR20090032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간에서 저변형 저항, 또한 고한계 압축률의 냉간 단조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침탄 왜곡이 적은 기소강을 제공하는 것으로, 질량 %로, C : 0.07 내지 0.3 %, Si : 0.01 내지 0.15 %, Mn : 0.1 내지 0.7 %, P : 0.03 % 이하, S : 0.002 내지 0.10 %, Al : 0.01 내지 0.08 %, Cr : 0.7 내지 1.5 %, Ti : 0.01 내지 0.15 %, B : 0.0005 내지 0.005 %, N : 0.008 % 이하를 함유하고, 잔량부가 Fe와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금속 조직의 65 % 이상이 페라이트 상이고, 베이나이트 상이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이다.
기소강, 불가피적 불순물, 금속 조직, 침탄 왜곡, 한계 압축률

Description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CASE HARDENING STEEL EXCELLENT IN COLD FORGING PROPERTY AND LOW CARBURETION DISTORTION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냉간 단조성 및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에 관한 것이다.
기어나 샤프트, CVJ 부품 등의 기계 구조물에 사용되는 강에는, 일반적으로 Cr이나 Mo를 첨가한 기소강(肌燒鋼)이 이용되고 있다. 냉간 단조-절삭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 후, 침탄(浸炭) 켄칭을 행하는 공정에서 제조되고 있다. 냉간 단조는 제품의 표면 재질 및 치수 정밀도가 좋고, 열간 단조에 비해 제조 비용이 낮고 수율도 양호하기 때문에, 종래는 열간 단조로 제조되고 있던 부품을 냉간 단조로 절환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고, 냉간 단조-침탄 공정에서 제조되는 침탄 부품의 대상은 최근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열간 단조로부터 냉간 단조로의 절환시에는, 강재의 냉간 변형 저항의 저감과 한계 압축률의 향상이 중요한 과제이다. 이것은, 전자는 단조 공구의 수명을 확보하기 위함이고, 후자는 냉간 단조시의 강재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329339호 공보는, C량을 0.1 내지 0.4 %의 범위로 제어하고, B계 개재물의 형상을 제어함으로써 냉간 단조성을 향상시킨 냉간 단조용 기소강의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33577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303172호 공보는, C량 0.1 내지 0.3 %의 범위에서 Si 및 Mn량을 저감하고, B 첨가에 의해 켄칭성을 확보하고, 또한 베이나이트 분율을 낮춤으로써 냉간 단조성을 향상시킨 냉간 단조용 기소강의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발명에서는, 형상이 작은 기어나 평기어 등의 단순한 형상의 기어를 냉간 단조화할 수는 있어도 큰 부품이나 헬리컬 기어 등의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냉간 단조하면, 강재의 균열이 발생해 버려, 단조시의 한계 압축률이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아직 불충분했다. 또한, 최근 자동차의 소음의 저감이 한층 요구되고 있는데, 그 주된 원인이 되고 있는 기어 노이즈를 저감할 필요가 있어, 지금까지의 발명에서는 침탄 왜곡의 저감이 불충분했다. 본 발명은, 강재를 냉간 단조할 때의 변형 저항을 낮추는 동시에 한계 압축률을 종래의 강재에 비해 대폭 향상시킴으로써, 큰 부품이나 복잡한 형상의 부품의 냉간 단조에 있어서,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냉간 단조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침탄시의 왜곡이 작은 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우선 기소강의 냉간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형 저항을 낮추는 방법에 대해 다양한 실험을 행하여, Si와 Mn을 저감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는 지견을 얻었다.
다음에, 이들 원소를 저감시킨 것에 의한 켄칭성의 저하를 변형 저항이 높아지지 않는 방법으로 보충하기 위해서는, B와 Cr의 첨가가 유효하다는 지견을 얻었다.
다음에, 한계 압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변형 저항을 낮추는 것만으로는 반 드시 달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페라이트 분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는 지견을 얻었다.
또한, 페라이트 분율을 높임으로써 침탄 켄칭의 왜곡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이 그 요지로 하는 점은 이하와 같다.
(1) 질량 %로,
C : 0.07 내지 0.3 %
Si : 0.01 내지 0.15 %
Mn : 0.1 내지 0.7 %
P : 0.03 % 이하
S : 0.002 내지 0.10 %
Al : 0.01 내지 0.08 %
Cr : 0.7 내지 1.5 %
Ti : 0.01 내지 0.15 %
B : 0.0005 내지 0.005 %
N : 0.008 % 이하를 함유하고, 잔량부가 Fe와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금속 조직의 65 % 이상이 페라이트 상(相)이고, 베이나이트 상이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
(2) 질량 %로, Mo : 0.005 내지 0.3 %, Ni : 0.1 내지 4.5 % 중의 1종 또는 2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냉간 단조성과 저침 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냉간 단조할 때에, 변형 저항이 낮아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침탄 켄칭시에 발생되는 왜곡이 작은 기소강을 제공할 수 있어, 부품의 제조 비용을 대폭 저감하고, 또한 부품의 형상 정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의해 완성된 것이며,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을 얻기 위해, 성분 조성은, 특히 변형 저항을 저하시키기 위해 Si : 0.01 내지 0.15 %, Mn : 0.1 내지 0.7 %로 낮게 첨가하고, 또한 변형 저항 상승을 억제하면서 켄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Cr : 0.7 내지 1.5 %로 높게 첨가하고, 켄칭성 향상이나 페라이트 분율 증가 등을 위해 B : 0.0005 내지 0.005 %의 첨가를 필수로 하고, 게다가 금속 조직은 한계 압축률 향상 및 침탄 켄칭 왜곡 저감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열간 압연에 이어지는 냉각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페라이트 상 : 65 % 이상, 베이나이트 상 : 15 % 이하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C : 0.07 내지 0.3 %
C는, 강에 필요한 강도를 부여하는 데 유효한 원소이지만, 0.07 % 미만에서는 필요한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없고, 0.3 % 초과에서는 단단해져 냉간 단조성이 열화되므로, C는 0.07 내지 0.3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25 % 이다.
Si : 0.01 내지 0.15 %
Si는, 강의 탈산에 유효한 원소인 동시에 강에 필요한 강도 및 켄칭성을 부여하여, 템퍼링 연화 저항을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지만, 0.01 % 미만에서는 그 효과는 불충분하다. 한편, 0.15 % 초과에서는, 경도의 증가를 초래하여 냉간 단조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Si는 0.01 내지 0.15 %로 한다.
Mn : 0.1 내지 0.7 %
Mn은, 강의 탈산에 유효한 원소인 동시에 강에 필요한 강도 및 켄칭성을 부여하는 데 유효한 원소이지만, 0.1 % 미만에서는 그 효과는 불충분하고, 0.7 %를 초과하면 그 효과는 포화될 뿐만 아니라, 경도의 상승을 초래하여, 냉간 단조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Mn은 0.1 내지 0.7 %로 한다. 바람직한 Mn의 범위는, 0.1 내지 0.6 %이다.
P : 0.03 % 이하
P는 미량으로 강의 변형 저항을 높이는 원소로, 가능한 한 저감시켜야 한다. 0.03 % 초과의 함유는 경도의 상승을 초래하여, 냉간 단조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P는 0.03 % 이하로 제한한다.
S : 0.002 내지 0.10 %
S는, 강 중에서 MnS를 형성하고, 이에 의한 피삭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첨가하는데, 0.002 % 미만에서는 그 효과는 불충분하다. 한편, 0.10 % 초과의 첨가는, 냉간 단조시의 균열 감수성을 높여, 한계 압축률을 낮추어 버린다. 따라 서, S는 0.002 내지 0.10 %의 범위로 한다.
Al : 0.01 내지 0.08 %
Al은, 탈산제로서 첨가한다. 0.01 % 미만에서는 그 효과는 불충분하다. 한편, 0.08 %를 초과하면, 알루미나 산화물계의 개재물이 증가하고, 피로 파괴의 기점이 되는 확률이 증가하여, 냉간 단조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Al은 0.01 내지 0.08 %의 범위로 한다.
Cr : 0.7 내지 1.5 %
Cr은, 냉간에서의 변형 저항 향상에의 영향력이 작고, 또한 강에 켄칭성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원소이다. 0.7 % 미만에서는, 부품에 부여되는 켄칭성이 불충분하고, 한편 1.5 %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침탄 성능이 열화된다. 따라서, Cr의 범위는 0.7 내지 1.5 %로 한다. 바람직한 첨가 범위는, 0.9 내지 1.5 %이다.
B : 0.0005 내지 0.005 %
B는, 다음의 세 가지를 목적으로 하여 첨가한다. ① 막대 강·선재 압연에 있어서, 압연 후의 냉각 과정에서 붕소철 탄화물을 생성함으로써, 페라이트의 성장 속도를 증가시켜, 페라이트 분율을 증가시킨다. ② 고용 B는, 침탄 켄칭시에, 강에 켄칭성을 부여한다. 또한, 변형 저항을 거의 높이는 일이 없다. ③ 고용 B는, 침탄재의 입계 강화를 향상시킴으로써, 침탄 부품으로서의 피로 강도·충격 강도를 향상시킨다. 0.0005 % 미만의 첨가에서는, 상기의 효과는 불충분하고, 0.005 %를 초과하면 그 효과는 포화된다. 따라서, B의 첨가 범위는 B : 0.0005 내지 0.005 %로 한다.
Ti : 0.01 내지 0.15 %
Ti는, 강 중에서 N과 결합하여 TiN을 생성하여, 고용 N을 고정함으로써 BN의 석출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첨가된 고용 B를 확보하여, B의 켄칭성을 발휘할 수 있다. Ti 첨가 0.01 % 미만에서는 그 효과는 불충분하다. 한편, 0.15 % 초과의 첨가는, 석출 경화의 기여가 커져, 냉간 단조성을 손상시킨다. 따라서, Ti는 0.01 내지 0.15 %로 한다.
N : 0.008 % 이하
상기와 같이, BN을 생성시키지 않고 고용 B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Ti 첨가에 의해 고용 N을 TiN 석출물로 할 필요가 있지만, 강 중의 N 함유량이 0.008 %를 초과하면, 조대한 TiN이 증가하여, 냉간 단조에서의 균열의 원인이 되거나, 피로 파괴의 기점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N은 0.008 % 이하로 제한한다. 바람직한 제한 범위는, 0.006 % 이하이다.
Mo : 0.005 내지 0.3 %
Mo 첨가는, 주로 세 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첫 번째는, 강의 켄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이다. 두 번째는, 부품 사용 중의 온도 상승에 대한 연화 저항을 향상시킴으로써 면 피로 강도를 높이는 효과이다. 세 번째는 침탄재의 입계를 강화하여 충격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이다. 0.005 % 미만에서는 이들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한편 0.3 % 초과의 첨가는 실온에서의 변형 저항을 높여, 냉간 단조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Mo의 첨가 범위는 0.005 내지 0.3 %로 한다.
Ni : 0.1 내지 4.5 %
Ni 첨가는, 주로 두 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첫 번째는, 강의 켄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이다. 두 번째는, 강의 인성(靭性)을 높이는 효과이다. 0.1 % 미만에서는 이들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한편 4.5 % 초과의 첨가는 실온에서의 변형 저항을 높여, 냉간 단조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Ni의 첨가 범위는, 0.1 내지 4.5 %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인 금속 조직의 65 % 이상이 페라이트 상인 필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C : 0.07 내지 0.8 %, Si : 0.01 내지 0.15 %, Mn : 0.1 내지 0.7 %, P : 0.03 % 이하, S : 0.005 내지 0.10 %, Al : 0.01 내지 0.08 %, Cr : 0.7 내지 1.5 %, Ti : 0.01 내지 0.15 %, B : 0.0005 내지 0.005 %, N : 0.008 %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고, 잔량부가 철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성분 조성의 강을 용해·열간 압연하여, 60Φ의 막대 강을 작성하였다. 그때, 열간 마무리 압연 후의 800 ℃로부터 500 ℃의 온도 범위를 0.1 내지 1 ℃/초의 범위에서 변화시켰다.
이들 막대 강으로부터, 도5에 나타내는 사이즈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실온에서 변형 저항을 측정하여 왜곡 0.5에서의 응력을 구하였다. 또한, 도6에 나타내는 시험편을 작성, 실온에서 한계 압축률을 측정하였다. 한편, 각 수준의 막대 강의 세로 단면의 금속 조직을 조사하여, 페라이트 분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HV 경도도 측정하였다. 한편, 막대 강으로부터 55Φ × 15 두께의 원반 시료를 작성하여, 950 ℃ × 5시간의 침탄 처리를 행하고, 850 ℃로부터 켄칭 템퍼링을 하여, 진원도를 측정하였다. 진원도(眞圓度)는, 시판된 진원도계에 의해 JIS B0621-1984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도를 저감시키면 변형 저항은 낮아지지만,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도가 낮아도 한계 압축률이 낮아진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라이트 분율이 커지면 한계 압축률이 향상되고, 그 효과는 65 % 이상에서 현저하다.
도2로부터, 페라이트 분율을 65 %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열간 마무리 압연 후의 냉각 속도를 0.3 ℃/초 이하로 하면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서랭은, 압연 후에 대기 중에 방냉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열원이 있는 서랭 커버로 막대 강을 덮는 등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 분율이 증가하면 한계 압축률이 향상되는 이유는 이하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즉, 페라이트 분율이 증가하면 펄라이트 분율이 감소한다. 펄라이트 중의 라멜라 형상의 세멘타이트는 냉간 단조시의 균열의 기점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다음에, 페라이트 분율과 침탄 켄칭 후의 진원도의 관계를 도8에 나타낸다. 이 현상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페라이트 분율이 높으면 펄라이트 분율이 작아지지만, 그만큼 펄라이트 중의 C량이 많아져, 라멜라 세멘타이트가 두꺼워진다. 이로 인해, 침탄의 가열시에 두꺼운 세멘타이트가 완전히 용해되는 데 시간이 걸려, 보다 고온에서 γ로 변태하게 된다. 냉간 단조로 축적된 전위(轉位) 는, 보다 고온일수록 회복·합체 소멸되기 쉬우므로, γ 변태 전에 재결정이 종료되어, 정립화(整粒化)되게 된다. 정립화시킴으로써 입(粒)의 조대화가 억제될 것이라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페라이트 분율을 높이면 침탄 켄칭시의 왜곡도 작아지는 새로운 지견을 발견하였다. 도8로부터 페라이트 분율이 65 % 이상에서 왜곡 저감의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압연 후의 페라이트 분율을 65 % 이상으로 한다.
다음에, 베이나이트 분율을 15 % 이하로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열간 압연 후의 강재에 베이나이트 조직이 혼입되면, 침탄 가열시에 조대립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조대립의 발생은 침탄 켄칭 후의 왜곡을 크게 할 가능성이 있어, 이하의 실험을 행하였다.
즉, C : 0.07 내지 0.8 %, Si : 0.01 내지 0.15 %, Mn : 0.1 내지 0.7 %, P : 0.03 % 이하, S : 0.005 내지 0.10 %, Al : 0.01 내지 0.08 %, Cr : 0.7 내지 1.5 %, Ti : 0.01 내지 0.15 %, B : 0.0005 내지 0.005 %, N : 0.008 %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고, 잔량부가 철과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성분 조성의 강을 용해·열간 압연하고, 열간 마무리 압연 후의 800 ℃로부터 500 ℃의 온도 범위를 0.1 내지 3 ℃/초의 범위에서 변화시켜, 60Φ의 막대 강을 작성하였다. 여기서, 각 수준의 막대 강의 세로 단면의 금속 조직을 조사하여, 베이나이트 분율을 측정하였다. 한편, 막대 강으로부터 56φ × 15 두께의 원반 시료를 작성하여, 950 ℃ × 5시간의 침탄 처리를 행하고, 850 ℃로부터 켄칭 템퍼링을 하 여 진원도를 측정하였다. 진원도는, 시판된 진원도계에 의해 JIS B0621-1984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7에 나타낸다. 베이나이트 분율이 15 % 초과에서, 현저하게 진원도가 큰(진원으로부터의 어긋남 왜곡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베이나이트 분율을 15 % 이하로 한다. 베이나이트 분율의 억제는 냉간 단조성 개선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시험 결과로부터, 베이나이트 분율을 15 %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열간 마무리 압연 후의 냉각 속도를 1 ℃/초 이하로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 강은, 냉간 단조 성능이 매우 우수한 강이지만, 열간 단조나 온간(溫間) 단조도 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들 복수의 공정과 조합하여 부품을 제조할 수 있는 강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성질의 것은 아니며, 상기, 후기의 취지에 비추어 설계 변경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표1에 나타내는 강을 용해, 열간 압연하여, 55Φ의 막대 강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열간 마무리 압연후의 800℃로부터 500 ℃의 온도 범위의 냉각 속도를 다양한 수준에서 제작하였다. 열간 압연 후의 막대 강의 세로 단면에 있어서의 금속 조직을 나이탈 에칭하여 광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고, 페라이트 분율 및 베이나이트 분율을 측정하였다. 도5에 나타내는 실온 변형 저항 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하고, 실온에서 변형 저항을 측정하여, 왜곡 0.5에서의 응력을 구하였다. 또한, 도6에 나타내는 한계 압축률 측정용 시험편을 작성, 실온에서 한계 압축률을 측정하였다. 한편, 막대 강으로부터 52Φ × 15 두께의 원반 시료를 작성하여, 950 ℃ × 5시간의 침탄 처리를 행하고, 850 ℃로부터 켄칭 템퍼링을 하여 진원도를 측정하였다. 진원도는, 시판된 진원도계에 의해 JIS B0621-1984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시험 번호 1 내지 9는 본 발명예로, 모두 우수한 저변형 저항과 우수한 한계 압축률을 갖고 있다. 시험 번호 10 내지 19는 비교예이다. 시험 번호 10은, Si가 본 발명 범위를 초과하여 높기 때문에 변형 저항이 높아진 예이다. 시험 번호 11은 Mn이 본 발명 범위를 초과하여 높기 때문에 변형 저항이 높아진 예이다. 시험 번호 12는 C가 본 발명 범위를 초과하여 높기 때문에 변형 저항이 높아진 예이다. 시험 번호 13은 Ti가 본 발명 범위를 초과하여 높기 때문에 변형 저항이 높고, 한계 압축률도 낮아진 예이다. 시험 번호 14는 N이 본 발명 범위를 초과하여 높기 때문에 조대한 TiN이 생성되어, 한계 압축률이 낮아진 예이다. 시험 번호 15는 JIS SCr420으로, Si, Mn, Ti, B, N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와 상이하기 때문에 변형 저항이 높아진 예이다. 시험 번호 16은 JIS SCM420으로, Si, Mn, Ti, B, N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와 상이하기 때문에 변형 저항이 높아진 예이다. 시험 번호 17은 JIS SNCM815로, Si, Mn, Ti, B, N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와 상이하기 때문에 변형 저항이 높아진 예이다. 시험 번호 18은, 성분은 본 발명 범위 내이지만, 페라이트 분율이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변형 저항은 낮지만, 한계 압축률 및 침탄 후의 진원도가 악화된 예이다. 시험 번호 19는, 성분은 본 발명 범위 내이지 만, 페라이트 분율 및 베이나이트 분율이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변형 저항, 한계 압축률 및 침탄 후의 진원도가 악화된 예이다.
[표1]
Figure 112007069126690-PAT00001
[표2]
Figure 112007069126690-PAT00002
도1은 압연 강재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과 한계 압축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마무리 압연 후 냉각 속도와 페라이트 분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압연 강재의 경도와 한계 압축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압연 강재의 경도와 변형 저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실온 변형 저항 측정용 시험편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한계 압축률 측정용 시험편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베이나이트 분율과 진원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페라이트 분율과 진원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2)

  1. 질량 %로,
    C : 0.07 내지 0.3 %
    Si : 0.01 내지 0.15 %
    Mn : 0.1 내지 0.7 %
    P : 0.03 % 이하
    S : 0.002 내지 0.10 %
    Al : 0.01 내지 0.08 %
    Cr : 0.7 내지 1.5 %
    Ti : 0.01 내지 0.15 %
    B : 0.0005 내지 0.005 %
    N : 0.008 % 이하를 함유하고, 잔량부가 Fe와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금속 조직의 65 % 이상이 페라이트 상이고, 베이나이트 상이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
  2. 제1항에 있어서, 질량 %로, Mo : 0.005 내지 0.3 %, Ni : 0.1 내지 4.5 % 중의 1종 또는 2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
KR1020070097110A 2007-09-27 2007-09-27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 KR20090032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110A KR20090032150A (ko) 2007-09-27 2007-09-27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110A KR20090032150A (ko) 2007-09-27 2007-09-27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150A true KR20090032150A (ko) 2009-04-01

Family

ID=4075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110A KR20090032150A (ko) 2007-09-27 2007-09-27 냉간 단조성과 저침탄 왜곡 특성이 우수한 기소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21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5987A (zh) * 2012-04-24 2014-12-24 株式会社神户制钢所 冷加工用机械结构用钢及其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5987A (zh) * 2012-04-24 2014-12-24 株式会社神户制钢所 冷加工用机械结构用钢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2646B2 (ja) 冷間鍛造性に優れた浸炭用鋼の製造方法
JP4464864B2 (ja) 耐結晶粒粗大化特性と冷間加工性に優れた軟化焼鈍の省略可能な肌焼用鋼
JP5034803B2 (ja) 軟窒化処理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64862B2 (ja) 耐結晶粒粗大化特性と冷間加工性に優れた軟化焼鈍の省略可能な肌焼用鋼
CN108315637B (zh) 高碳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JP3562192B2 (ja) 高周波焼入用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024876A1 (ja) ばね鋼およびばね
JP5332517B2 (ja) 浸炭用鋼の製造方法
US8034199B2 (en) Case-hardening steel excellent in cold forgeability and low carburization distortion property
JP6798557B2 (ja)
JP4464863B2 (ja) 耐結晶粒粗大化特性と冷間加工性に優れた肌焼用鋼
JP4057930B2 (ja) 冷間加工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36644A (ja) 高強度特性と低熱処理歪み特性に優れた高周波焼入れ用鋼材とその製造方法
JP3738004B2 (ja) 冷間加工性と浸炭時の粗大粒防止特性に優れた肌焼用鋼材とその製造方法
JP4448047B2 (ja) 耐結晶粒粗大化特性と冷間加工性に優れ、軟化焼鈍の省略可能な肌焼用鋼
JP3738003B2 (ja) 冷間加工性と浸炭時の粗大粒防止特性に優れた肌焼用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06024B2 (ja) 高周波焼入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002287A1 (ja) 軟窒化処理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37052A (ja) 冷間鍛造性および結晶粒粗大化抑制能に優れた肌焼鋼とその製造方法
JP4328924B2 (ja) 高強度軸部品の製造方法
JP3842888B2 (ja) 冷間加工性と高強度特性を兼備した高周波焼入れ用鋼材の製造方法
JP5614330B2 (ja) 軟窒化処理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50886B2 (ja) 被削性および疲労強度に優れた高周波焼入用の歯車用鋼材の製造方法
JP2004238702A (ja) 耐低サイクル衝撃疲労特性に優れた浸炭部品
JP2001303172A (ja) 浸炭時に異常組織を生成しない冷間鍛造用肌焼ボロン鋼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08

Effective date: 201102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19

Effective date: 2013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