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931B1 -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 Google Patents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931B1
KR100599931B1 KR1020040032108A KR20040032108A KR100599931B1 KR 100599931 B1 KR100599931 B1 KR 100599931B1 KR 1020040032108 A KR1020040032108 A KR 1020040032108A KR 20040032108 A KR20040032108 A KR 20040032108A KR 100599931 B1 KR100599931 B1 KR 10059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ealing film
additive
protrus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6990A (ko
Inventor
원영진
Original Assignee
(주)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렉콤 filed Critical (주)일렉콤
Priority to KR1020040032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93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6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용기의 목부를 막도록 결합하고 중앙에 첨가제 첨가내용물 수용 구멍이 있는 캡에 있어서, 용기(12)의 목부를 결합시키고 내용물 수용구멍(21)을 이루며 하단이 개방된 삽입관(22)을 상부로 연장하여 상부캡(30)을 나사 결합시키는 결합댐(25)을 가지는 하캡(20);
하캡(20)과 나사 결합하며 구멍(21)의 축 방향으로 하향 연장하는 돌출부(31)를 가지는 상캡(30); 및
상기 돌출부(31)와 구멍(21)사이의 공간에 첨가한 첨가제의 이탈을 방지하고 삽입관(22)의 하단 개방부 테두리(22-1)와 돌출부(31)의 하단을 초음파 실링하며, 상캡 분리시 절단되어 첨가제가 용기로 첨가되도록 하는 실링막(4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테두리(22-1)와 실링막(40)의 접촉 면적이 돌출부(31) 선단에서의 실링막(40)과의 접촉 면적보다 작도록 하여 상캡(30)의 이탈시 테두리(22-1) 부분의 실링막(40)이 먼저 분리되도록 구성한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이다.
이중캡, 위조방지, 첨가제첨가

Description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Double cap for adding addition in use}
도 1 은 일반적인 이중마개의 일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원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원발명의 상하캡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절결 저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용기 20;하캡 21;구멍 22;삽입관 22-1;테두리 23;분리띠 24;분리벽 25;결합댐 26;나사 26-1;돌턱 27;목홈 30;상캡 31;돌출부 32;실링댐 33;분리띠 34;분리벽 40;실링막
본 발명은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에 관한 것으로, 첨가제를 하캡의 구멍에 내장하되, 상캡의 하캡 축방향으로 돌출부를 두어 돌출부와 구멍을 이루는 삽입관 하단의 테두리부에 실링막을 두어, 상캡의 분리 및 마개열림시 실링막이 분리되면서 첨가제가 용기 내부로 첨가되도록 한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루약이나 첨가제 등을 수용하고 있다가 사용시 눌러 이를 용기의 안으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고, 이의 일 예로는 도 1 과 같은 분해사시도로 나타낼 수 있는바, 상부가 개방된 일반적인 용기에 내용물을 넣고, 용기의 목부는 하캡(1)으로 막으며, 하캡(1)의 상단(2)에서 중앙 아래로 연장한 삽입관(3)은 수용공(4)을 이루며, 삽입관(3)의 하단은 얇은 힌지벽(5)으로 막힌 밑바닥을 이룬다. 상기 하캡(1)의 수용공(4)에는 관체(6)가 끼워지는 상캡(8)을 결합시킨다. 관체(6)의 외주연에는 마찰링(7)을 형성한다.
이를 사용 시에는 도 2 와 같이 결합한 상태의 단면을 이루다가 상캡(8)을 눌러 도 3 과 같이 밑바닥(11)의 힌지벽(5)이 절단되어 관체(6)에 수용된 첨가제(9)가 용기(12)안으로 흘러 혼합액(10)을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첨가제(9)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이점은 있으나, 하캡(1)을 열고 내용물을 사용자가 사용할 때는 열기가 어려워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캡을 눌렀을 때와 누르기 전의 상태가 구별이 어려워 사용자는 이를 사용한 것인지 사용하기 전의 것인지를 정확히 구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첨가제 첨가가 누름 방식이 아닌 회전방식으로 첨가제 첨가가 가능토록 하는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캡에 위조방지 기능을 부여하여 상캡은 첨가제 첨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하캡은 용기내용물의 사용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발명은 하캡에는 위조 방지기능과 첨가제 수용 구멍을 형성하며, 구멍의 상부는 상캡 결합용 결합댐을 이루고, 상캡에는 또한 위조방지 기능의 분리띠와 구멍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두고, 구멍을 이루는 분리벽의 하단과 상캡의 돌출부는 첨가제를 실링하는 실링막을 접착시켜, 사용시 상캡을 돌리면 하캡과 상하 이격될 때 실링막이 찢어져 용기 내부로 첨가제가 첨가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원 발명의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원발명의 상하캡 결합상태의 일부절결 저면도, 도 6 은 본원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로,
용기(12)의 목부를 결합시키고 내용물 수용구멍(21)을 이루며 하단이 개방된 삽입관(22)을 상부로 연장하여 상부캡(30)을 나사 결합시키는 결합댐(25)을 가지는 하캡(20);
하캡(20)과 나사 결합하며 구멍(21)의 축 방향으로 하향 연장하는 돌출부(31)를 가지는 상캡(30); 및
상기 돌출부(31)와 구멍(21)사이의 공간에 첨가한 첨가제의 이탈을 방지하고 삽입관(22)의 하단 개방부 테두리(22-1)와 돌출부(31)의 하단을 초음파 실링하며, 상캡 분리시 절단되어 첨가제가 용기로 첨가되도록 하는 실링막(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테두리(22-1)와 실링막(40)의 접촉 면적이 돌출부(31) 선단에서의 실링막(40)과의 접촉 면적보다 작도록 하여 상캡(30)의 이탈시 테두리(22-1) 부분의 실링막(40)이 먼저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하캡(20)의 테두리 하단은 분리 가능한 분리벽(24)으로 지지되는 분리띠(23)를 설치하여 위조 방지 기능을 수행토록 구성한다.
상캡(30)에는 하캡(20)의 상면과 결합댐(25)의 계면부에 분리벽(34)으로 지지되는 분리띠(33)를 형성한다. 물론 분리띠(33)의 내면에는 링턱(35)을, 링턱(35) 대응 부위의 결합댐(25)에는 돌턱(26-1)을 형성하여 초기 캐핑시 후크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또한 결합댐(25)의 외주는 나사(26)를 이루어 상캡(30)과 나사 결합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캡(30)의 상부 내면에는 실링댐(32)을 하향 돌출시켜 결합댐(25)의 내면을 실링토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 발명은 상캡(30)과 하캡(20)을 먼저 상호 캐핑시킨다. 이는 상캡(30)의 내면에 나사와 링턱(35)이, 대응하는 하캡(20)의 외주에는 나 사(26)와 돌턱(26-1)이 있어 상호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이어 상캡(30)이 아래로 가도록 한 상태에서, 돌출부(31)의 둘레와 하캡(20)의 삽입관(22)을 이루는 구멍(21)에는 첨가제를 수용토록 한다. 그리고 삽입관(22)의 테두리부(22-1)와 돌출부(31)의 선단을 실링막(40)으로 실링한다.
그리고 실링한 상하캡을 도 4 와 같이 함께 내용물을 채운 용기(12)의 목부에 하캡(20)의 목홈(27)이 안치되도록 캐핑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캡(30)의 분리띠(33)를 당겨 분리벽(34)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캡(30)을 푸는 방향으로 돌리면 도 4 상태의 상캡(30)에서 실링막(40)을 위로 당기는 효과를 제공하여 접촉 면적이 작은 테두리(22-1) 부분의 실링막(40)이 도 6 과 같이 분리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용기(12)의 내용물을 흔들어 섞은 다음 하캡(20)의 분리띠(23)를 당겨 분리벽(24)이 분리되도록 한다. 이어 하캡(20)을 역시 돌려 목부에서 이탈토록 한 다음 용기(12)의 목부를 입에 대고 내용물을 마시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상캡과 하캡에 위조방지 기능의 분리띠를 두어 첨가제를 첨가하였는지는 상캡의 분리로 알 수 있도록 하고, 내용물의 사용 여부는 하캡의 분리띠를 분리하였는지로 알 수 있도록 하여, 첨가제와 내용물의 사용 여부를 각각 구분하여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캡을 열었을 때만 실링막이 구멍의 하단을 막고 있다가 분리되는 방식이므로, 보관이나 캐핑시의 첨가제 보관이 용이하고, 이동시의 터짐 등의 우려가 없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원발명은 첨가제 첨가가 상캡을 누름 방식이 아닌 회전방식으로 첨가제 첨가를 가능토록 하므로, 불의의 누름으로 인한 원치 않는 첨가제의 첨가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삭제
  2. 음료용기의 목부를 막도록 결합하고 중앙에 첨가제 첨가내용물 수용 구멍이 있는 캡에 있어서,
    용기(12)의 목부를 결합시키고 내용물 수용구멍(21)을 이루며 하단이 개방된 삽입관(22)을 상부로 연장하여 상부캡(30)을 나사 결합시키는 결합댐(25)을 가지는 하캡(20);
    하캡(20)과 나사 결합하며 구멍(21)의 축 방향으로 하향 연장하는 돌출부(31)를 가지는 상캡(30); 및
    상기 돌출부(31)와 구멍(21)사이의 공간에 첨가한 첨가제의 이탈을 방지하고 삽입관(22)의 하단 개방부 테두리(22-1)와 돌출부(31)의 하단을 초음파 실링하며, 상캡 분리시 절단되어 첨가제가 용기로 첨가되도록 하는 실링막(4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테두리(22-1)와 실링막(40)의 접촉 면적이 돌출부(31) 선단에서의 실링막(40)과의 접촉 면적보다 작도록 하여 상캡(30)의 이탈시 테두리(22-1) 부분의 실링막(40)이 먼저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KR1020040032108A 2004-05-07 2004-05-07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KR10059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108A KR100599931B1 (ko) 2004-05-07 2004-05-07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108A KR100599931B1 (ko) 2004-05-07 2004-05-07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990A KR20050106990A (ko) 2005-11-11
KR100599931B1 true KR100599931B1 (ko) 2006-07-19

Family

ID=3728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108A KR100599931B1 (ko) 2004-05-07 2004-05-07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K1117990A2 (en) 2007-10-25 2009-01-23 Sunrider Corp Safety sealed reservoir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990A (ko) 200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354B1 (ko)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KR100597217B1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KR101344482B1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MX2007016368A (es) Bolsa parada flexible con montaje integral y popote interno.
JP4467689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2140623B1 (ko) 첨가제를 수용하는 용기마개
TWI669250B (zh) 附防止開封功能的容器及防止開封構件
JP2010052810A (ja) 容器中栓、容器蓋と蓋付き容器の製造方法
JP2018154373A (ja) キャップの封止構造
JP2007176555A (ja) 飲料用容器
KR100599931B1 (ko)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JP4276726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JP2008056272A (ja) ヒンジキャップ
JP6157261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7446057B2 (ja) 打栓キャップ
KR20050103807A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WO2018168281A1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KR100547266B1 (ko) 위조방지용 첨가제 첨가용 이중마개
JP5269360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19116318A (ja) キャップ
JP2001122314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74542Y1 (ko) 첨가제 첨가용 위생 이중캡
KR100594588B1 (ko) 위조방지용 첨가제 첨가용 이중마개
KR101133425B1 (ko) 이동부재의 인출부에 의해 패킹용 고정부재를 발탈시키는뚜껑
JP6449705B2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