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322A -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322A
KR20090028322A KR1020070093825A KR20070093825A KR20090028322A KR 20090028322 A KR20090028322 A KR 20090028322A KR 1020070093825 A KR1020070093825 A KR 1020070093825A KR 20070093825 A KR20070093825 A KR 20070093825A KR 20090028322 A KR20090028322 A KR 2009002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s
frame member
slits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672B1 (ko
Inventor
최천순
Original Assignee
최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천순 filed Critical 최천순
Priority to KR102007009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672B1/ko
Priority to PCT/KR2008/005314 priority patent/WO2009035248A1/en
Publication of KR2009002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2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 형성된 앵글바 형태의 몸체; 이 몸체의 각 플레이트 안쪽에서 서로 대응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의 훅; 몸체의 적어도 1개 플레이트의 너비방향 끝단에서 수직으로 인입 형성되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훅과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결착슬릿; 각 하부결착슬릿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해당 플레이트에 그 너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훅과 결합되며, 하단에 훅이 관통할 수 있는 조립구멍을 연통되게 갖는 다수의 상부결착슬릿; 제1훅들 사이 및 제2훅들 사이에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의 체결구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선반프레임의 수직 및 수평의 프레임으로 모두 기능할 수 있어 선반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선반프레임을 임의의 크기로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진열, 보관, 선반프레임, 앵글바, 무볼트, 플레이트, 훅, 슬릿, 체결구멍

Description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Frame member for sectional shelving unit}
본 발명은 일반매장이나 창고 등에 설치되어 각종 상품이나 물건을 층상으로 진열 또는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선반장치(shelving uni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선반플레이트(shelf)를 층상으로 지지해주는 선반프레임을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현장 등에서 선반프레임을 원하는 임의의 크기로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장치는 각종 마트(mart)나 창고 등에서 상품(물품)을 진열하거나 또는 보관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반장치는 여러 개의 선반플레이트들이 간격을 두고 층상을 이루도록 격자상의 선반프레임에 지지되는 구성을 가지는데, 대개는 운반과 설치 및 해체의 용이성을 위해 조립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립식 선반장치는 용도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것들이 쓰이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는 다수의 체결슬롯(slot)을 일정간격으로 갖는 L자 형 단면의 앵글포스트(angle post)를 사각 형태로 배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앵글포스트 사이에 체결슬롯을 갖는 앵글빔 또는 브래킷상의 연결프레임을 수평으로 대고 양자를 각각의 체결슬롯을 통해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 선반프레임을 구성한 뒤, 이들 연결빔 위에 선반플레이트를 얹어주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의 조립식 선반장치는 다수의 앵글포스트와 연결빔을 일일이 볼트 및 너트로 체결(선반플레이트 1개당 8곳)해야 하므로 체결부위가 대단히 많아 선반프레임의 조립과 해체 작업이 대단히 번거롭고, 조립 또는 해체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391947호 및 미국특허 US 5,553,549호에는 별도의 볼팅 없이도 선반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도록 된 선반장치들이 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391947호는 앵글형태의 기둥에 다수의 걸림구멍을 상하로 형성하고, 1쌍의 연결빔의 양 단부에 기둥의 걸림구멍에 끼워지는 걸림고리를 형성하여 마주보도록 조립한다. 그리고 연결빔의 양단에 걸림구멍을 갖는 결합부를 직각으로 절곡 형성하여, 1쌍의 고정빔 양 단부에 형성된 걸림고리를 연결빔 결합부의 걸림구멍에 끼워줌으로써 선반프레임을 볼팅 없이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2개의 기둥을 양단에 결합부가 절곡 형성된 연결빔으로 연결한 후 2개의 연결빔의 대응하는 결합부들을 고정빔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연결빔과 고정빔을 일정한 규격으로 사전 제작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선반프레임의 크기가 연결빔과 고정빔의 규격에 따라 정해지게 되어 설치장소의 여건에 능동적으 로 대처하기 곤란하고, 경우에 따라 설치장소에 애매한 빈 공간이 발생될 여지도 있다.
특히, 선반프레임이 서로 상이한 형태의 기둥과 고정빔 및 연결빔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부품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바, 제작이 상당히 번잡할 뿐 아니라 상이한 여러 개의 금형이 필요하여 코스트(cost)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국특허 US 5,553,549호는 앵글형의 수직포스트에 다수의 키홀(key hole)을 일정간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수평부재의 양 단부에 1쌍의 L자형 부착 커넥터(connecter)들을 상하로 각각 형성하여 부착커넥터를 키홀에 끼워 하방으로 눌러줌으로써 별도의 볼팅 없이 선반프레임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기술 역시 수평부재의 양쪽 단부에만 부착커넥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커넥터를 일정한 규격별로 사전 제작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선반프레임의 크기가 부착커넥터의 규격에 따라 정해지게 되어 설치장소의 여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곤란하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391947호와 마찬가지로 수직포스트와 수평부재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바, 각각의 부품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번잡하고 상이한 여러 개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므로 제작 코스트 또한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한 가지 형상의 부재만으로 수평 및 수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선반프레임을 간편하게 조립 구성할 수 있어 선반프레임의 제작성 향상과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선반프레임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견고하게 결착시키고 간편하게 해체시킬 수 있게 해주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반프레임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임의의 크기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장소여건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선반장치 등과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는, 2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 형성된 앵글바(angle bar) 형태의 몸체; 이 몸체의 각 플레이트 안쪽에서 서로 대응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의 훅(hook); 몸체의 적어도 1개 플레이트의 너비방향 끝단에서 수직으로 인입 형성되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훅과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결착슬릿; 각 하부결착슬릿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해당 플레이트에 그 너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훅과 결합되며, 하단에 훅이 관통할 수 있는 조립구멍을 연통되게 갖는 다수의 상부결착슬릿; 제1훅들 사이 및 제2훅들 사이에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의 체결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제1훅은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들 사이에 위치되고,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결착슬릿들과 교호적 관계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부결착슬릿들 사이 및/또는 하부결착슬릿들 사이에 다수의 제3체결구멍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몸체의 모서리에 다수의 연결슬롯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더 형성되어, 예컨대 양단에 걸림훅을 갖는 별도의 연결프레임을 이용 서로 분리 독립된 다른 선반장치들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도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프레임부재가 앵글바 형태로 구성되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된 2개의 플레이트에 다수의 훅을 일정간격으로 대응되게 가지면서 적어도 1개의 플레이트에 이웃하는 2개의 훅과 결합되는 다수의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을 일정간격으로 가지므로, 선반프레임의 수직 및 수평의 프레임으로 모두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 가지 형태의 프레임부재만으로도 선반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 아니라,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선반프레임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하여 선반프레임을 구성 및 해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다수의 훅과 상·하부결착슬릿들이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구비되므로 설치현장 등에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원하는 임의의 크기로 선반프레임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몸체의 2개의 플레이트에 다수의 체결구멍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필요한 경우 수평 및 수직프레임을 체결수단으로 단단히 고정시키거나 완성된 선반장치들끼리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선반장치에 보조선반을 추가로 구성한다든지 하여 다양한 형태의 선반을 구현할 수도 있다.
더욱이, 몸체의 모서리에 연속으로 형성된 연결슬롯을 통해 별도의 수평프레임을 이용, 독립된 선반장치들을 좌우로 간편하게 연결하면서 양자간에 추가적인 적재공간을 형성하거나 선반장치를 좌우방향으로 충분히 늘려 원하는 폭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장치의 제작의 편의성과 안전성, 신뢰성 및 사용의 편의성 향상과 원가절감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는, 기본적으로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가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 형성된 앵글바 형태의 몸체(10)로 구성된다.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는 동일한 폭(너비)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2)가 제1플레이트(1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다. 이에 대한 이유는 후에 상세히 기술된다.
제1플레이트(11)의 안쪽에는 다수의 제1훅(21)이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제2플레이트(12)의 안쪽에는 다수의 제2훅(22)이 제1훅(21)과 대응하도록 역시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각 훅(21)(22)은 제1 및 제2플레이트(11)(12)를 일정 폭과 길이로 각각의 너비방향으로 랜싱(lancing) 가공함으로써 해당 플레이트(11)(12)들과 일체로 구성되고, 단면방향(몸체의 길이방향)에서 보아 대략 L자 형태를 취한다.
즉, 각 훅(21)(22)은 제1플레이트(11)에서 안쪽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후술한 제1플레이트(11)의 상부 또는 하부결착슬릿(31)(32)에 끼워지는 걸림부(23)와, 이 걸림부(23)의 선단에서 다른 쪽 플레이트(12 또는 11)를 향해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해당 플레이트(11 또는 12)와 함께 다른 프레임부재의 제1플레이트(11) 를 파지해주는 지지탭(24)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각 훅(21)(22)은 그 두께가 너비방향으로 위치되어 폭이 몸체(10)의 길이방향과 나란히 놓이게 된다. 이는 적재하중에 의한 훅(21)(22)의 좌굴응력을 높이면서 다른 프레임부재와의 조립 후 유동을 최소화하고, 프레임부재가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하여 그 사용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기로, 각 훅(21)(22)의 지지탭(24)은 다른 프레임부재의 제1플레이트(11)가 지지탭(24)과 플레이트(11 또는 12) 사이로 간섭 없이 쉽게 끼워지고, 끼워진 후에는 그 제1플레이트(11)를 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11)(12) 쪽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호(弧)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훅(21)(22)의 지지탭(24)과 플레이트(11)(12) 사이의 간격은 견고한 결착을 위해 양자 간에 끼워지는 제1플레이트(11), 즉 몸체(10)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플레이트(11)의 너비방향 끝단에는 제1훅(21) 또는 제2훅(22)의 걸림부(23)가 끼워지는 다수의 하부결착슬릿(32)이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11)의 절곡단 쪽에는 하부결착슬릿(32)에 끼워진 제1 또는 제2훅(21)(22)과 이웃하는 다른 제1 또는 제2훅(21)(22)의 걸림부(23)가 끼워지는 다수의 상부결착슬릿(31)이 하부결착슬릿(32)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역시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의 상단간의 거리(S1)는 이웃하는 2 개의 제1훅(21) 또는 제2훅(22)의 대응하는 끝단간의 거리(S2)와 동일(S1=S2)하게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은 제1플레이트(11)의 너비방향으로 형성된다. 하부결착슬릿(32)은 제1플레이트(11)의 너비방향 끝단에서 바로 인입 형성되어 일단이 개방된다. 이에 반해, 상부결착슬릿(31)은 훅(21)(22)과의 결착을 위해 그 하단에 훅(21)(22)이 관통할 수 있는 조립구멍(33)을 연통되게 함께 갖는다.
조립구멍(33)은 훅(21)(22)이 관통할 수만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좋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로 구성되어 상부결착슬릿(31)이 조립구멍(33)의 상단(몸체의 절곡부 쪽:33a) 중앙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부결착슬릿(31)이 조립구멍(33)의 상단(33a) 중앙에 형성되는 이유는 도5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b)의 양쪽 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는 좌우 2개의 수직프레임(1a)의 훅(21 또는 22)에 정확히 조립되도록 함과 함께, 몸체(10)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도 2개의 수직프레임(1a)의 훅(21 또는 22)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조립구멍(33)의 상단(33a), 즉 상부결착슬릿(31)의 입구 양측은 훅(21)(22)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서 상부결착슬릿(31)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은 몸체(10)의 제2플레이트(12)에도 함께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몸체(10)가 필요이상으로 커질 뿐 아니라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의 가공공정이 추가되는 등 제작이 번잡해지게 되므로 굳 이 각 플레이트(11)(12)에 동시에 구성할 필요는 없다.
한편, 각 제1훅(21)들 사이의 제1플레이트(11)에는 다수의 제1체결구멍(41)이 형성되고, 각 제2훅(22)들 사이의 제2플레이트(12)에는 다수의 제2체결구멍(42)이 제1체결구멍(41)과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체결구멍(41)(42)은 프레임부재가 선반프레임(1)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1a)(1b)으로 각각 기능하는 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조립된 경우 조립오차를 극복하고 그 일부가 상호 교차할 수 있도록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 수직 및 수평프레임(1a)(1b)을 별도의 볼트 등으로 더 체결하여 단단히 고정시키거나 또는 서로 독립된 다른 선반프레임(1)들끼리 상호 연결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는 위와 같은 제1 및 제2 체결구멍(41)(42)만으로도 수직 및 수평프레임(1a)(1b)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부결착슬릿(31)들 사이와 하부결착슬릿(32)들 사이의 제1플레이트(11)에 다수의 제3체결구멍(43)을 더 구비하여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위치에서 볼트(B) 및 너트(N)로 체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3의 체결구멍(41~43)들은 수직 및 수평프레임(1a)(1b)의 완전한 고정 뿐 아니라, 예컨대 행거(hanger)용 고리 등과 같은 기타의 여러 가지 액세서리를 선반프레임(1)에 추가로 부착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플레이트(11)에 형성되는 제1훅(21)과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들은 프레임부재가 선반프레임(1)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1a)(1b)으로 기능하여 서로 조립된 때, 양자의 제1체결구멍(41)들 또는 제1 및 제2체결구멍(41)(42)들이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제1훅(21)이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들과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인 관계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들은 이웃하는 2개의 제1훅(21) 사이에 각각 2개씩 위치하는데, 이는 프레임부재를 절단할 때 각 훅(21)(22)과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의 손상 없이 절단하여 그대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는 앵글바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몸체(10) 양쪽 플레이트(11)(12)에 서로 대응하도록 다수의 제1 및 제2훅(21)(22)들을 일정간격으로 가짐과 함께, 제1플레이트(11)에는 이웃하는 2개의 훅(21 또는 22)과 각각 조립되는 다수의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들을 일정간격으로 갖는 바, 도5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프레임(1)을 구성하는 수직 및 수평프레임(1a)(1b)으로 동시에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수직프레임(1a)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그 제1 및 제2플레이트(11)(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및 제2훅(21)(22)이 수평프레임(1b)과의 조립수단으로 이용되고, 수평프레임(1b)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그 제1플레이 트(11)에 형성된 다수의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들이 수직프레임(1a)과의 조립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수평프레임(1b)의 양쪽 끝에 위치한 조립구멍(33)을 수직프레임(1a)의 제1 또는 제2플레이트(11 또는 12)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훅(21 또는 22)에 끼운다. 그러면, 상측의 훅(21 또는 22)은 수평프레임(1b)의 조립구멍(33)을 통과하게 되지만, 하측의 훅(21 또는 22)은 수평프레임(1b)의 하단 아래에 그를 가로질러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평프레임(1b)을 하방으로 누르면, 이웃하는 2개의 훅(21 또는 22)의 걸림부(23)가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에 끼워짐과 동시에, 훅(21 또는 22)의 지지탭(24)이 수평프레임(1b)의 제1플레이트(11) 안쪽 면을 접촉 지지함으로써 양자가 견고하게 결착되는 것이다.
이때, 훅(21)(22)의 지지탭(24)과 몸체(10)의 플레이트(11)(12) 간격(d)은 몸체(10)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프레임(1b)이 양자 간에 빡빡하게 끼워져 강하게 압착되어 유동 없이 매우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수직프레임(1a)을 다수의 수평프레임(1b)으로 연결하여 다층의 선반프레임(1)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후 각 층의 수평프레임(1b) 제2플레이트(12)들 위에 선반플레이트(P)를 얹어 선반프레임(1)을 완성한다. 이때 필요한 경우 스크루 등으로 제2플레이트(12)의 제2체결구멍(42)을 통해 선반플레이트(P)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는, 다수의 훅(21)(22)과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가지는 바, 수직 및 수평프레임(1a)(1b)을 몇 가지의 규격별로 제작하지 않고 일정길이를 갖는 긴 원자재로 제작하여 설치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조립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선반프레임(1)을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는, 결착을 위한 훅(21)(22)과 상·하부결착슬릿(31)(32) 외에도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프레임(1a)(1b)의 조립시 상호 일치하는 다수의 제1 내지 제3의 체결구멍(41~43)들을 일정간격으로 구비하고 있는 바, 도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자를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하여 단단히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 예컨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몇 개의 보조프레임(1c)을 더 구비하여 선반프레임(1)에 일정형태로 체결함으로써 완성된 선반프레임(1)의 외측에 보조선반프레임(2)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2개의 대향하는 수평프레임(1b)들 사이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보강프레임(1d)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이때에도 2개의 수평프레임(1b)의 제2플레이트(12)에 구비된 2개의 제2훅(22)에 보강프레임(1d)의 제1플레이트(11)에 형성된 양쪽 끝 부분의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31)(32)을 끼워주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프레임(1d)의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11)를 수평으로 위치시켜 좌우의 수평으로 끼워주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수직 및 수평프레임(1a)(1b)의 조립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는 선반장치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로 모두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도13 및 도1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몸체(10)의 모서리에 다수의 연결슬롯(5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된 구성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에 수직프레임(1a)의 연결슬롯(50)에 끼워지는 1쌍씩의 걸고리(H)를 상하로 갖는 별도의 연결프레임(F)을 이용하여 서로 독립 구성된 2개의 선반프레임(1)을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간격을 두고 일체적으로 연결해줌과 동시에 2개의 선반프레임(1) 사이에 적재공간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의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의 평면도,
도4는 도2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로 선반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6은 도5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7은 도6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재로 구성한 선반프레임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재로 구성한 선반프레임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 결착부를 발췌 도시한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재로 구성한 선반프레임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을 볼트로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발췌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재로 구성한 선반프레임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재의 또 다른 사용 예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 시도,
도14는 도13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선반프레임 1a: 수직프레임
1b: 수직프레임 1c: 보조프레임
1d: 보강프레임 10: 몸체
11, 12: 제1 및 제2플레이트 21, 22: 제1 및 제2훅
23: 걸림부 24: 지지탭
31, 32: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 33: 조립구멍
41~43: 제1~제3의 체결구멍 50: 연결슬롯
B: 볼트 N: 너트
P: 선반플레이트 F: 연결프레임

Claims (9)

  1. 2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 형성된 앵글바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각 플레이트 안쪽에서 서로 대응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의 훅;
    상기 몸체의 적어도 1개 플레이트의 너비방향 끝단에서 수직으로 인입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훅과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결착슬릿;
    상기 각 하부결착슬릿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해당 플레이트에 그 너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훅과 결합되며, 하단에 상기 훅이 관통할 수 있는 조립구멍을 연통되게 갖는 다수의 상부결착슬릿;
    상기 제1훅들 사이 및 제2훅들 사이에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의 체결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훅은 상기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결착슬릿들과 교호적 관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2개의 제1훅 사이에 상기 상·하부결착슬릿 이 2개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착슬릿들 사이와 상기 하부결착슬릿들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다수의 제3체결구멍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결착슬릿의 상단간의 거리는 상기 이웃하는 2개의 제1훅들 또는 제2훅들의 대응하는 단부간의 거리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훅은 상기 몸체의 플레이트를 일정폭과 길이로 랜싱 가공하여 형성되며, 훅의 폭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훅의 선단에 절곡 형성된 지지탭이 상기 몸체의 플레이트를 향해 볼록하게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착슬릿이 상기 조립구멍의 상단 중앙에서 상측으로 인입 형성되고, 조립구멍의 상단이 상부결착슬릿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모서리에 다수의 연결슬롯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KR1020070093825A 2007-09-14 2007-09-14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KR10091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25A KR100919672B1 (ko) 2007-09-14 2007-09-14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PCT/KR2008/005314 WO2009035248A1 (en) 2007-09-14 2008-09-09 Frame member for sectional shelv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25A KR100919672B1 (ko) 2007-09-14 2007-09-14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322A true KR20090028322A (ko) 2009-03-18
KR100919672B1 KR100919672B1 (ko) 2009-10-06

Family

ID=4045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825A KR100919672B1 (ko) 2007-09-14 2007-09-14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9672B1 (ko)
WO (1) WO20090352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31B1 (ko) * 2011-03-04 2011-06-09 (주)정연엔지니어링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WO2012121549A2 (ko) * 2011-03-08 2012-09-13 Jang Gyu Cheol 지지가대 조립용 찬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8834A (en) 1988-06-06 1990-05-29 Vesper Corporation Safety beam lock
JP2704707B2 (ja) * 1994-07-25 1998-01-26 日本ファイリング株式会社 複柱式組立棚
JP5147153B2 (ja) * 2001-08-24 2013-02-20 由樹 南 組立棚
KR100622345B1 (ko) 2004-05-18 2006-09-14 최천순 다단식 조립선반의 선반패널 받침구조
KR200391947Y1 (ko) 2005-05-04 2005-08-09 김영배 조립식 진열대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31B1 (ko) * 2011-03-04 2011-06-09 (주)정연엔지니어링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WO2012121549A2 (ko) * 2011-03-08 2012-09-13 Jang Gyu Cheol 지지가대 조립용 찬넬
WO2012121549A3 (ko) * 2011-03-08 2012-11-15 Jang Gyu Cheol 지지가대 조립용 찬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672B1 (ko) 2009-10-06
WO2009035248A1 (en)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671B1 (ko) 무볼팅 조립식 선반장치
US6920831B2 (en) Shelf structure
US5350073A (en) Free-standing shelving system
US20060162272A1 (en) Benchtop panels
KR100919672B1 (ko)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JP2006037567A (ja) 留め付け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並びに外壁施工方法
KR200425226Y1 (ko) 테이블의 조립구조
EP0044282A2 (en) Metallic shelving provided with multiple interlocking means, and components designed for producing this shelving
JPH0527862Y2 (ko)
KR102167031B1 (ko) 농산업용 조립식 테이블
JP4083052B2 (ja) 垣根
CN214272425U (zh) 一种轻钢房屋钢结构安装用连接件
JP7454473B2 (ja) フェンスパネル及びフェンス
JP2006152666A (ja) 胴縁一体型フェンス用パネルおよび胴縁一体型フェンス
JP4088579B2 (ja) 木造建築部材の連結金具
KR20040089405A (ko) 조립식 선반틀
JPH10121791A (ja) メッシュフェンス
JP4202242B2 (ja) 木造建築部材の連結金具
KR200320245Y1 (ko) 조립식 선반틀
JPH078685Y2 (ja) 天井パネル用下地材の結合構造
JP3246186U (ja) フェンス
CN218668326U (zh) 高架地板支撑结构
JPH0610841Y2 (ja) ラツクにおける棚板と支柱との連結装置
JPS5834883Y2 (ja) 簡易組立家屋の棚支持構造
JP2000189258A (ja) 収納棚の防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