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513A -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513A
KR20090025513A KR1020070090428A KR20070090428A KR20090025513A KR 20090025513 A KR20090025513 A KR 20090025513A KR 1020070090428 A KR1020070090428 A KR 1020070090428A KR 20070090428 A KR20070090428 A KR 20070090428A KR 20090025513 A KR20090025513 A KR 20090025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uilding
tile
wall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규
신용태
Original Assignee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5513A/ko
Publication of KR2009002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타일의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실내로의 누수를 방지하되 오염물질의 발생을 방지하여 깔끔한 건축물의 외관을 제공하도록 한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차폐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구성하는 외벽;상기 외벽으로부터 실내측으로 단차진 부위에 설치되며, 관통된 실,내외 공간을 개방 또는/및 폐쇄하는 창호;상기 창호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실외를 향해 결합홈이 형성된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상기 슬리브와 콘크리트 구조물에 각각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되며, 실내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고무재질의 누수방지부재; 그리고 상기 결합홈의 폭에 비해 큰 두께로 형성되어 슬리브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외벽과 창호 사이에 단차진 부위를 마감하는 마감 타일: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를 제공한다.
창호, 마감타일, 시공, 간편, 누수방지부재, 슬리브, 앵글

Description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structure of building's window and til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 타일의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마감 타일의 틈새를 통해 유입된 물이 더 이상 실내로 누수되지 않도록 한 누수방지부재가 설치된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는 벽돌이나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로 기체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외측은 마감 타일 등에 의해 마감 처리됨으로써 건축물의 깔끔한 외관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벽체에는 창호의 설치를 위해 실내,외가 관통된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건축물의 벽체 내부에는 실내와 실외 간에 원치않는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실내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단열재가 설치된다.
또한, 건축물에는 실외의 조망 및 환기 역할을 하는 창호가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을 갖는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의 구조 중, 요부만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의 구조는 벽체(1)와, 창호(3)와, 벽체(1)의 외관을 마감하는 타일(5)로 구성된다.
벽체(1)는 건축물의 기둥을 포함하며, 골조 역할을 한다. 상기 벽체는 벽돌 및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이때, 벽체(1)의 외측에는 건축물의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한 타일(5)이 시공되어 외벽(5a)을 구성한다.
그리고, 창호(3)는 조망을 위한 투명재질의 창(3a)과, 이 창(3a)을 벽체(1)에 설치하기 위한 창틀(3b)로 구성된다.
이때, 창호(3)는 실내,외가 관통된 벽체(1)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건축물의 외벽(5a)으로부터 실내 측으로 단차진 후, 그 단차진 부위에 설치된다.
이는, 빗물 등이 창호(3)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맨 외측으로 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5a)과 창호(3) 사이에는 단차진 거리만큼 공간부(S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S1)를 통해 벽체(1)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벽체(1)를 차폐하고, 단차진 거리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벽체(1)의 단차진 부위에는 마감 타일(5b)이 시공된다.
상기 마감 타일(5b)은 시멘트 또는 본드 등의 접착부재에 의해 벽체(1)에 접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마감 타일(5b)이 벽체(1)에 시공되는 과정에서, 상기 창호(3)와 마감 타일(5b) 사이에는 틈이 발생 된다.
이는, 상호간에 재질 차이로 인해 완전하게 밀착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틈에는 코킹물질(7)이 충진되어 상기 틈을 차폐하며, 이로 인해, 틈을 통해 누수되는 일은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타일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마감 타일(5b)과 창호(3) 사이에 충진된 코킹물질(7)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이 오염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로 인해, 건축물의 미관을 해치게 되며, 기업의 이미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둘째, 에폭시 등의 석재본드 또는 시멘트 등의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마감 타일(5b)을 벽체(1)에 접착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자의 숙련 정도에 따라 품질이 상이한 문제가 야기되었다.
셋째, 본드 및 시멘트의 경화로 인해 마감 타일(5b)의 접착력이 감소 되어 벽체(1)로부터 마감 타일(5b)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넷째, 마감 타일(5b)과 외벽(5a)의 경계 사이로 누수가 발생 되고, 이 누수된 물이 마감 타일(5b)을 접착하고 있는 접착부재에 접촉됨으로써, 시멘트의 경우에는 백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건축물의 미관을 해치게 되며, 나아가서는 마감 타일(5b)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석재본드의 경우에는 마감 타일(5b)의 외부로 흘러나와 건축물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마감 타일의 시공을 간편하게 하여 작업자의 숙련 정도에 관계없이 균일한 시공 품질을 제공하도록 하고, 코킹물질로 인해 건축물의 외관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깔끔하고 표준적인 마무리 품질을 제공하는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차폐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구성하는 외벽;상기 외벽으로부터 실내측으로 단차진 부위에 설치되며, 관통된 실,내외 공간을 개방 또는/및 폐쇄하는 창호;상기 창호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실외를 향해 결합홈이 형성된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상기 슬리브와 콘크리트 구조물에 각각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되며, 실내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고무재질의 누수방지부재; 그리고 상기 결합홈의 폭에 비해 큰 두께로 형성되어 슬리브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외벽과 창호 사이에 단차진 부위를 마감하는 마감 타일: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결합홈과 마감 타일 사이에는 접착부재가 더 개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와 창호 사이에는 슬리브를 고정시키는 앵글이 더 설치되되, 상기 슬리브는 앵글의 일측에 고정되고 앵글의 타측은 이 앵글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창호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편평한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 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에 의하면 창호와 벽체 사이에 마감 타일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슬리브가 설치됨으로써, 마감 타일의 시공이 간편해진다.
이에 따라, 시공시간이 절약되며,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치 않게 됨에 따라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에 상관없이 시공품질이 균일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부재에 의한 마감 타일의 시공이 아니므로, 건축물의 미관이 불량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깔끔한 마무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일의 내측에는 고무 재질의 누수방지부재가 슬리브와 벽체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마감 타일과 외벽의 경계를 통해 누수되더라도, 그 누수된 물은 상기 누수방지부재에 의해 실내로 더 이상 누수 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누수방지를 위해 코킹물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코킹물질로 인한 건축물의 외관불량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건축물의 창호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만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는 외벽(100)과, 창호(200)와, 슬리브(300)와, 누수방지부재(400)와, 마감 타일(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벽(100)은 건축물의 미적인 외관을 제공하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둥 또는 벽돌로 구성된 벽 등을 차폐한다.
즉, 외벽(10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구조물들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창호(200)는 건축물의 실내,외 공간을 구분하되, 실외를 조망하거나 실내,외 공기의 환기를 위한 역할을 한다.
이때, 창호(200)는 투명체의 창(210)과, 이 창(210)이 건축물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금속 재질의 창틀(220)을 포함한다.
이때, 창틀(220)은 건축물의 실내,외가 관통된 벽에 설치되며, 통상 섀시로 구성된다.
또한, 창(210)은 상기 창틀(220)에 설치되어 관통된 벽을 개폐한다.
이때, 창(210)은 실내 및 실외에서 상호 간에 보일 수 있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나, 요즘에는 사생활 보호를 위해 실내에서만 실외가 보일 수 있도록 한 재질이 쓰이기도 한다.
그리고, 창호(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망을 위한 역할 외에도,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역할도 한다.
즉, 창틀(220)로부터 창(210)이 개방되도록 하여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서로 순환됨으로써, 실내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물론, 모든 창(210)이 개방되게 구성된 것은 아니며, 공기정화장치가 실내에 별도로 설치된 건축물의 경우에는 창(210)이 개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한편, 창호(200)는 건축물의 외벽(100)으로부터 실내 측을 향해 단차진 부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 중, 일부를 실내 측으로 단차지게 구성한 후, 그 단차진 벽에 창호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는, 빗물이나 바람이 창호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하여 창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물질이 창호에 묻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슬리브(300)는 외벽(100)과 창호(200) 사이에 단차진 부위를 마감하는 마감 타일(500)이 설치되기 위해 제공되며, 창호(20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슬리브(300)는 창호(200)의 둘레면에 밀착된 밀착부(310)와, 이 밀착부(310)의 단부로부터 외벽(100)의 내부를 향해 일정 길이만큼 절곡된 절곡부(320)와, 이 절곡부(320)의 단부로부터 외벽(100)을 향해 절곡되면서 결합홈(340)을 형성한 연장부(3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슬리브(300)의 구성은 결합홈(340)이 형성된 'ㄷ'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340)의 방향은 실외를 향해 개구된 상태이다.
이때, 결합홈(340)의 폭을 형성하는 절곡부(320)의 길이는 마감 타일(500)의 두께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는, 마감 타일(500)이 상기 결함홈(340)에 견고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300)의 재질은 알루미늄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리브(300)와 금속재질의 창호(200)간에 밀착이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창호(200)와 슬리브(300) 사이에는 상기 슬리브(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글(600)이 설치된다.
이 앵글(600)은 슬리브(300)가 창호(200)의 둘레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앵글(600)의 일측은 상기 슬리브(300)의 절곡부(320)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앵글(600)의 타측은 상기 앵글(60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된 후, 절곡된 면이 창호에 밀착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즉, 앵글(600)은 'ㄱ'자 형태로 절곡된 것이다.
다음으로, 누수방지부재(400)는 마감 타일(500)과 외벽(100) 사이의 경계를 통해 외벽(100)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더라도, 침투된 물이 실내로 더 이상 누수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C)과 창호(200) 사이에는 외벽(100)의 내부와 실내가 연통된 공간부(S2)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S2)에는 실내,외 공기의 열 교환을 방지하는 단열재(I)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S2)에 단열재(I)가 설치되어 실내로의 누수를 방지하기는 하지만, 빗물이 지속적으로 침투될 경우, 단열재(I)를 통해 실내로 빗물이 누수될 수 있으므로, 누수방지부재(400)로 하여금 상기 공간부(S)를 차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누수방지부재(400)의 일단부는 슬리브(300)의 연장부(330)에 고정되며, 누수방지부재(400)의 타단부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고정되어 실내와 연결된 통로인 공간부(S)를 차폐한다.
이에 따라, 외벽(100)과 마감 타일(500) 사이의 경계를 통해 물이 침투되더라도 누수방지부재(400)에 의해 실내로의 추가 누수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누수방지부재(400)의 재질은 고무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누수방지부재(40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슬리브(300)와 콘크리트 구조물(C)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편평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마감 타일(500)은 창호(200)와 외벽(100) 사이에 단차진 부위를 마감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깔끔하게 한다.
상기 마감 타일(500)은 창호(200)의 둘레를 따라 슬리브(300)의 결합홈(340)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마감 타일(500)의 두께는, 슬리브(30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슬리브(300)의 결합홈(340) 폭에 비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크게 형성될 경우,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은 이해가능하다.
이때, 슬리브(300)의 결합홈(340)에 마감 타일(50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슬리브(300)와 마감 타일(500) 사이에 본드 등의 접착부재가 더 개재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감 타일(500)이 창호(20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됨으로써, 외벽(100)과 창호(200) 사이의 단차진 부위는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구조에 의하면, 마감 타일을 슬리브(300)의 결합홈(340)에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마감 타일(500)의 시공구조가 간단하며, 용이하게 시공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숙련공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시공비용이 절약되며, 시공품질의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외벽(100)의 내부에는 실내와 외벽(100)의 내부 사이에 연통된 공간부(S)를 차폐하는 누수방지부재(400)가 설치됨으로써, 외벽(100)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실내로의 추가 누수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마감 타일(500)은 창호(200)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빗물은 마감 타일(500)을 타고 실외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창호와 마감 타일의 구조를 요부만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외벽 200 : 창호
210 : 창 220 : 창틀
300 ; 슬리브 310 : 밀착부
320 : 절곡부 330 : 연장부
400 : 누수방지부재 500 : 마감 타일
600 : 앵글 C : 콘크리트 구조물
I : 단열재 S1,S2 : 공간부

Claims (5)

  1.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차폐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구성하는 외벽;
    상기 외벽으로부터 실내측으로 단차진 부위에 설치되며, 관통된 실,내외 공간을 개방 또는/및 폐쇄하는 창호;
    상기 창호의 둘레를 따라 고정되며, 실외를 향해 결합홈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슬리브;
    상기 슬리브와 콘크리트 구조물에 각각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되며, 실내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부재; 그리고
    상기 결합홈의 폭에 비해 큰 두께로 형성되어 슬리브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외벽과 창호 사이에 단차진 부위를 마감하는 마감 타일: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과 마감 타일 사이에는 접착부재가 더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와 창호 사이에는 슬리브를 고정시키는 앵글이 더 설치되되, 상기 슬리브는 앵글의 일측에 고정되고 앵글의 타측은 이 앵글의 일측으로부터 절곡 되어 창호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편평한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KR1020070090428A 2007-09-06 2007-09-06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KR20090025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428A KR20090025513A (ko) 2007-09-06 2007-09-06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428A KR20090025513A (ko) 2007-09-06 2007-09-06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513A true KR20090025513A (ko) 2009-03-11

Family

ID=4069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428A KR20090025513A (ko) 2007-09-06 2007-09-06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55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615B1 (ko) 건축물에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용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조립 시스템
JPH07173893A (ja) 漏水防止型フレーム付きパネルカーテンウォール
Fernandes et al. Architectural integration of ETICS in building rehabilitation
CN211287246U (zh) 一种窗户附框结构
CN205713845U (zh) 铝合金窗边框密封连接结构
KR102021445B1 (ko) 장식 루버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오픈조인트 내진 패널조립체
KR100442482B1 (ko)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KR101545152B1 (ko) 창문유리의 창문프레임 설치 구조
JP4928371B2 (ja) 建具周囲の排水構造
KR20090025513A (ko) 건축물의 창호와 마감 타일 구조
KR100569578B1 (ko) 금속 커튼월 연결구조
KR20100067782A (ko) 시스템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5068791A (ja)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通気性外断熱外壁
KR200375514Y1 (ko) 개량형 창틀 문선
KR102195331B1 (ko) 공기주입식 팽창부재를 구비한 창호
KR20200028912A (ko) 커튼월 리모델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리모델링 방법
CN114809860B (zh) 一种幕墙洞口窗的可拆卸窗套安装结构
JP4094923B2 (ja) サッシ枠内部の結露発生防止工法
KR102555723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JP3252243B2 (ja) 無端状ガスケットを有するサッシ
KR101517141B1 (ko) 누수방지 메탈 패널
JPH0826649B2 (ja) 乾式石版状パネル取付構造
JPH0776888A (ja) 外壁板接合部の雨仕舞い構造
RU166562U1 (ru) Узел примыкания стеновой сэндвич панели к цоколю здания
TWI627332B (zh) 乾式施工窗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