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679A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679A
KR20090031679A KR1020087030059A KR20087030059A KR20090031679A KR 20090031679 A KR20090031679 A KR 20090031679A KR 1020087030059 A KR1020087030059 A KR 1020087030059A KR 20087030059 A KR20087030059 A KR 20087030059A KR 20090031679 A KR20090031679 A KR 20090031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antenna
substrate
bas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205B1 (ko
Inventor
야스노리 다카키
도시유키 와다
히로유키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14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Abstract

광대역(복수 밴드) 화가 가능하고, 각 밴드 내에서 양호한 이득과 수직 편파의 무지향성을 유지할 수가 있는 안테나 장치를 절약된 공간으로 실현되면서, 기계적인 신뢰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일단측에 급전부를 가지고, 타단측이 개방단이 되고, 꺾임부를 가지는 대략 U자 형상의 도체 안테나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체와, 상기 도체 안테나와 상기 기체를 탑재하는 기판을 가지고, 상기 도체 안테나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도체면은 서로 대략 직각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기판상에 고정되고, 상기 도체 안테나는 상기 도체 안테나의 적어도 일단측이 상기 기체에 고정되고, 상기 꺾임부가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안테나 장치이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기기{ANTENNA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하여, 특히, 복수의 밴드(송수신 대역)에 대응 가능한 안테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등의 무선 통신 기기에 장착하는 안테나 장치의 예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유전체 재료 또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팁 안테나를 기판에 취부하여 이 팁 안테나에 인청 구리로 이루어지는 부가 도체를 접속시킨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안테나 장치는, 팁 안테나를 직접 기판에 취부함으로써, 팁 안테나의 기계적인 신뢰성을 높임과 더불어, 팁 안테나의 상부에 부가 도체의 일단을 접속함으로써, 전기적인 체적을 크게 하여 싱글 밴드에서의 이득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 공개 2005-73024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근년,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신 기기가 급속히 보급되고, 통신에 사용되는 대역도 다방면으로 미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전화에서는, 듀얼 밴드 방식, 트리플 밴드 방식, 쿼드 밴드 방식 등으로 불리듯이, 복수의 밴드(송수신 대역)를 하나의 휴대 전화 기기에 장착하는 예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휴대 전화 등의 내장 안테나 회로를 구성하는 안테나 장치로서 상기와 같은 복수의 밴드(송수신 대역)에 대응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의 안테나 회로는,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신 기기의 더욱 소형화와 멀티 밴드화의 요청에 의해, 안테나 부품의 증가 경향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능과 소형화를 실현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신뢰성을 구비하는 필요성이 생기고 있다. 예를 들면, 기기를 낙하시켜도, 또는 조금 난폭하게 취급해도 파손 등이 없는 안테나 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있다.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안테나 장치에서는, 금속제의 부가 도체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 금속 도체가 외력 등에 의해 결락이나 파손하는 일이 있으면 안된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안테나 장치는, 금속 도체를 부가하지만 싱글 밴드용의 안테나 장치로서, 복수의 밴드(송수신 대역)에 대응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광대역(복수의 밴드)화가 가능하고, 각 밴드 내에서 양호한 이득과 수직 편파의 무지향성을 유지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절약된 공간에서 실현하면서, 안테나 장치의 기계적, 구조적인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일단측에 급전부를 가지고, 타단측을 개방단으로 하고, 꺾임부를 가지는 대략 U자 형상의 도체 안테나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체(基體)와, 상기 도체 안테나와, 상기 기체를 탑재하는 기판을 가지고, 상기 도체 안테나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도체면은 서로 대략 직각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기판상에 고정되고, 상기 도체 안테나는 상기 도체 안테나의 적어도 일단측이 상기 기체에 고정되고, 상기 꺾임부가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안테나 장치이다. 여기에서, 상기 도체 안테나의 일단측은, 상기 기판에도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체 안테나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개방단을, 유전 재료 또는 자성 재료 등의 절연 기체에 근접시켜 조합함으로써 광대역(복수의 밴드)화와 양호한 이득과 수직 편파의 무지향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U자 형상의 도체 안테나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도체면을 서로 대략 직각으로 함으로써, 도체 안테나의 방사 면적을 확보한 채로 높이를 낮게 하고 소형화할 수가 있다. 이것과 더불어 기판의 그랜드 부분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여 그랜드와 직각면이 형성되게 되므로, 용량 결합 발생면이 감소하여, 불필요한 용량 결합이 감소하고 이득 향상과 광대역화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또, 도체 안테나는, 꺾임부를 가지고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도체는 비교적 길이가 장척(長尺) 평판 형상이므로 그 자체의 강성은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이것을 기체 이외의 기판측에도 지지 고정함으로써,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기계적인 강도 향상이 도모되고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체 안테나는, U자 형상에 고집되는 것이 아니고 꺾임부를 가지는 것이라면 된다. 예를 들면 꺾임부를 복수 설치한 E자 형상 등도 가능하다. 이들을 총칭하여 대략 U자 형상이라고 부르고 있다.
본 발명에서 기판과 도체 안테나의 지지 고정은, 상기 도체 안테나에는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걸림부와 대응하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평면끼리 양자를 접합 고정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도체 안테나에,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구멍부를 형성하고 양자를 끼워 넣어 접합 고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고정 구조의 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상기 도체 안테나는, 일단측은, 예를 들면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 도체로 이루어지고, 타단측은 기판의 이면에 형성한, 예를 들면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도체 패턴으로 구성하고, 상기 일단측의 판 형상 도체의 꺾임부 부근의 단부를 기판에 설치한 구멍부 혹은 절결부에 걸리게 하고, 상기 타단측의 도체 패턴과 접합함과 더불어, 당해 도체 안테나를 기판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단측의 판 형상 도체를 기체 및/또는 기판에 지지 고정함과 더불어, 타단측에는 금속 도체 패턴을 접속한다. 이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의 도체 안테나를 형성함과 더불어 안테나 도체를 기판에 조립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판에 설치한 구멍부는 스루홀을 겸용하고, 땜납을 이용해 전기적인 접속과 기계적인 고정이 겸하고 행해진다. 또, 타단측의 도체 패턴은 인쇄 수단 등으로 기판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판의 두께가 있는만큼 용량 결합 성분이 감소하여 대역폭을 넓힐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에서, 상기 도체 안테나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상기 기체를 통해 근접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도체 안테나의 타단부의 개방단과 상기 기체를 접합하여, 상기 기판 및 기체로 지지 고정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U자 형상 도체 안테나의 전계 강도가 강해지는 개방단 위치에 기체가 배치되게 되므로, 각 밴드 내에서 광대역화가 가능하게 되고, 양호한 이득과 수직 편파의 무지향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도체 안테나의 일단부와 꺾임부에 더해, 타단부가 기체에 접속되어 기판과 기체에 의한 3점으로서 지지 고정되므로 안정된 고정 상태가 얻어진다. 이때, 상기 도체 안테나의 일단측의 급전부와 타단측의 개방단은, 기체에 형성된 도체 패턴에 직접, 납땜으로 접속하여 급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접착제를 더해 강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기체는 상기 기판상에 고정되어 상기 도체 안테나의 타단부의 개방단과 상기 기체가 이간한 상태로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기판에 고정된 안테나 장치라도 된다. 이때, 상기 기판에는 제1 도체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기체에는 제2 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도체 패턴을 통해 상기 제2 도체 패턴과 상기 도체 안테나의 타단부의 개방단이 접속되고, 상기 기체에는 제3 도체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는 제4 도체 패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체 안테나의 급전부는, 상기 제3 도체 패턴 및 상기 제4 도체 패턴을 통해 급전되도록 한 안테나 장치로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조와 달리, 기체와 도체 안테나를 서로 이간한 상태로 고정하므로, 기체와 도체 안테나의 어느쪽에 외력 등이 걸렸다고 해도, 서로 그들의 외력이 다른 부재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각각이 영향을 받지 않게 기판상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에서, 상기 기체 및/또는 기판에,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의 도체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의 도체 패턴은, 상기 기판의 상기 기체가 고정되는 면의 이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 도체 패턴은, 상기 도체 안테나의 일단측의 근방에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 도체 패턴을 용이하게 깍음으로써, 예를 들면 GSM 대역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도체 안테나의 상기 꺾임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이 도체 패턴을 깎으므로써, 예를 들면 DCS/PCS/UTMS 대역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체 패턴을 깎아 내기만하면 송수신 주파수의 조정을 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장치로서 조립 후에 주파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기판은, 메인 기판에 접속되는 서브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메인 기판부와는 개별적으로 독립하여 안테나 장치의 조립 생산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정 관리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작업 효율도 향상한다.
또, 상기 서브 기판에는, 케이블 커넥터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기체는, 상기 서브 기판상의 길이 방향의, 상기 케이블 커넥터측의 단부에 탑재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급전측의 단부에 기체가 배치되게 되므로, 기판상의 도체 안테나의 형상이 기체의 형상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안테나 장치를 무선 통신 기기에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무선 통신 기기의 내장 안테나 회로의 공간 절약화가 가능하고, 무선 통신 기기의 케이스 내에서의 안테나 장치의 배치(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당해 무선 통신 기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광대역(복수의 밴드)화가 가능해, 각 밴드 내에서 양호한 이득과 수직 편파의 무지향성을 유지할 수 있고, 기계적인 강도, 신뢰성이 뛰어난 소형의 안테나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안테나 장치를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신 기기에 이용할 경우, 내장 안테나 회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무선 통신 기기의 케이스 내에서의 안테나 장치의 배치(레이아웃) 자유도도 커지고, 당해 무선 통신 기기의 소형화를 쉽게 달성하게 된다. 또, 송수신 주파수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장치를 사용하는 기기에 맞추어 보다 간단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신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송수신 주파수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GSM 대역에서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DCS-UMTS 대역에서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GSM 대역에서의 안테나의 이득 지향 특
성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DCS 대역에서의 안테나의 이득 지향 특
성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PCS 대역에서의 안테나의 이득 지향
특성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UMTS 대역에서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600:안테나 장치
110, 410, 610:기체
111, 112:안테나 고정용 전극
120, 210, 320, 420, 520:도체 안테나
121, 221, 321, 421, 521:일단측의 도체
122, 222, 322, 422, 522:타단측의 도체
121a, 122a, 221a, 222a, 321a, 322a, 421a, 422a, 521a, 522a:단부
121aa, 221aa, 221ab, 224aa, 321aa, 321ab, 324aa, 424aa, 521aa:돌기부
124aa, 324aa, 524aa:걸림부
123, 223, 323, 423:공간
124, 224, 324, 524:꺾임부
124a, 224a, 324a, 524a:제1 꺾임부
124b, 224b, 324b 제2 꺾임부
130, 241, 341, 530:도체 선로
131:케이블 커넥터
140, 440, 540:서브 기판
140a, 140b:취부부
141:동축 케이불
141a, 141b:접속부
142a, 142b, 242aa, 242ab, 242b, 342aa, 342ab, 342b, 542a, 542b:절결부
150, 250, 350:메인 기판
151, 251, 351:급전 포트
221aa, 221ab, 224aa, 321aa, 321ab, 324aa:걸어 맞춤 돌기부
240, 340:탑재 영역
243, 343, 643: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
443:도체 패턴
543:고정 구멍
533:접합용 선로(제1 도체 패턴)
511:안테나 전극(제2 도체 패턴)
512:급전측 전극(제3 도체 파턴)
532:급전용 선로(제4 도체 패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 는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 범위에 관한 발명을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고, 또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의 성립에 필수라고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안테나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그 등가 회로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조립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안테나 장치(100)는, 기체(110), 도체 안테나(120), 도체 선로(130), 케이블 커넥터(131) 등을 구비하고, 이들은 서브 기판(140)에 실제 장착되어 있다. 이 서브 기판(140)에는, 서브 기판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취부부(140a, 140b)가 설치되어 있고 취부부(140a)측에 케이블 커넥터(131)가 실제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서브 기판(14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메인 기판(150)이 구비되어 있다. 이 메인 기판(150)은, 유리 에폭시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무선 통신 기기로서의 휴대 전화에 내장되는 프린트 회로 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을 구성한다. 이 메인 기판(150)에는, 급전 포트(151)가 설치되어 있고, 급전 포트(151)와 케이블 커넥터(131) 사이에는 동축 케이불(141)이 설치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141)에는, 접속부(141a, 141b)가 설치되어 있고, 급전 포트(151)에 동축 케이블(141)의 접속부(141b)를 접속하고, 케이블 커넥터(131)에 동축 케이블(141)의 접속부(141a)를 접속함으로써, 급전 포트(151)로부터 도체 선로(130)까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들의 도전 부재를 통해 도체 안테나(120)는 급전된다.
기체(110)는, 절연 재료 중, 예를 들면 유전 재료 또는 자성 재료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브 기판(140)상에 직접 고정되고, 기체 상면에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 기체의 일측면에 안테나 고정용 전극(11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도체 안테나(120)의 일단측 도체(121)의 단부(121a)와 타단측의 도체(122)의 단부(122a) 사이에 걸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대향하는 도체(121, 122)의 단부(121a, 122a)는, 기체(110)를 통해 용량 결합, 즉 인덕턴스 Lan와 Lbn 사이는, 커패시턴스 Cd가 개재한다. 단, 타단측의 도체(122)의 단부(122a)는 기체에 반드시 접합해 둘 필요는 없고 단부(121a)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기체(110)는, 유전체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나, 실리카, 마그네슘 등을 포함하는 고주파수에서 저손실 세라믹으로 제작되어 있다. 유전 재료를 사용할 경우는, 유전율과 유전 손실이 안테나 특성에 크게 영향을 준다. 또, 제1 실시 형태의 기체(110)는, 사이즈가 5.5㎜×3㎜×2㎜가 되도록 제작되어 있다.
혹은, 유전 재료 이외에 자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해도 된다. 그 경우, 재질로서는 프라나라고 불리는 Z형, Y형 등의 육방정 페라이트, 이들 페라이트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재 등을 이용할 수가 있지만, 페라이트의 소결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Y형 페라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라이트의 소결체는 체적 저 항율이 높고, 도체와의 절연을 도모하는데 유리하다. 체적 저항율이 높은 페라이트 소결체를 이용하면, 도체 사이에 절연 피복을 필요하지 않게 된다. Y형 페라이트는, 1㎓ 이상의 고주파까지 투자율이 유지되고, 1㎓까지의 주파수 대역에서 자기 손실이 작다. Y형 페라이트의 소결체는, Y형 페라이트 단상에 한하지 않고, Z형이나 W형 등 다른 상을 함유하는 것도 괜찮다. 형상과 사이즈는 유전 재료와 동일하게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예를 들면 유전체 재료와 같이 5.5㎜×3㎜×2㎜가 되도록 제작하는 것도 좋다.
또, 기체(110)의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 112)은, 도체 안테나(120)와의 접합면에 전극을 스크린 인쇄하여 형성하고, 도체 안테나(120)와 땜납으로 접합하도록 해도 되고, 보다 강고하게 접합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병용해도 된다.
도체 안테나(120)는, 판금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대향하는 도시 하방의 일단측 도체(121)의 평면과 도시 상방의 타단측 도체(122)의 평면이 대략 직각이 되도록 꺾임부(124)에서 구부려져 있다. 그리고, 일단측의 도체(121)의 단부(121a)가 급전측이 되고, 급전 포트(151)로 접속되어 타단측의 도체(122) 단부(122a)가 개방단측이 되고, 기체(120)의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의 일부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급전측은 단부(121a)가 아니라도 단부(122a)측이라도 상관없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도 동일하다. 그 경우, 단부(122a)는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을 통해 급전 포트(151)에 접속되어 타단측의 도체(122)의 단부(121a)가, 개방단측이 된다. 또, 일단측의 도체(121)와, 타단측의 도체(122) 사이는 이간하고, 띠 형상의 공간(12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체 안테나(120)는, 고정했을 때에 타단측의 도체(122)가, 서브 기판(140)에서 볼때 기체(110)보다 떨어진 거리에서 서브 기판(140)과 평행 혹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단부(122a)의 일부가 구부러져 있다.
꺾임부(124)는, 제1 꺾임부(124a)와, 제2 꺾임부(124b)로 이루어지고, 제1 꺾임부(124a)는, 일단측의 도체(121)와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타단측의 도체(122) 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성장하고, 제2 꺾임부는, 타단측의 도체(122)와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일단측의 도체(121) 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성장하고 양쪽 꺾임부(124a, 124b)는, 연장시키고 접촉하는 위치에서 직각을 형성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체 안테나(120)의 일단측의 도체면과 타단측의 도체면을 서로 대략 직각으로 함과 더불어, 단부(121a)를, 기체(110)의 안테나 고정용 전극(112)에 접합하여, 다른쪽의 단부(122a)를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에 접합한다(단, 단부(122a)의 접합은 필수는 아니다). 따라서, 도체 안테나 중 일단측의 도체(121)에 대해서는, 메인 기판(150)의 그랜드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있고, 또한 그랜드와 직각인 도체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용량 결합면이 감소하여, 불필요한 용량 결합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대역폭을 넓힐 수가 있다.
도체(121, 122)는, 공간(123)을 통해 용량 결합, 즉 인덕턴스 La1과 Lb1, La2와 Lb2,…, Lan와 Lbn 사이는, 커패시턴스 Ca1, Ca2,…, Ca(n-1)가 개재된다. 따라서, 이 공간(123)은, 적어도 용량 결합이 생각될 정도의 간격이다. 단, 도체(121, 122)와 접지 사이는, 커패시턴스 Cb1, Cb2, Cb3,…, Cbn, Cb(n+1)가 개재된다. 이 도체 안테나(120)는, 예를 들면 인청 구리, 구리, 42니켈 등으로 이루어 지는 판금으로 제작되어 있지만, 저항값을 작게 하고 안테나로서의 이득을 크고 또한 손실을 작게 하기 위해, 표면에 금 도금 혹은 은 도금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서브 기판(140)은, 취부부(140a, 140b)를 도시하지 않는 케이스에 나사 멈춤에 의해 고정되어 취부부(140a)가, 케이스의 그라운드와 접속되어,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 서브 기판(140)상의 취부부(140a)측에, 도체 선로(130), 케이블 커넥터(131)가 실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서브 기판(140)에, 기체(110)와 도체 안테나(120)가 탑재된다.
이 안테나 장치(100)는, 각각 다른 송수신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체 안테나(120)의 (꺾임) 전장(全長)분 (GSM 대의 1/4 파장)이 GSM 대(900㎒대), 도체 안테나(120)의 반장(半長)분(DCS 대와 PCS 대의 대략 1/4 파장)이 DCS 대(1700㎒대) 및 PCS 대(1800㎒대) 및 UMTS 대(2200㎒대)를, 각각 송수신 주파수 대역으로서 가지고 이것에 의해 쿼드 밴드 방식의 안테나 장치(100)를 실현한다. 이와 같이, 도체 안테나(120)의 전장분 (GSM 대의 1/4 파장)은, 제일 낮은 주파수 대역인 GSM 대를 그 송수신 주파수 대역으로서 가진다. 도체 안테나(120)의 반장분 (DCS 대와 PCS 대의 대략 1/4 파장)은, DCS 대와 PCS 대라는 2개의 다른 근접한 주파수 대역을 그 송수신 주파수 대역으로서 가진다. 또, 도체 안테나(120)의 일단측의 도체(121) 단부(121a)와 타단측의 도체(122) 단부(122a)를 포함하는 기체(110)부는, DCS 대/PCS 대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인 UMTS 대를 그 송수신 주파수 대역으로서 가진다.
단, 제1 실시 형태의 도체 안테나(120)는, 두께 0.3㎜의 인청 구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금으로 제작되어 있고, 저항값을 작게 하고 안테나로서의 이득을 크고 또한 손실을 작게 하기 위해, 표면에 금 도금 등이 실시되어 있다. 일단측의 도체(121)의 폭과 타단측의 도체(122)의 합계폭이 넓을수록 방사 효율이 높고 광대역으로 할 수 있지만, 너무 폭을 넓게 하면 그라운드와의 대향 면적이 증가하고 실질 거리가 가까워져 오히려 대역폭 BW나 이득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대역폭 BW의 협대역화(狹帶域化)나 이득 저하가 그다지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체의 폭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여기에서는 일단측의 도체(121)의 폭은, 타단측의 도체(122)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의해 GSM 대역(900㎒) 등의 저역측을 고이득으로 할 수가 있다. 한편, DCS 대(1700㎒대), PCS 대(1800㎒대), UMTS 대(2200㎒대) 등의 고역측을 고이득으로 하고 싶을 경우는, 일단측의 도체(121)의 폭은, 타단측의 도체(122)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저역측과 고역측에서 이득에 치우침이 생기지 않도록 일단측의 도체(121)와 타단측의 도체(122)의 폭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도체 안테나의 고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안테나 장치(100)를 조립할 때, 우선 기체(110)를, 접합면에 형성된 도체박을 통해 납땜으로 서브 기판(140)상에 직접 고정한다. 이 서브 기판(140)에는, 도체 안테나(120)를 고정하기 위한, 안테나 고정부에서 절결부(142a, 142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체 안테나(120)의 단부(121a)는, 절결부(142a)와 걸어 맞춘 돌기부(121aa)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도체(121)의 제1 꺾임부(124a)의 하단 측에는 상기 기판측의 절결부(142b)에 걸어 맞춘 걸림부(124a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 전방측으로부터, 도체 안테나(120)의 돌기부(121aa)와 걸림부(124aa)를 절결부(142a, 142b)에 맞춰 끼워 넣게 함으로써, 도체 안테나(120)는 서브 기판(140)에 장착된다. 그리고, 도체 안테나(120)의 돌기부(121aa)와 걸림부(124aa)를 절결부(142a, 142b)에 각각 땜납으로 접합하여, 도체 안테나(120)는, 그 일단측과 꺾임부가 서브 기판에 고정된다. 또한 본예로서는, 타단측 도체의 단부(122a)를, 이미 고정되어 있는 기체(110)의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에 땜납으로 접합함으로써 서브 기판(140)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단, 돌기부(121aa)는, 절결부(142a)에 접합되었을 때에, 기체(110)의 안테나 고정용 전극(112) 및 도체 선로(130)와 접촉하여 접합하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100)에서는, 도체 안테나(120)가, 기체(110)에 접합되는 것 이외에, 돌기부(121aa) 및 걸림부(124aa)의 부분이 서브 기판(140)상에 고정되게 되고, 서브 기판(140)상에서 3점 지지를 받게 되어 있다. 또한 본예에서는, 도체 안테나(120)의 단부(122a)는, 기체(110)상에 고정되므로, 기체(110)에는 도체 안테나(120)의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도체 안테나(120)의 다른 2점이 서브 기판(140)상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도체 안테나(120)의 타단측의 도체(122)를, 꺾임부(124)측을 고정단으로 하고, 단부(122a)를 자유단으로 하는 외팔보로서 생각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단부(122a)는, 타단측의 도체(122)로부터 기체(110)측을 향해 구부러져 있고, 이 기체(110)에 작용하는 하중은, 기체(110)를 하방향, 즉 서브 기판(140)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100)에서는, 기체(110)와 도체 안테나(120)를 안정적이고 강고하게 고정하여 풀리기 어렵게 하고, 기계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100)에서는, 기체(110)의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은, 도체 안테나(120)의 단부(122a)와, 일부분만 접합하는 형태가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체(110)가 서브 기판(140)상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도 5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110)에 형성된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의 일부를 깎는 등의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을 깎기만 하면, 안테나 장치(100)의 특히 GSM 대역에서의 송수신 주파수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100)의 성능에 대해 도 6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서술한다. 도 6은, 안테나 장치(100)의 GSM 대역에서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안테나 장치(100)의 DCS-UMTS 대역에서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8 내지 도 11은, 안테나 장치(100)의 GSM, DCS, PCS, UMTS 각각의 대역에서의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이득 지향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b), (c)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GSM 대역에서의 안테나 특성 중, 안테나의 입체적인 지향성을 3차원의 XYZ축을 기준으로 XY면 YZ면 ZX면의 단면에서 2차원적으로 안테나의 지향성을 중심점으로부터 분포하는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도 6(a)에 나타낸 E2-plane가 XY면, 도 6(b)에 나타낸 E1- plane이 YZ면, 도 6(c)에 나타낸 H-plane이 ZX면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중심점으로부터 분포하는 곡선은, 중심점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클수록, 지향성 또한 이득이 높고, 중심점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똑같이 분포하여, (진)원에 가까울수록, 지향성 또한 이득의 떨어짐없이 균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중,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단말에 탑재되는 안테나로서는, 도 6(c)에 나타낸 ZX면의 안테나의 지향성이 중요하고, 이 ZX면에서 이득이 최대가 되고, 균일한 이득, 지향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서브 기판(140)의 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균일한 이득, 지향성을 얻을 수 있는지 나타낸다.
즉, 서브 기판(140)에 대해 그 둘레 방향에서 어느 정도 균일한 이득, 지향성을 얻을 수 있는지 나타낸다. 휴대 전화 단말에서는, 얇고 긴 단말 기기의 케이스의 직사각형 방향에 따라 서브 기판(140) 및 이 서브 기판(140)과 접속하는 메인 기판(150)이 배치되게 되므로, 단말 기기의 케이스의 둘레 방향에 대해 얼마나 균일한 이득, 지향성을 얻을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 이와 같이 단말 기기의 케이스의 둘레 방향에 대해 균일한 이득, 지향성을 얻을 수 있으면, 케이스 내의 금속 부위의 배치에 따라 지향성이 제어하기 쉬워지므로, 이와 같은 ZX면에서 수직 편파의 지향성의 균일화(무지향성)가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ZX면에서의 수직 편파의 지향성을 나타낸 곡선이 중심점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똑같이 분포하여, (진)원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도 6(c)에 나타낸 ZX면의 데이터에서는, 수직 편파의 지향성을 나타낸 곡선 Vertical은, 0.00 부근에서 똑같은 원(진원)을 나타내고, 도면 중의 X인 가로축 방향에서의 이득의 떨어짐은 보이지 않고, 균일한 지향성 또한 이 득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a), (b), (c)는,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100)의 DCS-UMTS 대역에서의 안테나 특성 중, 안테나의 지향성을, 도 6(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체(3차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c)에 나타낸 ZX면의 안테나 지향성의 데이터에서는, 본 실시예의 안테나 장치(11)에서는, 수직 편파의 지향성을 나타낸 곡선 Vertical은, 거의 원을 나타내고 이득의 떨어짐이 적고, 실용하는데 필요 충분한 지향성 또한 이득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100)의 지향성 이득 중, GSM 대역에서의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이득 지향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도 8(a), (b), (c)는, GSM-Tx(GSM 대역의 송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E2-plane, E1-plane, H-plane에서의 각각 지향성 이득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8(d), (e), (f)는, GSM-Rx(GSM 대역의 수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E2-plane, E1-plane, H-plane에서의 각각의 지향성 이득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GSM의 송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895.5㎒, 수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940.5㎒이다.
도 8(c), (f)에 나타낸 H-plane의 데이터에서는, 수직 편파의 지향성을 나타낸 곡선 Vertical은, 0.00 부근에서 똑같은 원(진원)을 나타내고, 도중의 X인 세로축 방향에서의 이득의 떨어짐은 볼 수 없다. 즉, 이 안테나 장치(100)에서는, GSM 대역에서의 송신 대역 및 수신 대역에서도 균일한 지향성 또한 이득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100)의 지향성 이득 중, DCS 대역에서의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이득 지향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도 9(a), (b), (c)는, DCS-Tx(DCS 대역의 송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E2-plane, E1-plane, H-plane에서의 각각의 지향성 이득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9(d), (e), (f)는, DCS-Rx(DCS 대역의 수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E2-plane, E1-plane, H-plane로의 각각의 지향성 이득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DCS의 송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1747.5㎒, 수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1842.5㎒이다.
도 9(c), (f)에 나타낸 H-plane의 데이터에서는, 수직 편파의 지향성을 나타낸 곡선 Vertical은, 부분적으로 널(Null)점을 가지고 있지만 수평 편파의 지향성을 나타낸 곡선 Horizontal이 그 점을 보완한다. 이것에 의해 양자를 합성한 것은 거의 원을 나타내고, 도중의 X인 세로축 방향에서의 이득의 떨어짐도 적다. 즉, 이 안테나 장치(100)에서는, DCS 대역에서의 송신 대역 및 수신 대역에서도, 실용하는데 필요 충분한 지향성 또한 이득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100)의 지향성 이득 중, PCS 대역에서의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이득 지향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도 10(a), (b), (c)는, PCS-Tx(PCS 대역의 송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E2-plane, E1-plane, H-plane에서의 각각의 지향성 이득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d), (e), (f)는, PCS-Rx(PCS 대역의 수신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E2-plane, E1-plane, H-plane에서의 각각의 지향성 이득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1 실시 형 태에서는, PCS의 송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1880㎒, 수신 대역의 중심 안파수는 1960㎒이다.
도 10(c), (f)에 나타낸 H-plane의 데이터에서는, 수직 편파의 지향성을 나타내는 곡선 Vertical은, 부분적으로 널점을 가지지만 수평 편파의 지향성을 나타내는 곡선 Horizontal이 그 점을 보완한다. 이것에 의해 양자를 합성한 것은 거의 원을 나타내고 도중의 X인 세로축 방향에서의 이득의 떨어짐도 적다. 즉, 이 안테나 장치(100)에서는, PCS 대역에서의 송신 대역 및 수신 대역에서도, 실용하는데 필요 충분한 지향성 또한 이득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100)의 지향성 이득 중, UMTS 대역에서의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이득 지향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도 11(a), (b), (c)는, UMTS-Tx(UMTS 대역의 송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E2-plane, E1-plane, H-plane에서의 각각의 지향성 이득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d), (e), (f)는, UMTS-Rx(UMTS 대역의 수신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E2-plane, E1-plane, H-plane에서의 각각의 지향성 이득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UMTS의 송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1950㎒, 수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2140㎒이다.
도 11(c), (f)에 나타내는 H-plane의 데이터에서는, 수직 편파의 지향성을 나타내는 곡선 Vertical은, 거의 원을 나타내고 도중의 X인 세로축 방향에서의 이득의 떨어짐도 적다. 즉, 이 안테나 장치(100)에서는, UMTS 대역에서의 송신 대역 및 수신 대역에서도, 실용하는데 필요 충분한 지향성 또한 이득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제 장착 구성에 의해, 기체(110) 및 도체 안테나(120)와 메인 기판(150)의 그라운드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기체(110) 및 도체 안테나(120)에 의해, 상술하는 것 같은 광대역, 고이득 안테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2,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조립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의 같은 부분에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안테나 장치(200)는, 기체(110), 도체 안테나(220), 도체 선로(230) 등을 구비하여 이들 부재는, 메인 기판(250)에 설치된 탑재 영역(240)에 실제 장착되어 있다. 이 메인 기판(250)은, 제1 실시 형태의 메인 기판(150)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급전 포트(251)와 도체 선로(2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급전 포트(251)로부터, 도체 선로(241)와 안테나 고정용 전극(11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도전 부재를 통해 도체 안테나(220)는 급전되어 있다.
도체 안테나(220)는, 금속제(두께 0.3㎜의 인청 구리)의 박판재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대향하는 도시 하방 일단측의 도체(221)의 평면과 도시 상방의 타단측의 도체(222)의 평면이 대략 직각이 되도록 꺾임부(224)에서 구부 러져 있다. 그리고, 일단측의 도체(221)의 단부(221a)가 급전측이 되어, 급전 포트(251)로 접속되고, 타단측의 도체(222)의 단부(222a)가, 개방단측이 되고, 기체(220)의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의 일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체(221, 222) 사이는 이간되어 있고, 띠 형상의 공간(22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체 안테나(220)는, 고정했을 때에 도체(222)가, 실제 장착 영역(240)으로부터 보고 기체(110)와 거의 같은 거리로 실제 장착 영역(240)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꺾임부(224)는, 제1 꺾임부(224a)와 제2 꺾임부(224b)에 의해 대략 구성된다. 제1 꺾임부(224a)는, 도체(221)와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도체(222) 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늘어나고, 제2 꺾임부는 타단측의 도체(222)와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일단측의 도체(221) 방향을 향해 직각으로 늘어나고, 양쪽 꺾임부(224a, 224b)는, 연장시켜 만나는 위치에서 직각을 형성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 꺾임부(224)의 형상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안테나(220)의 단부(221a)를, 기체(210)로부터 우회시켜 안테나 고정용 전극(112)에 접합해, 단부(222a)를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에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200)의 조립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안테나 장치(200)를 조립할 때, 우선 기체(110)를 실제 장착 영역(240)상에 직접 고정하고, 도체 안테나(220)를 고정한다. 이 실제 장착 영역(240)에는, 도체 안테나(220)를 고정하기 위한, 스루홀에 의해 구성된 안테나 고정 구멍(242aa, 242ab, 242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체 안테나(220)의 단부(221a) 의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 구멍(242aa, 242ab)과 걸어 맞춘 돌기부(221aa, 221ab)가 설치되어 있다. 또, 고정 구멍(242b)에는, 도체 안테나(220)의 일단측의 도체(221)와 제1 꺾임부(224a)가 구부러져 있는 부분인 도시 하단측에, 돌기부(224a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 상방측으로부터, 도체 안테나(220)의 돌기부(221aa, 221ab, 224aa)를 고정 구멍(242aa, 242ab, 242b)에 맞춰 끼워 넣게 함으로써, 도체 안테나(220)는 실제 장착 영역(240)에 장착된다. 그리고, 도체 안테나(220)의 돌기부(221aa, 221ab, 224aa)를, 고정 구멍(242aa, 242ab, 242b)에 각각 땜납으로 접합하고, 단부(222a)를, 이미 고정되어 있는 기체(110)의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에 땜납으로 접합함으로써, 도체 안테나(220)는, 실제 장착 영역(240)에 고정된다. 또한, 돌기부(221aa)는, 고정 구멍(242aa)에 접합할 때에, 기체(110)의 안테나 고정용 전극(112) 및 도체 선로(241)와 접촉 접합하는 형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200)에서는, 도체 안테나(220)가, 실제 장착 영역(240)상에, 일단측을 기체에 접합한 외에, 돌기부(221aa, 221ab, 224aa)와 단부(222a)의 4점으로 고정되게 되고, 실제 장착 영역(240)상에 4점 지지를 받게 된다.
또한, 도체 안테나(220)의 단부(222a)는, 실제 장착 영역(240)상에 직접 고정되어 있는 기체(110)상에 고정되므로, 이 기체(110)에는 도체 안테나(220)의 하중이 작용되게 된다. 이때, 도체 안테나(220)는, 돌기부(224aa)가 실제 장착 영역(240)상에 고정 지지를 받고 도체(222)가 실제 장착 영역(240)에 대해, 실제 장 착 영역(240)으로부터 안테나 고정용 전극(111)까지의 거리와 거의 같은 거리만 떨어져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타단측의 도체(222)는, 기체(110)와 돌기부(224aa)에 의해 지지를 받고 양단 지지보로서 생각할 수가 있고, 타단측의 도체(222)로부터 기체(110)에, 기체(110)를 벗기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은, 돌기부(224aa)에 의해 분산되어 약 반으로 경감된다.
또, 제2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200)에서는, 실제 장착 영역(240)의 기체(110) 등이 탑재되는 면의 이면에,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243)(점선으로 표시)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243)은, 안테나 고정부(242b)를 통해 돌기부(224aa)에 접속되어 있고, 이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243)의 일부를 깎는 등의 가공을 행함으로써, 안테나 장치(200)의, 특히 DCS/PCS/UMTS 대역에서의 송수신 주파수 조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100)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질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4,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조립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제1, 제2 실시 형태의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해, 그 설명은 생략한다.
안테나 장치(300)는, 기체(110), 도체 안테나(320), 도체 선로(341) 등을 구비하고, 이들의 부재는 메인 기판(350)에 설치된 탑재 영역(340)에 실장되어 있다. 이 메인 기판(350)은, 제1 실시 형태의 메인 기판(150)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급전 포트(351)와 급전선(341)이 설치되어 이 급전 포트(351)로부터, 도체 선로(341)를 통해 도체 안테나(320)는 급전되어 있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300)의 조립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안테나 장치(300)에서는, 실제 장착 영역(340)에는, 도체 안테나(320)를 고정하기 위한 절결부(342aa, 342ab, 342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체 안테나(320)의 단부(321a)의 선단에는, 상기 절결부(342aa, 342ab)와 걸어 맞추는 돌기부(321aa, 321a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절결부(342b)에는, 도체 안테나(320)의 일단측의 도체(321)와 제1 꺾임부(324a)가 꺽어져 있는 부분인 도시 하단측에, 돌기부(324a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테나 장치(300)의 도체 안테나(320)는, 절결부(342aa, 342ab, 342b)는 절결로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에 돌기부(321aa, 321ab, 324a)를 걸어 맞추기만 하면 장착할 수가 있다. 도시 전방측 혹은 도시 상방측으로부터 끼워 넣을 수 있다. 즉, 안테나 장치(300)에서는, 도체 안테나(320)를 장착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가 있고, 장착하기 쉬운 방향으로부터 장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형태로 고정되게 된다.
또, 제3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300)에서는, 실제 장착 영역(340)의 기체(110) 등이 탑재되는 면의 이면에,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343)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343)은, 절결부(342aa, 342ab)를 통해 돌기부(321aa, 321ab)에 접속되어 있고, 이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343)의 일부를 깎는 등의 가공을 행함으로써, 안테나 장치(300)의, 특히 GSM 대역에서의 송수신 주파수 조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100)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질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6,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제4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조립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와 상기 실시 형태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안테나 장치(400)는, 기체(110), 도체 안테나(420), 도체 패턴(443) 등을 구비하여 서브 기판(440)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 기판(440)은, 제1 실시 형태의 서브 기판(140)과 같은 것이면 되지만, 도체 선로, 케이블 커넥터, 양단부의 취부부는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또, 메인 기판에서의 실시 형태와 같은 재질과 구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메인 기판측의 급전 포트로부터 서브 기판측의 도체 선로까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들의 도전 부재를 통해 도체 안테나(420)는 급전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안테나(420)는, 금속제(두께 0.3㎜의 인청 구리)의 박판재에 의해 형성한 일단측의 도체(421)와, 서브 기판의 이면에 금속박(구리)을 인쇄 등으로 형성한 도체 패턴(443)(일점 쇄선으로 표시)에 의해 형성한 타단측의 도체(422)로 이루어지고, 일단측의 도체(421)의 꺾임부(424)와 도체 패턴(443)을 접속하여 대략 U자 형상의 도체 안테나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일단측의 도 체(421)의 평면과 타단측의 도체(422)의 평면은 대략 직각으로 되어 있고, 일단측의 도체(421)의 단부(421a)가 급전측이 되고, 급전 포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타단측의 도체 패턴(443)의 단부(422a)가 개방단측으로 되어 있다. 또, 도체(421, 422) 사이는 서브 기판을 통해 이간되어 있고, 이 사이에 띠 형상의 공간(4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공간(423)을 크게 설정하여, 일단측의 도체(421)의 선단 돌기부(421aa)에 꺾임부를 설치해 이 공간 내에 늘어나는 다른 도체를 구성한 실시 형태 등을 설정할 수도 있다.
안테나 장치(400)를 조립할 때는, 우선 기체(110)를 서브 기판(440)의 소정 위치에 직접 땜납 등으로 고정한다. 서브 기판(44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스루홀에 의해 구성된 안테나 고정 구멍(442b)이 설치되고, 스루홀 고정 구멍(442b)으로 이어지는 이면에는 구리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체 패턴(443)을 인쇄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체 안테나(420)의 단부(421a)의 선단부에는, 돌기부(421aa)가 되고, 다른쪽 단측의 꺾임부의 단부(424a)에도 돌기부(424aa)를 형성한다. 따라서, 일단측의 도체(421)의 돌기부(424aa)를 고정 구멍(442b)에 맞추어 끼워 넣고, 도체 패턴(443)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땜납으로 접합한다. 이때, 혹은 그 후에, 다른쪽의 돌기부(421aa)와 단부(421a)의 부분을 기체(110)의 안테나 고정용 전극(112, 113)에 접속하고, 땜납으로 접합한다. 도체 안테나(420)는, 일단측의 도체(421)와 타단측의 도체(422)는 대략 U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기체(110)와 서브 기판(440)의 양쪽에 설치 고정된다. 또한, 서브 기판에, 일단측의 도체(421)의 돌기부(421aa)를 끼워 넣기 위한 고정 구멍을 설치하고, 일단측의 도체(421)도 기판 에 끼워 삽입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와 같은 작용·효과를 가질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8,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제5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조립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와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형상의 참조 부호를 부여해, 그 설명은 생략한다.
안테나 장치(500)는, 기체(110), 도체 안테나(520), 도체 선로(530) 등을 구비하고, 이들의 부재는 서브 기판(540)에 실제 장착되어 있다. 이 서브 기판(540)은,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메인 기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구비되어,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취부부(140a, 140b)가 설치되어 있고, 취부부(140a)측에 케이블 커넥터(531)가 실장되어, 떨어진 메인 기판과는 동축 케이블(141)로 접속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110) 상면으로부터 기체(110)의 일측면에 걸쳐 안테나 전극(제2 도체 패턴)(511)이 설치되고, 기체(110)의 일측면에 급전측 전극(제3 도체 패턴)(51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 전극(제2 도체 패턴)(511)은, 후술하는 도체 안테나(520)의 타단측의 도체(522)의 단부 개방단(522a)과 접합용 선로(제1 도체 패턴)(533)를 통해 접합되고, 급전측 전극(제3 도체 패턴)(512)은, 도체 안테나(520)의 일단측의 도체(521)의 단부 급전부(521a)와 급전용선로(제4 도 체 패턴)(532)를 통해 접합된다. 이들에 의해, 기체(110)는, 도체 안테나(520)의 일단측의 도체(521)의 단부 급전부(521a)와 타단측의 도체(522)의 단부(522a)에, 급전용 선로(제4 도체 패턴)(532), 접합용 선로(제1 도체 패턴)(533)를 통해 각각 접합하는 안테나 전극(제2 도체 패턴)(511), 급전측 전극(제3 도체패턴)(512) 사이에 걸쳐, 간접적으로 접합되게 되고, 대향하는 도체(521, 522)의 단부측은, 기체(110)를 통해 용량 결합한다.
도체 안테나(520)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일단측의 도체(521)의 평면과 타단측의 도체(522)의 평면이 대략 직각이 되도록 꺾임부(524)에서 구부러지고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측의 도체(521)의 단부(521a)가 급전측이 되고, 급전용 선로(제4 도체 패턴)(532), 급전측 전극(제3 도체 패턴)(512), 도체 선로(530), 케이블 커넥터(531)를 거쳐 급전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또, 타단측의 도체(522)의 단부(522a)가 개방단측이 되고, 기체(110)의 안테나 전극(제2 도체패턴)(511)과 접합용 선로(제1 도체 패턴)(533)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안테나 장치(500)를 조립할 때는, 우선 기체(110)를, 서브 기판(540)의 소정 위치에서 납땜으로 직접 고정하고, 또한 도체 안테나(520)를 서브 기판(540)상에, 기체(110)와 접촉시키지 않는 형태로, 납땜으로 고정한다. 이 서브 기판(540)에는, 도체 안테나(520)를 고정하기 위한, 절결부(542a, 542b)와 고정 구멍(543)이 설치되어 있다. 일단측의 도체(521)의 단부(521a)는, 절결부(542a)와 걸어 맞추는 돌기부(521aa)로서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542b)에는, 제1 꺾임부(524a)의 하단측의 걸림부(524aa)가 맞아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타단측의 도체(522)의 단 부(522a)는, 고정 구멍(543)으로 끼워 넣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부(521aa)와 걸림부(524aa)를 절결부(542a, 542b)에 맞추어 넣고, 단부(522a)를 고정 구멍(543)으로 끼워 삽입시킴으로써, 도체 안테나(120)는 서브 기판(540)으로 장착된다. 이때, 혹은 그 후, 도체 안테나(520)의 돌기부(521aa)와 걸림부(524aa)를 절결부(542a, 542b)에 각각 땜납으로 접합하고, 단부(522a)를 고정 구멍(543)으로 땜납으로 접합함으로써, 도체 안테나(520)는 서브 기판(540)에 고정된다. 또한, 돌기부(521aa)는, 절결부(542a)에 접합되었을 때에 급전 선로(532)와 접촉하는 형태가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도체(522)의 단부(522a)는, 고정 구멍(543)에 접합되었을 때에 접합용 선로(533)와 접촉하는 형태가 되어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500)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와 같은 작용·효과를 가질 수가 있다. 또한, 기체(110)와 도체 안테나(520)가, 서브 기판(540)상에 개별적으로 고정되므로, 서로 역학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형태가 된다. 그 때문에, 기체(110)에 가해진 외력은, 도체 안테나(520)에는 전달되지 않고, 반대로 도체 안테나(520)에 가해진 외력은, 기체(110)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기체(110)는, 서브 기판(540)상에 직접 고정되어 있고 도체 안테나(520)는, 돌기부(521aa)와 걸림부(524aa)와 단부(522a)의 3점에서 고정되게 되고, 서브 기판(540)상에서 3점 지지되게 된다. 또, 이 안테나 장치(500)에서는, 기체(110)와 도체 안테나(520)를 개별적으로 탑재할 수가 있으므로, 탑재하기 쉽게 순서를 자유롭게 교환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조립도 하기 쉽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 도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특징적인 부분인 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는, 제1~5의 실시 형태와 기체가 다른 이외는 대략 같은 구성을 가진다. 그래서, 같은 부분에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6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600)에서는, 기체(610)에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643)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0(a)에서는, 기체(610)의 상면으로부터 일측면에 걸쳐,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64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643)은, 기체(610)의 상면의, 도체 안테나의 타단측의 단부(122a)가 접합된 측으로부터, 상면 타단측을 향해 늘어나고 그 외단측에서 일측면측으로 구부러진 후, 일측면의 단부를 향해 늘어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기체(610)에서는,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643)을 가능한 한 길게 설치한다.
도 20(b)은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여기에서는 기체(610')의 상면으로부터 일측면을 걸쳐,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64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643')은, 기체(610')의 상면의 중앙부에서 일측면측에 구부러진 후, 일측면상의 타단측을 향해 늘어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기체(610')에서는,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643')을 같은 방향으로 2개의 면에서 연장시킨다.
그리고, 이들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 패턴(643)의 일부를 깎는 등의 가공을 행함으로써, 안테나 장치(600)의, 특히 GSM 대역에서의 송수신 주파수 조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에 의하면, GSM 대, DCS/PCS 대, UMTS 대를 포함한 광대역(쿼드 밴드)화가 가능하고, 각 밴드 내에서 양호한 이득과 수직 편파의 무지향성을 유지할 수가 있는 내장 안테나 장치를 절약된 공간으로 실현할 수가 있다. 그리고, 구조적 특징으로서 예를 들면 형상의 자유도가 높은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U자 형상의 도체 안테나로 안테나를 소형화할 수 있는 세라믹 유전체 혹은 세라믹 자성체 등의 절연성 기체를 부가함으로써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고, 설계의 자유도를 얻을 수 있다. 또, 한장의 판금의 도체 안테나에 1개의 세라믹 유전체 혹은 세라믹 자성체의 기체를 부가함으로써 복수의 밴드에 대응할 수 있고, 다른 밴드마다 안테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공간 절약도 된다.
또, 세라믹 유전체 혹은 세라믹 자성체의 기체는, 방사 전극과 접지 도체 사이가 아니고, 꺾임부를 가지는 판금의 도체 안테나의 전극 사이의 전계 강도가 강해지는 위치(판금의 선단과 급전부 근처의 사이에) 부가되어 있으므로, 다주파화, 광대역화할 수 있다. 또, 판금의 도체 안테나는, 접지 도체에 대해 수직이나 혹은 수직 부분이 많아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지 도체 사이에서의 정전 용량이 감소하여, 방사 효율 향상, 광대역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기능적 특징으로서 유전체만의 안테나보다 2배의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이득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세라믹 유전체 혹은 세라믹 자성체의 기체를 부가함으로써 파장 단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세라믹 유전체를 사용하여 유전율을 크게 함으로써 다른 밴드로부터의 영향을 작게 하고 지향성의 왜곡이나 VSWR의 악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판금 안테나나 수지상에 도체박을 붙이는 타입의 안테나보다 유전율을 크게 할 수 있고, 세라믹 유전체를 소형화함으로써, 금속판의 도체 안테나와 접지 사이의 실효적인 정전 용량을 줄이고 방사 효율 향상 및 광대역화를 할 수 있다. 또, 판금의 도체 안테나와 노이즈원의 실효적인 거리를 두게 되므로 S/N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두께나 폭이 있는 판금의 도체 안테나를 설치함으로써 전파의 방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구부러진 판금의 도체 안테나의 길이와 세라믹 유전체의 유전율이나 배치하는 위치에 의해 복수의 공진 주파수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대략 U자 형상의 안테나는 판금이 아니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판금이면, 비교적 형상의 자유도가 있고,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기판상에 직접 고정한 기체와 접합하는 도체 안테나를 기판에 고정한다. 그 때문에, 도체 안테나는 기판상의 복수의 점으로 지지되게 되고, 기체에 작용하는 도체 안테나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가 있다. 또, 구성에 따라서는, 도체 안테나로부터 기체에, 기체 자신을 기판을 향해 가압하는 하중을 작용시키는 일도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체 안테나는 기판상의 복수의 점에서 지지를 받게 되므로 안정성을 유지한 채로 고정할 수가 있고, 보 다 긴 도체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기판상에 직접 고정되는 기체는, 접합된 도체 안테나로부터 작용하는, 기체를 벗기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경감할 수가 있으므로, 안정성을 유지한 채로 고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안테나 장치가, 기체의 박리 등에 의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기계적인 신뢰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안테나는, 도체 선로로부터 직접 급전되어 있지만, 본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기체에 도체 패턴을 설치하고 이 도체 패턴을 도체 선로와 접속시켜, 기체의 도체 패턴을 통해 도체 안테나의 단부에 급전해도 상관없다. 또, 본원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 기판은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었지만, 본원의 서브 기판은, 메인 기판에 고정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에 한하지 않고, GPS나 무선 LAN 등 다양한 무선 통신기기의 안테나로서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11)

  1. 일단측에 급전부를 가지고, 타단측을 개방단으로 하고, 꺾임부를 가지는 대략 U자 형상의 도체 안테나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체(基體)와, 상기 도체 안테나와 상기 기체를 탑재하는 기판을 가지고, 상기 도체 안테나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도체면은 서로 대략 직각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기판상에 고정되고, 상기 도체 안테나는, 상기 도체 안테나의 적어도 일단측이 상기 기체에 고정되고, 상기 꺾임부가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안테나의 일단측은, 상기 기판에도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안테나에는,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안테나에는, 상기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안테나는, 일단측은 판 형상 도체로 이루어지고, 타단측은 기판의 이면에 형성한 도체 패턴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단측의 판 형상 도체의 꺾임부 부근의 단부를 기판에 형성한 구멍부 혹은 절결부에 걸리게 하고, 상기 타단측의 도체 패턴과 접합함과 더불어, 당해 도체 안테나를 기판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안테나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상기 기체를 통해 근접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도체 안테나의 타단부의 개방단과 상기 기체를 접합하여, 상기 기판 및 기체에 지지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상기 기판상에 고정되고, 상기 도체 안테나의 타단부의 개방단과 상기 기체가 이간된 상태로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제1 도체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기체에는, 제2 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도체 패턴을 통해 상기 제2 도체 패턴과 상기 도체 안테나의 타단부의 개방단이 접속되고,
    상기 기체에는 제3 도체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는 제4 도체 패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체 안테나의 급전부는, 상기 제3 도체 패턴 및 상기 제4 도체 패턴을 통해 급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및/또는 기판에는, 송수신 주파수 조정용의 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메인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서브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10에 기재된 안테나 장치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기.
KR1020087030059A 2006-05-31 2007-05-30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기기 KR101320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52670 2006-05-31
JPJP-P-2006-152670 2006-05-31
PCT/JP2007/000579 WO2007141910A1 (ja) 2006-05-31 2007-05-30 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679A true KR20090031679A (ko) 2009-03-27
KR101320205B1 KR101320205B1 (ko) 2013-10-23

Family

ID=3880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059A KR101320205B1 (ko) 2006-05-31 2007-05-30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03036B2 (ko)
EP (1) EP2034558B1 (ko)
JP (1) JP5293181B2 (ko)
KR (1) KR101320205B1 (ko)
CN (1) CN101461096B (ko)
WO (1) WO20071419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200A (ko) * 2017-01-18 2018-07-26 조인셋 주식회사 모바일 폰에서 안테나의 방사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자성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3036B2 (en) 2006-05-31 2011-03-08 Hitachi Metals, Ltd.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5048597B2 (ja) * 2008-06-25 2012-10-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アンテナ装置
CN102301610B (zh) * 2009-01-28 2014-02-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天线共用模块
JP5018946B2 (ja) 2009-10-13 2012-09-05 ソニー株式会社 アンテナ
JP5648653B2 (ja) * 2009-10-13 2015-01-07 ソニー株式会社 アンテナ
US9172139B2 (en) 2009-12-03 2015-10-27 Apple Inc. Bezel gap antennas
US9160056B2 (en) 2010-04-01 2015-10-13 Apple Inc. Multiband antennas formed from bezel bands with gaps
US8947303B2 (en) 2010-12-20 2015-02-03 Apple Inc.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housing members with gaps and dielectric coatings
TWI509878B (zh) * 2012-11-07 2015-11-21 Hon Hai Prec Ind Co Ltd 多頻天線
US9716307B2 (en) 2012-11-08 2017-07-25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DE102015003784A1 (de) * 2015-03-23 2016-09-29 Dieter Kilian Antenne für Nahbereichsanwendungen sowie Verwendung einer derartigen Antenne
JP6672639B2 (ja) * 2015-08-26 2020-03-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誘電体アンテナ
CN106207388A (zh) * 2016-07-29 2016-12-07 芜湖辉灿电子科技有限公司 便捷式外接手机天线
CN106159419A (zh) * 2016-07-29 2016-11-23 芜湖辉灿电子科技有限公司 外接手机天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2502A (ja) * 1986-05-09 1987-11-14 Yuniden Kk 無線通信機器用アンテナ
JP2851265B2 (ja) * 1996-02-23 1999-01-27 ユニデン株式会社 無線通信機器用アンテナ
TW320813B (ko) * 1996-04-05 1997-11-2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US5880697A (en) * 1996-09-25 1999-03-09 Torrey Science Corporation Low-profile multi-band antenna
US6008762A (en) * 1997-03-31 1999-12-28 Qualcomm Incorporated Folded quarter-wave patch antenna
GB2381664B (en) * 2001-10-12 2003-11-19 Murata Manufacturing Co Loop antenna, surface-mounted antenna and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JP2003332831A (ja) * 2002-05-13 2003-11-21 Smkr & D Kk アンテナ
US6836249B2 (en) * 2002-10-22 2004-12-28 Motorola, Inc. Reconfigurable antenna for multiband operation
GB0316169D0 (en) * 2003-07-10 2003-08-1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device and an antenna therefor
JP2005073024A (ja) 2003-08-26 2005-03-17 Kyocera Corp 表面実装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ンテナ装置ならびに無線通信機器
TWI277243B (en) * 2003-09-26 2007-03-21 Hon Hai Prec Ind Co Ltd Multi-band antenna
KR100666113B1 (ko) * 2003-12-13 2007-01-09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적층구조의 내장형 다중대역 안테나
GB0400925D0 (en) * 2004-01-16 2004-02-18 Antenova Ltd A dual band diversity WLAN antenna system for laptop computers,printers and similar devices
JP2005217811A (ja) * 2004-01-30 2005-08-11 Nissei Electric Co Ltd 多周波放射電極エレメント、および該エレメントを含む多周波アンテナ
KR100643414B1 (ko) * 2004-07-06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위한 내장형 안테나
US7119748B2 (en) * 2004-12-31 2006-10-10 Nokia Corporation Internal multi-band antenna with planar strip elements
TWM275550U (en) * 2005-02-25 2005-09-11 Speed Tech Corp Improvement of planar inversed-F type antenna
ATE468626T1 (de) * 2006-04-10 2010-06-15 Hitachi Metals Ltd Breitbandige antenne mit einem u-förmigen antennenleiter
US7903036B2 (en) 2006-05-31 2011-03-08 Hitachi Metals, Ltd.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200A (ko) * 2017-01-18 2018-07-26 조인셋 주식회사 모바일 폰에서 안테나의 방사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자성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1096B (zh) 2013-05-29
US20090167614A1 (en) 2009-07-02
WO2007141910A1 (ja) 2007-12-13
EP2034558A1 (en) 2009-03-11
US7903036B2 (en) 2011-03-08
EP2034558A4 (en) 2011-10-19
EP2034558B1 (en) 2012-11-28
CN101461096A (zh) 2009-06-17
JPWO2007141910A1 (ja) 2009-10-15
JP5293181B2 (ja) 2013-09-18
KR101320205B1 (ko)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205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기기
CN107258037B (zh) 无线电子装置
JP4868128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器
KR101099307B1 (ko) 안테나 및 그 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EP1845582B1 (en) Wide-band antenna device comprising a U-shaped conductor antenna
EP1670093B1 (en) Antenna arrangement
US20080266181A1 (en) Antenna Arrangement
JP4570552B2 (ja) ループアンテナおよび通信機器
JP2006115448A (ja) 広帯域内蔵型アンテナ
US7042400B2 (en) Multi-frequency antenna
US20060290575A1 (en) Antenna integrated into a housing
JP4530026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器
JP5061689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マルチバンド型無線通信機器
US20070146205A1 (en) Antenna array
KR102529334B1 (ko) Mim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장치
JP2008005037A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器
JP3237604B2 (ja) アンテナ装置
JP2013255198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