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448A - 물 펌핑동작을 종료할 필요가 있는 시기를 결정하는 부유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물 펌핑동작을 종료할 필요가 있는 시기를 결정하는 부유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448A
KR20090031448A KR1020097002577A KR20097002577A KR20090031448A KR 20090031448 A KR20090031448 A KR 20090031448A KR 1020097002577 A KR1020097002577 A KR 1020097002577A KR 20097002577 A KR20097002577 A KR 20097002577A KR 20090031448 A KR20090031448 A KR 20090031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witching device
actuator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비스 엠. 베스트라
펭 씨. 쿠아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3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2Continuous-flow heaters
    • A47J31/545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음료 제조장치(1)는, 음료의 제조처리 중에 물을 수납하고 공급하는 물 탱크(20)와, 상기 물 탱크(20)에서 물을 펌핑하는 펌프(40)를 구비한다. 소정의 시점에서 펌핑동작을 종료하기 위해, 음료 제조장치(1)는, 펌핑회로(41) 내부에 배치되어 펌프(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64)와, 물 탱크(20) 내부에 놓인 부표(70)와, 상기 부표(70)에 부착된 체결 아암(71)을 구비한다. 펌핑동작 중에, 물 탱크(20) 내부의 수위(21)가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높으면, 체결 아암(71)이 부표(70)를 스위치(64)에 체결하며, 스위치(64)는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그러나, 수위(211)가 최소 레벨에 도달하는 즉시, 스위치(64)에 대한 부표(70)의 체결이 해제되고, 스위치(64)가 개방 위치로 다시 전환됨으로써, 펌핑동작이 종료된다.
음료 제조장치, 커피 제조, 부유부재, 수위, 체결 아암

Description

물 펌핑동작을 종료할 필요가 있는 시기를 결정하는 부유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BEVERAGE MAKER COMPRISING A FLOATING MEMBER FOR DETERMINING WHEN A WATER PUMPING ACTION NEEDS TO BE TERMINATED}
본 발명은, 일정량의 액체를 배출하는 장치로서,
- 상기 액체를 개방 위치하는 탱크와,
- 상기 탱크에서 상기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 상기 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펌핑회로를 포함하는 전력공급회로와,
- 상기 펌핑회로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펌핑회로를 차단하거나 단을 수 있는 스위칭장치를 구비한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정량의 음료를 공급하는데 적합한 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제조장치는, 예를 들어 소정량의 물과 소정량의 음료 추출물에 근거하여 음료를 제조하도록 구성되고, 물을 음료 추출물을 통과하여 흘리는 장치이다. 소정량의 물과 소정량의 음료 농축물에 근거하여 음료를 제조하도록 구 성되고, 물과 음료 농축물이 혼합되도록 구성된 음료 제조장치도 공지되어 있다. 음료 제조장치는 뜨거운 음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을 가열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음료 제조장치가 작동될 때, 음료의 제조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량의 물이 음료 제조장치의 물 탱크에서 펌핑된다. 보통, 이와 같은 물 탱크는 착탈가능하게 배치되어, 음료 제조장치의 사용자가 탱크를 들고 그것을 물로 채우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펌핑동작은 펌프를 사용하여 행해지고, 이때 음료 제조장치의 전령 공급회로는 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펌핑회로를 구비한다. 펌핑회로가 닫혔을 때에는, 펌프가 펌핑동작을 수행하며, 펌핑회로가 차단되었을 때에는, 펌핑동작이 종료된다. 펌핑회로를 닫거나 차단하기 위해, 음료 제조장치는 적어도 1개의 스위칭장치를 구비한다.
음료를 제조하는 처리에서는, 소정량의 추출가능한 재료 또는 농축물과 관련하여 이 처리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이 중요한 인자이다. 예를 들어, 소정량의 분쇄된 커피 열매(coffee beans)와 온수에 근거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처리의 경우에는, 분쇄된 커피 열매의 양과 이 분쇄된 커피 열매를 통과하여 흘리는 온수의 양 사이의 비율이 커피의 농도와 향을 결정한다. 따라서, 분쇄된 커피 열매를 통과하여 흘리는 온수의 양이 정확하게 조절되는 것이 중요하다.
소정량의 추출가능한 재료 또는 소정량의 농축물에 근거하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많은 경우에, 음료 제조장치는, 펌프가 작동되는 전체 기간이 소정량의 물을 대표하는 소정의 기간에 대응하게 펌프를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US 6 000 317에는, 냉수를 개방 위치하는 수조와, 소정량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실과, 수조에서 가열실을 통해 필터장치로 물을 펌핑하는 펌프를 갖는 커피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커피 제조장치의 작동중에, 펌프의 가동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US 6 000 317에서는, 수조의 전체 내용물을 추출하려면, 물의 부재에 응답하는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때 이 센서의 신호는 펌프의 작동의 종료를 일으킨다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 더구나, US 6 000 317에서는, 수조에서 물의 일부만 사용하여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커피 제조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이 커피 제조장치는 추출하려고 하는 커피의 원하는 양을 제어장치에 입력하는 제어 선택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수조와 필터장치 사이의 유로에 유량 검출기가 설치되어, 커피를 제조하는 처리 중에 물의 전체 유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는 원하는 유량에 도달하였을 때 펌프를 비활성화시키게 된다. 이와 달리, 추출하려는 커피의 원하는 양에 의존하여 펌프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으로, 커피의 제조처리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전술한 종래의 방법이 양호한 결과를 발생할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 방법이 음료 제조장치에 다소 고가의 부품들의 적용을 필요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의 제조 처리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이것을 위한 고가의 부품들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소정량의 액체를 배출하는 장치로서,
- 상기 액체를 개방 위치하는 탱크와,
- 상기 탱크에서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 상기 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펌핑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회로와,
- 상기 펌핑회로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펌핑회로를 차단하거나 닫을 수 있으며, 개방 위치로 부세(bias)되어 상기 펌핑회로를 차단하는 스위칭장치와,
- 상기 스위칭장치에 작용하여, 상기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높을 때 상기 스위칭장치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구비한 배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펌핑회로를 차단하거나 닫는 스위칭장치가 개방 위치로 부세된다. 장치에 의해 배출하려는 액체가 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한 스위칭장치를 폐쇄 위치로 하기 위해, 이 배출장치는,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높을 때 스위칭장치에 작용하여 스위칭장치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수단은, 부유부재(floating member)와, 이 부유부재에 부착된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부유부재는 탱크 내부에 놓이며, 액체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의도된다. 부유부재가 탱크 내부에 위치할 때의 레벨을 좌우하는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높을 경우에, 체결부재가 부유부재를 스위칭장치에 체결할 수 있다.
펌핑동작 중에, 액체가 탱크에서 펌핑되고, 그 결과,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점점 더 낮아진다. 이와 같은 사실에 근거하여, 펌핑동작이 종료되는 순간이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데, 이것은 이 순간이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액체의 손실의 결과로써 소정의 최소 레벨에 도달하는 순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높은 한, 부유 부재는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스위칭장치에 체결하는데 충분한 높은 레벨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부유부재의 중량의 영향하에서, 스위칭장치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고, 펌핑동작이 일단 개시되면 이 펌프가 계속 가동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펌핑동작 중의 특정한 순간에,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 레벨에 도달한다. 액체의 레벨이 더 이상 낮아지지 않게 되는데, 이것은 이 순간에 스위칭장치에 대한 부유부재의 체결이 해제되고, 이 결과 스위칭장치가 개방 위치로 되돌라가 펌핑회로를 차단함으로써, 펌프가 가동을 중단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작동할 때마다,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 레벨, 즉 스위칭장치에 대한 부유부재의 체결이 해제되는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액체가 탱크에서 펌핑된다. 탱크에서 펌프로 배출되는 액체의 양은 탱크 내부에 존재한 액체의 전체량에서 액체의 소정의 최소 레벨과 관련된 액체의 양을 뺀 값이다. 따라서, 탱크에서 펌프로 배출되는 액체의 양은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는 탱크 내부의 액체의 초기 레벨과 관련된다. 실제적인 실시예에서는, 장치에 의해 배출될 수 있는 액체의 다양한 양들과 직접 관련되는 액체의 최소 레벨과 액체의 다른 소정의 레벨들을 나타내는 레벨 표지가 탱크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것과 같은 부유부재와 체결부재를 적용함으로써, 탱크에서 펌프로 배출되는 액체의 양이 기계적으로 제어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고가의 제어 부품들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탱크에서 적절한 양의 액체가 배출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장치의 사용자가 행할 필요가 있는 것은 탱크를 정확한 레벨로 채우는 것뿐이다. 펌핑 동작이 개시되면, 액체가 탱크에서 펌프로 배출되고,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점점 더 낮아진다. 이 순간에, 펌핑 동작이 자동으로 종료된다. 따라서, 장치가 작동될 때마다,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동일한 소정의 최소값까지 줄어든다.
부유부재와 체결부재의 조합을 구비한 장치의 실제적인 실시예에서는, 이 장치가 탱크에 대한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멈춤부(stop)를 더 구비하며, 이 멈춤부는, 체결부재와 접촉하며, 부유부재가 놓인 레벨이 너무 낮아 체결 아암이 부유 부재와 스위칭장치의 체결을 수행하지 못할 때 체결부재가 틸트되는 중심이 되는 베이스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는, 부유부재가 탱크 내부의 액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때 대략 수평 방향으로 뻗는 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멈춤부는 탱크의 상부 모서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체결부재의 아암이 탱크의 상부 모서리에 접촉하자마자 체결부재와 부유부재의 조합이 틸트를 개시하는데, 이것은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 레벨에 도달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 순간에, 펌핑회로에 배치된 스위칭장치에 대한 부유부재의 체결이 해제되고, 스위칭장치가 다시 개방 위치로 절환됨으로써, 펌핑회로를 차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스위칭장치에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장치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능동 위치와 상기 스위칭장치를 개방 위치에 있도록 허용하는 수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수동 위치로 부세하는 부세수단(biasing means)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일부가 상기 액추에이터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수동 위치로 부세되는 액추에이터의 존재로 인해, 탱크가 채워져 장치 내부의 제 위치에 놓이는 즉시 펌프가 가동을 개시하는 상태가 방지된다. 그 대신에, 먼저 액추에이터를 능동 위치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추가 단계는 장치에서 액체를 받아들이는 용기가 제 위치에 놓여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저구나, 장치가 액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갖는 보일러를 구비하는 경우에, 가열처리가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검사할 수도 있다.
부유부재와 체결부재를 구비한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가 능동 위치로 움직이고, 탱크에 있는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높을 때, 체결부재가 부유부재를 액추에이터를 통해 스위칭장치에 체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부유부재의 중량이 부세수단에 대해 작용하여, 액추에이터가 능동 위치로 유지되어 스위칭장치를 폐쇄 위치로 유지한다. 체결부재와 액추에이터 사이의 맞물림을 간단하고도 경제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액추에이터는 체결수단의 일부를 받아들이는 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부세수단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한 부세수단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부 주위에 감기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두꺼운 부분과 상기 액추에이터가 뻗을 때 통과하는 장치의 고정 배치된 부재 사이에서 뻗어 있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부세수단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신뢰할 수 있는 구성이 얻어지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음료 제조장치 등의 가사용 장비와 관련하여 매우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추에이터는, 부세수단의 작용에 대항하여 수동 위치에서 능동 위치로 움직이도록 수동으로 작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의 일단에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손잡이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펌핑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액추에이터를 조작하여 이 액추에이터를 능동 위치로 놓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사실상, 사용자는 손잡이를 눌러 손잡이를 다시 해제시키면 된다. 부유부재와 체결부재를 구비한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는, 태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큰 경우에, 부유부재가 액추에이터에 체결되고, 개시된 펌핑동작의 결과로써 소정의 최소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손잡이가 눌려진 위치로 유지된다.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낮은 경우에는, 체결부재가 액추에이터를 맞물릴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해제하는 즉시 펌핑동작이 중단되며, 부세수단의 영향하에서 액추에이터가 즉시 수동 위치로 되돌아온다.
액추에이터가 수동 위치로부터 능동 위치로 움직이도록 수동으로 작동가능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자가,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최소값보다 낮을 때에도, 펌프가 가동되도록 내버려두기가 용이하다. 사용자는 액추에이터를 능동 위치로 유지함으로써 스위칭장치를 폐쇄 위치로 간단히 유지할 수도 있다. 즉, 탱크 내부의 액체의 레벨이 소정의 레벨보다 클 때, 사용자는 부세수단과 스위칭장치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수단의 영향하에서 펌프의 작동의 자동 제어를 회피할 수 있으며, 이때 추가적인 전원 스위치 등이 필요하지 않다. 액추에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와 같은 추가적인 가능성은, 예를 들어 식초와 물을 장치를 통과하여 흘리는 장치에 대한 석회질 세정공정(cacl cleaning process)을 수행하는데 유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뜨거운 액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장치는, 액체를 개방 위치하는 내부 공간과 이 액체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수단을 갖는 보일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액체가 정확한 온도로 가열되기 전에 펌프의 작동이 개시되는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 펌핑회로는, 추가적인 스위칭장치와, 보일러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재의 조합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액체의 온도가 스위칭장치의 설정값보다 작을 때 스위칭장치가 펌핑회로를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장치가 상기한 문단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가열수단을 갖는 보일러를 구비하는 경우에, 이 장치는 보일러의 가열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가열회로를 더 구비하며, 이 가열회로는 상기 장치의 전력 공급회로의 일부이다. 따라서, 가열회로 또는 펌핑회로를 닫는 스위칭장치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 스위칭장치는, 예를 들어, 가열처리가 종료하여 액체가 정확한 온도가 되기 전에 펌핑회로의 닫힘을 허용하지 않는 단극 이중 스로우 서모스탯(single-pole double-throws thermostat)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서모스탯이 적용될 때에는, 펌핑동작의 너무 이른 개시를 방지하기 위해 펌핑회로에 추가적인 스위칭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보일러와 이 보일러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한 장치에서는, 적절한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가열처리가 자동으로 종료된다. 이것은, 가열회로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칭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스위칭장치는 가열회로를 차단하거나 닫을 수 있고, 보일러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재와 결합하여 사용되며, 액체의 온도가 스위칭장치의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가열회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더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이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는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의 구성요소 및 전자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제조장치의 다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음료 제조장치의 전자회로에 배치된 스위칭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스위칭장치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음료 제조장치의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의 구성요소 및 전자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료 제조장치의 다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음료 제조장치의 전자회로에 배치된 스위칭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스위칭장치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음료 제조장치의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의 구성요소 및 전자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의 구성요소 및 전자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10)의 구성요소들 20, 30, 40, 50과 전자회로(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것을 제 1 음료 제조장치(1)로 칭한다. 이와 같은 음료 제조장치(1)는, 온수와 소정량의 분쇄된 커피 열매에 기초하여 커피를 제조하는데 적합하지만, 이것이 음료 제조장치(1)가 다른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는데에도 마찬가지로 적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음료 제조장치(1)의 구성요소들 20, 30, 40, 50과 전자회로(60) 이외에, 도 1에는 음료 제조장치(1)에서 커피를 받는 컵 등의 용기(10)도 도시되어 있다.
제 1 커피 제조장치(1)는, 물을 수납하는 물 탱크(20)와, 물을 수납하는 내부 공간(31)과 물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재(32)를 갖는 보일러(30)와, 물 탱크(20)에서 보일러(30)로 물을 펌핑하는 전기 펌프(40)와, 분쇄된 커피 열매를 받아들어 수납하는 밀폐가능한 추출실(brew chamber)(50)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제1 음료 제조장치(1)를 사용하여 소정량의 커피를 제조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가 소정량의 분쇄된 커피 열매를 추출실(50)에 집어넣고, 음료 제조장치(1)를 가동시킨다. 커피를 제조하는 처리에 있어서 제 1 단계로서, 보일러(30) 내부의 물이 가열부재(32)에 의해 가열된다. 물의 온도가 소정 레벨에 도달하면, 펌프(40)가 자동으로 가동되어, 냉수가 물 탱크(20)로부터 보일러(30)로 이송되고, 보일러(30)에서 추출실(50)로 온수가 이송된다. 이 처리에서는, 커피를 제조하는 처리의 제 2 단계로서, 추출실(50) 내부에서, 온수와 소정량의 분쇄된 커피 열매 사이의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그 결과, 뜨거운 커피가 얻어지고, 이것은 추출실(50)에서 컵(10)으로 흘러나간다. 커피를 제조하는 처리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은 사용되는 분쇄된 커피 열매의 양에 맞추어 변형된다. 도 1에서는, 제 1 음료 제조장치(1)를 통한 물의 경로를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표시하였다. 음료 제조장치(1)를 통해 소정량의 물이 흘러가면, 펌프(40)가 자동으로 정지한다.
제 1 음료 제조장치(1)의 전자회로(60)는, 음료 제조장치(1)의 전술한 동작이 제어되는 방식의 이하의 설명에서 확인되는 다수의 부품을 구비한다.
전자회로(60)는, 도 1에 문자 L로 표시된 주 전원선에 전자회로(60)를 접속 하는 주 스위치(61)를 구비한다.
더구나, 전자회로(60)는, 보일러(30) 내부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재(62a)를 구비한 정상상태에서는 닫혀 있는(normally closed) 서모스탯(62)을 구비한다. 서모스탯(62)은, 전자회로(60)의 일부이며 보일러(30)의 가열부재(32)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가열회로(33)를 열거나 닫도록 구성된다. 음료 제조장치(1)의 사용자가 주 스위치(61)를 닫으면, 물의 온도가 서모스탯(62)의 설정값에 대응하는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보일러(30) 내부의 물이 가열된다. 이 순간에, 서모스탯(62)이 자동으로 개방 위치로 전환되어, 가열회로(33)가 차단되고, 가열부재(32)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주 스위치(61)와 정상상태에서 닫혀 있는 서모스탯(62) 이외에, 제 1 음료 제조장치(1)의 전자회로(60)는, 정상상태에서 열려 있는 서모스탯(63), 즉 서모스탯(63)의 검출부재(63a)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서모스탯(63)의 설정값을 초과할 때 폐쇄 위치로 전환되는 서모스탯(63)을 구비한다. 정상상태에서 열려 있는 서모스탯(63)은, 전자회로(60)의 일부이며 펌프(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펌핑회로(41) 내부에 배치된다. 보일러(30) 내부의 물의 온도가 정상상태에서 열려 있는 서모스탯(63)의 설정값에 도달하였을 때, 서모스탯(63)이 폐쇄 위치로 전환된다.
정상상태에서 개방된 서모스탯(63) 이외에, 또 다른 스위칭장치, 즉 전원 스위치(64)가 펌핑회로(41) 내부에 배치되는데, 이 전원 스위치는 개방 위치로 부세된다. 전원 스위치(64)의 위치는 부표(70)와 이 부표(70)에 부착된 체결 아암(71) 의 조합을 사용하여 제어된다. 부표(70)는 물 탱크(20) 내부에 배치되어, 물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의도된다. 물 탱크(20), 전원 스위치(64), 부표(70) 및 체결 아암(71)은 도 2 및 도 3에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물 탱크(20) 내부에 존재하는 물에 부표(70)가 삽입될 때, 부표(70)가 놓이는 레벨은 물의 레벨(21)에 의존한다. 수위(21)가 도 1에 Lmin으로 표시된 최소 레벨보다 높으면, 체결 아암(71)이 전원 스위치(64)로 곧장 뻗어, 체결 아암(71)의 단부(72)가 전원 스위치(64)에 접촉한다. 부표(70)의 중량의 영향하에서, 체결 아암(71)의 이 위치에서는, 전원 스위치(64)가 폐쇄 위치가 된다. 도 2는 전원 스위치(64)의 폐쇄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부표(70)가 체결수단(71)을 거쳐 전원 스위치(64)에 어떻게 체결되는지 예시하고 있다.
수위(21)가 최소 레벨에 위치하면, 체결 아암(71)이 물 탱크(20)의 상부 모서리(22)에 접촉하고, 체결 아암(71)이 부표(70)의 중량의 영향하에서 접촉 위치를 중심으로 틸트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체결 아암(71)의 단부(72)가 더 이상 전원 스위치(64)와 접촉할 수 없게 되어, 전원 스위치(64)가 개방 위치로 전환된다. 도 3은 전원 스위치(64)의 개방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체결 아암(71)이 물 탱크(20)의 상부 모서리(22)에 위치한 접촉 위치를 중심으로 틸트된다.
부표(70)와 체결 아암(71)의 도시된 실시예는, 전원 스위치(64)의 위치와 부표(70)가 물 탱크(20) 내부에 놓일 때의 레벨 사이에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존재하는 다수의 가능성 중의 한가지에 지나지 않는다.
제 1 음료 제조장치(1)가 작동될 때, 보일러(30) 내부의 물의 가열처리가 종료하고 정상상태에서 개방된 서모스탯(63)이 폐쇄 위치로 전환된 후에 2가지 다른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첫째, 물 탱크(20) 내부의 수위(21)가 최소 레벨보다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부표(70)가 체결 아암(71)을 거쳐 전원 스위치(64)에 체결되어, 전원 스위치(64)가 닫힌다. 그 결과, 펌핑회로(41)가 닫혀, 펌프(40)가 가동된다. 펌핑동작의 영향하에서, 물이 제 1 음료 제조장치(1)를 통해 배출되는데, 냉수는 물 탱크(20)로부터 보일러(30)로 이송되고, 온수는 보일러(30)에서 추출실(50)로 이송한다. 펑핑동작은 물 탱크(20) 내부의 수위(21)가 최소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되며, 이 순간에, 전원 스위치(64)에 대한 부표(70)의 체결이 해제되고, 전원 스위치(64)가 다시 개방 상태로 전환되므로, 펌핑회로(41)가 차단된다.
둘째, 물 탱크(20) 내부의 수위가 최소 레벨보다 낮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전원 스위치(64)가 개방 위치에 있어, 펌프(40)가 작동할 수 없다. 펌핑회로(41)는 물 탱크(20)가 충분한 양의 물로 채워진 후에만 닫히며, 이때 수위(21)가 최소 레벨보다 높으므로, 체결 아암(71)이 전원 스위치(64)에 대한 부표(70)의 체결을 수립할 수 있다.
제 1 음료 제조장치(1)가 적용될 때, 펌핑동작이 종료되는 순간은 물 탱크(22) 내부의 수위(21)가 최소 레벨에 도달하였을 때의 순간으로, 이때 전원 스위치(64)에 대한 부표(70)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사실에 근거하여, 음료 제조장치(1P의 사용자는 펌핑 동작 중에 물 탱크(20)에서 펌프로 배출될 물의 양을 사전에 알게 되는데, 이것은 이와 같은 물의 양이 최소 레벨 위의 양과 같기 때문이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물 탱크(20)는 다수의 레벨 L1, L2, …, Lx를 나타낸 레벨 표지를 구비한다. 커피를 제조하는 특정한 처리를 위해, 분쇄된 커피 열매의 양에 의존하여, 수위(21)가 적절한 레벨에 위치할 때까지 사용자가 물 탱크(20)를 채운다. 음료 제조장치(1)의 작동중에, 수위(21)가 최소 레벨로 떨어질 때까지 물 탱크(20)에서 물이 펌프로 배출된다. 이 순간에, 펌핑동작이 자동으로 종료된다. 이에 따르면, 복잡한 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커피를 제조하는 처리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이 정밀하게 조절된다.
도 4는, 이하에서 제 2 음료 제조장치(2)로 부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2)의 부품들 20, 30, 40, 50과 전자회로(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 2 음료 제조장치(2)는, 제 1 음료 제조장치(1)와 상당히 유사하며, 물 탱크(20), 보일러(30), 펌프(40) 및 추출실(50)을 구비한다. 더구나, 제 2 음료 제조장치(2)의 전자회로(60)는 제 1 음료 제조장치(1)의 전자회로(60)와 동일하다. 2개의 음료 제조장치들(1, 2) 사이의 차이점은, 제 2 음료 제조장치(2)가 전원 스위치(64)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품(75)을 구비한 점이다. 이와 같은 부품(75)과 그것의 기능을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추가적인 부품(75)은 전원 스위치(64)와 접촉하는 단부(76)를 갖는 막대 형상의 액추에이터(75)이다. 액추에이터(75)는, 음료 제조장치(2)의 고정 배치된 하우징 부재(15)를 통과해 뻗으면서, 음료 제조장치(2)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 치된다. 전원 스위치(64)와 접촉하기 위한 단부(76) 근처의 위치에서, 액추에이터(75)는, 체결 아암(71)의 단부(72)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는 홈(78)을 갖는 수용부재(77)를 구비한다. 또 다른 단부(79)에서는, 액추에이터(75)에 손잡이(80)가 배치된다. 더구나, 하우징 부재(15)와 손잡이(80) 사이에서 뻗어 있는 액추에이터(75)의 부분 주위에는 코일 스프링(85)이 감겨져 있다.
액추에이터(75)는 2개의 극단의 위치들 사이에서, 즉 액추에이터(75)의 수용부재(77)가 하우징 부재(15)에 접촉하여 안착되고 전원 스위치(64)가 개방 위치에 있도록 액추에이터(75)가 허용하는 수동 위치와, 전원 스위치(64)가 닫히는 능동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코일 스프링(85)을 사용하여 액추에이터(75)가 수동 위치로 부세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서 다른 적절한 부세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액추에이터(75)가 수동 위치에서 능동 위치로 움직일 때, 스위치(64)가 닫힐 때까지, 액추에이터(75)가 전원 스위치(64)의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85)의 작용에 대항하여 움직인다. 손잡이(80)를 사용하여, 액추에이터(75)가 수동으로 작동가능하므로, 음료 제조장치(2)의 사용자는 액추에이터(75)의 위치와 전원 스위치(64)의 관련된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80)를 누르면, 액추에이터(75)가 능동 위치로 이동하고, 전원 스위치(64)가 폐쇄 위치가 된다. 사용자가 손잡이(80)를 해제할 때에는, 물 탱크(22) 내부의 수위(21)가 최소 레벨보다 높지 않고 체결 아암(71)의 단부(72)가 수용부재(77)에 의해 받아들여져 있지 않은 경우에, 액추에이터(75)가 코일 스프링(85)의 영향하에서 수동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와 같은 경우에, 부표(70)가 액추에이터(75)에 체결되고, 액추에이터(75)가 능동 위치로 유지되며, 부표(70)의 중량이 코일 스프링(85)의 작용에 대항해 작용한다. 물 탱크(20) 내부의 수위(21)가 최소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액추에이터(75)의 능동 위치가 유지된다. 이 순간에, 체결 아암(71)의 단부(72)가 틸트되어 액추에이터(75)의 수용부재(77)에서 벗어나고, 액추에이터(75)는 코일 스프링(85)의 영향하에서 수동 위치로 다시 움직인다.
이때, 도 5에는 액추에이터(75)가 능동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부표(70)가 체결 아암(71)을 거쳐 액추에이터(75)에 체결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하기 바란다. 도 6은, 액추에이터(75)가 수동 위치에 있고, 부표(70)와 체결 아암(71)의 조합이 틸트된 위치에 있으며, 액추에이터(75)에 대한 부표(70)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는, 전원 스위치(64)가 폐쇄 위치에 있는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는, 전원 스위치(64)가 개방 위치에 있다. 후자의 상태에서는, 체결 아암(71)이 물 탱크(20)의 상부 모서리(22)에 접촉하며 이 저촉 위치를 중심으로 틸트된다.
전술한 액추에이터(75)를 갖는 제 2 음료 제조장치(2)가 적용되고, 보일러(30)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처리가 종료하였을 때, 펌핑 동작이 자동으로 시작되지 않는데, 이것은 음료 제조장치(2)의 사용자가 손잡이(80)를 누를 때에만 이와 같은 동작이 개시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준비 작업이 행해질 필요가 있는 경우에, 가열처리와 펌핑처리 사이에, 사용자가, 컵(10)을 넣어 커피를 받는 일, 물 탱크(20)를 정확한 레벨까지 채우는 일과 추출실(50)에 분쇄된 커피 열매를 넣는 일과 같은 일을 할 시간을 갖는다.
제 2 음료 제조장치(2)가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액추에이터(75)를 구비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사용자는, 물 탱크(22) 내부의 수위(21)가 최소 레벨보다 작은 경우에도 펌프가 가동되도록 내버려 둘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손잡이(80)를 누른 위치로 유지해야 한다. 우회로(bypass)를 갖는 이와 같은 옵션은, 커피를 제조하는 처리 이외의 다른 처리, 예를 들어, 음료 제조장치(2)를 씻어내려(flushing) 음료 제조장치(2)를 세정하고나 및/또는 석회질을 제거하는 처리를 수행한다는 면에서 유리하다.
도 7은, 이하에서 제 3 음료 제조장치(3)로 부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3)의 부품들 20, 30, 40, 50과 전자회로(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 3 음료 제조장치(3)는 제 2 음료 제조장치(2)와 상당히 유사하며, 이들 2가지 음료 제조장치(2, 3)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제 3 음료 제조장치(3)가 정상 상태에서 열려 있는 서모스택(63)을 구비하지 않고, 보일러(30) 내부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재(65a)를 갖는 단극 이중 스로우 서모스탯에 의해 정상 상태에서 닫혀 있는 서모스탯(62)이 대체되었다는 사실에 있다. 이에 따르면, 단극 이중 스로우 서모스탯(65)을 사용하여, 가열처리가 종료되었을 때에만 펌프(40)가 작동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가열처리가 종료되기 전에 펌프(40)의 작동 개시를 방지하는 것이 더욱 더 향상된다.
도 8은 이하에서 제 4 음료 제조장치(4)로 부르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4)의 부품들 20, 30, 40, 50과 전자회로(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 4 음료 제조장치(4)는 제 3 음료 제조장치(3)와 상당히 유사하며, 이들 2가지 음료 제조장치(3, 4)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제 4 음료 제조장치(4)가 이중 스로우 서모스탯(65) 대신에 통상적인 단일 스로우 서모스탯(62)을 구비한다는 사실이다. 가열처리에 대한 정보 전달이 사용자에게 명확한 경우에는 통상적인 단일 스로우 서모스탯(62)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비용효율적인 해결책이며, 보일러(30) 내부의 가열처리가 종료되기 전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펌핑동작을 개시할 위험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전술한 정보전달은 모든 적절한 방법으로, 예를 들어 빛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내용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첨부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예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예시와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도면과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를 통해 특허청구된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형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청구항에서,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는 용어는 다른 단계들 또는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도, 부정관사 "a" 또는 "an"이 복수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특정한 구성이 서로 다른 종속항들에서 반복된다는 단순한 사실이 이들 구성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의 참조번호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때, 전술한 음료 제조장치들 1, 2, 3, 4는 커피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셜명했지만, 본 발명은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모든 음료 제조장치에 적용이 가능하고, 이때 이와 같은 음료가 반드시 커피일 필요는 없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량의 온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장치, 즉 전기 주전자 등에도 적용가능한데, 이때 이 장치는 물을 가열하는 처리만 수행하고,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소정량의 추출가능한 재료를 통과해 물을 흘리는 처리를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모든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장치일 수 있으며, 이때 액체는 뜨겁거나 차가울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펌핑동작이 종료될 필요가 있는 정확한 순산을 기계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부표(70)와 체결 아암(71)의 조합이 적용되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서, 다른 가능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하중(spring loaded) 물 탱크(20)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물 탱크(20)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영에 직접 관련되는 물 탱크(20)의 중량이 소정의 최소값에 도달하는 즉시 펌핑회로(41) 내부에 배치된 전원 스위치(64)가 개방 위치로 전환되도록 허용되고, 스프링의 영향하에서 물 탱크(20)가 변위된다.
전술한 발명내용에서는, 음료를 제조하는 처리 중에 물을 수납하고 공급하는 물 탱크(20)와, 물 탱크(20)에서 물을 펌핑하는 펌프(40)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 1, 2, 3, 4가 개시되었다. 소정의 시전에서 펌핑동작을 종료하기 위해, 음료 제조장치 1, 2, 3, 4는, 펌프(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펌핑회로(41) 내부에 배치된 전원 스위치(64)와, 물 탱크(20) 내부에 놓인 부표(70) 및 이 부표(70)에 부착된 체결 아암(71)의 조합을 구비한다. 펌프(40)의 가동이 개시되면, 물 탱크(20) 내부의 수위(21)가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큰 동안 펌핑동작이 유지되고, 체결 아암(71)이 액추에이터(75)를 거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표(70)를 전원 스위치(64)에 체결함으로써, 스위치(64)가 폐쇄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물 탱크(20) 내부의 수위(21)가 최소 레벨에 도달하는 즉시, 전원 스위치(64)에 대한 부표(70)의 체결이 해제되고, 스위치(64)가 개방 위치로 다시 전환된다. 이와 같은 특정한 시점에, 펌핑회로(41)가 차단되고, 펌핑동작이 종료된다.

Claims (11)

  1. 소정량의 액체를 배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액체를 수납하는 탱크(20)와,
    상기 탱크(20)에서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40)와,
    상기 펌프(40)에 전력을 공급하는 펌핑회로(41)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회로(60)와,
    상기 펌핑회로(41)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펌핑회로(41)를 차단하거나 닫을 수 있으며, 개방 위치로 부세되어 상기 펌핑회로(41)를 차단하는 스위칭장치(64)와,
    상기 스위칭장치(64)에 작용하여, 상기 탱크(20) 내부의 액체의 레벨(21)이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높을 때 상기 스위칭장치(64)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수단(70, 71, 7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장치(1, 2, 3, 4).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에 적어도 이부가 삽입되도록 의도된 부유부재(70)와, 상기 부유부재(70)에 부착되고 상기 탱크(20) 내부의 액체의 레벨(21)이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클 때 상기 부유부재(70)를 상기 스위칭장치(64)에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재(7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장치(1, 2, 3, 4).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20)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71)와 접촉하여 상기 탱크(20) 내부의 액체의 레벨(21)이 상기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작을 때 체결부재가 틸트되는 중심이 되는 베이스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는 멈춤부(2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장치(1, 2, 3, 4).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장치(64)에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장치(64)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능동 위치와 상기 스위칭 장치(64)가 개방 위치가 되도록 허용하는 수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액추에이터(75)와, 상기 액추에이터(75)를 상기 수동 위치로 부세하는 부세수단(8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71)의 일부가 상기 액추에이터(75)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장치(2, 3, 4).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75)는, 상기 탱크(20) 내부의 액체의 레벨(21)이 소정의 최소 레벨보다 높을 때 상기 스위칭장치(64)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장 치(64)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수단(70, 71, 75)의 일부(72)를 받아들이는 홈(7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장치(2, 3, 4).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수단(85)은, 상기 액추에이터(75)의 일부 주위에 감기고, 상기 액추에이터(75)의 두꺼운 부분(80)과 상기 액추에이터(75)가 뻗을 때 통과하는 상기 액체 배출장치(2, 3, 4)의 고정 배치된 부재(15) 사이에서 뻗어 있는 코일 스프링(8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장치(2, 3, 4).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75)는, 상기 부세수단(85)의 작용에 대항하여 상기 수동 위치로부터 상기 능동 위치로 이동하도록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장치(2, 3, 4).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75)의 일단(79)에 수동 조작가능한 손잡이(8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장치(2, 3, 4).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31)과 상기 액체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수난(32)을 갖는 보일러(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펌핑회로(41)는, 추가적인 스위칭 장치(63)와, 상기 보일러(30)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재(63a)의 조합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의 온도가 상기 스위칭장치(63)의 설정값보다 작을 때 상기 조합이 상기 펌핑회로(41)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장치(2).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31)과 상기 액체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수단(32)을 갖는 보일러(30)와, 상기 보일러(30)의 상기 가열수단(32)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액체 배출장치(3)의 전력 공급회로(60)의 일부에 해당하는 가열회로(33)와, 상기 가열회로(33) 또는 상기 펌핑회로(41)를 닫는 스위칭장치(6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장치(3).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31)과 상기 액체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수단(32)을 갖는 보일러(30)와, 상기 보일러(30)의 상기 가열수단(32)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액체 배출장치(2, 3, 4)의 전력 공급회로(60)의 일부에 해당하는 가열회로(33)와, 상기 가열회로(33)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회로(33)를 차단하거나 닫을 수 있는 스위치장치(62, 65)와 상기 보일러(30)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재(62a, 65a)의 조합으로서, 상기 액체의 온도가 상기 스위칭장치(62, 65)의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가열회로(33)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상기 스위칭장치와 검출부재의 조합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장치(1, 2, 3, 4).
KR1020097002577A 2006-07-11 2007-07-11 물 펌핑동작을 종료할 필요가 있는 시기를 결정하는 부유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 KR200900314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6931.4 2006-07-11
EP06116931 2006-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448A true KR20090031448A (ko) 2009-03-25

Family

ID=3872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577A KR20090031448A (ko) 2006-07-11 2007-07-11 물 펌핑동작을 종료할 필요가 있는 시기를 결정하는 부유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22814B2 (ko)
EP (1) EP2040589B1 (ko)
JP (1) JP5027226B2 (ko)
KR (1) KR20090031448A (ko)
CN (1) CN101489449B (ko)
AT (1) ATE451857T1 (ko)
DE (1) DE602007003842D1 (ko)
WO (1) WO200800734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9491A1 (en) 2011-12-13 2020-06-03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Removable tip endoscope
US9351904B2 (en) * 2013-03-01 2016-05-31 Carol Lee Nasal irrigation appliance
CN203987603U (zh) * 2014-07-09 2014-12-10 大统营实业股份有限公司 咖啡机进水结构
US10716302B2 (en) * 2015-05-26 2020-07-21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Environmentally safe insect control system
KR101781951B1 (ko) * 2016-04-25 2017-09-27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음용수기용 복합형 온수통 구조
US11470998B2 (en) * 2017-01-10 2022-10-18 Nuwave, Llc Automatic beverage maker reservoir heating system
CN108041982B (zh) * 2017-12-05 2019-11-05 杭州耀晗光伏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控水的水加热装置
CN108518905B (zh) * 2018-04-11 2021-01-15 佛山市南海振智厨房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牛奶冰箱的供奶方法
CN111227650A (zh) * 2020-03-04 2020-06-05 广东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控水开关及具有其的饮水机
US20220396289A1 (en) 2021-06-15 2022-12-15 Nvidia Corporation Neural network path plann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7844A (en) * 1965-10-21 1967-01-10 Cory Corp Pivotally mounted switch having pivotally mounted actuating arm operated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liquid levels
US3422745A (en) * 1967-03-08 1969-01-21 Cory Corp Liquid control apparatus
US3641918A (en) * 1969-11-28 1972-02-15 George M Schellgell Automatic coffee dispenser
FR2116283B3 (ko) 1970-12-04 1973-08-10 Omre Constr Elettro
US3871273A (en) * 1973-08-14 1975-03-18 Hsieh Chin Yuan Beverage making apparatus
US4565121A (en) * 1983-11-29 1986-01-21 Toshiba Heating Appliances Co., Ltd. Apparatus for use in preparing infusions
US4575615A (en) * 1984-05-29 1986-03-11 Toshiba Electric Appliances Co., Ltd. Hot water supplying device
JP3150407B2 (ja) * 1992-04-08 2001-03-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ーヒー及び茶の抽出装置
AUPM448394A0 (en) * 1994-03-15 1994-04-14 Zip Heaters (Australia) Pty Limited Protection and control of continuous boiling water units
WO1998027854A1 (en) 1996-12-23 1998-07-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ffee maker
US6142063A (en) * 1999-01-19 2000-11-07 Keurig, Inc. Automated beverage brewing system
US6889600B2 (en) 2002-11-28 2005-05-10 Lord S.R.L. Drinks dispensing machine
US8555775B2 (en) * 2004-03-31 2013-10-15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operating of a boiler of a device such as a coffee maker
JP2006126979A (ja) * 2004-10-27 2006-05-18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供給装置
US7401545B2 (en) * 2004-11-09 2008-07-22 Nestec S.A.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variable liquid temper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7343A3 (en) 2008-03-06
JP5027226B2 (ja) 2012-09-19
CN101489449A (zh) 2009-07-22
JP2010508214A (ja) 2010-03-18
EP2040589B1 (en) 2009-12-16
WO2008007343A2 (en) 2008-01-17
EP2040589A2 (en) 2009-04-01
US8122814B2 (en) 2012-02-28
DE602007003842D1 (de) 2010-01-28
US20090249962A1 (en) 2009-10-08
ATE451857T1 (de) 2010-01-15
CN101489449B (zh)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1448A (ko) 물 펌핑동작을 종료할 필요가 있는 시기를 결정하는 부유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
EP204059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evice for dispensing hot liquid
JP2017529989A (ja) 飲料抽出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90028833A (ko) 다량의 뜨거운 액체를 얻는데 사용되는 다량의 물을 제어하는 방법
WO2016019873A1 (zh) 用于饮品制作机的防烫伤装置及饮品冲泡和保温方法
EP3713459B1 (en) Machine and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JP2018519126A (ja) 飲料調製マシン
JP4393414B2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4326480B2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KR101832756B1 (ko)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WO20182362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INDIVIDUAL PORTIONS OF FRESHLY BREWED HERBS INFUSIONS, ESPECIALLY TEA
JP2007151723A (ja) 機器の電流保護装置及び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2005230218A (ja) 家庭用ティー&コーヒーメーカー
JP4162649B2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3120746B2 (ja) コーヒー抽出器
RU2812802C1 (ru) Кофемашина и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годно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офемашине
EP3713458A1 (en)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and method of control
JP2010105676A (ja) 飲料供給装置
KR100845591B1 (ko) 차 메이커 및 그 작동방법
JPH01285221A (ja) 電気コーヒー沸かし器の制御方法
JPH09102078A (ja) 自動販売機
JP2002083364A (ja) 自動販売機の給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2274210A (ja) 給茶装置
JPH03237942A (ja) 給茶器
JP2005230048A (ja) 家庭用ティーメ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