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416A -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416A
KR20090025416A KR1020070090259A KR20070090259A KR20090025416A KR 20090025416 A KR20090025416 A KR 20090025416A KR 1020070090259 A KR1020070090259 A KR 1020070090259A KR 20070090259 A KR20070090259 A KR 20070090259A KR 20090025416 A KR20090025416 A KR 20090025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pusher
inclined surfac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국
Original Assignee
조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국 filed Critical 조영국
Priority to KR102007009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5416A/ko
Priority to PCT/KR2008/005273 priority patent/WO2009031864A2/en
Publication of KR20090025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7Packages for several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1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making a sound upon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10)의 입구에 결합하고 첨가제를 포함하는 푸셔(200)를 수용하고 바닥은 중앙에 뾰족한 누름침(150)이 있고, 누름침(150) 주변은 누름침 지지리브(152)와 지지리브(152)사이의 분출공(154)을 가지는 수용부(110)가 용기 입구에 들어가는 하캡(100);
수용부(110)에 수용되어 상캡(300)과 연동하고 상단은 경사면(220)을, 경사면(220) 밑에는 상부격벽(210)을 이루고, 상부 격벽(210)으로 생기는 내부공간은 첨가제(W)를 수용하고 하단은 상기 누름침(150)과의 당접시 파열되는 실링박막(240)으로 실링된 푸셔(200); 및
상캡(300)의 수용부(110) 연장관(120)에 결합하고, 상캡(300) 위에서 회전할 때 상기 푸셔(200)의 경사면(220)과 당접 하면서 아래로 미는 누름경사면(310)을 하단에 이룬 내부프랜지(320)를 가지는 상캡(300)을 포함하는 용기마개 이다.
용기마개,푸셔,첨가제,실링박막

Description

용기마개{Bottle cap}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에 결합하고 첨가제를 포함하는 푸셔를 수용하고 바닥은 중앙에 뾰족한 누름침이 있고, 누름침 주변은 누름침 지지리브와 지지리브사이의 분출공을 가지는 수용부가 용기 입구에 들어가는 하캡;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캡과 연동하고 상단은 경사면을, 경사면 밑에는 상부격벽을 이루고, 상부 격벽으로 생기는 내부공간은 첨가제를 수용하고 하단은 상기 누름침과의 당접시 파열되는 실링박막으로 실링된 푸셔; 및
상캡의 수용부 연장관에 결합하고, 상캡 위에서 회전할 때 상기 푸셔의 경사면과 당접 하면서 아래로 미는 누름경사면을 하단에 이룬 내부프랜지를 가지는 상캡을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용기의 입구에 결합하고 첨가제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용기 입구에 들어가는 하캡;
수용부에 추가로 수용되어 상캡과 연동하고 상단 경사면의 누름작용으로 하강하면서 수용부 바닥판을 밀어내는 푸셔; 및
하캡의 수용부 연장관에 결합하고, 하캡 위에서 회전할 때 상기 푸셔의 경사면과 당접하면서 아래로 미는 누름경사면을 하단에 이룬 내부프랜지를 가지는 상캡 을 포함하는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마개는 용기의 내용물을 마실 때 열어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건강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변질이 심하거나 영양소가 파괴되어, 원래의 성분을 보존하고 있는 원액이나 분말을 캡 내에 수용하고 있다가 사용시에 캡내부를 파열시켜 용기의 내용물에 첨가토록 하는 용기마개가 경쟁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하캡이나 별도의 용기를 입구에 결합시키고, 별도의 상캡을 돌릴 때(열 때) 수용부를 여는 푸셔가 하강하여 수용부 바닥을 열고 첨가제를 용기 내용물에 첨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수용부가 습기 침투에 약하여 첨가제가 굳어 버리거나 영양소가 파괴되거나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어, 활발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첨가제를 수용하는 수용부나 수용부 내에 수용된 푸셔의 첨가제 수용부가 습기에 침투가 않 되는 실링성을 가지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부의 첨가제 첨가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소리가 나는 발성수단을 포함시켜 첨가제 첨가 완료시점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용 기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캡에 하단의 수평위치가 경사진 누름경사면을 가진 내부프랜지를 두고 누름경사면의 경사가 수용부 상부 연장관의 결합나사보다 급하도록 하여 작은 회전에도 급강하가 가능토록 하여 첨가제의 첨가가 쉽게 되도록 하고 결합도 용이하도록 하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상캡의 내부프랜지의 하단이 누름경사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캡과 결합하고 용기 마개와 직접 결합하는 하캡에는 수용부를 두고, 수용부에는 첨가제와 푸셔 기능의 푸셔를 두고, 푸셔의 상단에는 상기 누름경사면과 누름 작용하는 경사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경사면은 수용부 상부 연장관의 결합나사의 기울기보다 급하도록 하여 상캡 회전시 푸셔가 하강 구동력을 받아 작용토록 하고, 푸셔와 상캡이 단순히 면 접촉 하므로 조립이 용이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은 첨가제를 수용하는 수용부나 수용부 내에 수용된 푸셔의 첨가제 수용부가 습기에 침투가 않 되는 실링성을 가지는 용기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수용부의 첨가제 첨가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소리가 나는 발성수단을 포함시켜 첨가제 첨가 완료시점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토록 한다.
본 발명은 아울러 상캡에 하단의 수평위치가 경사진 누름경사면을 가진 내부 프랜지를 두고 누름경사면의 경사가 수용부 상부 연장관의 결합나사보다 급하도록 하여 작은 회전에도 급강하가 가능토록 하여 첨가제의 첨가가 쉽게 가능토록 하고 결합도 용이하도록 한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나타낸 도면으로, 용기(10)의 입구에 결합하고 첨가제(W)를 포함하는 푸셔(200)를 수용하고 바닥은 중앙에 뾰족한 누름침(150)이 있고, 누름침(150) 주변은 누름침 지지리브(152)와 지지리브(152)사이의 분출공(154)을 가지는 수용부(110)가 용기 입구에 들어가는 하캡(100);
수용부(110)에 수용되어 상캡(300)과 연동하고 상단은 경사면(220)을, 경사면(220) 밑에는 상부격벽(210)을 이루고, 상부 격벽(210)으로 생기는 내부공간은 첨가제(W)를 수용하고 하단은 상기 누름침(150)과의 당접시 파열되는 실링박막(240)으로 실링된 푸셔(200); 및
상캡(300)의 수용부(110) 연장관(120)에 결합하고, 상캡(300) 위에서 회전할 때 상기 푸셔(200)의 경사면(220)과 당접 하면서 아래로 미는 누름경사면(310)을 하단에 이룬 내부프랜지(320)를 가지는 상캡(300)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서 각 실시예에 사용되는 푸셔(200)의 상면사시도, 평면도 및 저면 사시도로, 상단은 경사면(220)을, 경사면(220) 밑에는 상부격벽(210)을 이루고, 상부 격벽(210)으로 생기는 내부공간(212)은 첨가제(W)를 수용하고 하단은 상기 누름침(150)과의 당접시 파열되는 도 1 내지 도 3에 보인 실링박막(240)으로 실링된 구성을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의 실시예1 은 도 4 내지 도 6 에 보인 푸셔를 뒤집어 내부공간(212)에 첨가제(분말이나 첨가액 등)를 넣고 실링박막(240)을 대고 고주파 융착으로 실링시켜 푸셔(200)가 충진제 수용용기 기능을 한다. 이어 이를 뒤집어 하캡(100)의 수용부(110)에 넣고 도 1 과 같이 하캡(100)의 연장관(120)외면의 결합나사(121)에 결합되도록 상캡(300)을 결합하고, 이어 이를 내용물을 넣은 용기(10)의 입구에 끼움 결합한다. 물론 이경우는 하캡(100)의 테두리 고정후크(105)가 용기(10) 입구측의 고정후크(14)에 후크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내용물을 채운 용기(10) 입구의 고정후크(14)에 하캡(100)의 고정후크(105)가 후크 결합되도록 하고, 동시에 하캡(100)의 수용부(110)는 입구 안으로 오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수용부(110) 내에 첨가제를 수용하는 푸셔(200)를 채우고, 도 1 과 같이 상캡(300)을 결합시켜도 좋다.
이 상태에서 상캡(300)을 돌리면(풀면) 도 10 및 도 11 에 보인 위조방지띠 고정돌기(101)에 결합된 위조방지띠(301)는 고정되므로, 위조방지띠(301)는 상캡(300)과 분리된다. 동시에 상캡(300)과 일체로 된 내부프랜지(320)는 하단이 누름경사면(310)을 이루고, 누름경사면(310)의 경사각도(∂1)가 연장관(120)의 결합나사(121)의 경사각도(∂2) 보다 크므로, 상캡을 풀때의 회전력은 누름경사면(310)과 경사면(220)의 누름 작용으로(게다가 푸셔(200)에는 도 4 내지 도 6 과 같이 안내홈(230)이, 대응하는 수용부(110)에는 안내동기(114)를 이루므로 상하 운동을 한다) 하강하여 도 2 와 같이 실링박막(240)이 누름침(150)으로 눌리어져 첨가제가 용기 내부로 첨가된다.
물론 이 경우 파열된 실링박막(240)은 수용부(110) 하단의 실링박막 에지 끼움홈(156)에 푸셔(200)의 하단과 함께 끼워져서 실링박막(240)이 찢어져서 내용물에 섞이지 않고, 동시에 실링박막 에지 끼움홈(156)의 내벽에는 개방공(158)이 있어 첨가제의 첨가를 위한 이동 구멍의 막힘 없이 첨가가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물론 상캡(300)과 하캡(100)의 연장관(120) 상단은 별도의 실패킹(324)을 도 1 및 도 2 와 같이 안치시키면 실링성을 확보토록 작용한다.
또한 첨가제 첨가 후 도 2 상태에 이어 상캡(300)을 분리하고, 용기(10)를 기울여 내용물을 마시면 된다. 이 경우 푸셔(200)는 상부의 상부격벽(210)에 도 4 및 5와 같은 배출구멍(214)이 있어 내용물을 하캡(100)의 연장관(120)을 통하여 마실 수 있다. 물론 도 4 및 5 에서 배출구멍(214)을 막고, 푸셔의 상부격벽 부분을 씨형상으로 하면 중앙에 상하 관통공이 생기므로, 이 관통공을 통하여 용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고, 내부공간을 수직의 2개 공간으로 나누어 하나는 첨가제를, 다른 하나는 내용물 배출 구멍으로 사용토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는 누름침(150)이 2개소로 분산되어야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를 나타낸 단면도로, 용기(10)의 입구에 결합하고 첨가제를 포함하는 푸셔(200)를 수용하고 바닥은 중앙에 뾰족한 누름침(150)이 있고, 누름침(150) 주변은 누름침 지지리브(152)와 분출공(154)을 가지는 수용부(110)가 용기(10) 입구에 들어가는 하캡(100);
수용부(110)에 수용되어 상캡(300)과 연동하고 상단은 경사면(220)을, 경사면(220) 밑에는 상부격벽(210)을 이루고, 상부격벽(210)으로 생기는 내부공간(212) 은 첨가제를 수용하고 하단은 상기 누름침(150)과의 당접시 파열되는 실링박막(240)으로 실링된 푸셔(200);
상캡(300)의 수용부(110) 연장관(120)에 결합하고, 상캡(300) 위에서 회전할 때 상기 푸셔(200)의 경사면(220)과 당접하면서 아래로 미는 누름경사면(310)을 하단에 이룬 내부프랜지(320)를 동시회전 가능토록 수용하는 상캡(300); 및
상기 내부프랜지(320)의 상단 테두리에 도너츠 형상으로 일체로 연장하여 연장관(120) 상단을 실링하도록 상캡(300) 상단 내벽에 안치되는 실링판(3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내부프랜지(320) 상단은 일방향 기어(326)가 형성되고, 대응하는 상캡(300) 저면에는 풀림시 같은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받도록 일방향 회전 가능한 대응 기어(302)가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 2 는 기본적으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결합 및 사용 원리는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내부프랜지(320)와 실링판(330)이 일체로 되어 상캡(300)과 분리되고, 내부프랜지 상단과 대응하는 상캡(3000 면은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만 힘을 받는 일방향 기어(326) 및 대응 기어(302)의 결합 구조로 되어 있어 상캡(300)을 풀 때 내부프랜지(320)과 분리형이라도 동일한 방향과 힘으로 회전하여 작용하고, 이러한 분리 구조는 실린판(330)의 테두리 부분이 실링판 수용홈(305)을 이룸으로써, 상캡(300)에서 분리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실링 및 누름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장점으로는 내부프랜지(320)와 상캡(300)이 일방향기어(326)와 대응기어(302) 와 일방향으로 결합하므로 푸셔(200)의 경사면(220)과 내부프랜지(320)의 누름경사면(310)의 경사면이 대응 한 위치에 없도록 결합하여도 결합되면서 자연스럽게 도 3 과 같이 내부프랜지(320)가 자전하면서 항상 동일한 위치로 조립토록 한다.
도 12 내지 14에 보인 푸셔는 상캡(300)과 연동하고 상단은 경사면(220)을, 경사면(220) 밑에는 상부격벽(210)을 이루고, 상부 격벽(210)으로 생기는 내부공간은 첨가제(W)를 수용하고 상단 경사면(220)의 누름작용으로 하강하면서 수용부 바닥판(130)을 밀어 얄리도록 기능한다.
도 4 내지 도 14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낸 도면으로, 용기(10)의 입구에 결합하고 첨가제를 수용하는 수용부(110)가 용기 입구에 들어가는 하캡(100);
수용부(110)에 추가로 수용되어 상캡(300)과 연동하고 상단 경사면(220)의 누름작용으로 하강하면서 수용부 바닥판(130)을 밀어내는 푸셔(200); 및
하캡(100)의 수용부(110) 연장관에 결합하고, 하캡(100) 위에서 회전할 때 상기 푸셔(200)의 경사면(220)과 당접하면서 아래로 미는 누름경사면(220)을 하단에 이룬 내부프렌지(320)를 가지는 상캡(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3 에서, 누름경사면(310) 및 경사면(220)의 경사 각도(∂1)은 연장관(120)의 결합나사(121)의 나사 경사 각도(∂2) 보다 크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 에 있어서, 수용부(110) 하단 내벽은 파열된 실링박막(240)이 끼움 고정되는 실링박막 에지 끼움홈(156)을 형성한다.
상기 실링박막(240) 에지 끼움홈(156)에는 일정 간격마다 내경쪽 및 하단이 개방되어 첨가제의 하부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개방공(158)을 이룬 것을 도 1 및 도 2 에 예시한 구설을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에서, 연장관(120) 상단 내측에는 마찰돌기(123)를 형성하고, 마찰돌기(123) 대응 내부프랜지(320) 하단에는 수용부 바닥 개방시접을 알려주도록 상기 마찰돌기(123)와 마찰 결합하는 발성돌기(322)를 형성한다.
또한 하캡(100)의 용기 결합 테두리 하단은 고정후크(105)를 이루고, 고정후크(105)가 결합하는 용기(10)에는 돌출형 고정후크(14)를 두고, 고정후크(14)의 하단은 요철을 이루어 하캡의 자전을 방지토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서, 수용부(110) 바닥은 수용부 직경보다 작으며 수요부 내경과는 에지공(132)을 이룬 바닥판(130)과, 바닥판(130)을 수용부 하단에서 이어주는 연결다리(131)와, 수용부 하단과 에지공(132) 및 바닥판(130)을 동시에 싱링하는 실링박막(140)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바닥판(130)에는 실링박막(140)의 파열시 수직으로 열렸을 때 푸셔(200)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강스토퍼(133)를 도 12 내지 14와 같이, 바닥판과 수직으로 돌출시킨다.
푸셔(200)의 외면에는 도 3 내지 도 6 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한 안내홈(230)을 이루고, 대응하는 수용부(110) 내면에는 수직으로 돌출하여 푸셔의 수직 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돌기(114)를 형성한다.
상기 푸셔(200) 상단의 경사면(220)은 일정 각도마다 상승이 반복되고, 반복 되는 지점은 수직턱(222)으로 시작과 마지막 점이 교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면의 일정 각도는 도 5 와 같이 180도 인 것이 좋다.
상기 안내홈(230)의 하단 입구는 도 8 에 보인 안내돌기(114)와의 끼움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안내경사면(234)을 가진다. 상기 경사면(220)은 도 5 와 같이 180도 마다 경사격벽(210)과 수직턱(222)을 반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실시예 3 은 도 8 과 같은 하캡(100)의 연장관(120)과 도 7 에 보인 상캡(300)을 결합시키고, 뒤집어 하캡(100)의 수용부(110)에 푸셔(200)를 넣고9물론 도 8 에 보인 안내돌기(114)에 도 4 내지 도 6 에 보인 안내홈(230)이 결합되도록 하고, 노출된 내부공간(212)에 첨가제를 넣고, 바닥판(130)을 도 9 와 같이 에지공(1320을 이루도록 연결다리(131) 부위를 접고, 도 12 와 같이 실링박막(1400으로 실링한다. 이 경우 실링박막(140)은 알루미늄박막, 이지필 필름, 방수비닐막 등의 다양한 실링 가능재질 중의 하나를 사용 가능하다.
이를 사용할 때는 도 12 상태에서 상캡(300)을 회전시키면, 내부프랜지(300)의 누름경사면(310)이 푸셔(200)의 경사면(200)을 눌러서 안내돌기(114)를 따라서 푸셔(200)가 하강한다. 푸셔(200)의 하강은 실링박막(140)을 눌러 찍고, 동시에 바닥판(130)은 연결다리(131)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13 과 같이 바닥판(130)이 수직으로 열리면서 내부 첨가물이 하강하여 용기 내용물에 첨가된다. 아울러 푸셔(200)는 하단이 하강스토퍼(133)에 걸리므로 더 이상의 하강을 멈추고 걸려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캡(300)을 열고 상부격벽(210)에 형성한 도 14 에 보인 배출구멍(214)을 통하여 첨가제가 섞인 내용물을 마시면 된다.
물론 다른 기능은 실시예1 및 2 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에 2 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푸셔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평면도,
도 6 은 도 4 의 저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상캡 저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하캡 저면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하캡 저면 바닥판을 막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하캡 정면상태 사시도,
도 11 은 하캡 상면 상태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의 단면도,
도 13 은 도 12 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4 는 도 13 의 바닥판을 열어 수평으로 펼친상태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캡 101;위조방지띠 고정돌기 103;입구실링관 105;고정후크 110;수용부 112;스토퍼 114;안내돌기 120;연장관 121;결합나사 123;마찰돌기 130바닥판 131;연결다리 132;에지공 133;하강스토퍼 140;실링박막 150;누름침 152;누름침 지지리브 154;분출공 156;실링박막 에지 끼움홈 200;푸셔 210;상부격벽 212;내부공간 220;경 사면 222;수직턱 230;안내홈 234;안내 경사면 240;실링박막 300;상캡 301;위조방지띠 310;누름 경사면 320;내부 프랜지 322;발성돌기 324;실패킹

Claims (15)

  1. 용기(10)의 입구에 결합하고 첨가제를 포함하는 푸셔(200)를 수용하고 바닥은 중앙에 뾰족한 누름침(150)이 있고, 누름침(150) 주변은 누름침 지지리브(152)와 지지리브(152)사이의 분출공(154)을 가지는 수용부(110)가 용기 입구에 들어가는 하캡(100);
    수용부(110)에 수용되어 상캡(300)과 연동하고 상단은 경사면(220)을, 경사면(220) 밑에는 배출구멍(214)을 가지는 상부격벽(210)을 이루고, 상부 격벽(210)으로 생기는 내부공간은 첨가제(W)를 수용하고, 하단은 상기 누름침(150) 과의 당접시 파열되는 실링박막(240)으로 실링된 푸셔(200); 및
    상캡(300)의 수용부(110) 연장관(120)에 결합하고, 상캡(300) 위에서 회전할 때 상기 푸셔(200)의 경사면(220)과 당접 하면서 아래로 미는 누름경사면(310)을 하단에 이룬 내부프랜지(320)를 가지는 상캡(300)을 포함하는 용기마개.
  2. 용기(10)의 입구에 결합하고 첨가제를 포함하는 푸셔(200)를 수용하고 바닥은 중앙에 뾰족한 누름침(150)이 있고, 누름침(150) 주변은 누름침 지지리브(152)와 분출공(154)을 가지는 수용부(110)가 용기(10) 입구에 들어가는 하캡(100);
    수용부(110)에 수용되어 상캡(300)과 연동하고 상단은 경사면(220)을, 경사면(220) 밑에는 배출구멍(214)을 가지는 상부격벽(210)을 이루고, 상부격벽(210)으로 생기는 내부공간(212)은 첨가제를 수용하고 하단은 상기 누름침(150)과의 당접 시 파열되는 실링박막(240)으로 실링된 푸셔(200);
    상캡(300)의 수용부(110) 연장관(120)에 결합하고, 상캡(300) 위에서 회전할 때 상기 푸셔(200)의 경사면(220)과 당접하면서 아래로 미는 누름경사면(310)을 하단에 이룬 내부프랜지(320)를 동시회전 가능토록 수용하는 상캡(300); 및
    상기 내부프랜지(320)의 상단 테두리에 도너츠 형상으로 일체로 연장하여 연장관(120) 상단을 실링하도록 상캡(300) 상단 내벽에 안치되는 실링판(33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프랜지(320) 상단은 일방향 기어(326)가 형성되고, 대응하는 상캡(300) 저면에는 풀림시 같은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받도록 일방향 회전 가능한 대응 기어(30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4. 용기(10)의 입구에 결합하고 첨가제를 수용하는 수용부(110)가 용기 입구에 들어가는 하캡(100);
    수용부(110)에 추가로 수용되어 상캡(300)과 연동하고 상단 경사면(220)의 누름작용으로 하강하면서 수용부 바닥판(130)을 밀어내는 푸셔(200); 및
    하캡(100)의 수용부(110) 연장관에 결합하고, 하캡(100) 위에서 회전할 때 상기 푸셔(200)의 경사면(220)과 당접하면서 아래로 미는 누름경사면(220)을 하단에 이룬 내부프랜지(320)를 가지는 상캡(300)을 포함하는 용기마개.
  5. 제 1 항, 2항, 4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누름경사면(310) 및 경사면(220)의 경사 각도(∂1)은 연장관(120)의 결합나사(121)의 나사 경사 각도(∂2) 보다 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수용부(110) 하단 내벽은 파열된 실링박막(240)이 끼움 고정되는 실링박막 에지 끼움홈(15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실링박막(240) 에지 끼움홈(156)에는 일정 간격마다 내경쪽 및 하단이 개방되어 첨가제의 하부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개방공(158)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8. 제 제 1 항, 2항, 4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연장관(120) 상단 내측에는 마찰돌기(123)를 형성하고, 마찰돌기(123) 대응 내부프랜지(320) 하단에는 수용부 바닥 개방 시점을 알려주도록 상기 마찰돌기(123)와 마찰 결합하는 발성돌기(32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9. 제 제 1 항, 2항, 4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하캡(100)의 용기 결합 테두리 하단은 고정후크(105)를 이루고, 고정후크(105)가 결합하는 용기(10)에는 돌출형 고정후크(14)를 두고, 고정후크(14)의 하단은 요철을 이루어 하캡의 자전을 방지토 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0. 제 4 항에 있어서, 수용부(110) 바닥은 수용부 직경보다 작으며 수요부 내경과는 에지공(132)을 이룬 바닥판(130)과, 바닥판(130)을 수용부 하단에서 이어주는 연결다리(131)와, 수용부 하단과 에지공(132) 및 바닥판(130)을 동시에 싱링하는 실링박막(140)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바닥판(130)에는 실링박막(140)의 파열시 수직으로 열렸을 때 푸셔(200)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강스토퍼(133)를 바닥판과 수직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2. 제 4 항에 있어서, 푸셔(200)의 외면에는 수직으로 형성한 안내홈(230)을 이루고, 대응하는 수용부(110) 내면에는 수직으로 돌출하여 푸셔의 수직 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돌기(1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3. 제 1 항, 2항, 4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200) 상단의 경사면(220)은 일정 각도마다 상승이 반복되고, 반복되는 지점은 수직턱(222)으로 시작과 마지막 점이 교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일정 각도는 18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5. 제 2 항에 있어서, 실링판(330)의 외경은 상캡(300)의 내경보다 크도록 하고, 상캡(300)의 내경 대응부위에는 실링판(330)의 일부를 수용하여 분리를 방지토록 하는 실링판 수용홈(30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KR1020070090259A 2007-09-06 2007-09-06 용기마개 KR20090025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259A KR20090025416A (ko) 2007-09-06 2007-09-06 용기마개
PCT/KR2008/005273 WO2009031864A2 (en) 2007-09-06 2008-09-06 Bottle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259A KR20090025416A (ko) 2007-09-06 2007-09-06 용기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416A true KR20090025416A (ko) 2009-03-11

Family

ID=4042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259A KR20090025416A (ko) 2007-09-06 2007-09-06 용기마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25416A (ko)
WO (1) WO200903186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409A2 (ko) * 2009-10-16 2011-04-21 박정욱 내습성이 강한 첨가제 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KR102207097B1 (ko) * 2020-08-12 2021-01-25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디스펜서형 음료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L2008003761A1 (es) 2008-12-17 2010-01-04 The Tapa Company S A Sistema de cierre para envases del tipo botella que permite dispensar hacia el interior un aditivo mantenido aislado, formado por una cubierta alargada con su extremo cerrado, un actuador con una pieza deslizante conica con una perforacion vertical, un cuerpo con un compartimiento central con un faldon hilado, y un contenedor con el aditivo.
JP5634293B2 (ja) * 2011-02-14 2014-12-03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ITTO20120506A1 (it) * 2012-06-12 2013-12-13 Inge Spa Cappuccio per un flacone atto alla conservazione di sostanze da mantenersi separate fino alla loro applicazione.
AT14679U1 (de) * 2013-09-17 2016-04-15 Alexander Bienek Knick's - dosiertes Sirupgetränk
BG111825A (bg) * 2014-09-23 2016-03-31 "Биодринкс" Оод Двукомпонентна капачка за бутилки
CA2978581C (en) * 2015-03-04 2020-07-28 Specialty Lubricants Corp. Packaging closure adapter
ITUA20162141A1 (it) 2016-03-31 2017-10-01 Bormioli Pharma Spa Capsula di chiusur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2821A4 (en) * 2004-02-02 2008-03-19 Young-Kook Cho BOTTLE VERSCHLUSSKAPPE
KR100547266B1 (ko) * 2004-03-19 2006-01-31 주식회사 제이엠피 위조방지용 첨가제 첨가용 이중마개
KR100597217B1 (ko) * 2004-11-23 2006-07-06 조영국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JP3119434U (ja) * 2005-08-16 2006-03-02 有限会社 アザ 混合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409A2 (ko) * 2009-10-16 2011-04-21 박정욱 내습성이 강한 첨가제 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WO2011046409A3 (ko) * 2009-10-16 2011-11-17 박정욱 내습성이 강한 첨가제 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KR102207097B1 (ko) * 2020-08-12 2021-01-25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디스펜서형 음료 용기
WO2022034949A1 (ko) * 2020-08-12 2022-02-17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디스펜서형 음료 용기
US11365042B2 (en) 2020-08-12 2022-06-21 Ctk Cosmetics Co., Ltd. Beverage container of dispenser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1864A3 (en) 2009-05-14
WO2009031864A2 (en)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5416A (ko) 용기마개
KR100597217B1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KR100634354B1 (ko)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JP4970040B2 (ja) 二液等混合容器
JP4786356B2 (ja) 二剤混合容器
US9592940B2 (en) Ingredient release spout
JP2017193381A (ja) 異種物質収容装置
US7578386B2 (en) Cover assembly enable to mix interior material at opening
CN101203440A (zh) 带有一体的附件和内部吸管的柔性直立袋
JP5005201B2 (ja) 混合栓
JP2006506292A (ja) 液体容器の排出アセンブリ
JP2004244110A (ja) 異種物質を混合可能な容器の蓋および容器
US20070240999A1 (en) Bottle having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KR20110041584A (ko) 내습성이 강한 첨가제 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US8857665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condary internal dispensing chamber
JP4156302B2 (ja) 混合用キャップ
WO2005105612A1 (ja) プラスチック容器
ES2803755T3 (es) Tapa de cierre para un contenedor
KR20090052142A (ko)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WO2006027782A2 (en) Container
JP5745285B2 (ja) 蓋本体とカートリッジとの組み合わせ
KR20100079342A (ko) 고속하강회전 첨가방식의 용기마개
JP5745286B2 (ja) カートリッジ
AU2005203105A1 (en) Drinking container closure
KR100599931B1 (ko)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