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142A -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 Google Patents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142A
KR20090052142A KR1020070118705A KR20070118705A KR20090052142A KR 20090052142 A KR20090052142 A KR 20090052142A KR 1020070118705 A KR1020070118705 A KR 1020070118705A KR 20070118705 A KR20070118705 A KR 20070118705A KR 20090052142 A KR20090052142 A KR 20090052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ap
cylindrical body
pressing memb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673B1 (ko
Inventor
김두연
Original Assignee
김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연 filed Critical 김두연
Priority to KR1020070118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6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7Packages for several ingredients

Abstract

본 발명의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은 캡에 결합된 누름부재의 원통형몸체와 결합부가 연결편으로 연결되어 있고, 캡의 하부에 절개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캡에 수용된 분말용기가 누름부재의 누름 작동시에 누름부재의 원통형 몸체가 결합부로 부터 분리되어 분말용기를 가압하게 하여 분말용기의 필름커버가 파열되게 함으로써 분말용기 내에 곡물가루, 녹차가루, 커피가루 등으로부터 선택된 한 분말이 담기게 하여서 사용자가 간편히 휴대하고 병에 담긴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 누름부재를 눌러서 분말을 용기 내의 생수와 간단히 혼합되게 함으로써 보관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병, 캡, 분말, 절개침, 용기, 누름, 연결편

Description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PORTABLE DRINKING WATER BOTTLE WITH A POWDER CAP}
본 발명은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에 담긴 생수 등의 액체와 혼합하여 마실 수 있도록 병의 상부 목에 결합되는 캡(cap)에 분말 또는 별도의 액체를 분리 보관되게 하여 소비자가 마시고자 할 때 캡에 담긴 분말을 터트려서 생수 등과 혼합하여 마실 수 있게 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이 있는 데, 분말을 수용하기 위해 마개에 분말수용부를 형성하고, 이 분말수용부에 담긴 분말은 파열성 포장막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파열성 포장막으로 밀폐된 부분을 파열시켜 분말이 용기 내로 방출되도록 용기내에 별도로 파열성 포장막 절개침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은 분말수용부에 담긴 분말수용부가 상광하협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절개침에 의해 파열성 포장막이 파열됐을 때 배출구가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분말수용부의 배출구 부분에 분말의 막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캡의 상부에는 분말수용구와 연통된 공기마개를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캡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말수용부의 파열성 포장막을 파열시키는 절개침이 분말수용부의 좁은 배출구를 막는 현상이 발생되어 마개를 다시 조금 풀어주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초래됐다.
아울러 절개침을 용기 내의 목(neck)부분에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생수와 별도의 분말을 캡(cap)에 보관하여 소비자가 음용하고자 할 때 별도로 보관된 분말 또는 액체를 생수와 간단히 혼합하여 먹을 수 있게 한 음료수 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핵가족화 되고, 바쁜 직장 생활로 인해 아침식사를 하지 못함에 따라서 슈퍼, 편의점, 할인매장 등에서 구입하여 출근하면서 음료 또는 아침식사를 대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병의 목 부분에 곡물가루, 녹차가루, 커피가루 등으로부터 선택된 한 분말이 담긴 분말용기를 내장하도록 병의 목 부분에 결합되는 캡 내에 분말용기를 안착시키고 사용시 캡을 눌러 분말용기의 밀봉커버를 파열되게 한 음료수 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병의 목부분에 결합되어 병을 밀봉하는 캡에 분말용기를 수용하되 분말용기의 밀봉커버를 파열시키는 절개침과 분말용기를 절개침으로 누르는 가압부 재를 포함하는 캡을 음료수 병에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생수와 별도의 분말을 캡(cap)에 보관하여 소비자가 음용하고자 할 때 별도로 보관된 분말 또는 액체를 생수와 간단히 혼합하여 먹을 수 있도록 캡의 하부에 절개침을 형성하고, 절개침에 인접한 내주면에 분말용기가 수용되어 안착되도록 환턱을 형성하고, 이 환턱에 안치된 분말용기를 가압하도록 가압부재가 연결편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물론 캡은 병의 목부분에 나사결합되도록 캡의 몸체 외측으로 나사부(암나사)가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병에는 생수가 담기고 분말용기에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분말, 예컨대 곡물가루, 녹차가루, 커피가루 등이 선택적으로 담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수와 분말용기를 병 내에 별도로 보관하여 사용시 분말용기를 터트려서 생수에 분말을 간단히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관기간이 길어지고 휴대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 면도이고, 도 5는 누름부재가 눌려져서 분말용기의 밀봉커버가 파열되어 분말이 음료수 병 내로 떨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누름부재가 원통형몸체 내로 완전히 눌려져서 밀봉커버가 완전히 파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분말이 음료수 병 내로 떨어진 분말을 혼합한 후 캡을 병에서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캡의 하부에 형성된 절개침을 보여주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누름부재의 결합부와 원통형몸체 사이의 틈새 및 연결편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물, 음료수 등의 내용물이 담기고 목(neck)(1)부분에 수나사(2)가 형성된 용기 본체(B)에 결합되는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에 있어서,
용기 본체(B)의 목부분에 형성된 수나사(2)에 나사결합되도록 캡몸체(14) 내측에 암나사(15)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15)의 내측에 이격된 원통형몸체(13) 하부 중앙에 절개침(11)이 일체로 구비되고, 이 절개침(11)에 인접한 원통형몸체(13) 내면에 분말용기(20)가 안치되도록 환턱(12)이 돌출 형성된 캡(10)과,
원통형몸체(13) 내의 환턱(12)에 거꾸로 걸침고정되게 입구부에 플랜지(21)가 형성되고 저면이 밀폐된 분말용기(20)와,
캡(10)의 원통형몸체(13)에 걸쳐진 분말용기(20)를 가압하도록 캡(10) 상부에 결합되게 결합부재(32)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재(32) 내측에 이격되며 분말용기(20)의 플랜지(21) 배면을 누르도록 상부가 밀폐된 원통형몸체(31)를 갖는 원통형 누름부재(30)와,
원통형 누름부재(30)가 부주의하게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원통형 누름부 재(30)를 수용하며 용기본체(B)의 목(1)부분에 결합되는 뚜껑(3)으로 구성된다.
캡(10)은 용기본체(B)의 목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한편 하부에 절개침(11)이 지지되게 하고 상부 내측으로 분말용기(20)가 안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캡(10)의 내면에는 분말용기(20)가 안치되도록 돌출 링형태의 환턱(13)이 형성된다.
또한 용기본체(B)와 캡몸체(13) 내측에는 용기본체(B)의 수나사(2)에 대응하여 암나사(15)가 형성되고, 캡몸체(13)와 내측에 위치하며 절개침(11)을 갖춘 원통형몸체(13)는 어깨부(17)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아울러 원통형몸체(13) 상부 외면에는 누름부재(30)를 가고정시키도록 누름부재(30)의 결합부(32) 내면에 형성된 요홈(33)에 결합되도록 환형돌기(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부재(30)의 원통형몸체(31)와 결합부재(32)는 틈새(35)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다수의 연결편(34)가 누름부재(30)의 원통형몸체(31)와 결합부재(32)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도 9 참조). 따라서 누름부재(3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누르면 연결편(34)이 파괴되어 원통형몸체(31)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결합부재(32)는 캡(10)과 결합된 상태이므로 이동되지 않는다.
캡(10)의 원통형몸체(13) 하부 저면 위에 위치하는 절개침(11)은 지지다리(19)에 의해 소정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원통형몸체(13)에 연결되며, 지지다리(19) 사이는 분말이 통과되는 공간부(11)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은
하부에 절개침(11)이 형성된 캡(10)의 원통형몸체(13)에 분말용기(20)를 거꾸로하여 집어넣으면 분말용기(20)가 원통형몸체(13) 내면의 환턱(13)에 지지되어 안치된다.
이후, 캡(10)의 원통형몸체(13)내에 접착제(S)를 도포하고 누름부재(30)를 원통형몸체(13)내로 삽입하면 누름부재(30)의 원통형몸체(31)와 캡(10)의 원통형몸체(13)가 접착되어 기밀구조가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누름부재(30)의 요홈(33)이 캡(10)의 원통형몸체(13) 상부 외주연에 돌출형성된 환형돌기(16)에 끼움결합되어 누름부재(30)가 캡(10)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누름부재(30)의 연결편(34)이 파단되어 누름부재(30)가 분말용기(20)의 플랜지(21) 부분을 가압하여도 누름부재(30)의 결합부(32)는 캡(1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그 다음 캡(10)을 내부에 생수가 담긴 병(B)의 목부에 나사결합시킨 후 병을 적재하거나 캡(10)의 누름부재(30)가 외부의 부주의한 외력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캡(10)을 보호하기 위해 뚜껑(3)으로 캡(10)을 커버 한다. 이후 뚜껑(3)은 밀봉탭(4)으로 병에 완전히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발명의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의 분말용기(20)에 담긴 분말을 생수와 섞어서 음용하고자 할 때, 먼저 밀봉 탭(4)을 잡아당겨 제거한 후 뚜껑(3)을 병(B)으로부터 제거한다.
그 다음 누름부재(30)를 누르면 누름부재(30)의 원통형몸체(34)와 결합부재(32) 사이를 연결하는 틈새(35) 사이의 연결편(34)이 파손되어 누름부재(30)의 원통형몸체(34)가 아래로 이동되고 누름부재(30)의 원통형몸체(31)와 캡(10)의 원통형몸체(13) 사이에 접착제(S)가 도포되어 접착 고정된 부분이 해제되어 누름부재(30)의 원통형 몸체(34)가 분말용기(20)의 플랜지(21) 배면을 강제로 누르게 된다.
분말용기(20)가 누름부재(30)에 의해 가압 됨에 따라서 분말용기(20)의 플랜지(21)는 캡(10)의 환턱(12)을 타고 넘어가고 결국에는 절개침(11)에 의해 분말용기(20)의 밀봉커버(23)가 파열되어 분말용기(20)의 입구부가 개방된다.
밀봉 커버(23)는 파열시 쭉 찢어지는 성질의 필름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절개침(11)으로 가압되는 밀봉커버(23)는 용이하게 전체적으로 찢어진다.
이와 같이 절개침(11)에 의해 파열되어서 분말용기(20)의 입구부가 개방됨으로써 분말 용기(20) 내의 분말(22)은 절개침(11) 측면의 공간부(18)를 통해서 병(B) 속으로 용이하게 떨어지게 된다. 절개침(11) 사이의 공간부(18)는 절개침(11)에 인접한 부분이 외측 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개침(11)에 크게 방해받지 않고 아래로 잘 낙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분말(22)이 생수(W)로 떨어진 병(B)을 5 ~ 10초 동안 흔들어서 분말(22)이 생수(W)에 잘 섞이도록 한 후 캡(10)을 개방하여 간단히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거되는 캡(10)에는 절개침(11), 분말용기(20), 누름부재(30)가 함께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의 분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누름부재가 눌려져서 분말용기의 밀봉커버가 파열되어 분말이 음료수 병 내로 떨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누름부재가 원통형몸체 내로 완전히 눌려져서 밀봉커버가 완전히 파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분말이 음료수 병 내로 떨어진 분말을 혼합한 후 캡을 병에서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캡의 하부에 형성된 절개침을 보여주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누름부재의 결합부와 원통형몸체 사이의 틈새 및 연결편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병의) 목부 2: 수나사
3: 뚜껑 4: (뚜껑)밀봉탭
10: 캡 11: 절개침
12: 환턱 13: 원통형몸체
14: 캡몸체 15: 암나사
16: 환형돌기 17: 어깨부
18: 공간부 19: 지지다리
20: 분말용기 21: 플랜지
22: 분말 23: 밀봉커버
30: 누름부재 31: 원통형몸체
32: 결합부 33: 요홈
34: 연결편 35: 틈새
B: 병 S: 접착제
W: 생수

Claims (7)

  1. 물, 음료수 등의 내용물이 담기고 목(neck)(1)부분에 수나사(2)가 형성된 용기 본체(B)에 결합되는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에 있어서,
    용기 본체(B)의 목부분에 형성된 수나사(2)에 나사결합되도록 캡몸체(14) 내측에 암나사(15)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15)의 내측에 이격된 원통형몸체(13) 하부 중앙에 절개침(11)이 일체로 구비되고, 이 절개침(11)에 인접한 원통형몸체(13) 내면에 분말용기(20)가 안치되도록 환턱(12)이 돌출 형성된 캡(10)과,
    원통형몸체(13) 내의 환턱(12)에 거꾸로 걸침고정되게 입구부에 플랜지(21)가 형성되고 저면이 밀폐된 분말용기(20)와,
    캡(10)의 원통형몸체(13)에 걸쳐진 분말용기(20)를 가압하도록 캡(10) 상부에 결합되게 결합부재(32)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재(32) 내측에 이격되며 분말용기(20)의 플랜지(21) 배면을 누르도록 상부가 밀폐된 원통형몸체(31)를 갖는 원통형 누름부재(30)와,
    원통형 누름부재(30)가 부주의하게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원통형 누름부재(30)를 수용하며 용기본체(B)의 목(1)부분에 결합되는 뚜껑(3)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누름부재(30)의 원통형몸체(31)와 결합부재(32)는 틈새(35)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다수의 연결편(34)이 누름부재(30)의 원통형몸체(31)와 결합부재(32)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3. 청구항 2에 있어서,
    누름부재(3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렀을 때 연결편(34)이 파괴되어 누름부재(20)의 원통형몸체(31)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캡(10)의 원통형몸체(13)와 누름부재(30)의 원통형몸체(31)는 접착제에 의해 밀봉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5. 청구항 1에 있어서,
    뚜껑(3)은 용기본체(B)의 목(1)부분에 밀봉탭(4)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절개침(11)은 캡(10)의 원통형몸체(13) 하부 저면 위에 위치하도록 지지다리(19)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지지다리(19) 사이는 분말이 통과되는 공간부(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지지다리(19)는 절개침(11)의 방사상 외측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KR1020070118705A 2007-11-20 2007-11-20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KR10094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705A KR100947673B1 (ko) 2007-11-20 2007-11-20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705A KR100947673B1 (ko) 2007-11-20 2007-11-20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142A true KR20090052142A (ko) 2009-05-25
KR100947673B1 KR100947673B1 (ko) 2010-03-15

Family

ID=4086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705A KR100947673B1 (ko) 2007-11-20 2007-11-20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6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3650A1 (en) 2011-12-19 2013-06-27 Isoline Eu, S.R.O. Dispensing closure
CN103391887A (zh) * 2011-03-08 2013-11-13 Csp技术公司 用于剂量产品的帽和容器组件
KR20220002920U (ko) * 2021-06-04 2022-12-13 강경화 화학약품 일체형 모발용 미용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223B1 (ko) 2018-08-17 2019-05-07 신선영 즉석 음료 생성용 캡슐기구
KR102595748B1 (ko) * 2022-03-04 2023-10-31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458B1 (ko) * 2004-12-20 2007-04-10 조영국 용기마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1887A (zh) * 2011-03-08 2013-11-13 Csp技术公司 用于剂量产品的帽和容器组件
WO2013093650A1 (en) 2011-12-19 2013-06-27 Isoline Eu, S.R.O. Dispensing closure
US9522770B2 (en) 2011-12-19 2016-12-20 Isoline Eu, S.R.O. Dispensing closure
KR20220002920U (ko) * 2021-06-04 2022-12-13 강경화 화학약품 일체형 모발용 미용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673B1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471B1 (en) Dispensing capsule for a liquid container
KR101211620B1 (ko) 액체 컨테이너용 투입 캡슐
US8297456B1 (en) Drinkable storage and dispensing ingredient cap for a liquid container
US6886686B2 (en) Dispensing capsule for a liquid container
US7219796B2 (en) Dispensing capsule for a liquid container
US7721880B2 (en) Mixing dispenser
KR100947673B1 (ko)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KR20150075818A (ko)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20090110695A (ko) 혼합원료 캡슐이 구비된 음료용기
CA2629089A1 (en) Container system for successively producing multiple servings of reconstituted liquid product
US20130119087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condary internal dispensing chamber
KR20090005510U (ko) 광구용 분말캡
TW200540077A (en) Plastic container
US20200385192A1 (en) Recyclable interference-fit beverage-ingredient cartridge
KR20090055374A (ko)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EP1838598A2 (en) Container
KR200479110Y1 (ko) 혼합용 뚜껑조립체
KR20090006694U (ko) 누름부재를 갖는 분말캡
KR20100001312U (ko) 분말용기가 결합 된 캡을 갖춘 음료용기
CZ63198A3 (cs) Obalové a zadržovací zařízení pro oddělené přechovávání šumivých tablet a šumivých prášků či granulí a jejich rozpouštěcích materiálů
KR101962112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20090041267A (ko)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KR20090009469U (ko) 분말캡을 구비한 광구용 음료수 병
KR101056403B1 (ko) 이종물질 혼합용 캡
KR100487057B1 (ko) 2종류의 물질을 분리저장하는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