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062A -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 Google Patents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062A
KR20090029062A KR1020070094329A KR20070094329A KR20090029062A KR 20090029062 A KR20090029062 A KR 20090029062A KR 1020070094329 A KR1020070094329 A KR 1020070094329A KR 20070094329 A KR20070094329 A KR 20070094329A KR 20090029062 A KR20090029062 A KR 20090029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block
jig
support
distribution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연선
Original Assignee
(주)현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보 filed Critical (주)현보
Priority to KR102007009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9062A/ko
Publication of KR20090029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1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08Devices for clamp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장치의 마찰면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2웨이 분배변을 정밀하게 가공하기 위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2웨이 분배변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어 가공시간이 월등히 단축가능한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머신의 제1회전테이블에 고정되며, 직육면체 형상의 분배변의 3면을 우선적으로 가공하기 위해 지지하는 1차가공지그와, 가공머신의 제2회전테이블에 고정되며, 1차가공지그에서 가공된 1차가공 분배변의 나머지 3면을 가공하기 위해 지지하는 2차가공지그로 이루어져; 가공시간 및 가공공정이 간단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공머신의 회전테이블에 1,2차가공지그를 설치하여 육면체 형상의 분배변의 6면중 3면씩을 가공하여 가공시간 및 가공공정의 단축이 가능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2웨이, 분배변, 지그, 바이스, 가공머신, 드릴링, 높이조정블록, 셋팅블록

Description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2way Grease supply flag fixation jig}
본 발명은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장치의 마찰면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2웨이 분배변을 정밀하게 가공하기 위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2웨이 분배변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어 가공시간이 월등히 단축되며, 정확한 셋팅에 의해 정밀도가 향상되는 한편, 가공공정이 간단해서 분배변의 대량 생산에 따른 단가절감이 가능한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나 차량의 차륜부분에 있어서 마모가 심한 부위나 또는 마찰부위에는 적정량을 오일을 뿌려 주어서 윤활작용이 일어나게 하는데, 오일을 급유하기에 불편한 곳, 고온인 곳, 고면압(高面壓)인 곳, 저속인 곳 등에는 고(高)점도의 윤활제(그리스:Grease)가 사용된다.
이러한, 윤활제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그 수명을 다함으로 정기적으로 새로운 윤활제로 교체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관리자가 필요할 때마다 직접 차량의 각 부분에 주입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윤활제 주유작업은 차량 정비사에게 맡겨지는 경우가 있지만, 정비사 입장에서도 불결하고 힘든 윤활제 주유작업은 될 수 있으면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가장 문제시되는 것은 윤활제 교체시기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어, 안전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높다는 것을 감안하여 분배변이 사용된다.
그리고, 윤활제를 분배하는 분배변은 펌프의 공급압력에 대하여 내부의 구성장치가 원활하게 동작되어야 하며 분배변의 내벽과 스풀(Spool) 사이에서 내부 누유가 발생되지 않아야하고 작동에 대한 토출량이 일정하여야 함은 물론 공급대상의 설비조건에 알맞는 공급압을 가져야 한다.
더불어, 분배변은 펌프작동시 스풀의 고착이 없이 왕복작동이 원활하게 작동되어야만 가이드 롤(Guide Roll) 및 그 밖의 설비의 마찰면에 윤활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분배변은 윤활제가 순환되는 통로가 내부공간에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스풀과 스풀홀간에 유격 및 통로의 정밀도나 가공 정확도에 따라 윤활제의 원활한 순환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분배변은 윤활제의 공급라인의 개수에 따라 원웨이(1way), 투웨이(2way)방식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공통적으로 윤활제 라인홀 및 공급홀, 스풀홀 등이 여러 개로 가공되어 있다.
상기 원웨이, 투웨이 분배변 중 투웨이 분배변은 원웨이 분배변 보다 가공공정뿐만 아니라 가공홀의 개수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하여, 투웨이 분배변의 가공은 복잡하며 정밀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투웨이 분배변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6면에 대하여 가공을 하게 되는데 바이스와 같은 지지공구를 이용하여 6면 중 한면 을 가공한 후 재 고정시켜 다른면을 가공하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공정으로 이루어 졌다.
또한, 가공공정이 복잡함에 따라 가공시간이 증대되며, 가공 생산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가공공정이 복잡하여 작업을 위한 작업자의 수가 증대되어 인건비의 상승과 생산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정밀하게 투웨이 분배변을 가공할 수 있으며, 가공시간의 단축 및 가공공정을 단순화하고, 대량 가공이 가능하며, 정밀도를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도를 유지시키고, 생산단가를 저하시켜 저렴하게 보급가능한 투웨이 분배변의 가공을 위한 지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공머신의 회전테이블에 1,2차가공지그를 설치하여 육면체 형상의 분배변의 6면중 3면씩을 가공하여 가공시간 및 가공공정이 단축가능한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2차가공지그에 기준턱을 형성한 셋팅블록이나 고정핀이 결합되는 기준홀 및 편심홀을 형성하여 가공할 2웨이 분배변과 1차가공이 완료된 2웨이 분배변의 가공위치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어 가공 정밀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동될 2웨이 분배변의 크기에 따라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여 가공물의 크기에 대하여 제약을 받지 않고 범용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2차가공지그의 전체적인 형상이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공을 위한 가공머신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구가 2웨이 분배변을 관통하는 홀을 가공할 경우 공구의 끝단이 2차가공지그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공머신으로 2웨이 분배변의 윤 활제 라인홀 및 공급홀, 스풀홀 등을 가공할 때 지지하는 지그에 있어서,
가공머신의 제1회전테이블에 고정되며, 직육면체 형상의 분배변의 3면을 우선적으로 가공하기 위해 지지하는 1차가공지그와,
가공머신의 제2회전테이블에 고정되며, 1차가공지그에서 가공된 1차가공 분배변의 나머지 3면을 가공하기 위해 지지하는 2차가공지그로 이루어져; 가공시간 및 가공공정이 간단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1차가공지그는
제1회전테이블에 고정되며 '+'형상의 이송홈이 형성된 베이스블록과,
베이스블록의 이송홈에 각각 안치되며, 분배변이 올려지되, 'X'축 방향의 셋팅을 위해 기준단이 일 끝단에 형성된 Y축 방향의 기준이 되는 Y축면으로 형성된 4개 이상의 셋팅블록과,
셋팅블록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베이스블록의 이송홈에 안치 고정되는 중앙블록과,
셋팅블록에 대응되게 상부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전방 하부면에는 지지단이 형성되고, 후방 끝단은 삼각 형상의 밀착단이 형성된 지지블록과,
지지블록을 관통한 후 중앙블록에 결합되어 분배변을 지지하는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이송볼트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중앙블록의 상부에는
분배변의 높이에 따라 지지블록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정블록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2차가공지그는 제2회전테이블에 고정되며 '+'형상의 이송홈이 형성된 베이스블록과,
베이스블록의 이송홈에 각각 안치되며, 1차가공 분배변이 올려지는 4개 이상의 셋팅블록과,
셋팅블록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베이스블록의 이송홈에 안치 고정되는 중앙블록과,
셋팅블록에 대응되도록 중앙블록의 상부에 안치되며, 전방 하부면에는 지지단이 형성되고, 후방 끝단은 삼각 형상의 밀착단이 형성된 지지블록과,
지지블록을 관통한 후 중앙블록에 결합되어 1차가공 분배변을 지지하는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이송볼트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셋팅블록은
상부면의 중앙 및 중앙에서 이탈된 위치에 1차가공 분배변이 고정되는 기준홀, 편심홀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기준홀, 편심홀에는
1차가공 분배변에 가공된 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블록의 전방면에는
2차 가공을 위해 1차가공 분배변을 관통하는 가공머신의 공구의 끝단이 접촉되지 않도록 가공공간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가공머신의 회전테이블에 1,2차가공지그를 설치하여 육면체 형상의 분배변의 6면중 3면씩을 가공하여 가공시간 및 가공공정의 단축이 가능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1,2차가공지그에 기준단을 형성한 셋팅블록이나 고정핀이 결합되는 기준홀 및 편심홀을 형성하여 가공할 2웨이 분배변과 1차가공이 완료된 2웨이 분배변의 가공위치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어 가공 정밀도가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도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가동될 2웨이 분배변의 크기에 따라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여 가공물의 크기에 대하여 제약을 받지 않고 범용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1,2차가공지그의 전체적인 형상이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공을 위한 가공머신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지그의 파손 및 공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공구가 2웨이 분배변을 관통하는 홀을 가공할 경우 공구의 끝단이 2차가공지그와 접촉되지 않게 되어 지그가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2차가공지그가 설치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차가공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1차가공지그의 정면도 및 부분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에 따른 1차가공지그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셋팅블록, 중앙블록, 지지블록, 이송볼트축, 높이조정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가공지그의 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2차가공지그의 정면도 및 부분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7e는 본 발명에 따른 1차가공지그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셋팅블록과 1차가공 분배변의 분해사시도 및 중앙블록, 지지블록, 이송볼트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분배변과 1차가공 분배변의 가공을 위한 가공면을 표시한 표시도이고, 도 9는 1차가공지그를 이용하여 분배변을 가공하는 개념도이며, 도 10은 2차가공지그를 이용하여 분배변을 가공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는 가공머신(200)으로 2웨이 분배변의 윤활제 라인홀 및 공급홀, 스풀홀 등을 가공할 때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분배변(300)의 6개의 면 중 3개 면을 먼저 가공하기 위해 지지하는 1차가공지그(10)와, 나머지 3면을 가공하기 위해 지지하는 2차가공지그(20)로 가공지그(100)가 구성된다.
먼저, 가공머신(200)의 제1회전테이블(201)에 고정되며, 직육면체 형상의 분배변(300)의 3면을 우선적으로 가공하기 위해 지지하는 1차가공지그(10)는 베이스블록(11)과, 셋팅블록(12)과, 지지블록(14)과, 이송볼트축(15), 높이조정블록(16)으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가공지그(10)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베이스블록(11)은 전체적으로 사각판 형상으로 제1회전테이블(201)에 고정되며 상부면에는 하부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의 이송홈(11a)이 형성된다.
둘째로, 셋팅블록(12)은 베이스블록(11)의 이송홈(11a)에 외곽부에 각각 안치되어 고정되는 사각블록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셋팅블록(12)의 상부면에는 분배변(300)이 올려지되, 'X'축 방향의 셋팅을 위해 기준단(12a')이 일 끝단에 형성된 Y축 방향의 기준이 되는 Y축면(12a)으로 형성된 4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즉, 셋팅블록(12)을 정면에서 투영하면 'ㄴ'형상으로 기준단(12a')은 세로방향으로 직립된 상태이며, Y축면(12a)은 가로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를 이루면서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셋째로, 중앙블록(13)은 육면체 형상으로 상부면 외곽부분 4군데에는 볼트홈(13a)이 형성되며, 셋팅블록(1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베이스블록(11)에 고정되어 셋팅블록(12)이 베이스블록(11)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넷째로, 지지블록(14)은 셋팅블록(12)에 대응되게 상부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전방 하부면에는 지지단(14a)이 형성되고, 후방 끝단은 삼각 형상의 밀착단(14b)이 형성되되, 내측으로는 나사선이 없는 관통홀(14c)이 구성된다.
이때, 지지블록(14)은 셋팅블록(12)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지지단(14a) 은 분배변(300)의 상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4개의 지지블록(14)은 각각의 밀착단(14b)이 서로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된다.
다섯째로, 이송볼트축(15)은 볼트축(15a)와 너트(15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트축(15a)이 지지블록(14)을 관통한 후 중앙블록(13)에 결합되어 분배변(300)을 지지하는 작용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송볼트축(15)의 볼트축(15a)이 지지블록(14)의 관통홀(14c)에 결합 관통한 후 중앙블록(13)의 볼트홈(13a)에 결합되면, 지지블록(14)의 상부측으로 볼트축(15a)에 너트(15b)를 고정시킨다.
즉, 셋팅블록(12)와 지지블록(14)의 사이에 분배변(30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너트(15b)를 조이게 되면 지지블록(14)이 분배변(300)을 누르면서 견고하게 물림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높이조정블록(16)은 하나 이상의 육면체 형상으로 중앙블록(13)의 상부에 안치되며, 분배변(300)의 높이에 따라 지지블록(1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높이조정블록(16)은 지지블록(14)이 이송볼트축(15)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상부면에 얹혀지게 되는 것으로, 높이조정블록(16)이 쌓이게 되면 지지블록(14)이 함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가공머신(200)의 제2회전테이블(202)에 고정되며, 1차가공지그(10)에서 가공된 1차가공 분배변(301)의 나머지 3면을 가공하기 위해 지지하는 2차가공지그(20)는 베이스블록(21)과, 셋팅블록(22)과, 중앙블록(23)과, 지지블 록(24)과, 이송볼트축(25)으로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가공지그(20)를 구성하는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베이스블록(21)은 1차가공지그(1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제2회전테이블(202)에 고정되며 '+'형상의 이송홈(21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둘째로, 셋팅블록(22)은 베이스블록(21)의 이송홈(21a)에 각각 안치되며, 1차가공 분배변(301)이 올려지는 4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셋팅블록(22)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부면의 중앙 및 중앙에서 이탈된 위치에 1차가공 분배변(301)이 고정되는 기준홀(22a), 편심홀(22b)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기준홀(22a)은 셋팅블록(22)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으며, 편심홀(22b)은 기준홀(22a)의 일측면에 셋팅블록(22)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기준홀(22a), 편심홀(22b)에는 1차가공 분배변(301)에 가공된 홀(301a)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핀(22c)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고정핀(22c)은 원기둥 형상으로써 기준홀(22a), 편심홀(22b)에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것이며, 1차가공지그(10)에 지지되어 1차가공작업이 완료된 1차가공 분배변(301)을 2차가공지그(20)로 이동시킨 후 지지할 때, 가공머신(200)의 가공위치와 가공될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해 1차가공 분배변(301)의 가공위치를 정확히 셋팅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부연 설명하자면, 고정핀(22c)을 기준홀(22a)이나 편심홀(22b) 중에 결합하고, 1차가공 분배변(301)의 홀(301a) 중 임의로 기준을 판단하는 홀(301a)에 고정핀(22c)을 삽입시켜 1차가공 분배변(30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셋째로, 중앙블록(23)은 육면체 형상으로 상부면 외곽부분 4군데에는 볼트홈(23b)이 형성되며, 셋팅블록(2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베이스블록(21)에 고정되어 셋팅블록(22)이 베이스블록(21)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중앙블록(23)의 사방 전방면에는 2차 가공을 위해 1차가공 분배변(301)을 관통하는 가공머신(200)의 가공공구(203)의 끝단이 접촉되지 않도록 가공공간(23a)이 더 형성된다.
즉, 가공공간(23a)은 2차가공지그(20)에서의 중앙블록(23)과 1차가공 분배변(301)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공간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가공머신(200)의 가공공구(203)가 1차가공 분배변(301)을 관통하는 가공작업을 수행할 때 가공공구(203)의 끝부분이 중앙블록(23)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이다.
넷째로, 지지블록(24)은 지지블록(14)과 동일한 형상으로, 셋팅블록(22)에 대응되도록 중앙블록(23)의 상부에 안치되며, 전방 하부면에는 지지단(24a)이 형성되고, 후방 끝단은 삼각 형상의 밀착단(24b)의 전방에는 관통홀(24c)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이송볼트축(25)은 볼트축(25a)과 너트(25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트축(25a)이 지지블록(24)을 관통한 후 중앙블록(23)에 결합되어 1차가공 분 배변(301)을 지지하는 작용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송볼트축(25)의 볼트축(25a)이 지지블록(24)의 관통홀(24c)에 결합 관통한 후 중앙블록(23)의 볼트홈(23b)에 결합되면, 지지블록(24)의 상부측 볼트축(25a)에 너트(25b)를 고정시킨다.
이로써, 1차가공지그(10)와 2차가공지그(20)의 공통적인 특징은 분배변(300) 및 1차가공 분배변(301)이 각각 전방면, 좌우 양측면이 노출되게 4개씩 지지되게 되며, 가공머신(200)의 제1,2회전테이블(201,202)의 회전에 의해 분배변(300) 및 1차가공 분배변(301)이 지지된 1차가공지그(10)와 2차가공지그(20)가 회전되면서 가공공구(203)에 의해 가공되어 가공시간 및 가공공정이 간단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지그(100)를 구성하는 1차가공지그(10)와 2차가공지그(20)는 각각 제1,2회전테이블(201,202)에 베이스블록(11,21)을 고정한다.
이후, 각각의 베이스블록(11,21)의 이송홈(11a,21a) 외곽으로 4개의 셋팅블록(12,22)을 고정시키고, 빈 공간을 형성하는 중앙부분에 중앙블럭(13,23)을 고정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블록(14,24)의 관통홀(14c,24c)를 통해 이송볼트축(15,25)의 볼트축(15a,25a)을 관통시킨 후 중앙블록(13,23)의 볼트홈(13a,23b)에 결합한다.
이때, 1차가공지그(10)에서는 필요에 따라 높이조정블록(16)을 중앙블록(13)의 상부에 안치시켜 결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각각의 지지블록(14,24)의 상부로 노출된 볼트축(15a,25a)에 너트(15b,25b)를 체결하여 1차가공지그(10)와 2차가공지그(20)의 결합 및 설치가 완료된다.
아울러, 직육면체 형상의 분배변(300)을 가공하기 위하여 6개의 면을 A면,B면,C면,D면,E면,F면 이라고 가정하면 임의적으로 3개의 면을 선택하되, 'ㄷ'형상으로 접하는 면으로 선택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A면,B면,C면을 1차가공면으로 선택하여 가공한 후, D면,E면,F면을 2차가공면으로 선택하여 가공하여 완성한다.
이렇게, 결합, 설치가 완료된 1차가공지그(10)에 A면,B면,C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될 때 D면과 E면은 각각 지지블록(14)과 셋팅블록(12)에 의해 지지되며, F면은 중앙블록(13)측으로 향하게 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때, 분배변(300)은 셋팅블록(12)의 상부면, 기준단(12a'), 중앙블록(13)의 전방면에 밀착되어 정확하게 안착되어 모두 4개의 개수로 1차가공지그(10)에 각각 지지된다.
아울러, 분배변(300)의 지지작업이 완료되면 A면,B면,C면의 3면 중 임의의 순서를 정해 가공머신(200)의 드릴과 같은 가공공구(203)에 의해 가공이 진행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위해 A면-> B면 -> C면의 가공순서를 가정한다.
즉, 가공공구(203)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가공을 위한 작동만을 위해 1 차가공지그(10)의 세로중심점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후이송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분배변(300)의 A면의 가공이 완료되면 B면의 가공을 위해 제1회전테이블(201)이 Y축좌표로 90°회전하게 되어 B면을 가공한 후, B면과 대응되게 위치된 C면의 가공을 위해 제1회전테이블(201)은 Y축좌표로 180°로 회전하여 C면을 가공하여 하나의 분배변(300)을 1차가공 분배변(301)으로 가공하는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여기서, 가공머신(200)의 제1,2회전테이블(201,202) 및 가공공구(203)가 작동되는 것은 본 발명에서는 기술하지 않은 가공머신(200)의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분배변(300)의 1차 가공이 완료되면 가공공구(203)의 전방으로 다음으로 가공할 분배변(300)의 A면이 위치되도록 제1회전테이블(201)을 회전시켜 동일한 방식으로 4개의 분배변(300)을 가공하게 된다.
이후, 4개의 분배변(300)이 1차가공 분배변(301)으로 모두 1차 가공되면 너트(15b)를 풀어 셋팅블록(12)와 지지블록(14)의 사이에서 1차가공 분배변(301)을 분리하여 2차가공지그(20)으로 이동시켜 지지하게 된다.
이때, 2차 가공에서는 D면,E면,F면을 가공하기 위하여 D면,E면,F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될 때 B면과 C면은 각각 지지블록(24)와 셋팅블록(22)에 의해 지지되며, A면은 중앙블록(23)측으로 향하게 된 상태로 지지된다.
아울러, 4개의 1차가공 분배변(301)에 가공된 A면,B면,C면 중 임의의 면을 채택하여 셋팅블록(22)의 기준홀(22a)이나 편심홀(22b)에 결합된 고정핀(22c)에 결합하여 동일한 위치로 고정한다.
여기서, 홀(301a)의 개수가 홀수일 경우에는 고정핀(22c)을 기준홀(22a)에 결합하고 정 중앙에 위치된 홀(301a)을 고정핀(22c)에 결합하고, 홀(301a)의 개수가 짝수일 경우에는 편심홀(22b)에 고정핀(22c)을 결합하여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홀(301a)에 고정핀(22c)을 삽입시켜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2차 가공순서는 D면->E면->F면 순서로 1차 가공 방식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이로써, 정확한 위치를 분배변(300), 1차가공 분배변(301)의 정밀가공이 가능하며, 한 공정에서 4개의 분배변(300)을 자동적으로 가공함에 따라 대량 가공 및 가공공정이 단순해 기능적 특징이 있다.
더불어, 자동화로 모든 공정이 이루어지며, 가공공정의 단순화로 인해 인건비와 관리비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공시간의 단축 및 가공 수량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2차가공지그가 설치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차가공지그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1차가공지그의 정면도 및 부분단면도,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에 따른 1차가공지그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셋팅블록, 중앙블록, 지지블록, 이송볼트축, 높이조정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가공지그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2차가공지그의 정면도 및 부분단면도,
도 7a 내지 7e는 본 발명에 따른 1차가공지그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셋팅블록과 1차가공 분배변의 분해사시도 및 중앙블록, 지지블록, 이송볼트축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분배변과 1차가공 분배변의 가공을 위한 가공면을 표시한 표시도,
도 9는 1차가공지그를 이용하여 분배변을 가공하는 개념도,
도 10은 2차가공지그를 이용하여 분배변을 가공하는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1차가공지그 20 : 2차가공지그
11 : 베이스블록 11a : 이송홈
12 : 셋팅블록 12a : Y축면
12a' : 기준단 13 : 중앙블록
13a : 볼트홈 14 : 지지블록
14a :지지단 14b : 밀착단
14c : 관통홀 15 : 이송볼트축
15a : 볼트축 15b :너트
16 : 높이조정블록 21 : 베이스블록
21a : 이송홈 22 : 셋팅블록
22a : 기준홀 22b : 편심홀
22c : 고정핀 23 : 중앙블록
23a : 가공공간 23b : 볼트홈
24 : 지지블록 24a :지지단
24b : 밀착단 24c : 관통홀
25 : 이송볼트축 25a : 볼트축
25b :너트 100 : 가공지그
200 : 가공머신 201,202 : 제1,2회전테이블
203 : 가공공구 300 : 분배변
301 : 1차가공 분배변 301a : 홀

Claims (7)

  1. 가공머신(200)으로 2웨이 분배변의 윤활제 라인홀 및 공급홀, 스풀홀 등을 가공할 때 지지하는 지그에 있어서,
    가공머신(200)의 제1회전테이블(201)에 고정되며, 직육면체 형상의 분배변(300)의 3면을 우선적으로 가공하기 위해 지지하는 1차가공지그(10)와,
    가공머신(200)의 제2회전테이블(202)에 고정되며, 1차가공지그(10)에서 가공된 1차가공 분배변(301)의 나머지 3면을 가공하기 위해 지지하는 2차가공지그(20)로 이루어져; 가공시간 및 가공공정이 간단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가공지그(10)는
    제1회전테이블(201)에 고정되며 '+'형상의 이송홈(11a)이 형성된 베이스블록(11)과,
    베이스블록(11)의 이송홈(11a)에 각각 안치되며, 분배변(300)이 올려지되, 'X'축 방향의 셋팅을 위해 기준단(12a')이 일 끝단에 형성된 Y축 방향의 기준이 되는 Y축면(12a)으로 형성된 4개 이상의 셋팅블록(12)과,
    셋팅블록(1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베이스블록(11)의 이송홈(11a)에 안치 고정되는 중앙블록(13)과,
    셋팅블록(12)에 대응되게 상부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전방 하부면에는 지지단(14a)이 형성되고, 후방 끝단은 삼각 형상의 밀착단(14b)이 형성된 지지블록(14)과,
    지지블록(14)을 관통한 후 중앙블록(13)에 결합되어 분배변(300)을 지지하는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이송볼트축(1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블록(13)의 상부에는
    분배변(300)의 높이에 따라 지지블록(14)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정블록(16)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가공지그(20)는 제2회전테이블(202)에 고정되며 '+'형상의 이송홈(21a)이 형성된 베이스블록(21)과,
    베이스블록(21)의 이송홈(21a)에 각각 안치되며, 1차가공 분배변(301)이 올려지는 4개 이상의 셋팅블록(22)과,
    셋팅블록(2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베이스블록(21)의 이송홈(21a)에 안치 고정되는 중앙블록(23)과,
    셋팅블록(22)에 대응되도록 중앙블록(23)의 상부에 안치되며, 전방 하부면에는 지지단(24a)이 형성되고, 후방 끝단은 삼각 형상의 밀착단(24b)이 형성된 지지블록(24)과,
    지지블록(24)을 관통한 후 중앙블록(23)에 결합되어 1차가공 분배변(301)을 지지하는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이송볼트축(2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셋팅블록(22)은
    상부면의 중앙 및 중앙에서 이탈된 위치에 1차가공 분배변(301)이 고정되는 기준홀(22a), 편심홀(22b)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준홀(22a), 편심홀(22b)에는
    1차가공 분배변(301)에 가공된 홀(301a)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핀(22c)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블록(23)의 전방면에는
    2차 가공을 위해 1차가공 분배변(301)을 관통하는 가공머신(200)의 가공공구(203)의 끝단이 접촉되지 않도록 가공공간(23a)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KR1020070094329A 2007-09-17 2007-09-17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KR20090029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329A KR20090029062A (ko) 2007-09-17 2007-09-17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329A KR20090029062A (ko) 2007-09-17 2007-09-17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062A true KR20090029062A (ko) 2009-03-20

Family

ID=4069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329A KR20090029062A (ko) 2007-09-17 2007-09-17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906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6898A (zh) * 2011-09-22 2012-03-07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膨胀槽偏心定位工装装置
CN107584411A (zh) * 2017-10-25 2018-01-16 德清凯晶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双面研磨机的游星轮
KR101841890B1 (ko) * 2017-12-13 2018-03-23 김주환 렌즈 어레이 금형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어레이 금형의 제조 방법.
KR101866714B1 (ko) 2018-03-16 2018-06-11 김주환 렌즈 어레이 금형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CN108296826A (zh) * 2018-02-08 2018-07-20 无锡瑞真精机股份有限公司 一种成初模模具柔性加工夹具
CN112223159A (zh) * 2020-10-18 2021-01-15 安徽恩大阀门机械有限公司 一种管道阀门加工定位装置
CN113211343A (zh) * 2021-04-27 2021-08-06 延康汽车零部件如皋有限公司 一种新型标盘装夹系统
CN117961137B (zh) * 2024-04-01 2024-05-31 江苏松林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发动机飞轮壳铸造后的铣削设备及其铣削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6898A (zh) * 2011-09-22 2012-03-07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膨胀槽偏心定位工装装置
CN102366898B (zh) * 2011-09-22 2013-08-21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膨胀槽偏心定位工装装置
CN107584411A (zh) * 2017-10-25 2018-01-16 德清凯晶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双面研磨机的游星轮
KR101841890B1 (ko) * 2017-12-13 2018-03-23 김주환 렌즈 어레이 금형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어레이 금형의 제조 방법.
CN108296826A (zh) * 2018-02-08 2018-07-20 无锡瑞真精机股份有限公司 一种成初模模具柔性加工夹具
KR101866714B1 (ko) 2018-03-16 2018-06-11 김주환 렌즈 어레이 금형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CN112223159A (zh) * 2020-10-18 2021-01-15 安徽恩大阀门机械有限公司 一种管道阀门加工定位装置
CN113211343A (zh) * 2021-04-27 2021-08-06 延康汽车零部件如皋有限公司 一种新型标盘装夹系统
CN117961137B (zh) * 2024-04-01 2024-05-31 江苏松林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发动机飞轮壳铸造后的铣削设备及其铣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9062A (ko) 2웨이 분배변 가공 지지용 지그
KR101302141B1 (ko) 축간 거리 조절이 자유로운 다축드릴장치
CN201009096Y (zh) 机械加工定位夹具
CN106112073B (zh) 活塞销两端倒角装置
CN102350517A (zh) 塔式起重机的标准节的夹具及其加工模板
CN105903995A (zh) 一种用于加工阀门的打孔机
CN103140322A (zh) 用于支撑坯料的模块化结构
CN2905311Y (zh) 数控机床工装托盘
KR101127792B1 (ko) 공작기계의 지그 장착용 플레이트 구조
KR20110125335A (ko) 고정밀 부품의 실린더 디버링 장치
CN103707096A (zh) 套管法兰多工位铣夹具
CN109079527A (zh) 定位结构及具有其的机床
CN109623013A (zh) 数控钻孔机床及导向装置和更换数控钻孔机床刀具的方法
JP6267139B2 (ja) 転造タッピング装置
CN109482937A (zh) 一种数控钻孔机床用导向机构及数控钻孔机床
JP2020006466A (ja) パレット交換治具及びパレット交換治具の着脱方法
KR100727431B1 (ko) 다축 와이드 탭핑기
CN202462041U (zh) 一种机座立装复合夹具
CN210099508U (zh) 一种通用孔系加工工装
CN113199289B (zh) 一种卧式柔性生产线工作台与机床互换精度调整方法
CN211516180U (zh) 不规则铸件自动调心钻孔装置
KR101407981B1 (ko) 무한궤도용 체인링크의 고정용 지그
KR101079281B1 (ko) 작업부의 확인이 가능한 중,대형 가공기
CN219967727U (zh) 一种组合式定位支撑装置
KR101844789B1 (ko) 와이어 가공용 가이드 레일 지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