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475A -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 - Google Patents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475A
KR20090031475A KR1020097003677A KR20097003677A KR20090031475A KR 20090031475 A KR20090031475 A KR 20090031475A KR 1020097003677 A KR1020097003677 A KR 1020097003677A KR 20097003677 A KR20097003677 A KR 20097003677A KR 20090031475 A KR20090031475 A KR 2009003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passenger
mid
airbags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재
장미영
Original Assignee
씨아이에스 테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909,581 external-priority patent/US7070201B2/en
Application filed by 씨아이에스 테크 엘엘씨 filed Critical 씨아이에스 테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9003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33Arrangements for non-electric triggering of inf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은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장착 에어백 (11)과 중간부에 장착되는 중간장착 에어백(12)의 두개의 분리된 에어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장착 에어백(11)은 어른 승객의 머리와 흉부 윗 방향으로 전개되며 아래로 누르는 전개 방향은 매우 적고, 반면, 중간장착 에어백(12)은 어른 승객의 흉부 하부 방향으로 전개되며 윗방향으로의 전개는 매우 적다. 이러한 수평방향의 전개는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에어백이 터질 때 안전한 모드를 제공하며 목 부상을 줄여준다. 후방향 유아시트에 앉아있는 유아일 경우, 에어백이 초기에 접촉할 시, 종래 하나의 에어백으로 부터 나오는 큰 힘보다 두개의 에어백으로 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작은 힘을 받는다. 두 에어백의 총 용량은 종래 하나의 에어백 용량과 비슷하여 종래의 에어백과 같은 개념으로 승객을 보호한다. 상부장착 에어백은 중간장착 에어백에 비교하여 체적이 크며 정상위치에 있는 승객에게 주 보호기능을 제공한다. 중간장착 에어백은 고속충돌시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경우 저 출력의 에어백이 전개되거나 혹은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후방향의 유아시트에 있는 유아의 상해치를 줄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에어백, 상부장착, 하부장착, 조수석, 윈드쉴드, 인스트루먼트 패널

Description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LOW RISK DEPLOYMENT PASSENGER AIRBAG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에어백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어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승객에게 에어백의 팽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상해를 줄여주고, 또한 정상적인 위치의 승객에게도 심각한 충돌시 종래의 에어백과 마찬가지로 보호를 수행한다.
운전석과 조수석의 정면 에어백은 심각한 정면충돌에서 수 많은 인명을 구했으며, 승객의 상해를 줄였다. 이러한 에어백은 안전벨트의 보조적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벨트를 착용하거나 혹은 착용하지 않은 승객 모두에게 효과가 있음이 실제 상황에서 검증되었다. 충돌시 에어백은 팽창으로 인한 쿠션역할로 승객을 서서히 감속시키면서 승객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한다.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은 충돌시 승객의 정면으로 최대한 빨리 팽창되어 제 위치에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빠른 팽창은 가끔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승객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힌다. 예를 들면, 충돌 직전에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승객은 앞으로 쏠리어 에어백에 근접하게 되고, 에어백이 빠른 속도로 팽창하 면, 승객은 상해를 입거나 혹은 사망할 수도 있다. 후방향 유아시트(Rear facing child seat)에 앉아 있는 유아, 어린이, 키가 작은 승객, 노약자에게 이러한 위험이 많이 일어난다.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 NHTSA(The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에서는 진보된 에어백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성능과 테스트 절차를 제정했다. 이 법규는 비정상적인 상태에 있는 승객, 특히 유아 혹은 어린이들의 에어백으로 인한 상해를 줄이고자 하며, 또한 안전벨트를 착용한 승객이나 미착용 승객 모두의 안전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진보된 에어백에 관한 법규는 2004년 모델 차랑에 있어서 20%가 적용되었고, 2007년 모델 차량부터는 모두 적용된다.
진보된 에어백에 관한 법규는 후방향 유아시트의 1세유아, 3세, 6세 어린이로써 LRD(Low Risk Deployment) 에어백 테스트를 하는 것이 선택사항이다. 만약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에서 정한 상해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자동차 제조업체는 유아나 어린이가 있을 경우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다른 선택사항을 택할 수 있다. 이러한 비작동 에어백은 유아나 어린이를 에어백으로부터 보호를 받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유아나 어린이를 감지하기 위해, 현재 승객감지장치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며, 에어백이 그에 따라 작동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승객감지장치는 차량의 가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신뢰성문제도 야기시킨다.
에어백의 팽창으로 부터 야기되는 상해를 줄이기 위하여 종래에 여러가지 기술이 LRD테스트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정도의 수준으로 시도되었다. 종래에는 하나의 에어백이 몇개의 쳄버로 나누어져 있는 기술, 에어백안에 또 다른 에어백이 들 어있는 기술, 에어백의 전개의 다른 방법, 에어백을 접는 다른 방법, 듀얼 인플레이터에서의 힘 분배방법 등의 기술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러한 어느 기술도 후방향 안전시트에 있는 1세 유아 및 어린이의 상해를 LRD 테스트 시 승객 상해치 만족 정도 만큼 줄이거나, 또한 심각한 충돌 시 정상위치에 있는 승객을 보호할 만큼 충분히 신뢰성이 있다고는 검증되어 있지 않다. 특히, 승객의 목이 법규에 정한 상해치를 넘을 정도로 심각한 상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유아 및 어린이의 에어백에 의한 상해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과 저속 및 고속 충돌 모두에서 모든 크기의 승객에 대한 보호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조수석, 윈드쉴드 및 상기 조수석과 윈드쉴드 사이에 배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가지는 자동차용 승객 에어백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승객 에어백시스템은 상부장착 에어백과 중간장착 에어백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들은 상기 조수석에 앉은 승객에게 직접 접촉되도록 미리 정해진 수평방향의 경로를 따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통해 전개되는데,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은 윈드쉴드를 따라 경사지고 동시에 승객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전개되고, 전개된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은 상기 윈드쉴드와 상기 중간장착 에어백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은 전개 후 상기 중간장착 에어백의 체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체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간장착 에어백은 전개 후에 승객과의 직접 접촉을 위해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의 아래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조수석, 윈드쉴드 및 상기 조수석과 윈드쉴드 사이에 배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위한 승객 에어백시스 템이 제공된다. 상기 승객 에어백시스템은 상부장착 에어백과 중간장착 에어백을 포함한다. 두 에어백은 조수석에 앉은 승객과 직접 접촉하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통해 전개된다. 고속 충돌시에 조수석의 승객이 안전벨트를 매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에어백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개는 미리 정해진 낮은 출력 레벨로 정의된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된 종래의 단일 조수석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다. 에어백 쿠션(3)은 성인승객(2)의 머리와 가슴쪽으로 전개된다. 에어백의 전개과정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은 화살표 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큰 분력을 생성한다. 상기 하방향 분력(6)은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어린이(1)의 머리를 내리눌러 잠재적으로 목에 심각한 상해를 야기시킨다. 상기 에어백모듈은 가스발생 인플레이터(4)와 상기 인플레이터(4) 및 에어백 쿠션(3)을 수용하는 하우징(5)을 가진다.
도 2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간부분에 장착된 종래의 단일 승객에어백 모듈을 보인다. 상기 에어백 모듈은 성인 승객(2)의 머리와 가슴 영역을 향하여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7)을 가진다. 에어백 전개 동안,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10으로 표시된 상방향으로 큰 분력을 생성하여,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어린 이(1)의 턱 아래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상방향의 큰 분력은 턱을 밀어 심각한 목 상해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모듈은 가스 생성 인플레이터(8)와 상기 인플레이터(8)와 에어백쿠션(7)을 넣는 하우징(9)으로 구성된다.
도 3 은 차량의 조수석에 설치된 본 발명의 에어백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상면의 뒤쪽에 장착되는 상부장착 에어백(11)을 가진다.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11)은 성인 승객(2)의 머리와 상부 흉부 방향으로 전개된다. 초기에는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11)은 비스듬히 윗 방향으로 윈드쉴드를 따라 전개된다.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11)의 전개가 진행될 수록 그 방향은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어린이(1)의 머리와 목 방향의 수평방향으로 전개되며, 화살표 17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단일 상부 장착 에어백(3)과는 달리 하방향의 분력을 생성하지 않아 목 부상의 위험이 줄어든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은 또한 중간장착 에어백(12)을 포함하는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반적으로 수직(upright)인 승객과 마주보는 표면의 뒤쪽에 위치해 있다. 상기 중간장착 에어백(12)은 성인 승객(2)의 하부 흉부 방향으로 전개된다. 상기 중간장착 에어백(12)은 일반적으로 화살표 1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전개되거나, 화살표 18a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전개되어, 상방향의 전개 분력이 줄어,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단일 중간장착 에어백(7)과는 달리 상방향의 분력을 생성하지 않아 목 부상의 위험이 줄어든다.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11)과 중간장착 에어백(12)은 수평에 가까운 전개 모드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어린이에게 에어백 전개 시 안전 전개 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11,12)의 크기는 종래의 단일 에어백(3,7)의 크기와 비교하여 상당히 작다. 이 것은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어린이에게 에어백 팽창 시 분산된 힘을 부여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은 중간장착 에어백보다 비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승객으로 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덜 위험해서 에어백이 완전 팽창 시,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 쿠션(11)이 중간장착 에어백 쿠션(12)보다 용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 쿠션(11)은 완전 전개 시 용량이 60 리터에서 120 리터의 범위의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중간장착 에어백 쿠션(12)은 완전 전개시 용량이 30-70 리터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이 중간장착 에어백의 용량 보다 적어도 25 퍼센트 크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장착 에어백의 용량이 중간장착 에어백의 용량보다 적어도 50 퍼센트 크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장착 에어백의 용량이 중간장착 에어백의 용량보다 적어도 75 혹은 100 퍼센트 클 수 있다.
사용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11)과 중간장착 에어백(12)은 각각의 분리된 가스 생성 인플레이터(13,15)에 의해 팽창된다. 상기 인플레이터(13,15)는 알려진 어떠한 적합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요소에 반응하여 인플레이터(13,15)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에어백(11,12)을 팽창시키도록 폭발된다.
도 4에는, 차량의 시트에 안전벨트가 착용된 후방향 유아시트(20)에 유아(19)가 있는 상태에서의 상부장착 에어백(11)과 중간장착 에어백(12)이 전개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 쿠션(11)은 유아시트(20)의 머리 방향으로 전개되며, 상기 중간장착 에어백 쿠션(12)은 유아시트(20)의 흉부 방향으로 전개된다.
도 4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11,12)은 약간 연속적으로 유아시트(20)에 접촉하도록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11,12)과 유아시트(20)간의 원하는 상대적인 시간 차를 얻기 위해서 인플레이터(13,15)의 폭발 시점을 차등있게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13,15)를 차등있게 폭발시키는 것의 여부는 전적으로, 인플레이터의 크기, 형태, 각 에어백의 크기, 재질, 에어백의 상대 전후 위치, 그리고 에어백 도어의 설계와 재질, 열리는 형상에 좌우 될 것이다.
에어백 충격은 가능한 시간 연장과 더불어 유아시트(20)의 여러 곳으로 분산됨으로써, 유아시트(20)에 있는 유아의 상해치를 언급된 종래의 단일 에어백 시스템 보다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며, 각 에어백 모듈은 각각의 인플레이터(13,15)를 가진다.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 모듈의 부품인, 인플레이터(13), 하우징(14), 그리고 쿠션(11)과 같은 것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단일 상부장착 에어백의 부품보다 크기가 작다. 마찬가지로 중간장착 에어백 모듈의 부품인 인플레이터(15), 하우징(16), 그리고 쿠션(12)은, 도 2 의 종래의 단일 중간장착 에어백의 부품보다 크기가 작다. 상기 에어백 모듈은 각 에어백 쿠션(11,12) 에 있는 인플레이터(13,15)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 디퓨즈(diffuser)(21,2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 에어백(11,12)은 폭발 시간과 인플레이터(13,15)의 출력 정도 에 대해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한 선택 가능한 에어백 전개 알고리즘을 보여준다. 안전벨트가 승객의 가슴과 골반을 충분히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40 마일 정면 고정벽면 시험을 포함한 고속 충돌에서는, 안전벨트를 착용한 경우 중간장착 에어백이 저 출력으로 전개되거나, 또는 중간장착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저 출력 중간장착 에어백은 LRD (Low Risk Deployment) 테스트에서 후방 유아시트에 있는 유아 더미의 상해치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적용 사례로써,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11)과 중간장착 에어백(12)모두를 팽창시키기 위해 가스가 하나의 인플레이터(23)에서 생성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인플레이터(23)는 두 에어백(11,12)간 가스가 통하는 하나의 관(24)안에 배열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는 관(24)은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11)으로 연결되는 상부 부분과 중간장착 에어백(12)으로 연결되는 하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되도록이면 인플레이터(23)는 관(24)의 상부(25)와 하부(26)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더 좋다. 상기 인플레이터(23)는 또한 상기 에어백(11,12)간 가스가 유통되는 한, 관(24)의 양 끝단 어느 쪽에 위치해 있어도 가능하다. 각 에어백(11,12)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관(24)을 따라 적당한 위치에 디퓨저(diffuser)(21,22) 또는 인플레이터(23)와 에어백(11,12)사이에 다른 크기의 개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30) 은 가스 인플레이터(32),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 디퓨저(diffuser)(34), 에어백 쿠션(36) 및 에어백 쿠션을 넣는 하우징(38)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38)은 인스트루먼트 패널(40)의 상부 부분(42)으로 부터 인스트루먼트 패널 미드 혹은 정면 부분(44)까지 연장되어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38)의 종 방향 길이(차량의 앞뒤 방향)는 종래의 에어백 하우징 길이보다 길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 부분과 중간 부분 모두를 덮을 만큼 충분히 크다. 그 길이는 종래의 상부장착 에어백의 위치와 종래의 중간장착 에어백의 위치를 포함하기 위해 종래의 에어백 하우징의 크기보다 적어도 두 배 만큼 클 수도 있다. 여기에 사용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수직보다 수평에 가까운 인스트루먼트 패널 표면 부분을 말하며 윈드쉴드와 마주보고 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간과 정면 부분은 일반적으로 수평보다 수직에 가까운 표면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승객과 마주하고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상기 에어백 하우징(38)의 폭은 종래 에어백 하우징의 폭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인스트루먼트 패널 위로 에어백 쿠션을 더 분산시키기 위해 종래의 폭보다 더 늘릴 수도 있다. 주어진 폭에서 하우징 용량을 똑 같이 유지하기 위해 길이가 증가 함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패널 표면의 수직 방향의 깊이는 줄어든다. 에어백 쿠션은 충분히 팽창되었을 경우, 종래의 탑 에어백 쿠션의 모양 및 용량과 거의 유사하다.
상기 인플레이터(32)는 비록 도 8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만, 에어백 하우징의 어느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다. 길이가 긴 하우징으로 인하여 인플레이터로 부터 나오는 가스는 인플레이터의 가까운 곳에서는 높은 압력이, 먼 쪽에는 낮은 압력이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쿠션 전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에어백 쿠션 전개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크기의 개구영역을 가지는 디퓨저 (diffuser)(34)가 구성될 수있다. 도 9 와 1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일관되거나 방사상의 전개를 유도하기 위하여 개구의 영역을 종 방향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 개구는 인플레이터로 부터 멀리 떨어질 수록 점점 크게 된다. 도 9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멍의 크기를 바꾸거나, 도 1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멍의 크기를 일정하게 할 경우 구멍의 밀도 (단위 면적당 구멍 수)를 변경하거나, 혹은 두 방법의 조합으로 하여 개구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개구의 크기와 형태는 쿠션 전개를 세부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더욱 더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쿠션 전개의 최종 모양에 도달하기 전에 탑 부분이 더 빨리 이동되어야 함으로 방사상 전개를 유지한 채 에어백 쿠션의 탑 부분을 아래 부분보다 더 빨리 전개시키는 것이 바람직스러울 수도 있다.
이 영향은 쿠션 전개의 탑 부분과 아래 부분의 에어백 충격을 더욱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역할에 기여할 수 있다. 쿠션의 탑 부분이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승객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해 있어서, 일반적으로 아래 부분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간 혹은 정면 부분) 보다 더 안전하다. 다른 전개 속도를 얻기 위해 도 9 와 도 1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로 부터 떨어질 수록 여러가지 크기 와 밀도를 추가함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윗 부분 끝으로 갈수록 개구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1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한 방사상의 쿠션 전개는 비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승객에게는 두가지 중요한 이점이 있다. 첫째로, 도 1 과 도 2 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에서 나타나는 집중된 힘보다 본 발명의 에어백은 승객에게 분산된 힘을 제공한다. 분산된 힘은 비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어린이 및 유아에게 상해의 위험성을 줄여줄 수 있다. 둘째로, 측면에서 볼 때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표면을 따라 전개되는 방사상의 전개모드이다. 이러한 방사상 전개 모드는 목 상해치를 현저히 줄여 줄 수 있다. 반대로 종래의 에어백 전개는 도 1 과 도 2 의 화살표에 표시된 바와 같이 목 부근에서 아래 혹은 윗 방향의 성분으로 인하여 상당한 위험이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서술된 본 발명의 형태는 그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시스템은 여기에서 언급된 두 에어백 모듈보다 많은 것으로 구축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로써, 세개의 에어백 모듈이 있는 시스템이다. 각각의 에어백은 바람직스럽지 않은 윗 방향, 혹은, 아래 방향 부분의 전개 성분 없이 승객에 직접 접촉하도록 일반적인 경로를 따라 전개된다. 또한, 여기에서 도시된 상부 혹은 탑 에어백과 하부 혹은 미드 에어백의 형태 외에, 두개 혹은 더 많은 독립된 에어백 모듈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따라 횡 방향으로 차례로 혹은 어떤 각도를 이루고 설치될 수도 있다. 당업자에게 다양한 변형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시내용은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상부장착 에어백에서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어린이 더미(Dummy)와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남자 성인 더미(Dummy)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중간장착 에어백에서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어린이 더미와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남자 성인 더미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에어백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어린이 더미와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남자 성인 더미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에어백에 있어서 LRD(Low Risk Deployment) 테스트 시, 후방향 안전시트에 앉아 있는 유아 더미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두개의 분리된 에어백 모듈을 갖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고속충돌시 안전벨트를 착용한 승객을 위해 중간장착 에어백을 제어할 수 있는 에어백 전개 알고리즘.
도 7은 하나의 인플레이터를 공유하는 두개의 에어백 쿠션을 가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상부장착 에어백 위치에서 종래의 중간장착 에어백 위치까지 연장되는 에어백 하우징을 가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다양한 사이즈의 홀을 가지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디퓨저의 사시도.
도 10은 다양한 밀도의 통홀을 가지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디퓨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어린이 더미와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남자 성인 더미가 있는 경우에 전개모드를 보인 측면도.

Claims (8)

  1. 조수석, 윈드쉴드 및 상기 조수석과 윈드쉴드 사이에 배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가지는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장착 에어백과 중간장착 에어백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들은 상기 조수석에 앉은 승객에게 직접 접촉되도록 미리 정해진 수평방향의 경로를 따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통해 전개되는데,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은 윈드쉴드를 따라 경사지고 동시에 승객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전개되고, 전개된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은 상기 윈드쉴드와 상기 중간장착 에어백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은 전개 후 상기 중간장착 에어백의 체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체적을 가지며, 상기 중간장착 에어백은 승객을 향하여 수평과 하방향 모두로 전개됨을 특징으로 는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개 후의 상기 중간장착 에어백은 승객에게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의 아래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플레이터가 수평경로를 따 라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과 중간장착 에어백을 전개시키기 위해 가스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 및 중간장착 에어백과 유체가 연통되는 하나의 관에 적어도 하나의 인플레이터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관은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과 결합되는 상부 부분과 상기 중간장착 에어백과 결합되는 하부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플레이터가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 및 중간장착 에어백을 부풀리기 위해 상기 하나의 관의 상부 및 하부 부분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관은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과 중간장착 에어백 각각의 사이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의 배분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인플레이터 각각이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과 중간장착 에어백 각각을 팽창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후방향 유아시트에 시간차를 가지고 순차적인 충격을 주기 위해 상기 상부장착 에어백과 중간장착 에어백의 폭발시점이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KR1020097003677A 2004-06-07 2005-06-07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 KR200900314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756904P 2004-06-07 2004-06-07
US60/577,569 2004-06-07
US58191904P 2004-06-22 2004-06-22
US60/581,919 2004-06-22
US10/909,581 2004-08-02
US10/909,581 US7070201B2 (en) 2004-06-07 2004-08-02 Low risk deployment passenger airbag system
US62843404P 2004-11-15 2004-11-15
US60/628,434 2004-11-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280A Division KR20080044924A (ko) 2004-06-07 2005-06-07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475A true KR20090031475A (ko) 2009-03-25

Family

ID=3550370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280A KR20080044924A (ko) 2004-06-07 2005-06-07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
KR1020097003677A KR20090031475A (ko) 2004-06-07 2005-06-07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
KR1020067024406A KR100841462B1 (ko) 2004-06-07 2005-06-07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280A KR20080044924A (ko) 2004-06-07 2005-06-07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406A KR100841462B1 (ko) 2004-06-07 2005-06-07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753642A2 (ko)
JP (1) JP2008501572A (ko)
KR (3) KR20080044924A (ko)
WO (1) WO20051209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0999B2 (ja) * 2006-05-08 2013-01-16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選択的展開エアバッグ装置
KR100797134B1 (ko) 2006-10-27 2008-01-23 에스앤티대우(주) 슬림형 조수석 에어백 모듈을 적용한 저 상해치 조수석에어백 시스템
US20100025974A1 (en) * 2008-07-31 2010-02-04 Gray Charles A Apparatus for allowing or suppressing deployment of a low risk deployment airbag
JP5365433B2 (ja) * 2009-09-07 2013-12-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18117714A1 (de) * 2018-07-23 2020-01-23 Trw Automotive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mit einem Zusatzgassack
US11951925B1 (en) 2022-09-16 2024-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system
DE102023003815A1 (de) 2022-10-01 2024-04-04 Mercedes-Benz Group AG System und Verfahren zum Auslösen von Airbags in einem Fahrzeug
US11945395B1 (en) 2022-12-14 2024-04-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6279B2 (ja) * 1997-12-10 2002-06-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EP1086860A3 (de) * 1999-09-20 2003-03-12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Fahrzeuginsassen-Rückhaltevorrichtung
WO2001081127A1 (fr) * 2000-04-25 2001-11-01 Toyo Tire & Rubber Co., Ltd. Systeme d'airbag
JP3686330B2 (ja) * 2000-12-12 2005-08-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20905A3 (en) 2007-01-18
EP1753642A2 (en) 2007-02-21
KR20080044924A (ko) 2008-05-21
JP2008501572A (ja) 2008-01-24
KR20070026517A (ko) 2007-03-08
KR100841462B1 (ko) 2008-06-25
WO2005120905A2 (en)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4143B1 (ko) 차량용 멀티 전방에어백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전개시스템
US7070201B2 (en) Low risk deployment passenger airbag system
KR100846055B1 (ko) 에어백
US7731229B2 (en) Low risk deployment passenger airbag system with knee protection
US6851706B2 (en) Side-impact, variable thickness vehicular airbag
KR100841462B1 (ko)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
US7390013B2 (en) Airbag module
KR101081274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WO2005113300A1 (en) Inflatable airbag with overlapping chamber
JPH10264761A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040195029A1 (en) Vehicle occupant gas-contact restraining system
US20070024036A1 (en) Low risk deployment passenger airbag system
US7328913B2 (en) Low risk deployment passenger airbag system
KR200431748Y1 (ko) 디퓨저포켓을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KR100495037B1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7381772B2 (ja) シート内蔵エアバッグ装置
US6540041B2 (en) Vehicle occupant gas restraining system
KR100698682B1 (ko) 에어백장치
KR100551538B1 (ko) 차량의 듀얼 에어백 시스템
KR20040025166A (ko) 헤드레스트의 에어백시스템
KR100510791B1 (ko) 에어백의 전개압 분산장치
KR19990005606A (ko)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 제어장치
KR100803624B1 (ko) 측면 에어백
KR20070091111A (ko) 저 위험 전개식 조수석 에어백시스템
KR20040106734A (ko) 유아용 시트의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