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660A -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660A
KR20090025660A KR1020070090669A KR20070090669A KR20090025660A KR 20090025660 A KR20090025660 A KR 20090025660A KR 1020070090669 A KR1020070090669 A KR 1020070090669A KR 20070090669 A KR20070090669 A KR 20070090669A KR 20090025660 A KR20090025660 A KR 20090025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groove
cover
gear
machin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517B1 (ko
Inventor
신석교
Original Assignee
신하엠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하엠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하엠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5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28Groov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043Accessories for spind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36Production of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40/00Details of connections of tools or workpieces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공작물의 내경 부위에 키 홈, 오일 홈 등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는, 구동축을 구비한 공작기계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에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커버, 커버의 중심에 배치되어 공작기계에 제공된 구동축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축과 동일한 축 상에서 회전하는 회전축, 회전축의 선단에 결합되는 제 1 기어, 제 1 기어와 직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치합되는 제 2 기어, 제 2 기어와 동일축 상에서 회전되도록 커버에 결합되는 척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공작기계, 앵글 헤드, 척, 공구

Description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Tool fixer for machine tool}
본 발명은 기계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공작물의 내경 부위에 키 홈, 오일 홈 등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의 공작물의 내경에 키홈, 오일 홈 등을 가공할 때에 공작물의 크기로 인하여 단품의 공작물을 가공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부품으로 나누어 각각 가공을 한 후에 서로 조립하여 대형의 부품을 제작하게 된다. 이때 각각 가공된 개별 부품들은 볼트 등으로 조립하여 하나의 대형 부품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볼트 등으로 개별 부품이 결합되어 조립된 대형의 부품은,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조립 부위의 이완 및 변형 등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여러 개의 부품을 각각 가공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는 가공작업의 준비 시간이 증대되고 여러번 가공 공정을 진행하므로 가공 작업 시간이 증대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의 공작물의 내경에 키 홈, 오일 홈 등을 용이하게 가공하여 공작물의 품질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 공작물의 내경에 키 홈, 오일 홈 등을 다양한 위치에 용이하게 가공함은 물론 견고한 구조의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축을 구비한 공작기계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에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공작기계에 제공된 구동축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축과 동일한 축 상에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선단에 결합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직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치합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동일축 상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절삭용 공구를 고정하는 척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를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면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의 걸림홈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커버에 마주하는 면이 오픈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홈의 간격보다 더 큰 간격을 가지는 제2 홈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홈 상에는 외부에서 티너트를 삽입할 수 있는 티너트 삽입홈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에는 축방향으로 볼트 구멍들이 제공되어 상기 인터페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 및 티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너트는 티너트 몸체부, 상기 티너트 몸체부에서 연장된 티너트 머리부, 그리고 상기 티너트 몸체부 및 상기 티너트 머리부를 관통하여 제공되는 나사홈이 제공되며, 상기 티너트 몸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제1 홈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티너트 머리부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제2 홈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곡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와 상기 회전축으로 베어링들에 의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대형의 공작물을 하나의 부품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공작물의 품질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 공작물의 가공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 공작물의 내경에 키홈 또는 오일 홈 등을 다양한 위치에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져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대형의 공작물의 내경에 키 홈, 또는 오일 홈 등을 가공하기 위한 공작기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공작기계는 몸체(1), 몸체(1)에 상, 하 방향(z)으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고 공구 고정구(3)가 결합되는 이송부(5), 몸체(1)에 결합되며 x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베드(7), 이 제1 베드(7) 상에 배치되어 y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베드(9)를 포함한다. 이송부(5)는 몸체(1)에 설치된 상, 하 이송 가이드들(2)에 안내되어 상, 하 방향(z)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5)에는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도시생략)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동축은 통상적으로 축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송부(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공구 고정구(3)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공구 고정구는 상, 하 방향(z) 뿐 만 아니라 x, y 방향으로 모두 이동되면서 대형의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제2 베드(9)에는 대형의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 예에서 공구 고정구(3)가 설치되는 공작기계의 구조는 상술한 예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구 또는 공작물이 가로(x), 세로(y), 그리고 높이(z)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구조면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하다.
공구 고정부(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31), 커버(33), 회전축(35), 제1 기어(37), 제2 기어(39), 그리고 척(Chuck)을 고정하는 척 고정부재(41)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31)는 전체의 길이에 따라 여러 종류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커버(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인터페이스(31)는 대형 공작물을 가공하는 조건에 따라 길이가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31)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가 관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인터페이스(31)는 공작기계에 볼트(B) 등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볼트공(B1)들이 축 방향으로 제공된다. 인터페이스(31)는 커버(33)와 마주하는 면에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걸림홈(31a)이 제공된다. 걸림홈(31a)은 제1 홈(31b)과 제 2 홈(31c)을 포함한다. 제 1 홈(31b)은 커버(33)와 마주하는 면에 오픈된 형태로 개구부를 이룬다. 그리고 이 제 1 홈(31b)이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2 홈(31c)이 제공된다. 제1 홈(31b)이 이루는 폭에 비하여 제 2 홈(31c)이 이루는 폭이 좀더 넓게 이루어진다. 즉, 제 1 홈(31b)과 제 2 홈(31c)은 축 방향으로 티너트(32, 도 4 및 도 5에 도시하고 있음, Tee nut)가 삽입되어 커버(33)를 볼트(B)로 고정시킬 수 있다.
티너트(32)는 티너트 몸체부(32a)와 티너트 머리부(32b)를 포함한다. 그리고 티너트 몸체부(32a)와 티너트 머리부(32b)를 관통하는 나사홈(32c)이 제공된다. 티 너트 몸체부(32a)는 두개의 면(32a1, 32a2, 도 5에 도시하고 있음)이 대략 상술한 제 1 홈(31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티너트 머리부(32b)는 두개의 면(32b1, 32b2, 도 5에 도시하고 있음)이 상술한 제 2 홈(31c)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를 이루고 있다. 티너트(32)는 티너트 몸체부(32a)와 티너트 머리부(32b)가 단차를 이루며 인터페이스(31)의 걸림홈(31a)에 삽입된 경우에 걸림턱(31d)에 티너트 머리부(32b)가 접촉되어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티너트(32)는 걸림홈(31a)에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제공되는 티너트 삽입홈(31e)을 통하여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티너트(32)는 인터페이스(31)에 제공되는 걸림홈(31a) 형태로 별도의 부재를 가공하여 일부를 잘라내고 나사홈(32c)을 내어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33)에는 티너트(32)에 대응하도록 축 방향으로 볼트 구멍(B2)이 제공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31)와 커버(33)는 볼트(B) 및 티너트(32)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티너트(32)를 이용한 결합은, 필요한 경우 인터페이스(31)와 커버(32)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티너트(32)의 티너트 머리부(32b) 전체가 걸림홈(31a)들의 경계를 이루는 걸림턱(31d)에 밀착되어 접촉 면적을 늘려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회전축(35)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상술한 구조는 안정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이러한 체결부재는 대략 4개의 쌍이 배치되어 인터페이스(31)와 커버(33)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35)은 커버(33)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축(35)은 커버(33)의 내부에 제공된 베어링(Be) 들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이 회전축(35)은 공작기계에 제공된 구동축에 결합되어 동일한 축 상에서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축(35)의 선단부에는 제 1 기어(37)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기어(37)에 제 2 기어(39)가 직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치합되어 있다. 제 1 기어(37)와 제 2 기어(39)는 스파이럴 베벨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기어(39)는 척 고정부재(41)와 결합된다. 물론 척 고정부재(41)는 베어링(Be)들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커버(33)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작기계의 구동축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은, 회전축(35)으로 전달되고, 계속해서 제 1 기어(37) 및 제 2 기어(39)를 통하여 직각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척 고정부재(41)를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대형의 공작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척 고정부재(41)가 향하는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커버(33)에 결합된 볼트(B)를 약간 느슨하게 풀고 이 상태에서 커버(33)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티너트(32)가 걸림홈(31a)을 따라 이동되면서 커버(33) 전체가 회전된다. 따라서 커버(33)가 회전되면서 척 고정부재(41)가 향하는 방향도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도 6 참조). 따라서 대형의 공작물의 내경에 키홈 등을 가공하면서 적절한 위치를 정하여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형 공작물의 내경의 깊은 부분에 키홈 등을 가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31)의 길이가 더 긴 것으로 교체하여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가공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긴 인터페이스(31)가 설치된 경우에는 공작기계의 구동축이 축 방향으 로 이동되어 회전축(35)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인 공작기계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대형의 공작물을 분리하지 않고 하나로 가공할 수 있어 가공된 공작물이 부품으로 사용되는 경우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가공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공구 고정구(3)는 그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견고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공구의 방향을 용이하게 바꾸어 대형의 공작물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외형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티(Tee) 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사용되는 상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9)

  1. 구동축을 구비한 공작기계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에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공작기계에 제공된 구동축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축과 동일한 축 상에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선단에 결합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직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치합되는 제2 기어;
    상기 제 2 기어와 동일축 상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척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면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의 걸림홈이 제공되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커버에 마주하는 면이 오픈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는 제 1 홈과, 상기 제 1 홈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홈의 간격보다 더 큰 간격을 가지는 제 2 홈이 제공되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상에는 외부에서 티너트를 삽입할 수 있는 티너트 삽입홈이 제공되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축방향으로 볼트 구멍들이 제공되어 상기 인터페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 및 티너트로 이루어지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티너트는
    티너트 몸체부,
    상기 티너트 몸체부에서 연장된 티너트 머리부, 그리고
    상기 티너트 몸체부 및 상기 티너트 머리부를 관통하여 제공되는 나사홈이 제공되며,
    상기 티너트 몸체부 및 상기 티너트 머리부는 동일한 중심에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원호로 이루어지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회전축으로 베어링들에 의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 및 제 2 기어는 스파이럴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KR1020070090669A 2007-09-06 2007-09-06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KR100918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669A KR100918517B1 (ko) 2007-09-06 2007-09-06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669A KR100918517B1 (ko) 2007-09-06 2007-09-06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660A true KR20090025660A (ko) 2009-03-11
KR100918517B1 KR100918517B1 (ko) 2009-09-24

Family

ID=4069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669A KR100918517B1 (ko) 2007-09-06 2007-09-06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5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182A (ko) * 2014-04-09 2015-10-19 주식회사 시퍼스 파이프 라인 키홈 가공장치
KR101856913B1 (ko) * 2017-12-28 2018-05-10 문균식 키홈 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448B2 (ja) * 1987-03-12 1995-05-10 ヤマザキマザツク株式会社 二重主軸構造
KR200357164Y1 (ko) 1998-08-29 2005-01-21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공구세터
KR200235920Y1 (ko) * 1998-10-19 2001-11-22 고권호 선반의왕복대에설치하여사용하는키홈가공기
JP3466517B2 (ja) 1998-10-22 2003-11-10 芳典 和田 タッピングユニ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182A (ko) * 2014-04-09 2015-10-19 주식회사 시퍼스 파이프 라인 키홈 가공장치
KR101856913B1 (ko) * 2017-12-28 2018-05-10 문균식 키홈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517B1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5823B2 (ja) 保持装置若しくは緊締装置における駆動軸とスピンドルとの間の連結装置
JP2008504137A (ja) 切断並びに面取りの工具
JP2004167679A (ja) プログラム制御式フライス・ボール盤のための機械加工ユニット
KR100918517B1 (ko)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EP2636473B1 (en) Tool mounting structure of turret head
JP4982253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ホルダ
JP2005034952A (ja)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クラッキング溝の加工装置
CN201052556Y (zh) 顶爪式钻夹头
KR100859349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앵글헤드
JP2021504159A (ja) ワークピースを機械加工するための工具
JP5728316B2 (ja) 多軸工作機械
JP5411686B2 (ja) 加工工具ホルダ
KR100887991B1 (ko)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KR20170001338A (ko) 플랜지 홀 가공장치
CN109454252A (zh) 夹头的夹紧装置及夹头
EP2030720A1 (fr) Dispositif de guidage de précision dans une machine d'usinage de pièces cylindriques
KR100631848B1 (ko) 탭핑홀 가공용 마스터 스핀들
CN210755210U (zh) 一种用于表壳加工的铣床主轴
JP2008119790A (ja) 工具ホルダ、およびその工具ホルダを取り付け可能なnc旋盤装置
KR200167218Y1 (ko) 치절기용 기어크램프
KR101007981B1 (ko) 천연 다이아몬드 유니버셜 폴리싱기
CN105234442B (zh) 用于加工内孔的刀具和系统
KR200210515Y1 (ko) 안내홈 성형장치
JP2015009298A (ja) 引きねじ加工機具と加工方法
JP5755363B1 (ja) 小径工具保持用チ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