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838A - 치통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통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838A
KR20090030838A KR1020070096451A KR20070096451A KR20090030838A KR 20090030838 A KR20090030838 A KR 20090030838A KR 1020070096451 A KR1020070096451 A KR 1020070096451A KR 20070096451 A KR20070096451 A KR 20070096451A KR 20090030838 A KR20090030838 A KR 20090030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oothache
plum
fluori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병한
Original Assignee
주병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병한 filed Critical 주병한
Priority to KR102007009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0838A/ko
Publication of KR2009003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8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6Fluorin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실액 및 불소를 함유하는 치통 완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통증 완화 약물에 비하여 빠른 시간 내에 치통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지며, 음료수 또는 건강식품 등의 형태로 간편하게 이용될 수 있다.
매실액, 불소, 치통

Description

치통 완화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alleviating a toothache}
본 발명은 매실액 및 불소를 포함하는 치통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로, 상기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가공되거나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건강은 오복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으며, 또한 치아는 신체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곳에 위치하여 먹고 말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치아는 관리가 조금만 소홀해도 충치나 풍치 등의 질병에 노출되기 싶다. 충치나 풍치로 인한 치통은 앓아보지 않은 사람은 짐작하기 힘들 정도의 고통을 수반한다. 이러한 치통은 환부에 염증을 일으키는 세균들이 신경계를 자극하여 일어나게 된다.
충치의 예방은 무엇보다도 실생활 속에서 치아를 항시 청결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요즘의 바쁜 현대인들은 음식물을 많이 섭취함에도 불구하고 치아를 자주 청결하게 하기가 쉽지 않으며, 치아에 통증을 느껴야만 비로소 치료할 생각을 하게 된다. 이 때에는 이미 치아의 건강이 많이 악화되어 완전히 치아 건강을 회복하지 못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충치에 대한 병원은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으며, 다만 입안의 구조, 유전적인 저항성 또는 감수성, 치아의 모양이나 구성성분, 치아의 배열상태나 침의 성분 및 식사의 변화에 의한 특정 세균의 존재여부가 중요한 원인으로 추정될 뿐이다.
풍치로 인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주로 염증을 경감시킨다든지 염증에 의한 출혈을 예방하고 치주인대의 섬유를 재생시켜 치아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잇몸의 통증을 경감시키며 치경부의 감수성을 둔화시키는 효능을 갖는 약품들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약품은 장기간 복용해야 어느 정도 잇몸 질환에 효과를 발휘하며, 당장 그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사용자들이 일정기간 동안 통증을 감내해야 하는 부담과 불편이 있다.
한편, 치과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중 하나가 정기적인 치과 검진이라 할 수 있으나, 치과에서 사용하는 치료용 기구에 대한 두려움 또는 병원을 찾는데 드는 비용과 시간에 대한 부담 등으로 인해 정기적인 치과 방문 또는 적시의 치과 치료가 힘든 경우가 많다. 또한, 현재 시판 중인 치통 완화를 위한 약품의 경우 그 효과가 즉시 나타나지 않아 그 약물의 효과가 발휘되기 전까지 고통을 참아야 하는 어려움이 생긴다. 이로 인하여, 빠른 치료효과를 보이며 부작용 없이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는 새로운 약품 등의 개발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매실액 및 불소를 포함하는 치통 완화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치통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또는 구강세정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매실액 및 불소(Fluorine)를 포함하는 치통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매실은 열매 중 과육이 약 80%로, 그 중 약 85%가 수분이며 당질이 10% 정도이다. 또한 매실에는 칼슘과 철분의 함량이 높으며, 특히 약리성분으로 알려진 천연 구연산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인체 내에서 정혈, 정장, 피로회복, 살균작용 등의 약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매실은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인체의 산화로 생기는 당뇨, 고혈압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고,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켜 위장병과 변비 등에 특효가 있으며 피로회복 효과가 있다. 이에 매실은 예로 부터 다양한 형태의 건강 보조식품이나 약재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매실은 특색에 따라 신맛이 강한 청매, 향이 좋고 빛깔이 노란 황매, 청매를 쪄서 말린 금매, 청매를 소금물에 절여 햇볕에 말린 백매, 청매의 껍질을 벗겨 연기에 그을려 검게 만든 오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실액은 매실 발효액 및 매실 추출액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매실 발효액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진 과실의 발효 공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매실의 전체 중량에 대해 정백당을 1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중량%로 교차 혼적하고 이를 밀봉한 다음 상온에서 매실 과육이 거의 분해될 정도까지 보관하여 발효시킨 후, 매실 과육이 분해되고 남은 찌꺼기와 씨를 걸러내어 제조할 수 있다. 매실 추출액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진 과실의 추출 공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매실을 냉동한 후 해동하면서 압착기로 압착하여 과육에서 과즙을 분리하고, 상기 과즙을 망을 통과시켜 과육 찌꺼기 및 씨앗을 제거한 다음, 진공건조 후 농축하여 제조한다. 상기 냉동은 -10℃에서 24시간 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진공건조 온도는 6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의 당도는 BRIX 65±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냉동 및 진공건조는 반드시 필요한 공정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제조방법의 일례는 생매실을 분쇄 및 압축하여 매실즙을 짜면서 제조할 수 있다.
불소(Fluorine, F)는 홑원소 물질로서, 강한 반응성으로 인하여 헬륨과 아르곤을 제외한 거의 모든 물질에 반응을 하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불소는 이온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원소, 예를 들어 나트륨, 칼슘, 마 그네슘, 알루미늄 등의 양이온들과 결합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간편하게는 불소를 포함한 상수원을 본 발명의 불소 공급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불소는 전체 조성물의 함량에서 0.1 내지 1.2ppm 함량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ppm 함량으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상수원에는 불소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수원의 불소 자연함량은 0.7ppm 내지 1.2ppm인 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불소 함량이 1.2ppm 이상인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불소 함량이 0.1ppm 미만인 경우는 본 발명의 치통 완화 효과가 빠른 시간 내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통 완화용 조성물”은 구강 내 충치, 풍치 또는 치주염 등의 구강질환으로 인한 치통을 완화하거나 해소하는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통 완화에 유해한 효과를 끼치지 않는 한, 미숙 대추, 배, 사과, 감, 복숭아, 포도, 감귤, 유자, 모과 또는 으름 등의 카테킨산 성분 함유 과일액 또는 곶감 발효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딸기 또는 토마토의 과실액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과일액 및 발효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매실은 건강보조식품으로 애용되는 등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불소는 일정 함 량 미만인 경우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치통 또는 잇몸질환자에게 음용하게 한 결과, 음용 후 약 3 내지 5분의 빠른 시간 내에 치통이 진정되었으며, 30분 내에는 거의 대부분의 음용자에서 치통이 진정되었다. 또한, 음용 후 약 10 내지 15분 내, 길게는 40분 내에 잇몸 부기를 진정시키고 솟은 이를 가라앉힘과 동시에 통증을 완전히 해소시켜 줌을 본 발명자는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빠른 시간 내에 치통 완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치통 완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매실: 정백당을 1: 0.1 내지 0.8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매실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실의 발효액을 희석한 후 불소를 0.1 내지 1.2ppm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통 및 구강통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매실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매실 추출액을 희석한 후 불소를 0.1 내지 1.2ppm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통 및 구강통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매실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매실 추출액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앞에서 자세히 기술한 바와 같다.
상기 매실을 발효하는 단계 및 매실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 또는 불소를 용해시키는 단계 이후에, 미숙 대추, 배, 사과, 감, 복숭아, 포도, 감귤, 유자, 모과 또는 으름 등의 카테킨산 성분 함유 과일액, 곶감 발효액, 또는 딸기 또는 토마토의 과실액을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에 기술한 방법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로부터 유래한 것이며, 이외의 방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매실액 및 불소를 포함하는 치통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용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강세정용품은 치약, 구강세정제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의 매실액 및 불소를 포함하는 치통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치통 완화용 조성물을 통상적인 치약의 조성물에 배합시켜 통상적인 치약제조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치약은 통상적인 치약 조성물의 성분들, 예를 들어 디칼슘포스페이트 같은 연마제, 글리세린, 솔비톨 같은 습윤제, 라우릴황산소다 같은 기포제, 삭카린 등의 감미제, 페파민트, 스피아민트 같은 향료 및 결합제에 본 발명의 매실액 및 불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1 내지 10중량% 가하여, 치약 제조시 사용하는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구강세정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치통 완화용 조성물을 통상적인 구강세정제의 조성물에 배합시켜 통상적인 구강세정제 제조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매실액 및 불소를 포함하는 치통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은 곡류, 감자류, 두류, 채소류, 과일류, 어패류, 육류, 우유류, 해조류 등의 천연식품; 또는 빵류, 과자류, 껌류 등의 가공식품; 또는 음료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음료수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매실액 및 불소를 포함하는 치통 완화용 조성물은 치통 완화 및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치통 완화용 조성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식품 전체 중량의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로 가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료는 100㎖를 기준으로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의 비율로 가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치통 완화용 조성물이 첨가된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치통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이 있다. 상기의 향미제로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등의 천연 향미제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치통 완화용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식품 및 음료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100 중량% 당 0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치통 완화용 조성물은 식품에 직접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대상 식품을 직접 치통 완화용 조성물에 침지하거나 식품에 치통 완화용 조성물을 분무하는 방법으로 치통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실액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불소도 본 발명에 포함된 함량 범위에서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식품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실액 및 불소를 포함하는 치통 완화용 조성물은 음용 등에 의하여 섭취하는 경우 치통을 급속히 완화 및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덜익은 푸른 매실(Prunus mume SIEB,et Zucc) 1kg을 약한 불에 쬐어 노랗게 변한 것을 정백당 800g과 혼적한 다음 상온에서 70일 보관하였다. 이후 매실 과육 이 형체 없이 분해된 것을 확인한 후 찌꺼기 및 씨를 걸러낸 다음 발효된 매실 용액에 전체 무게의 3 내지 4배의 물을 가하고 불소 농도가 전체 용액의 0.8ppm이 되도록 불화나트륨(NaF)을 첨가하고 용해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매실 1kg을 분쇄 및 압착하여 매실 추출액(또는 엑기스)을 획득한 다음, 추출된 매실 용액의 2배의 물을 가하고 불소 농도가 전체 용액의 0.8ppm이 되도록 불화나트륨(NaF)을 첨가하고 용해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통 완화 효과
2006년 3월 및 2007년 4월부터 9월까지 치통 또는 잇몸 부기를 갖는 성인 남녀 44명에게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용하게 하였다. 이를 표 1로 나타내었다. 음용 후 치통 완화 및 잇몸 부기 해소가 나타나는 시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간 2006.3. 2007.4. 2007.5. 2007.6. 2007.7. 2007.8. 2007.9
치통 남성(명) 2 2 5 4 4 5 2 24
여성(명) - 1 3 3 6 4 - 17
잇몸부기 남성(명) - - - - 2 - - 2
여성(명) - - - - 1 - - 1
질환별 치통 잇몸부기 합계(명)
치유시간 남성(명) 여성(명) 남성(명) 여성(명) 남성(명) 여성(명)
3 ~ 10분 16 7 - - 16 7 23
11 ~ 20분 5 5 - 1 5 6 11
21 ~ 30분 3 1 - - 3 1 4
31 ~ 40분 - 1 1 - 1 1 2
41 ~ 50분 - 1 - - - 1 1
51 ~ 60분 - 2 1 - 1 2 3
계(인원수) 24 17 2 1 26 18 44
평균치유시간 11.5 19.2 50 20 14.4 19.3 16.4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용 후 3 내지 10분 내에 치통 완화 효과를 보인 사람이 전체 42명 중에서 23명으로 52.2%이었으며, 30분 내에 치통 완화 효과를 보는 사람이 전체 42명 중에서 90.4%였다. 또한, 잇몸 부기 해소는 40분 이내에 총 3명 중 2명이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빠른 시간 내에 치통 완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제예 1. 껌의 제조
껌 베이스 30중량%와 설탕 10중량%, 물엿 4중량%의 당류와 본 발명의 치통 완화용 조성물 65중량%를 연화제 1중량%와 함께 65℃로 예비 가열한 믹서에 넣고 혼합한 후 믹서 내부 온도가 55℃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하고, 향료 0.9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츄잉껌을 만들었다.
제제예 2. 음료수의 제조
2-1. 건강음료의 제조
실시예 1 또는 2에서 제조된 액상을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2-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 및 본 발명의 치통 완화용 조성물 50%를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 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본 발명의 치통 완화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3-1.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치통 완화용 조성물 50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치통 완화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4-1.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치통 완화용 조성물 50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치통 완화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치약의 제조
불용성 메타인산소다 30중량%, 디칼슘포스페이트 8중량%, 본 발명의 치통 완화용 조성물 8중량%, 수산화알미늄겔 2중량%, 글리세린 10중량%, 솔비톨 12중량%, 소듐카복시메칠셀룰로오즈 0.7중량%, 라울릴황산소다 2중량%, 이온교환수지 25중량%를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감미제, 향료 및 색소 적량을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시켜서 액상으로 분쇄한 후, 이를 적당한 용량의 용기에 주입하여 밀봉하여 치약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빠른 시간 내에 치통 완화 효과가 있어서 간단한 제조 공정 및 적은 제조 비용으로 치통 환자에게 우수한 치통 완화용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매실액 및 불소를 포함하는 치통 및 구강통증 완화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액은 매실 발효액 또는 매실 추출액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는 이온 형태, 또는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과 결합한 화합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내지 1.2ppm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음료수 또는 껌인 기능성 식품.
  7.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용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세정용품이 치약인 구강세정용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세정용품이 구강세정제인 구강세정용품.
  10. 매실: 정백당을 1: 0.1 내지 0.8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매실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실의 발효액을 희석한 후 불소를 0.1 내지 1.2ppm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통 및 구강통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1. 매실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매실 추출액을 희석한 후 불소를 0.1 내지 1.2ppm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통 및 구강통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70096451A 2007-09-21 2007-09-21 치통 완화용 조성물 KR20090030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451A KR20090030838A (ko) 2007-09-21 2007-09-21 치통 완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451A KR20090030838A (ko) 2007-09-21 2007-09-21 치통 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838A true KR20090030838A (ko) 2009-03-25

Family

ID=4069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451A KR20090030838A (ko) 2007-09-21 2007-09-21 치통 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08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1352A (zh) * 2015-01-10 2015-04-08 淄博职业学院 治疗牙痛的中药漱口水方剂及制备
CN104758653A (zh) * 2015-03-26 2015-07-08 王先忠 一种治疗牙痛的中药组合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1352A (zh) * 2015-01-10 2015-04-08 淄博职业学院 治疗牙痛的中药漱口水方剂及制备
CN104758653A (zh) * 2015-03-26 2015-07-08 王先忠 一种治疗牙痛的中药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073B1 (ko) 이소말툴로스 함유 즉석 음료 분말
US6986906B2 (en) Cranberry based dietary supplement and dental hygiene product
CN103637331A (zh) 一种黄秋葵汁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062716B1 (ko) 숙성노니원액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0031673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hangover symptoms
CN103053740A (zh) 一种蜂蜜柚子茶及其制备方法
CN106535911B (zh) 含有作为活性成分的桑白皮提取物与卫矛提取物的牙周炎预防及治疗用口腔组合物
JP2016532446A (ja) 円武扇発酵物含有食品または飲料組成物
KR20160065497A (ko) 숙취 해소용 음료의 제조 방법 및 숙취 해소용 음료
CN102919655A (zh) 一种具有清火润肺功能的l-阿拉伯糖复合果酱
CN101822405B (zh) 一种无糖饮料及制作方法
CN107073061B (zh) 含有作为活性成分的桑白皮提取物与卫矛提取物的龋齿预防及治疗用口腔组合物
CN116508917A (zh) 一种透明质酸钠葫芦饮
KR100977849B1 (ko) 유산균이 함유된 김치를 포함하는 녹즙 조성물
KR20090030838A (ko) 치통 완화용 조성물
KR100750033B1 (ko) 구취 제거용 청정음료
CN104366648A (zh) 甜橙vc泡腾片
CN104305464A (zh) 蓝莓c+e泡腾片
JP2005073503A (ja) アムラの風味改良方法
KR20090045721A (ko)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CN108125082A (zh) 一种止咳润肺饮料
CN103054035A (zh) 喉爽饮料及制备方法
KR101072243B1 (ko) 액상 동백잎 차의 제조방법
KR20210147707A (ko)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40081943A (ko) 바이오 천연 생 사과(해피 티) 침출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