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615A -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615A
KR20090028615A KR1020097000265A KR20097000265A KR20090028615A KR 20090028615 A KR20090028615 A KR 20090028615A KR 1020097000265 A KR1020097000265 A KR 1020097000265A KR 20097000265 A KR20097000265 A KR 20097000265A KR 20090028615 A KR20090028615 A KR 20090028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user
call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안드레아스 호프만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90028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87Lines and connections with preferential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means for interrupting existing connections; with means for breaking-in on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11Service processing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a party before or during a call, e.g. information, tone or routing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6Lines and connections with preferential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2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authorisation code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59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호출 우선순위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되어, 호출된 사람이 이미 통화중인 경우 권한을 갖는 호출자가 호출 디스포지션을 제어하도록 한다. 동작시에, 제 1 단말기가 이미 제 3 단말기와 통신중인 제 2 단말기와의 통신을 개시하였다면, 시스템은 새롭게 개시된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우선순위" 통신이란, 제 2 단말기에서 진행중인 통신을 중단시키도록 지정된 또는 정해진 특권을 갖는 사용자 및/또는 단말기와 관련된 통신을 의미한다. 만약 그렇다면, 제 2 단말기와 제 3 단말기 사이에서 진행중인 통신은 중단되며, 제 1 및 제 2 단말기 사이에 통신 링크가 확립된다. 중단에 앞서, 호출자에게 제 2/호출된 단말기가 이미 다른 통신 중임을 알려 진행중인 호출을 선택적으로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방법{CALL PRIORITY MANAGEMENT SYSTEM FOR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 내의 호출 관리용 사용자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전기통신 시스템에서, 만약 호출자(calling party)가 이미 전화 호출된 다른 사용자를 호출하고자 시도한다면, 호출자에게 통화중 신호(busy signal)가 제공된다. 호출자에게 있어서 진행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은 전화를 끊는 것과(예를 들어, 전화기를 비활성화) 이후에 다시 호출하는 것이다. 일부 전기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가입자에게 이미 다른 통화중인 경우에도 호출이 들어옴을 통지해주는 "호출 대기" 및 "통화중일 때 호출 포워딩"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호출 대기"의 경우, 만약 호출이 이미 통화중인 가입자에게 개시되었다면, 가입자에게 다른 누군가가 호출 중임을 알리도록 특별한 발신음(tone)이 발생된다. 가입자는 발신음을 무시하거나, 또는 현재 호출자를 "대기"로 둔 채 착신 호출(incoming call)로 스위칭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가입자는 두번째 호출자에게 응답하기 위해 전화기 수신자 또는 플래쉬 버튼을 누른다. 첫번째 호출자와의 호출 로 복귀할 때 수신자 또는 플래쉬 버튼을 다시 누른다.
또한 가입자에게는 착신 호출을 핸들링 또는 라우팅하기 위한 선택이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중일 때 호출 포워딩"의 경우에, 가입자는 가입자가 이미 통화중일 때 착신 호출이 포워딩된 다른 호출 목적지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집 전화에 있어서, 착신 호출은 휴대폰 또는 그외의 무선 유닛, 음성 메일 시스템 등으로 포워딩될 수 있다. "자동 콜-백(auto call-back)" 시스템의 경우에, 만약 호출자가 다른 사람으로 연결을 시도했을 때 통화중 신호를 수신한다면, 서비스는 통화자가 전화를 끊었을 때 자동적으로 호출자와 통화자 사이의 호출을 개시한다.
"호출 대기" 유형의 서비스에서, 호출된 사람은 이미 다른 전화와 통화중일 때 착신 호출을 받아들일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호출자는 호출 디스포지션(disposition)에 대한 제어를 갖지 않는다. "통화중일 때 호출 포워딩"과 "자동 콜-백"에 대해 동일하다. 만약 착신 호출이 긴급 상황과 관련된다면, 또는 그렇지 않더라도 만약 호출자가 호출이 응답되기를 기대한다면, 이것은 단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번에 친구와 몇시간째 통화중인 십대 아이에게 부모가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아이는 호출 대기의 프롬프팅 하에서 착신 호출로 스위칭하고 싶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용 호출 우선순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호출 우선순위 관리 시스템은 호출된 사람이 이미 통화 또는 통신 중일 때 권한을 갖는 호출자가 호출 디스포지션을 제어하도록 한다. "통화중"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대신, 호출 우선순위 관리 시스템은 호출된 사람의 동의 또는 승낙의 수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액티브 호출을 중단시킬 선택권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호출 우선순위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와 서로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구현된다. ("단말기"는, 컴퓨터, 전화기, 또는 무선 유닛과 같이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자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동작시에, 제 1 단말기에서 제 3 단말기와 이미 통신중인 제 2 단말기로의 통신을 개시하면, 시스템은 새롭게 개시된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우선순위" 통신이란, 제 2 단말기에서 및/또는 제 2 단말기를 현재 사용자는 사용자가 진행중인 통신을 중단시키도록 지정된 또는 정해진 특권을 갖는 사용자 및/또는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또는 그와 관련된 통신을 의미한다. 만약 그렇다면, 제 2 단말기와 제 3 단말기 사이의 통신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중단되며, 예로서 종료되거나 또는 일시 중단 상태에 놓인다. (다시 말하면, 호출된 사람이 이미 다른 호출/통신 중일 때 착신 호출을 핸들링하기 위해 영향권 내의 시스템은 네트워크의 정상 프로토콜을 바이패싱한다.) 그 다음, 통신 링크 또는 채널이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에 확립된다. 이것은 제 2 단말기가 호출 대기용으로 구성되지 않았거나, 제 2 단말기의 사용자가 호출 대기에 응답하고 싶지 않을지라도 제 1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 2 단말기로 접속될 것을 보장한다.
호출 우선순위 시스템은,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지정된 우선순위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기를 원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 우선순위 방식으로 접촉하기를 원하는 경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와 아이의 경우(각각이 무선 유닛 또는 다른 단말기를 구비함), 부모는 예컨대 긴급한 상황에서 아이가 부모의 단말기로 접속할 수 있고, 부모가 아이의 단말기로 접속할 수 있음이 보장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단말기에서 다른 단말기가 우선순위 통신을 위해 권한이 주어진 단말기로서 지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티브 통신을 중단시키기에 앞서, 호출 우선순위 시스템은 호출자(예로서, 제 2 단말기로의 통신을 개시한 사용자)에게 호출된/제 2의 단말기가 이미 다른 통화중임을 알린다. 호출자에게는 액티브 호출을 중단시키거나 중단시키지 않을 선택권이 주어진다. 예를 들어, 만약 호출이 중요한 것이라면, 또는 긴급한 경우라면, 호출자는 액티브 통신이 중단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호출이 액티브 호출의 중단을 정당화하기에 충분히 중요하지는 않은 것으로 간주되면, 호출자는 액티브 호출이 중단되지 않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제 3 단말기(예를 들어, 호출된 단말기가 이미 통신 중인 단말기)를 및/또는 (입수가능하다면) 제 3 단말기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가 호출 단말기로 전송되어, 호출자가 액티브 호출과 새롭게 개시된 호출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는 "호출자 ID" 정보일 수 있다. 호출 기간과 같이 액티브 통신과 관련된 다른 정보가 호출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로 개시된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제 1 (호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통신의 개시에서, 제 1 단말기는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식별자가 제 2 단말기와 관련된 기록 내에 우선순위 지위를 갖는 것으로 기입되어 있다면, 개시된 통신은 제 2 단말기와 제 3 단말기 사이의 액티브 통신을 중단시킬 수 있는 우선순위 통신으로 간주된다. 이와 달리, 제 1 단말기는 우선순위 코드를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제 2 단말기로 할당된 특정한 우선순위 통신 식별자를 사용하여 제 2 단말기와의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기는 예로서 표준 호출을 위한 전화 번호 및 우선순위 호출을 위한 다른 식별자와 같은 하나의 식별자를 가질 것이다.) 호출 우선순위의 판단은 (전체로 또는 부분적으로) 사용자 식별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원리적으로 사용자 식별에 기초한다면, 호출 사용자의 식별자는 호출된 사용자와 관련된 기록으로 상호참조될 수 있다. 만약 호출 사용자 식별자가 우선순위 지위를 갖는 것으로 기입되었다면, 착신 통신은 특정한 단말기가 포함되었는지와는 무관하게 우선순위 통신으로 간주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리버스 911 호출의 개시에 따라 액티브 통신을 중단하기 위해, "리버스 911"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리버스 911 호출은 예를 들어 기상 특보, 피난, 또는 유괴 등의, 주변 지역의 긴급 상황 발생을 알리기 위한, 자치 도시의 권한 또는 다른 정부 권한과 하나 이상의 로컬 사용자 사이의 자동 전자 통신이다. 호출 우선순위 관리 시스템에서, 리버스 911 호출이 이미 다른 단말기와 통신중인 사용자 단말기로 개시됨에 따라, 액티브 통신은 리버스 911 호출이 종료될 때까지 자동으로 종료되거나 또는 일시 중단 상태에 놓인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호출 우선순위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3a은 호출 단말기 상의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3b는 네트워크 레벨에서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3c는 시스템의 호출 중단 프로토콜 부분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동작시의 시스템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VoIP 또는 유사한 네트워크의 환경에서 구현된, 호출 우선순위 관리 시스템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도.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아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호출 우선순위를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12) 상에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된다. 시스템(10)은 권한이 주어진 호출자가 호출된 측이 이미 통화중일 때에 호출 디스포지션(disposition)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한다. 동작시에, 제 1 단말기(14a)가 이미 제 2 단말기(14c)와 액티브 통신 중인 제 2 단말기(14b)와의 통신을 개시한다면, 시스템(10)은 새롭게 개시된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우선순위" 통신이란, 제 2 단말 기(14b)에서 진행중인 통신 또는 현재 제 2 단말기(14b)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진행중인 통신을 중단시키도록 지정된 또는 선정된 특권을 갖는 사용자 및/또는 단말기로부터 시작된 또는 그와 관련된 통신을 의미한다). 만약 그렇다면, 제 2 및 제 3 단말기(14b, 14c) 사이의 진행중인 액티브 통신(15)은 중단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단말기(14a, 14b) 사이에 통신 링크/채널이 확립된다. 만약 액티브 통신이 중단되면, 제 3 단말기(14c)는 일시 중단 상태에 놓일 수 있으며, 이것은 통화중단과 관련된 공지, 개인적인 인사, 음악 또는 텍스트,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같은 그외의 "일시 중단(on hold)"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미디어 서버에 대한 접속을 포함한다. 액티브 호출을 중단하기에 앞서, 시스템(10)은 호출자(예컨대, 제 2 단말기(14b)로의 통신을 개시한 사용자)에게 호출된/제 2 단말기(14b)가 이미 통화중임을 알려서 호출자에게 진행중인 호출을 중단시킬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시스템(10)은, 호출자가 호출된 사람과 사전-확립된 관계를 가지고 있고, 호출된 사람이 호출 대기 서비스를 갖는지 또는 호출 대기 프롬프팅 하에서 착신 호출로 스위칭할 의사가 있거나 하고싶어 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호출된 사람과의 통신을 원하는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사용의 경우에서, 일부 어린이는 예로서 그들이 친구와 이야기를 하고 있다면 착신 호출이 호출 대기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에 의해 통지되었을 때 착신 호출로 스위칭하고 싶어하지 않을 수 있다. 시스템(10) 하에서, 우선순위의 특권을 갖는 부모 또는 그외의 호출자에게는 긴급한 목적 또는 그외의 이유를 위해 액티브 호출을 방해할 선택권이 주어진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독립형 네트워크 및 상호접속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12) 상에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들)(12)는 DSL 네트워크, 공공 스위칭 전화 네트워크(PSTN)(16), 인터넷 또는 그외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IP(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및 CDMA, GSM, IEEE 802.11x, 및/또는 UMTS 통신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1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단말기(14a-14c)는 네트워크(들)(12)에 대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이며, 예로서 컴퓨터 유닛, 종래의 전화기와 같은 유선 접속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휴대폰, 무선 PDA, "3-G" 또는 "4-G" 표준과 호환가능한 고속 데이터 전송 성능을 갖는 무선 디바이스, "WiFi" 장착된 컴퓨터 유닛 등과 같은 무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4a-14c)는 네트워크 상의 공간 내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그리고 단말기의 특정 유형과 특정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표준 방식으로 네트워크(12) 상에서 서로 통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유닛(14a, 14b)과 무선 네트워크(18)의 경우에,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사용된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RF 채널 상에서 무선 유닛과의 무선의, 무선주파수(RF) 통신을 위한 다양한 트랜시버 및 안테나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기지국("BS")(2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22)는 기지국들을 상호접속시키고 무선 유닛으로/로부터의 호출 및 다른 데이터 전송을 확립하는 데에 필요한 시그널링 기능을 수행한다. 이것은 또한 네트워크의 무선/RF 단부와 네트워크의 유선 부분 및 외부 유선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18)는 일반적으 로 지상통신선(landline) 부분을 포함하고(예를 들어, 기지국과 무선 네트워크 컨틀롤러를 접속시키는 백본(backbone)), 일반적으로 PSTN(16) 및/또는 IP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무선 유닛이 지상통신선 전화 및 컴퓨터 단자와 같은 PSTN 또는 IP 네트워크로 접속된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네트워크(들)(12)에 접속되거나 또는 그 일부인 애플리케이션 서버 단말기 또는 다른 서비스 브로커(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24)는 메시지, 호출 라우팅, 및/또는 다른 통신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 스위칭 센터, 데이터 라우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같은 네트워크 스위치(26)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24)는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공된다. 이와 달리, 시스템(10)의 기능은 RNC(22) 또는 다른 스위치(26), 또는 현존하는 네트워크 서버 등의 공간 내의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다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스위트(suites), 및/또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10)의 동작은 도 2 및 도 3a-3c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되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호출된 사람이 이미 통화중일 때, 현존하는 액티브 호출을 중단시키기 위해서 새롭게 개시된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3a의 단계(100)에서와 같이 제 1 단말기(14a)가 네트워크(12) 상에서 제 2 단말기(14b)와의 통신을 개시하였을 때, 도 3b의 단 계(102)에서와 같이 제 2/호출된 단말기(14b)가 이미 다른 단말기(14c)와 이미 통신중인지 여부가 먼저 판단된다. 만약 아니라면, 예컨대 만약 호출된 단말기(14b)가 착신 통신을 수용할 수 있다면, 단계(104)에서 네트워크(12)는 네트워크 상에 배치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두 개의 단말기 사이의 채널 또는 링크를 확립하도록 시도한다. 예를 들어, 만약 두 개의 단말기가 전화기(예를 들어, 유선 전화 또는 무선 전화)라면, 네트워크(12)는 호출된 단말기(14b)에게 착신 통신을 알림으로써 호출된 단말기(14b)가 링톤(ring-tone) 또는 그외의 사용자 통지를 개시하도록 한다. 만약 호출된 단말기(14b)가 이미 통화중 또는 통신중이라면, 단계(106)에서 호출된 단말기(14b)가 호출 우선순위 시스템(10)에 가입되었는지 또는 다른 형태로 영향을 받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예를 들어, 호출 우선순위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서명하거나 또는 가입하는 선택적인 서비스로서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만약 모든 사용자들이 시스템에 가입되어 있다면(예로서, 전술된 바와 같이 리버스(reverse) 911 사용을 위해), 이러한 단계는 필요치 않을 것이다.
시스템(10)에서, 가입자 상태 및 호출 우선순위의 결정은 단말기 기록 및 식별자 대신, 또는 그에 추가하여 사용자 기반의 식별자 및 기록과 관련하여 주로 실행될 수 있다. 이것은 도 5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기술된다.
호출된 단말기(14b)가 시스템(10)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소정의 표시가 호출된 단말기(및/또는 전술된 바와 같이, 호출된 사용자)와 관련된 프로파일 또는 다른 데이터 기록 내에 기록될 수 있다. 기록은 네트워크 홈 위치 레지스터 내의 기록과 같은 호출된 단말기의 현존하는 기록일 수 있고, 또는 애플 리케이션 서버(24) 상에 저장된 기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24)는 우선순위 시스템/서비스(10)를 호출하도록 가입된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기록(30a-30c)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28)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록(30a-30c)은 자신의 관련된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32), 예로서 전화번호, 이메일 또는 메시징 어드레스 또는 네트워크(12) 상에서 단말기와의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다른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 1 단말기(14a)가 제 2 단말기(14b)와의 통신을 개시하도록 하기 위해, 제 1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시그널링 프로토콜의 일부로서 네트워크(12)로 제 2 단말기(14b)의 통신 식별자(32)를 전송할 것이다. 만약 제 2 단말기(14b)가 제 2 단말기와 통신중이라면(단계(102)), 시스템(10)은 호출된 단말기(14b)의 통신 식별자(32)를 데이터베이스(28)로 상호참조(cross-reference)한다. 만약 통신 식별자(32)가 기록(또는 인덱스 등) 중 하나에 기입되어 있다면, 이것은 호출된 단말기(14b)가 호출 우선순위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호출된 단말기(14b)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록(30a-30c)은 서비스가 해당 단말기에 대해 활성화되었는지 또는 비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활성화 필드 또는 엔트리(3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호출 우선순위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 할지라도, 시스템(10)은 권한이 주어진 사용자가 서비스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입을 사용하는 대신, 호출 우선순위 서비스가 모든 단말기들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106)에서 시스템은 호출 우선순위 서비스가 호출된 단말기에 대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것이다. 이것은 호출된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32)가 네트워크(12) 상의 각 단말기에 대한 기록(30a-30c)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28)를 상호참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기록은 서비스가 특정한 단말기에 대해 "턴온"되었는지 여부를 가리키는 활성화 필드(34)를 포함할 것이다.
단계(106)에서, (만약 적용가능하다면) 호출된 단말기(14b)가 호출 우선순위 시스템 또는 서비스(10)에 가입되지 않았거나 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또는 서비스가 호출된 단말기에 대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단계(108)에서 시스템/네트워크는 자신의 표준 "통화중" 프로토콜을 실행하며, 즉 이것은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호출된 사람이 미디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 중일 때 착신 호출을 핸들링하도록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지속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2)는 호출 단말기(14a)에서 "통화중" 신호의 발생을 개시할 수 있거나, 또는 "통화중 대기" 또는 "통화중일 때 호출 포워딩" 서비스의 활성화를 개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단계(106)에서 호출된 단말기(14b)가 호출 우선순위 시스템 또는 서비스(10)에 가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110)에서 제 1 단말기(14a)로부터의 착신 호출이 우선순위 통신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제 1 단말기(14a)로부터의 착신 호출이 우선순위 통신인지 아닌지의 여부의 결정은 전형적으로 호출 단말기(14a) 및/또는 호출 단말기(14a)의 사용자가 호출된 단말기(14b)와 다른 단말기 사이의 액티브 통신을 중단시키도록 권한이 주어졌는지의 여부에 기초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우선순위 권한은 호출 단말기 통신 식별자를 사용하여 설정된다. 여기에서, 호출된 단말기(14b)에 대한 기록(30a)은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통신 식별자(38a-38c)를 포함하는 필드 또는 다른 엔트리(36)를 포함한다. 만약 호출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가 우선순위 필드(36) 내에 열거되어 있다면, 그 단말기로부터의 통신은 우선순위 통신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부모와 아이의 경우에서(무선 유닛(14a, 14b)을 각각 사용함), 부모는 아이의 무선 유닛(14b)과 관련된 데이터 기록(30a)의 우선순위 필드(36)에 부모의 무선 유닛(14a)의 통신 식별자(38a)를 추가할 수 있다. 부모가 부모의 무선 유닛(14a)으로부터 아이를 호출하였을 때, 아이의 무선 유닛(14b)의 식별자(32)와 같이 부모의 무선 유닛(14a)의 통신 식별자(38a)가 네트워크로 전송된다. 아이의 무선 유닛(14b)과 관련된 기록(30a)을 위치시키기 위해, 아이의 무선 유닛(14b)의 식별자(32)는 데이터베이스(28)로 상호참조된다. 그 다음, 부모의 무선 유닛(14a)의 식별자(38a)가 우선순위 필드(36)로 상호참조된다. 만약 식별자(38a)가 우선순위 필드(36) 내에 기입되었다면, 부모의 무선 유닛(14a)에서 개시된 통신은 우선순위 통신으로 간주된다.
호출 단말기 통신 식별자에 기초하는 호출 우선순위의 결정은 서비스를 특정 단말기에 대해 제한하는 효과를 가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만약 부모와 아이의 무선 유닛이 전술된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부모는 부모가 그의 또는 그녀의 무선 유닛을 사용하지 않는 한 우선순위 통신을 개시할 수 없을 것이다. 서비스 이동성(portability)을 증가시키도록 우선순위 결정을 단말기 대신 사용자에 기초하기 위해, 권한이 주어진 호출자를 지정하는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단말기(14a)에서 제 2 단말기(14b)로의 통신이 개시된 후, 그리고 단계(106)가 실행된 후, 단계(112)에서 제 1 단말기(14a)의 사용자는 단말기(14a)에 문자숫자 식(alphanumeric)의 우선순위 코드(40)(예를 들어, 문자 및/또는 숫자의 세트)를 입력하며, 이것은 시스템(10)으로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단계(114)에서 사용자는 코드를 입력하기 위해 프롬프팅될 수 있다.) 호출된 단말기(14b)와 관련된 기록(30a)은 하나 이상의 코드를 기입한 코드 필드 또는 다른 엔트리(42)를 포함한다. 만약 호출 단말기(14a)에서 입력된 코드(40)가 코드 필드(42)에 기입되어 있다면, 호출 단말기(14a)에서 개시된 통신은 우선순위 통신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우선순위 특권을 갖는 사용자는 호출된 단말기(14b)와 접촉하기 위해 임의의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42)은 사용자가 서로 다른 시점에서 코드(40)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는 예로서 XXX-XXX-XXXX-code와 같이, 호출된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32)의 말미에 문자열로서 호출 단말기(14a)에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기(14b)에 우선순위 통신 식별자(44)가 제공된다. 우선순위 식별자(44)는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다른 통신 식별자와 동일하게 포맷되지만(예로서, 전화번호로서), 단말기의 주요, 비-우선순위 식별자(32)에 대해 추가적이다. 두 개의 식별자(32, 44) 모두 단말기(14b)와 통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통신이 우선순위 식별자(44)를 사용하여 개시되었다면, 호출 단말기로부터의 통신은 자동으로 우선순위 통신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앞서 주어진 예시에 따라, 아이의 무선 유닛에는 두 개의 식별자(32, 44)가 공급될 수 있다. 주요 식별자(32)는 비-우선순위 사용자가 아이의 무선 유닛을 호출하는 데에 사용하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부모 또는 그외의 우선순위 사용자는 우선순위 식별자(44)를 사용하여 아이의 무선 유닛(14b)을 호출할 수 있다. 만약 단계(11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 식별자(44)가 사용되었다면, 통신은 우선순위 통신으로 간주된다.
시스템(10)은 네트워크 호출 포워딩 서비스 또는 호출 우선순위 지위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단말기 및/또는 통신 식별자들을 상호관련시키는 네트워크의 다른 특성을 수용하도록 추가로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네트워크가 호출 포워딩 서비스를 포함한다면, 그리고 만약 호출 단말기(14a)의 통신 식별자가 호출된 단말기의 프로파일 또는 다른 기록(30a) 내에 우선순위 지위를 갖는 것으로 기입되어 있지 않다면, 시스템(10)은 기록 내에 기입되어 있는 우선순위 통신 식별자(38a-38c) 각각의 호출 포워딩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만약 호출 포워딩 상태가 특정 우선순위 식별자에 대한 호출이 호출 단말기로 포워딩되었음을 나타낸다면, 호출 단말기는 주어진 우선순위 지위에 있을 것이다.
개시된 통신에 우선순위 지위를 부여할 것인가 여부를 통신 식별자, 코드 등의 방식으로 직접 결정하는 대신, 시스템(10)은 각 사용자에 기초한(on a user-by-user basis) 간접적인 지정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단말기의 프로파일 또는 다른 기록(30a-30c)은 이름, 약칭, 주요 통신 식별자 등에 의해 지정된 우선순위 사용자들(48a, 48b)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사용자" 필드 또는 다른 엔트리(46)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리스팅(listing)과 관련하여 (48a, 48b)는 데이터베이스(28) 또는 그외의 곳 내의 사용자 기록(50)이다. 사용자 기록(50)은 지정된 사용자에 의해 유지 및 액세스되며,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또는 현재 사용하는 단말기와 관련된 통신 식별자(52a, 52b)의 리스팅을 포함한다. 개시된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시스템은 호출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32)를 기록(50)과 대조한다. 만약 기록들 중 하나에 기입되어 있다면, 개시된 통신에는 우선순위 지위가 주어진다. 사용자 기록(50)은 예로서 단말기(14a)로부터 통신 식별자(52a, 52b)를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추가 및 제거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쉽게 액세스 및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은 이동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부모와 아이의 무선 유닛의 경우에, 아이의 무선 유닛(14b)과 관련된 기록(30a)은 우선순위 사용자(48a, 48b) 중 하나로서 "엄마"를 기입할 수 있다. "엄마" 엔트리와 관련된 기록(50)은 부모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무선 유닛(14a)의 통신 식별자(52a)를 포함한다. 그러나, 만약 부모가 일시적으로 다른 무선 유닛으로 변경한 경우, 부모는 기록(50)에 액세스하여 새로운 무선 유닛의 통신 식별자를 기록(50)에 추가한다. 부모가 새로운 무선 유닛으로 아이를 호출했을 때, 새로운 무선 유닛의 통신 식별자는 아이의 무선 유닛의 기록(30a)에 기입된 모든 기록(50)과 대조되어 우선순위 지위를 판단한다. 유사한 구성들이 가능하다.
유사하게, 시스템(10)은 단말기들보다는, SIP 또는 Vo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와 같이 주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네트워크(12)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VoIP"는 IP(인터넷 프로토콜)에 대한 음성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음성 신호는 IP 네트워크에 대해 어드레싱된 데이터 패킷으로서 전송된다.) 특히, VoIP 네트워크에서는, 단말기가 단말기를 호출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자를 호출한다. 사용자가 단 말기 사용을 시작할 때마다, 네트워크는 사용자에게 현재 접속가능하며 사용자가 특정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맵핑 또는 레지스트리를 유지한다. 단일 사용자는 복수의 단말기에 등록될 수 있다. 호출자가 사용자로의 호출을 개시하기 위해, 호출자는 사용자와 관련된 식별자를 사용한다.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는 먼저 사용자와 현재 관련된 단말기를 검색하도록 맵/레지스트리를 참조한다. 그 다음, 네트워크는 호출을 적절하게 라우팅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시스템(10)을 사용하는 것은 도 5에 도시되었다. 여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이터베이스(28)는 네트워크(12) 상의 각각의 사용자(72a-72c)에 대한 기록(70a-70c)을 포함한다. 통신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네트워크(12)는 사용자-단말기 맵핑 또는 레지스트리(74)를 포함한다. 맵(74)은 각각의 사용자(72a-72c)에 대한 엔트리(76a-76c)를 포함하며, 이것은 사용자 식별자(78a-78c)를 현재 사용자와 관련된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들)(80a-80c)에게 관련시킨다. 시스템(10) 하에서의 동작에서, 제 1 사용자(72a)("사용자 A")가 사용자(72b)("사용자 B")를 호출하고 사용자 B(72b)가 이미 제 3 사용자(72c)("사용자 C")와 액티브 통신중일 때, 시스템은 먼저 사용자 B(72b)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것은 사용자 B의 프로파일/기록(70b)에 액세스하도록 사용자 B의 식별자(78b)를 데이터베이스(28)에 상호참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B가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시스템은 사용자 A가 액티브 호출을 중단시킬 권한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은 사용자 A의 식별자가 사용자 B의 우선순위 ID 리스트(36) 내에 기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A의 식별자(78a)를 사용 자 B의 프로파일/기록(70b)에 상호참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현재 사용 중인 특정 단말기와는 무관하다. 그러나, 만약 액티브 통신이 중단되어야 한다면, 시스템(10)은 사용자의 현재 단말기(80a-80c)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 식별자(78a-78c)를 맵/레지스트리(74)로 상호참조한다. 이러한 정보는 전술된 방식으로 액티브 호출을 중단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그널링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된다.
호출 우선순위의 결정은 단말기 및 사용자 모두에 기초할 수 있다. 이때, 통화중인 사람에 대한 호출의 개시에 따라,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28)에 액세스하여 호출 단말기 또는 호출 사용자가 호출 중단에 대한 권한을 갖도록 기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단계(110)에서 착신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이 아님이 결정되었다면, 프로세스는 단계(108)에서 네트워크 통화중 프로토콜을 실행하도록 계속된다. 이와 달리, 우선순위 통신에 있어서는, 단계(116)에서 시스템이 "호출 중단" 프로토콜을 실행시켜, 호출된 단말기(14b)와 제 3 단말기(14c) 간의 액티브 통신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오직 권한이 주어진 단말기/사용자만이 진행중인 통화를 중단시킬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4a)에서 제 2 단말기(14b)로의 통신 개시에 따라, 시스템(10)은 먼저 단말기(14a)(또는 단말기(14a)의 사용자)가 제 2 단말기(14b)(또는 제 2 단말기(14b)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액티브 호출을 중단시키도록 권한이 주어졌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권한 확인 프로세스가 없다면,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전화 통화 또는 그외의 통 신을 중단시킬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네트워크 동작을 혼란시킬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출 중단 프로토콜은 시스템(10)에 바람직한 특정한 기능에 의존하여, 여러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116a)에서, 시스템(10)은 호출된 단말기(14b)와 제 3 단말기(14c) 사이의 사전-존재하는 통신을 자동으로 종료시킬 수 있으며, 그 다음 단계(116b)에서와 같이 호출 단말기(14a)와 호출된 단말기(14b) 사이의 통신 채널 또는 링크를 확립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시스템(10)은 단계(116c)에서와 같이 사전 존재하는 액티브 통신을 "일시 중단" 또는 "통화중 대기" 상태에 놓을 수 있고, 그 다음 호출 단말기(14a)와 호출된 단말기(14b) 사이의 통신 채널 또는 링크를 확립할 수 있다(단계(116b)). 이것은 호출된/제 2 단말기(14b)의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원래의 통신으로 복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116d)에서 시스템(10)은 호출 단말기(14a)의 사용자에게 호출된 단말기(14b)가 다른 단말기와 액티브 통신 중임을 알리기 위한 통지(54)를 발생할 수 있다. 단계(118)에서, 통지(54)는 호출 단말기(14a)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통지(54)는 제 3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 및/또는 그와 관련된 "호출자 ID" 정보와 같이, 제 3 단말기(14c)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지(54)는 통화 기간과 같이 액티브 통신과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뿐 아니라, 만약 입수가능하다면, 제 3 단말기(14c)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호출 단말기(14a)의 사용자가 액티브 호출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여 새롭게 호출을 개시하는 것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단계(120)에서, 사용자에게는 진행중인 통신을 중단시키는 선택권이 주어진다. 중단시키거나 또는 중단시키지 않는 사용자의 결정은 네트워크(12) 상에서 시스템(10)으로 다시 전송되어 단계(116e)에서 평가된다. 만약 중단시키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116f)에서와 같이 개시된 호출은 종료될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 통화중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스가 단계(108)에서 계속될 수 있다. 만약 중단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116a) 또는 단계(116c)에서와 같이 계속된다. 시스템은 우선순위 통화가 종료되면 원래의 액티브 호출을 자동으로 재접속 또는 재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리버스 911 호출의 개시에 따라 진행중인 호출 또는 다른 통신을 중단하도록 "리버스(reverse) 911"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리버스 911 호출은 예를 들어 기상 특보, 피난, 또는 유괴 등의, 주변 지역의 긴급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자치 도시의 권한 또는 다른 정부 권한에 의해 로컬 사용자의 전화기 또는 다른 단말기로 개시되는 호출이다. 전형적으로, 지방 자치체에 의해 동작되는 전산화된 시스템이, 전자 전화 디렉토리 등과 사전기록된 또는 컴퓨터-생성된 메시지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리버스 911 호출을 실행한다. 리버스 911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각각의 사용자 프로파일/기록(30a-30c) 내에 사용자 변경불가한 "기본" 요소로서 리버스 911 시스템 통신 식별자(38c)를 자동으로 포함할 수 있다. 리버스 911 호출의 개시에 따라, 사전확립된, 진행중인 통신은 자동으로 종료되거나(단계(116a)) 또는 통화중 대기 상태에 놓일 수 있다(단계(116c)). 리버스 911 호출과 관련하여, 시스템(10)의 호출 우선순위 서비스는 각 사용자에 대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또는 네트워 크(12) 내의 개별적인 사용자들이 추가로 개인화된 기능에 대한 서비스에 가입하여 모든 사용자에 대해 의무적일 수 있다.
시스템(10)은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우선순위 레벨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스템(10) 내에서 서로 다른 레벨을 가지고 기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고" 또는 "긴급"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 사용자 또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통신이 호출된 단말기와 제 3 단말기 사이의 사전 존재하는 통신의 자동 종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반면(단계(116a)), 보다 낮은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 사용자 또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통신은 선택적인 중단을 발생시킬 수 있다(단계(116d), 등).
전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10)의 기능은 전형적으로 무료 또는 가입 서비스의 형태로 사용자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로서 제공될 것이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관심 사용자는 프로파일/기록(30a-30c, 50)을 포함하는 사용자 어카운트를 확립하고 구성하도록 애플리케이션 서버(24)에 액세스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서버(24)에 액세스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4a-14c)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휴대폰 또는 다른 무선 유닛의 경우에서 기능은 전화기의 메뉴 시스템을 사용하여 액세스할 수 있으며, 이때 전화기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가 프로파일/기록(30a-30c)을 확립 및 구성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교환한다.) 다른 선택은 지정된 웹사이트 또는 다른 인터넷 인터페이스, 문자 서비스를 사용하는 원격 액세스, 전화기 액세스 시스템(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정된 번호를 호출하고 어카운트 및 관련 기록을 액세스 및 변경하 도록 음성 프롬프트가 제공됨)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액세스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적용가능한 경우 가입 옵션을 포함하는 기록(30a-30c, 50)을 확립하기 위한 선택권이 주어진다. 어카운트/기록 액세스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암호 보호와 같은 사용자 권한 수단을 포함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기록(30a-30c, 50)의 하위-부분 또는 하위-특성에는 소정의 사용자의 액세스를 제한하기 위한 개별적인 암호 또는 다른 권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는 아이 사용자가 기록(30a) 내의 우선순위 사용자의 리스팅(36)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것을 원할 수 있다.
단말기(14b)에 대한 프로파일/기록(30a)은 전형적으로 단말기와 관련된 통신 식별자(32)를 포함할 것이다. 기록(30a)은 이름, 어카운트 넘버 등과 같은 다른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적용가능하다면) 서비스에 가입하고 기록(30a)을 확립한 후, 사용자는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38a-38c)를 갖는 기록에 우선순위 통신 지위가 부여되도록 포퓰레이팅한다. 이와 달리, 기록은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코드(40), 우선순위 사용자(48a, 48b) 등으로 포퓰레이팅될 수 있다. 소정의 경우에서, 단말기의 의도된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 예로서 부모가 기록을 구성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4a)로부터 제 2 단말기(14b)로의 착신 통신에 우선순위 지위가 주어졌을 때, 제 2 단말기(14b)와 제 3 단말기(14c) 사이의 액티브 통신은 종료되거나 또는 일시중단 상태에 놓이게 된다. 만약 제 3 단말기(14c)의 사용자에게 이러한 상황의 발생이 알려지지 않는다면, 예를 들어 아무런 말이 들리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전화가 끊어졌거나, 또는 제 2 단말기(14b)의 사용자가 통신을 갑작스럽게 종료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10)은 제 3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액티브 호출이 일시 중단 상태이거나, 또는 우선순위 호출 착신으로 인해 종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제 2 단말기(14b)에서 메시지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10)은 네트워크(12)에 접속된 미디어 서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통신이 종료되거나 또는 일시 중단 상태에 놓여 있을 때, 미디어 서버(60)는 네트워크(12) 상에서 제 2 단말기(14b)에게 원하는 메시지 또는 다른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호출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전 녹음된 메시지와 그에 이어 음악이 제공될 수 있다. 메시지 콘텐츠는 각 사용자에 따라 커스토마이징 및/또는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프로파일/기록(30a-30c)은 "일시 중단" 사용자에게 재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 인사, 또는 다른 미디어 파일을 식별하는 "일시 중단 콘텐츠" 필드(6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사는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기, 미디어 서버 또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장소에 기록되고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에 말한 인사를 녹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출 단말기(14a)로의 접속에 앞서서, 인사 또는 공지가 호출된 단말기(14b) 상에서 재생되어 제 3 사용자에게 곧 발생할 통신 중단을 알릴 수 있다.
도 4는 이미 친구와 통화중인 아이에게 호출을 시도하는 경우에, "일시 중단" 인사의 재생을 포함하는 시스템(10)의 동작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다. 단계(150)에서, 예로서 SIP 등의 네트워크 상의 공간 내의 통신/시그널링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12) 상에서 두 개의 단말기(14b, 14c) 사이에서 호출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휴대폰 또는 유선 전화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아이는 단말기들 중 단말기(14b)를 사용하고, 아이의 친구는 다른 단말기(14c)를 사용한다.) 단계(152)에서, 네트워크(12)는 두 개의 단말기(14b, 14c) 사이의 운반자(bearer) 통신 채널을 확립하여 en 개의 단말기 사이의 액티브 호출을 발생시킨다. 단계(154)에서, 부모가 부모의 단말기(14a)에서 아이의 단말기(14b)로의 호출을 개시한다. 이는 호출 확립을 위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다양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시그널링 메시지들(부모와 아이의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음)은 애플리케이션 서버(24)로 포워딩된다. 단계(156)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24)는 부모 및/또는 부보의 단말기(14a)가 아이와 친구 간의 액티브 호출을 중단시킬 권한이 있음을 결정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앞서 기술되었다.) 선택적으로, 액티브 호출이 진행 중에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모의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부모에게 통화를 중단시킬지 아닌지의 선택권을 제공한다. 단계(158)에서, 친구의 단말기(14c)는 미디어 서버(60)로 넘겨진다. 이것은 액티브 호출이 중단되도록 하며, 친구의 단말기(14c)는 미디어 서버(60)에 접속된다. 단계(160)에서, 미디어 서버는 단말기(14c)가 일시 중단 상태에 있는 동안, 단말기(14c) 상에서 공지 또는 다른 콘텐츠(62)의 재생을 개시한다. 단계(162)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24)는 아이의 단말기(14b)를 부모의 단말기(14a)로 넘겨, 두 개의 단말기(14a, 14b) 사이에 통신 채널이 확립되도록 한다. 단계(164)에서, 단말기(14a, 14b) 사이의 호출이 종료되었을 때, 애플리케이션 서버(24)는 이러한 취지의 시그 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며, 미디어 서버(60) 상의 중단된 호출(단말기(14c))을 아이의 단말기(14b)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앞서 시스템(10)에 의해 중단되었던 아이와 친구 단말기(14b, 14c) 사이의 호출이 재접속된다.
기록(30a-30c)이 애플리케이션 서버(24) 상에 저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각 단말기의 기록은 단말기 상에 국부적으로 저장되어, 전술된 바와 같은 맥락에서 단말기로 통신이 개시될 때 시스템(10)이 단말기 상의 기록에 액세스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통지(54)가 텍스트의 형태로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도 2 참조), 통지는 그림,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와 같은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가 통지를 수신했을 때, 단말기는 어떠한 형태가 제공되었건 간에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또는 재생하도록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지(54)는 예로서 "현재 접속하고자 하는 고객은 현재 {ID_User_Terminal 3}와 통화중입니다. 호출은 지난 {numeric_value} 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이 통화를 중단시키시겠습니까?"와 같은 쌍방향 음성 응답(IVR) 시스템에 의해 발생된 오디오 통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 다음 호출자는 음성 응답을 식별하는 IVR 시스템을 사용하여 "예" 또는 "아니오"라고 대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전술된 호출 우선순위 관리 시스템에 소정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술된 설명의 모든 주제 사항 또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단지 본 명세서의 발명 컨셉을 설명하는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0)

  1. 네트워크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3 단말기와 통신중인 제 2 단말기로 개시된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a priority communication)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로 개시된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이라면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통신 채널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단말기와 상기 제 3 단말기 사이의 통신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상기 제 1 단말기의 사용자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개시된 통신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통신 식별자와 상기 제 1 단말기의 사용자와 관련된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개시된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 식별자와 상기 제 1 단말기의 사용자와 관련된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 2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기록(record) 내에 우선순위 지위(status)를 갖는 것으로 기입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통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시된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상기 코드가 상기 제 2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기록 내의 우선순위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제 2 단말기와 상기 제 3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단시킬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하도록, 상기 제 3 단말기와 상기 제 3 단말기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시된 통신이 우선순위 통신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명령 데이터(command dat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며,
    상기 명령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제 2 단말기와 상기 제 3 단말기 사이의 통신 중단을 요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통신 방법.
  6. 네트워크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이의 액티브 통신을 상기 제 1 단말기의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적어도 일시적으로 중단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와의 통신이 개시된 제 3 단말기와 상기 제 1 단말기 사이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단시킬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하도록, 상기 제 2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상기 제 3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명령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액티브 통신을 중단시킬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명령 데이터는 상기 제 3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통신 중단을 요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통신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ⅰ) 상기 제 3 단말기와 상기 제 3 단말기의 사용자 중 하나와 관련된 식별자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제 3 단말기와 상기 제 3 단말기의 사용자 중 하나가 상기 제 1 단말기의 통신을 중단시킬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위해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1 단말기의 사용자 중 하나와 관련된 기록과 대조됨- 와,
    (ⅱ) 상기 제 3 단말기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 3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통신 중단을 요구하는지 여부와 관계된 정보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단시킬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네트워크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2 단말기로의 통신의 개시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기와 제 3 단말기 사이의 액티브 통신과 관련된 제 1 단말기 상의 정보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액티브 통신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기를 요구하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된 정보는 상기 제 3 단말기와 상기 제 3 단말기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KR1020097000265A 2006-07-07 2007-07-02 통신 방법 KR200900286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82,994 2006-07-07
US11/482,994 US20080037753A1 (en) 2006-07-07 2006-07-07 Call priority management system for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615A true KR20090028615A (ko) 2009-03-18

Family

ID=3892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265A KR20090028615A (ko) 2006-07-07 2007-07-02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37753A1 (ko)
EP (1) EP2044758A2 (ko)
JP (1) JP2009543459A (ko)
KR (1) KR20090028615A (ko)
CN (1) CN101491068A (ko)
WO (1) WO20080082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0167B2 (en) * 2006-09-21 2009-11-17 Siemens Communications, Inc. Apparatus to override the redirect or reject feature at an SIP end point
US20080123821A1 (en) * 2006-11-29 2008-05-29 Stuart Owen Goldman Barge-in capability for emergency call returns
US20080205619A1 (en) * 2007-02-22 2008-08-28 Yahoo! Inc. Caller initiated communications interruption
US20080310305A1 (en) * 2007-06-14 2008-12-18 Apple Inc. Interruption control
US7721032B2 (en) * 2007-06-28 2010-05-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ting among media applications
US8078151B2 (en) 2009-02-23 2011-12-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to automatically park a voice call for data transfer
EP2224711B1 (en) 2009-02-27 2016-09-14 Ascendent Telecommunications Inc. Call override on busy based on called party profile
US8660254B2 (en) * 2009-02-27 2014-02-2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all management
JP5703559B2 (ja) * 2009-12-02 2015-04-22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ラートコール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CN102859939A (zh) * 2010-04-16 2013-01-02 汤姆森特许公司 网关自动拨号器支持
JP5826254B2 (ja) * 2010-05-11 2015-12-02 オランジュ 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に位置する第1の固定通信端末からこの同じ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の第2の固定通信端末への呼の転送
US8447014B2 (en) 2010-12-31 2013-05-21 Paramount Pictures Corporation Voice-over-IP (VoIP)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location information to emergency responders to respond to emergency calls
US8265938B1 (en) * 2011-05-24 2012-09-11 Verna Ip Holdings, Llc Voice alert methods, systems and processor-readable media
US8970400B2 (en) 2011-05-24 2015-03-03 Verna Ip Holdings, Llc Unmanned vehicle civil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US10769923B2 (en) 2011-05-24 2020-09-08 Verna Ip Holdings, Llc Digitized voice alerts
JP5878770B2 (ja) * 2012-01-31 2016-03-08 サクサ株式会社 電話制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02097A1 (en) * 2012-02-06 2013-08-08 Microsoft Corporation Priority telephonic communications
KR102049288B1 (ko) * 2012-06-15 2020-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온 고잉 통신 세션 동안 사용자 액티비티를 통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3781121A (zh) * 2012-10-25 2014-05-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带宽使用率管理系统及方法
CN103024203A (zh) * 2012-12-28 2013-04-03 周万荣 一种来电接听的方法及设备和系统
US10659143B2 (en) 2016-03-02 2020-05-19 Hytera Communications Corporation Limited Data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117083B1 (en) 2017-04-28 2018-10-30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prioritization
CN107205073A (zh) * 2017-05-23 2017-09-2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基于授权的通话中断方法与智能终端
CN110324557B (zh) * 2018-03-28 2021-04-23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终端进行可视化通信的方法及装置
US20220086197A1 (en) * 2020-09-14 2022-03-17 Damaka,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managing multiple call sessions from a centralized control interface
US11902343B1 (en) 2021-04-19 2024-02-13 Damaka, Inc. System and method for highly scalable browser-based audio/video conferencing
US11770584B1 (en) 2021-05-23 2023-09-26 Damaka,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video communications based on device capabiliti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751A (ja) * 1989-06-30 1991-02-14 Nec Corp 内線相互割込方式
JPH05316219A (ja) * 1992-05-12 1993-11-26 Fujitsu Ltd 電話交換網における優先着信方式
US6310946B1 (en) * 1997-04-23 2001-10-30 At&T Corp Method for interrupting a telephone call after receiving a busy signal
US5972192A (en) * 1997-07-23 1999-10-26 Advanced Micro Devices, Inc. Pulse electroplating copper or copper alloys
US5999613A (en) * 1997-09-25 1999-12-07 U. S. West,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coming calls during calls-in-progress
US6208726B1 (en) * 1998-11-23 2001-03-27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emergency call breakthrough
US6812061B1 (en) * 2001-01-17 2004-11-02 Innovative Micro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n array of micro-devices
EP1251679A1 (en) * 2001-04-11 2002-10-23 Lucent Technologies Inc. Call override (interrupt, break-in) on busy function with PIN controlled access
US20040259325A1 (en) * 2003-06-19 2004-12-23 Qing Gan Wafer level chip scale hermetic package
US20050253282A1 (en) * 2004-04-27 2005-11-17 Daoqiang Lu Temperature resistant hermetic sealing formed at low temperatures for MEMS packages
US7289617B2 (en) * 2004-12-22 2007-10-30 Aol Llc Phone line supervisory contr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37753A1 (en) 2008-02-14
JP2009543459A (ja) 2009-12-03
CN101491068A (zh) 2009-07-22
WO2008008242A3 (en) 2008-03-27
WO2008008242A2 (en) 2008-01-17
EP2044758A2 (en)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8615A (ko) 통신 방법
US90945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call messaging for a wireless device
US90201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do-not-disturb
US7535999B2 (en) Voice mail bridging in communication systems
AU2004260484B2 (en) Multi-user call waiting
US7603108B2 (en) Automatic connection and access controls for communications devices
US88049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knowledging incoming communications
US8532631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 call context, call screening and prioritization
EP1914969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US20040198344A1 (en) Integrated wireless voice and data services using mobile switching centers
CA26481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a calling party identifier
KR20080065302A (ko) 호를 발신할 때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통신 단말기 및 방법
WO2007068207A1 (fr) Procede, systeme et terminal destines a fournir un signal de rappel en temps reel
CN101467433A (zh) 用于个性化回铃音的方法和设备
US20090097629A1 (en) Identification of Original Destination of Forwarded Communications
JP2004537192A (ja) 電話取り扱い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850308B2 (ja) 呼設定プロセスの制御
US20050286701A1 (en) Call attempt hand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60108389A (ko) 이동통신 가입자 요청에 의한 부재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06899B1 (ko) 가입자 기반 복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20050000173A (ko) 발신자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4260728A (ja) 留守番電話サービスに用いる交換システム、留守番電話サービスに用いる移動端末、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法
WO2009079735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a packet-based application server
KR20060033304A (ko) 통신시스템에서 착신 가입자의 상태에 따른 착신호 제어서비스 방법
US8126436B2 (en) Network support for voice mail preem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