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412A - 교반기 볼 밀 - Google Patents

교반기 볼 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412A
KR20090028412A KR1020080084561A KR20080084561A KR20090028412A KR 20090028412 A KR20090028412 A KR 20090028412A KR 1020080084561 A KR1020080084561 A KR 1020080084561A KR 20080084561 A KR20080084561 A KR 20080084561A KR 20090028412 A KR20090028412 A KR 20090028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ill
screw
stirrer ball
grinding
stir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464B1 (ko
Inventor
호르스트 파우쉬
Original Assignee
네취-파인말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0768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2841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네취-파인말테크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네취-파인말테크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28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17/161Arrangements for separating milling media and groun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 한 개의 분쇄물 인풋(24)과 최소 한 개의 분쇄물 아웃풋으로 구성된 실린더형 분쇄 용기(26)를 가진 교반기 볼 밀에 관한 것으로, 분쇄 용기(26) 속에는 드라이브(12)와 연결된 교반 샤프트(20)가 정렬되어, 분쇄 용기(26)에 느슨하게 정렬되어 있는 분쇄 보조물질(54)에 구동 에너지의 일부를 전달하게 되며, 분쇄물 아웃풋(34) 앞에는 세퍼레이터(30)가 정렬되어 있다.

Description

교반기 볼 밀{AGITATOR BALL MILL}
본 발명은 최소 한 개의 분쇄물 인풋과 최소 한 개의 분쇄물 아웃풋으로 구성된 실린더형 분쇄 용기를 가진 교반기 볼 밀에 관한 것으로, 분쇄 용기 속에는 드라이브와 연결된 교반 샤프트가 정렬되어, 분쇄 용기에 느슨하게 정렬되어 있는 분쇄 보조물질에 구동 에너지의 일부를 전달하게 되며, 분쇄물 아웃풋 앞에는 세퍼레이터가 정렬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교반기 볼 밀은 EP 1 468 739 A1에도 소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평으로 정렬된 교반용 밀의 경우, 분쇄 용기는 분쇄물 인풋 및 분쇄물 이웃풋과 연결되어 있다. 분쇄 용기 속에는 드라이브와 연결되어 있는 교반 샤프트가 있다. 교반장치는 분쇄실에 주입된 분쇄 보조물질을 가속화하여 분쇄 보조물질 사이에 있는 분쇄물을 분쇄 또는 그라인딩한다. 이처럼 교반기 볼 밀에서 생성되는 분쇄물의 입도는 사용된 분쇄 보조물질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분쇄 보조물질을 분쇄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분쇄 용기 끝 쪽에 분쇄물 아웃풋과 연결된 세퍼레이터가 정렬되어 있다. 이러한 세퍼레이터는 두 개의 디스크 사이에 정렬된 여러 개의 아치형 컨베이어 및 윙(wing)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윙 요소는 디스크의 가장자리 에서부터 디스크 센터까지 이르며, 이 요소에서 분쇄물 아웃풋과의 간격이 각기 달리 구현되어 있다.
분쇄 보조물질이 지나는 윙 요소 간 거리가 짧은 관계로, 세퍼레이터가 정지해 있는 동안 분쇄 보조물질이 분쇄물 아웃풋에 유출되는 현상을 막을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아주 작은 분쇄물의 경우라 하더라도, 세퍼레이터가 개선되어 교반기 볼 밀의 가동 및 중단 중에도 분쇄 보조물질이 분쇄물 아웃풋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으로 해결된다. 기타 발견에 따른 시행형태는 하부 청구항의 특징에 소개되어 있다.
발명에 따른 교반기 볼 밀은 실린더형 분쇄 용기를 가지며, 이는 최소 한 개의 분쇄물 인풋과 분쇄물 아웃풋을 갖고 있고, 시행형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정렬된 분쇄 용기는 드라이브와 연결된 교반 샤프트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구동 에너지의 일부를 분쇄 보조물질로 전달하게 된다. 분쇄 보조물질을 분쇄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최소 한 개의 스크류로 구성된 세퍼레이터가 사용된다.
최소형 분쇄물에서 선호되는 시행형태의 경우, 세퍼레이터는 두 개의 스크류로 구성된다.
또 다른 시행행태에서는 스크류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최소형 분쇄물의 경우 스크류가 각기 다른 간격으로 정렬되는 방식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형태는, 세퍼레이터가 정지할 때 분쇄 보조물질이 서로 억제되는 기능을 적용시키는 방법이다. 여기서 스크류의 지름 방향 내측 끝단이 바로 분쇄물 아웃풋과 접촉하게 된다.
교반기 볼 밀의 작업성능을 높이기 위해 분쇄물 아웃풋은 스크류의 수평 중심 양쪽 끝에서 구현될 수 있다.
분쇄 보조물질을 분쇄물로부터 안전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스크류가 교반 샤프트의 종축을 기준으로 최소 360°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라인더의 출력에 따라 스크류의 너비가 최소 반지름의 1/3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크류가 적게 회전하는 경우에도 분쇄 보조물질이 분쇄물로부터 안전하게 분리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는 스크류를 별도의 드라이브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크류의 바람직한 위치는, 스크류가 바깥쪽 끝단에서 너무 과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교반 샤프트 표면과 교반 샤프트 종축 사이이다. 교반 샤프트의 케이지 형 구간에서 지름방향 개구부가 구현되어 있다.
분쇄 보조물질의 유출을 이 케이지형 구간에서 촉진시키기 위해 슬릿형 개구부가 교반 샤프트 회전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제품의 점성도에 따라 교반 샤프트의 개구부가 탄젠트 방향 또는 종축과 비대칭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쇄 보조물질 패키지를 아웃풋 구간에서 풀어주기 위해, 스크류 구간에서 교반 로드와 캠을 교반 샤프트에 정렬하되 최소 45°엇갈리게 정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류가 정상적인 구현형태와는 달리 철 판으로 구성되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로드 및 바(bar)를 가질 수가 있다. 이러한 로드 및 바는 서로 접촉하면서 연결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그 외에도 스크류의 직경이 최소한 분쇄실 직경의 30%에 달해야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시행형태에서는 스크류의 직경이 교반 샤프트의 빈 공간 직경의 최소 30%에 이른다.
교반 샤프트와 별도로 정렬된 드라이브를 가진 세퍼레이터가 사용되는 경우, 스크류가 전면을 접족하는 두 종단 면 사이에 있는 방식이 바람직할 수가 있다.
분쇄 보조물질의 역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스크류 측면에 있는 종단 면에 개구부가 구현되어 분쇄 보조물질이 분쇄실로 역류하도록 할 수 있다.
아웃풋 쪽으로 흐름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스크류의 측면에 변위(displacement) 요소가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기 도면에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발명에 따른 교반기 볼 밀은 전기 모터형 드라이브(12)가 내장되어 있는 하우징(10)으로 구성된다. 드라이브는 드라이브 벨트(14)로 드라이브 샤프트(15)와 연결되어 있다. 이 드라이브 샤프트는 베어링 샤프트(18)로 연결되며 이는 다시 교반 샤프트(20)와 연결된다. 베어링 하우징(22)의 상부에는 분쇄물 인풋(24)이 정렬되어 있다. 분쇄실(48)은 교반 샤프트(20)를 감싸고 있는 분쇄 용기(26)와 분쇄 용기 바닥(28)으로 구분된다. 분쇄 보조물질(54)을 분쇄물로부터 분리시켜주는 세퍼레이터(30)는 교반 샤프트(20) 안에 정렬되어 있다. 분쇄 용기를 쿨링 또는 히팅시 키기 위해, 분쇄 용기는 쿨링 또는 히팅이 가능한 쟈켓(32)으로 구성된 이중벽을 갖고 있다. 분쇄물은 분쇄 용기를 센터형 분쇄물 아웃풋을 통해 지나가게 되며, 이는 교반 샤프트에서 베어링 샤프트를 거쳐 구동 샤프트까지 이어져 있다. 도 2는 스크류(36)가 교반 샤프트(20)내에 정렬되어 있는 형식을 나타내며, 표면에는 교반용 로드(38)가 설치되어 있다. 분쇄물은 여기 중심부에 있는 분쇄 용기(26)로부터 유출되며, 이는 연결부(40)를 통해 배관(42)으로 이어진다.
도 3에서 분쇄 보조물질을 분쇄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스크류를 사용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스크류(36)는 여기서 720°로 구현되어 있다. 스크류에 유입되는 분쇄물은 배관(40)을 지나 분쇄물 아웃풋으로 이어진다. 세퍼레이터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분쇄 보조물질은 스크류 타입 컨베이어(44)에 유입되기 이전부터 오프닝(46)을 통해 분쇄실(48) 안의 교반 샤프트 속으로 이송된다.
도 4 및 5의 a에서는 스크류(36)가 360°로 이어지도록 한 스크류의 정렬형태가 소개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스크류가 로드로 구성되며, 도 5의 b에서는 삼각형 프로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대체로 거친 표면 내측을 가진 스크류 때문에 교반 샤프트가 정지하는 동안 나타나게 되는 자체 억제 효과가 실현될 수 있다. 스크류의 형상이 도 4 및 6와 같이 연장된다면 이러한 자체 억제 효과가 구현될 수가 있다.
도 5의 a는 오프닝(46)의 형상을 구체화시켜주고 있는 것으로, 측면(50)이 탄젠트 방향으로 교반 샤프트의 센터 축으로 향하고 있다. 도 6에서는 한 개 이상 의 스크류(36)로 구성된 세퍼레이터(30)가 소개되어 있다. 각 분쇄 보조물질이 스크류에 머무는 기간이 길수록 분쇄물 아웃풋으로 분쇄 보조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구현시켜주는 별도 드라이브(52)의 회전수도 적어진다.
도 7에서는 교반 샤프트(20)와 별도로 구현된 드라이브(52)에 의해 세퍼레이터(30)가 회전된다. 여기서 별도로 세퍼레이터(30)는 교반 샤프트(20) 내의 빈 공간에 정렬되어 있는데, 이는 교반 샤프트(20)에 의해 활성화되는 분쇄 보조물질(54)이 야기하는 과도한 마모현상을 방지한다. 도식적으로 본다면 이러한 시행형태에서 분쇄 보조물질의 농도가 분쇄실(48)에서부터 분쇄물 아웃풋(34) 방향으로 점점 감소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8 및 9에서는 세퍼레이터가 우회전 또는 좌회전식 스크류로 구현된 형태가 소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스크류가 교반 샤프트와 반대 반향으로 회전하는가에 대한 여부는 결정적이지 않다. 스크류의 기능은 교반 샤프트의 회전 방향과 별개이다.
도 10에서 소개된 교반기 볼 밀에서는 세퍼레이터(30)가 교반 샤프트(20)와 동기화되어 움직이고 있다. 세퍼레이터의 스크류(36)는 교반 샤프트의 좌측에 밀착되어 있으며 우측은 고정장치(56)에 의해 교반 샤프트에 고정된다. 스크류의 종축 센터 중간에는 교반 샤프트(20)의 종축 구간에 교반물 아웃풋(34)의 인렛(58)이 위치해 있다. 도 11에서는 630°를 포함하고 있는 스크류(36)의 길이 방향을 잘 나타내고 있다.
세퍼레이터의 형상은 도 12, 13 및 14에 따라 점도가 높은 물질을 위해 구현 된 것이다. 점도가 높은 물질에서 제품과 분쇄 보조물질 사이의 접착력이 높기 때문에 분쇄 보조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해 더 긴 거리가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12에 소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크류(36)가 구현되어 있다. 이때 스크류의 외측 표면은 다음 스크류가 시작되기 전까지 가이드 로드(guide rod)의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이 면적(60)은 분쇄실 방향으로 펄스형 효과를 생성하여 세퍼레이터 가장자리에서부터 분쇄실 방향으로 분쇄 보조물질이 우회(선회)되는 효과를 준다. 그 외에도 분쇄 보조물질은 1080°로 진행되는 스크류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스크류 벽의 마찰을 받아 분쇄실로 역류하도록, 즉 역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13에서는 도 12에 소개된 스크류(36)의 사용이 소개되어 있다. 여기서 세퍼레이터는 오버행(overhung) 형태로 마운팅된 교반 샤프트(20)의 정면에 위치해 있다. 제품은 센터 방향으로 교반 샤프트(20)와 베어링 샤프트(18)를 통해 이송이 된다.
도 14에서는 분쇄 용기 바닥(28)이 돌출부(6)를 갖는 형태가 소개되어 있다. 이 구간에 스크류(36)가 돌출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 분쇄 보조물질이 짧은 거리로 분쇄실(48)에 유입된다. 스크류(36)의 외측 구간은 링(62)에 의해 제한된다.
도 15 및 16에는 500°와 560°에 따라 각기 진행되는 스크류를 가진 세퍼레이터가 소개되어 있다. 두 스크류는 스크류 타입 컨베이어를 갖고 있으며 일정한 진행 간격(A)을 유지하고 있다. 세퍼레이터(30)는 교반 샤프트(20)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제품의 아웃풋은 교반 샤프트(20)와 베어링 샤프트(18)로 구현된다. 분 쇄물질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사영역(deadzone)을 지양하기 위해 세퍼레이터에는 돌출부(60)가 구현되어 이동 형성을 위해 사용된다. 교반 샤프트는 이러한 시행형태에서 분쇄핀(31)을 갖지 않고 캠(62)으로 구성된다.
도 17, 18, 19 및 20은 세퍼레이터의 위치와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도 17과 같이 스크류의 간격은 일정하거나, 도 18과 같이 스크류의 간격이 감소형으로 구현되었거나, 도 19와 같이 간격이 확장형으로 구현된 것을 볼 수가 있다. 도 17은 도 15에 해당되며, 두 스크류(36)의 간격(A)이 전체 정렬구간에 따라 일정하게 구현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서는 스크류(36)의 간격(B)이 분쇄실부터 아웃풋까지 감소형으로 구현된 형태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은 특히 점도가 낮은 재료가 사용된 경우에 그리고 이에 따라 교반기 볼 밀이 단기간 중단되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두 스크류 사이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스크류 벽 사이와 분쇄 보조물질 사이의 자체 억제 효과가 강화된다. 도 19에 따라 두 스크류가 정렬됨으로써 제품이 분쇄 보조물질에서부터 분리된 후 더 빨리 유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소개된 두 스크류(36)의 형상은 분쇄실에서 분쇄물 아웃풋 방향의 간격(C)이 확장되는 형태를 볼 수가 있다.
분쇄 보조물질을 세퍼레이터 구간에서 스크류 통로의 측면으로 하여 다시 분쇄실로 이송시키기 위한 또 다른 시행형태는 도 22에 소개되어 있다. 여기서 세퍼레이터(30)는 교반 샤프트 내부에 단면으로 개방된 빈 공간(64)에 위치해 있다. 스크류(36)는 교반 샤프트(20)에 의해 지지된다. 분쇄 용기 바닥(28) 쪽으로 향한 스크류(36)의 정면에는 링(66)이 위치해 있는데, 이것은 각 스크류 진행을 빈 공간(64)과 연결시켜주며 이에 따라 분쇄 보조물질은 스크류에서부터 빈 공간을 지나 분쇄실(48)로 역류될 수 있다. 가공할 분쇄물은 디핑 파이프(dipping pipe; 70)를 지나 스크류(36) 내의 센터 구간에 있는 분쇄실에서 나오게 된다. 도 21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세퍼레이터는 한 개의 스크류(36)로만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교반기 볼 밀의 도식적 측면도.
도 2는 교반기 밀의 도식적 측면도.
도 3은 스크류 정렬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스크류 타입 컨베이어의 수직 단면도.
도 5의 a는 스크류 단면을 가진 교반 샤프트의 부분도.
도 5의 b는 교반 샤프트의 수직 단면도.
도 6은 교반기 볼 밀의 도식적 측면도.
도 7은 교반기 볼 밀의 도식적 측면도.
도 8은 교반 샤프트를 통과한 수직 단면도.
도 9는 교반 샤프트를 통과한 수직 단면도.
도 10은 분쇄 용기의 도식적 측면도.
도 11은 교반 샤프트의 수직 단면도.
도 12는 세퍼레이터의 수직 단면도.
도 13은 분쇄 용기의 도식적 측면도.
도 14는 세퍼레이터의 부분도.
도 15는 교반 샤프트의 수직 단면도.
도 16은 분쇄 용기의 도식적 측면도.
도 17은 교반 샤프트의 수직 단면도.
도 18은 교반 샤프트의 수직 단면도.
도 19는 교반 샤프트의 수직 단면도.
도 20은 분쇄 용기의 도식적 측면도.
도 21은 교반 샤프트의 수직 단면도.
도 22는 분쇄 용기의 도식적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2 드라이브
14 드라이브 벨트
16 드라이브 샤프트
18 베어링 샤프트
20 교반 샤프트(agitator shaft)
22 베어링 하우징
24 분쇄물 인풋
26 분쇄 용기
28 분쇄 용기 바닥
30 세퍼레이터
32 쟈켓(jacket)
34 분쇄물 아웃풋
36 스크류
38 교반용 로드
40 연결부
42 배관
44 스크류 타입 컨베이어
46 오프닝
48 분쇄실
50 면
52 드라이브
54 분쇄 보조물질
56 고정 장치
58 인렛
60 변위(displacement) 요소
62 캠
64 빈 공간
66 링
68 슬릿
70 디핑 파이프(dipping pipe)

Claims (29)

  1. 최소 한 개의 분쇄물 인풋(24)과 최소 한 개의 분쇄물 아웃풋(34)으로 구성된 실린더형 분쇄 용기(26)를 가진 교반기 볼 밀로서,
    분쇄 용기(26) 속에는 드라이브(12)와 연결된 교반 샤프트(20)가 정렬되어, 분쇄 용기(26)에 느슨하게 정렬되어 있는 분쇄 보조물질(54)에 구동 에너지의 일부를 전달하게 되며, 분쇄물 아웃풋 앞에는 세퍼레이터(30)가 정렬되어 있는, 교반기 볼 밀에 있어서,
    세퍼레이터(30)가 최소 한 개의 스크류(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2. 제 1 항에 있어서,
    세퍼레이터(30)가 두 개의 스크류(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류(36)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4.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류(36)가 서로 다른 간격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5.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류(36)의 지름 내측 끝단이 바로 분쇄물 아웃풋(34)에서 종료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6. 제 1 항에 있어서,
    분쇄물 아웃풋(34)이 스크류(36) 종방향 중심 양쪽에서부터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7.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류(36)가 최소 180°회전 둘레에 따라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8. 제 7 항에 있어서,
    스크류(36)가 최소 360°회전 둘레에 따라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9.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류(36)의 폭이 최소 스크류 직경의 1/3에 달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10.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류(36)가 교반 샤프트(20)와 독립적인 드라이브(52)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11. 제 11 항에 있어서,
    최소 한 개의 스크류(36)로 구성된 세퍼레이터(30)가 교반 샤프트 표면 사이에 그리고 교반 샤프트(20) 종축에 따라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12. 제 11 항에 있어서,
    교반 샤프트(20)가 스크류(36) 구간에서 중공(hollow)형으로 구현되어 있고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오프닝(46)이 평행 슬릿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구배가 교반 샤프트(20) 회전 반대방향으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오프닝(46)이 교반 샤프트(20) 속에서 종축방향으로 탄젠트 또는 비대칭형으 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15. 제 11 항에 있어서,
    교반 샤프트(20)가 스크류(36) 구간에서 교반용 로드(3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16. 제 15 항에 있어서,
    교반용 로드(38) 또는 캠(62)이 최소한 45°로 엇갈리게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17. 제 11 항에 있어서,
    스크류(36)가 교반 샤프트(2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18. 제 1 항에 있어서,
    분쇄물 아웃풋(34)이 교반 샤프트(20)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19. 제 1 항에 있어서,
    분쇄물 아웃풋(34)이 스크류(36) 센터에 의해 정렬된 정적 디핑 파이프(dipping pipe; 70)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20. 전술한 항들에 있어서,
    스크류(36)가 일정 간격을 둔 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21. 전술한 항들에 있어서,
    스크류(36)의 직경이 최소한 분쇄실 직경의 30%에 이른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22. 전술한 항들에 있어서,
    스크류(36)의 직경이 교반기 볼 밀 속에서 최소한 빈 공간의 직경 30%에 이른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23. 전술한 항들에 있어서,
    스크류(36)가 완전히 접착된 두 개의 끝단면 사이 측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24. 전술한 항들에 있어서,
    스크류(36)가 한 면 또는 양면에 개구부를 가진 끝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
    교반기 볼 밀.
  25. 전술한 항들에 있어서,
    스크류(36) 측면에 변위(displacement) 요소(60)가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26. 전술한 항들에 있어서,
    분쇄 용기(26)가 수평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27. 전술한 항들에 있어서,
    한 개 이상의 슬릿(68)이 있는 스크류(36) 쪽에 최소 한쪽 측면 고정 브라켓이 분쇄물 아웃풋(34) 지름과 일정 간격으로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28. 전술한 항들에 있어서,
    스크류(36) 내측 또는 외측 표면에 구조화된 표면 구조를 최소한 하나는 갖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29. 제 1 항에 있어서,
    여러 스크류(36)의 지름 외측 끝단이 서로 최소한 90도로 엇갈리게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볼 밀.
KR1020080084561A 2007-09-13 2008-08-28 교반기 볼 밀 KR101554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43670A DE102007043670A1 (de) 2007-09-13 2007-09-13 Rührwerkskugelmühle
DE102007043670.1 2007-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412A true KR20090028412A (ko) 2009-03-18
KR101554464B1 KR101554464B1 (ko) 2015-09-21

Family

ID=4007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561A KR101554464B1 (ko) 2007-09-13 2008-08-28 교반기 볼 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845589B2 (ko)
EP (1) EP2036613B1 (ko)
JP (1) JP4879947B2 (ko)
KR (1) KR101554464B1 (ko)
CN (1) CN101385989B (ko)
AT (1) ATE489172T1 (ko)
BR (1) BRPI0803553B1 (ko)
DE (2) DE102007043670A1 (ko)
ES (1) ES2355415T3 (ko)
TW (1) TWI4102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27480A1 (de) * 2009-11-25 2011-06-01 Willy A. Bachofen AG Rührwerkskugelmühle
IT1404138B1 (it) * 2010-05-06 2013-11-15 Lico Spa Mulino per la macinazione, in particolare l'atomizzazione, di uno o piu' materiali
DE102010053484A1 (de) 2010-12-04 2012-06-06 Netzsch-Feinmahltechnik Gmbh Dynamisches Element für die Trenneinrichtung einer Rührwerkskugelmühle
CN103041897B (zh) * 2011-10-17 2015-02-25 谢小飞 介质搅拌磨的叠装涡轮式料珠分离器
US9206051B2 (en) 2012-03-30 2015-12-08 Scott Murray Apparatus for mechanical exfoliation of particulate materials
CN102872936B (zh) * 2012-09-26 2015-05-13 广州派勒机械设备有限公司 纳米级动态分离式研磨机
CN102974432B (zh) * 2012-12-26 2015-12-02 广州派勒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动态分离出料式研磨机
AU2014270495B2 (en) 2013-05-21 2019-02-21 Flsmidth A/S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wear in grinding circuits
DE102013111762A1 (de) * 2013-07-08 2015-01-08 Netzsch-Feinmahltechnik Gmbh Rührwerkskugelmühle mit Axialkanälen
DE102013021756A1 (de) * 2013-12-20 2015-06-25 Netzsch Trockenmahltechnik Gmbh Mahlkörpermühl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DE102013021757A1 (de) * 2013-12-20 2015-06-25 Netzsch Trockenmahltechnik Gmbh Maschine mit fliegend gelagertem Rotor
FR3018807B1 (fr) * 2014-03-20 2016-04-15 Herakles Procede d'obtention de charges de cristaux d'hexanitrohexaazaisowurtzitane (cl20) de granulometrie monomodale submicronique, lesdites charges et leur utilisation comme charges d'ensemencement
CN104001446B (zh) * 2014-05-01 2016-05-11 铜陵创慧科技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组装式涡轮旋转分散器
CN104759324A (zh) * 2015-04-03 2015-07-08 东莞市亿富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研磨机
DE102015105804A1 (de) * 2015-04-16 2016-10-20 Netzsch-Feinmahltechnik Gmbh Rührwerkskugelmühle
DE102015107789B3 (de) 2015-05-19 2016-07-07 Netzsch-Feinmahltechnik Gmbh Rührwerkskugelmühl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Rührwerkskugelmühle
CN104959196A (zh) * 2015-06-29 2015-10-07 广州派勒机械设备有限公司 具有双重分离系统的超级砂磨机
CN105396650A (zh) * 2015-09-22 2016-03-16 广州派勒机械设备有限公司 无筛网式智能纳米研磨系统
CN105289857B (zh) * 2015-11-09 2017-11-21 河南师范大学 纳米级动态离心分离装置
EP3441144B1 (en) * 2016-05-09 2023-10-11 Boyee (Shenzhen) Industrial Technology Co., Ltd. Stirring-type grinding separator and grinding device
CN107755023B (zh) * 2016-08-22 2019-05-07 深圳市叁星飞荣机械有限公司 一种卧式封闭无机械密封介质搅拌磨
CN109365066B (zh) * 2017-11-18 2020-10-09 深圳市叁星飞荣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多级分离与分级功能的立式介质搅拌磨
DE102018123096B4 (de) * 2018-09-20 2022-01-27 Netzsch Feinmahltechnik Gmbh Rührwerkskugelmühl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Rührwerkskugelmühle
CN111250225B (zh) * 2019-07-26 2023-12-01 湖北迈兆机械有限公司 离心式研磨系统
CN111185282B (zh) * 2019-07-26 2023-10-27 湖北迈兆机械有限公司 一种球磨系统
CN112958228A (zh) * 2021-03-14 2021-06-15 上海琥崧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研磨机筛网分离装置
DE102022125879A1 (de) 2022-10-07 2024-04-18 Netzsch-Feinmahltechnik Gmbh Rührwerksmüh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29188A (en) * 1966-06-23 1968-10-02 Smidth & Co As F L Grinding process and mill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US5333804A (en) * 1993-08-20 1994-08-02 Premier Mill Corp. Agitator mill
PL1468739T3 (pl) 2003-04-15 2008-10-31 Bachofen Willy A Ag Młyn kulowy z mieszadł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79947B2 (ja) 2012-02-22
KR101554464B1 (ko) 2015-09-21
EP2036613A3 (de) 2009-11-25
TWI410281B (zh) 2013-10-01
US20090072060A1 (en) 2009-03-19
CN101385989B (zh) 2013-02-06
EP2036613A2 (de) 2009-03-18
BRPI0803553B1 (pt) 2020-09-29
EP2036613B1 (de) 2010-11-24
ATE489172T1 (de) 2010-12-15
DE502008001873D1 (de) 2011-01-05
JP2009066595A (ja) 2009-04-02
BRPI0803553A2 (pt) 2009-05-05
ES2355415T3 (es) 2011-03-25
US7845589B2 (en) 2010-12-07
CN101385989A (zh) 2009-03-18
DE102007043670A1 (de) 2009-04-02
TW200916194A (en)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8412A (ko) 교반기 볼 밀
KR101859335B1 (ko) 교반기 볼 밀
US9222220B2 (en) Refiner and blade element
CA2639890C (en) Multi-zone paper fiber refiner
KR102501892B1 (ko) 교반기 볼 밀
JP5745689B2 (ja) 分散・粉砕機
KR102385148B1 (ko) 교반기 볼 밀
US11396022B2 (en) Mono roller grinding mill
JP2652194B2 (ja) 連続微粉砕用間隙ボールミル
EP2571620A2 (en) Comminution reactor
KR20120099137A (ko) 섬유 현탁액을 스크리닝하기 위한 방법 및 스크리닝 디바이스
ES2246939T3 (es) Refinador.
US7374115B2 (en) Ball mill provided with an agitator
KR0169843B1 (ko) 유동성 분쇄물 처리용 교반기 볼 밀
ES2236059T3 (es) Refinador para triturar materiales fibrosos.
WO1997018037A1 (en) A pair of co-operating refining elements intended for a disc refiner
JP5807014B2 (ja) ミルおよび粉砕方法
US4715547A (en) Ball mill
JP7276796B2 (ja) メディア撹拌式粉砕機
US5127591A (en) Apparatus for crushing or grinding of fibrous material, in particular drum refiner
JPH0235943A (ja) 撹拌ミル
KR20190003423A (ko) 에너지 절감형 스크류 이송날개를 갖는 원심 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