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748B1 -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748B1
KR102595748B1 KR1020220028174A KR20220028174A KR102595748B1 KR 102595748 B1 KR102595748 B1 KR 102595748B1 KR 1020220028174 A KR1020220028174 A KR 1020220028174A KR 20220028174 A KR20220028174 A KR 20220028174A KR 102595748 B1 KR102595748 B1 KR 102595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capsule
solvent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0941A (ko
Inventor
채찬구
박종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Priority to KR102022002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748B1/ko
Publication of KR2023013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93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storing soluble solid substances and suitable for application after adding a liquid solvent, e.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기능성 화장료가 충진된 캡슐을 용기 내부의 액상의 용제와 분리 보관하고, 사용시 기능성 화장료를 용제에 혼합시킨 화장수를 사용하기 위한,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는
액상의 용제가 수용되고, 내부에 봉인해제구가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기능성 화장료가 충진된 캡슐을 밀봉상태로 수용하기 위해 바닥면에 밀봉용 씰링지가 형성되는 승강체;
상기 용기 개구부를 폐쇄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캡;
상기 제1캡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승강체 상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캡의 외측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캡;을 구비하되,
상기 제1캡을 가압시 하강되는 상기 승강체의 씰링지가 상기 봉인해제구에 의해 절취될 경우 상기 승강체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캡슐이 용기의 용제에 용융되어 기능성 화장료와 용제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cosmetic bottle}
본 명세서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능성 화장료가 충진된 캡슐을 용기 내부의 액상의 용제와 분리 보관하고, 사용시 기능성 화장료를 용제에 혼합시킨 화장수를 사용하기 위한,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성 원료는 일반적으로 미백, 주름제거, 각질박리, 자외선 차단에 효과를 갖는 원료들이라 할 수 있다. 미백제로는 알부틴, 코직산, 비타민-C와 그 유도체들을 들 수 있고, 주름 제거제로는 비타민-A와 그 유도체 및 아하와 아하 유도체들을 들 수 있다(光井武夫,新化粧品學,南山堂,19 93).
특히, 비타민 C는 수분, 빛, 산소 등에 매우 불안정하여 대기 중에 노출되거나 수용액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변색, 변취가 일어나 안정성 및 안전성의 문제가 발생되고 역가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레티노이드 화합물들은 다른 화장료용 활성성분들에 비하여 공기 중의 산소뿐만 아니라 화장료 기제 중의 수분에 의하여 쉽게 산화되어 활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실제 레티놀을 함유한 제품의 경우에도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레티놀 역가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미백제와 주름개선제들은 다른 화장료용 활성성분들에 비하여 공기 중의 산소뿐만 아니라 화장료 기제 중의 수분에 의하여 쉽게 산화되어 활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성 화장료의 활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화장품 제조에 있어서 중요한 해결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종래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티놀의 물질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분을 함유한 화장료 기제로부터 레티놀을 격리(isolation)시키는 갖종 캡슐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기능성 화장료를 장기 보관에 따른 기능성 원료의 변질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7-0138911호(2017.12.18)에 장기보관이 가능한 간편 캡슐형 화장품이 출원공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캡슐에 충진된 고체의 기능성 화장료의 성분 활성이 변질없이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용기 내부에 보관하고, 캡슐을 용기에 수용된 액상의 용제에 투입시 용융되는 기능성 화장료를 용제와 혼합시킨 화장수를 사용함에 따라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피부에 침투되어 기능성 화장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의 용제가 수용되고, 내부에 봉인해제구가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기능성 화장료가 충진된 캡슐을 밀봉상태로 수용하기 위해 바닥면에 밀봉용 씰링지가 형성되는 승강체;
상기 용기 개구부를 폐쇄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캡;
상기 제1캡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승강체 상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캡의 외측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캡;을 구비하되,
상기 제1캡을 가압시 하강되는 상기 승강체의 씰링지가 상기 봉인해제구에 의해 절취될 경우 상기 승강체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캡슐이 용기의 용제에 용융되어 기능성 화장료와 용제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캡슐에 충진된 고체의 기능성 화장료의 성분이 변질 없이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용기 내부에 보관하고, 캡슐을 용기에 수용된 액상의 용제에 투입시 용융되는 기능성 화장료를 용제와 혼합시킨 기능성 화장수를 피부 등에 도포시켜 사용함에 따라, 시간 또는 장소에 구애받지않고 기능성 화장수를 사용자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매우 간편하게 수행되고, 캡슐 형태의 기능성 화장료가 용기 내부에 장기간동안 신선하고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제1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제2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는
액상의 용제(일 예로서, 에센스, 유화제, 에몰리언트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피부보호제, 보존제, 산화방지제, pH조절제, 착향제 등을 말하고, 이들중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가 수용되고, 내부에 봉인해제구(10)가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용기(20);
용기(20)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고체 등의 기능성 화장료(일 예로서, 비타민 A, 비타민 C, 펩타이드, 콜라겐 등을 말하고, 이들중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가 충진된 캡슐(30)(캡슐에 의해 내부 기능성 화장료가 외부 환경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산폐, 생화학적 오염, 변성, 부패 등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밀봉상태로 수용하기 위해 바닥면에 밀봉용 씰링지(40)(일 예로서, PET 시이트를 말함)가 형성되는 승강체(50);
용기(20) 개구부를 폐쇄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캡(60);
제1캡(60)으로부터 돌출되는 승강체(50) 상부를 수용하고, 제1캡(60)의 외측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캡(70);을 구비하되,
사용자에 의해 제1캡(60)을 수직방향으로 가압시 하강되는 승강체(50)의 씰링지(40)가 봉인해제구(10)에 의해 절취될 경우 승강체(50)로부터 이탈되는 캡슐(30)이 용기(20)의 용제에 용융되어 기능성 화장료와 용제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용기(20) 내부의 승강체(50) 외측면에 형성되어 용기(20) 내측면에 밀착되고, 화장품 용기(A)를 가방 등에 휴대하여 이동할 경우, 외력에 의해 제2캡(70)이 가압됨에 따라 승강체(50)가 사용자 의사에 반하여 임의적으로 하강되어 씰링지(40)가 봉인해제구(10)에 의해 절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 형태의 하강방지구(8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승강체(50)는
캡슐(30)이 수용되어 이동되는 이동통로(90)가 내부에 형성되고, 이동통로(90)의 배출구를 차단하기 위해 씰링지(40)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바디(100);
제1바디(100) 상단에 형성되고, 화장품 용기(A)를 가방 등에 휴대하여 이동할 경우, 외력에 의해 제2캡(70)이 가압됨에 따라 승강체(50)가 사용자 의사에 반하여 임의적으로 하강될 경우, 봉인해제구(10)에 의해 씰링지(40)가 절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캡(60)의 상면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110)이 외주연 상부에 형성되는 제2바디(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캡(60)이 결합되는 용기(20)의 외측면 상부에 형성되고, 제1캡(60)과 용기(20)의 상호 접촉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용기(20)로부터 제1캡(60)이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링 형태로 적층형성되는 분리방지구(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봉인해제구(10)는
씰링지(40)에 상단이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이격되게 형성되고, 씰링지(40)와 봉인해제구(10) 선단의 접촉시 씰링지(40)를 용이하게 절취시킬 수 있도록 원뿔, 다각형 뿔, 또는 상단이 뾰쪽한 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용기(20)는 수용되는 용제에 캡슐(30)이 용융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캡슐(30)에 충진된 기능성 화장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통로(90)에 캡슐(30)이 수용된 승강체(50)의 제1바디(100) 바닥면이 봉인해제구(10) 상단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화장품 용기(A)를 사용자의 가방 등에 휴대하여 이동할 경우, 충격 등으로 인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사용자 의사에 반하여 제2캡(70)이 제1캡(60) 외주연을 따라 하강되어 승강체(50)의 제2바디(1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체(50)에 임의강도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않을 경우에는 제1캡(60) 외측면에 형성되고 용기(20) 내측면에 밀착되는 링 형태의 하강방지구(80)에 의해 승강체(50)를 지지함에 따라 캡슐(30)이 수용된 제1바디(100)의 바닥면이 봉인해제구(10)의 상단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캡(70)이 임의량만큼 하강시 연동되어 하강되는 제2바디(120)의 걸림턱(110)과 제1캡(60) 상면 사이의 거리(h1)가, 제1바디(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씰링지(40)와 봉인해제구(10) 상단 사이의 거리(h2)보다 클 경우에는 제2캡(7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제1바디(100) 바닥면에 형성된 씰링지(40)는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바디(100)의 이동통로(90)의 배출구가 씰링지(40)에 의해 밀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캡슐(30)을 승강체(50)의 이동통로(90)에 밀봉상태로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장품 용기(A)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2캡(70)의 상면을 수직방향으로 임의강도 이상으로 가압할 경우, 하강되는 제2캡(70)의 내부 바닥면이 승강체(50)의 제2바디(120)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전술한 제2캡(70) 가압으로 제2바디(120)가 하강될 경우, 제2바디(120)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제1바디(100)가 하강되므로 제1바디(100) 바닥면에 봉인되어 이동통로(90)를 폐쇄시키도록 형성된 씰링지(40)가 용기(20) 내부에 돌출형성된 봉인해제구(10)에 의해 절취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제2캡(70)을 가압하는 외력이 제1바디(100) 외측면에 형성되어 용기(20) 내측면에 접촉되는 하강방지구(80)의 마찰력보다 크게 되므로 승강체(50)를 하강시켜 용기(20)의 봉인해제구(10)에 의해 씰링지(40)를 찧게 된다.
따라서, 제1바디(100)의 이동통로(90)에 수용된 캡슐(30)이 이동통로(90)에서 낙하되어 용기(20)에 수용된다.
이로 인해, 용기(20)에 수용된 액상의 용제(일 예로서, 에센스 등을 말함)에 의해 캡슐(30)이 용융되므로 캡슐(30)에 충진된 기능성 화장료가 용제와 혼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20)로부터 제1,2캡(60,70)을 분리시킨 후, 캡슐(30)의 기능성 화장료가 용융되어 혼합된 기능성 화장료를 용기(20)로부터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기능성 화장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용기(20) 내부에 밀봉상태로 수용된 캡슐(30)에 충진된 고체의 기능성 화장료와 용기(20)에 수용된 액상의 용제를 각각 분리 및 보관하고, 기능성 화장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캡슐(30)의 고체의 기능성 화장료를 용기(20)의 액상의 용제와 혼합시킨 기능성 화장수를 피부 등에 도포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캡슐(30)에 충진되는 고체의 기능성 화장료와, 용기(20)에 수용되어 캡슐(30)의 기능성 화장료와 혼합되는 액상의 용제(일 예로서, 에센스 등을 말함)를 포함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성분, 효능 및 사용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봉인해제구
20; 용기
30; 캡슐
40; 씰링지
50; 승강체
60; 제1캡
70; 제2캡
80; 하강방지구
90; 이동통로
100; 제1바디
110; 걸림턱
120; 제2바디
130; 분리방지구

Claims (6)

  1. 액상의 용제가 수용되고, 내부에 봉인해제구가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기능성 화장료가 충진된 캡슐을 밀봉상태로 수용하기 위해 바닥면에 밀봉용 씰링지가 형성되는 승강체;
    상기 용기 개구부를 폐쇄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캡;
    상기 제1캡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승강체 상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캡의 외측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캡;을 구비하되,
    상기 제1캡을 가압시 하강되는 상기 승강체의 씰링지가 상기 봉인해제구에 의해 절취될 경우 상기 승강체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캡슐이 상기 용기의 용제에 용융되어 기능성 화장료와 용제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의 상기 승강체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승강체가 임의적으로 하강되어 상기 씰링지가 상기 봉인해제구에 의해 절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 형태의 하강방지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는
    상기 캡슐이 수용되어 이동되는 이동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로의 배출구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씰링지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체가 임의적으로 하강될 경우 상기 봉인해제구에 의해 상기 씰링지가 절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캡의 상면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이 외주연 상부에 형성되는 제2바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이 결합되는 상기 용기의 외측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캡과 용기의 상호 접촉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제1캡이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링 형태로 적층 형성되는 분리방지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해제구는
    상기 씰링지에 상단이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씰링지와 봉인해제구 선단의 접촉시 씰링지를 용이하게 절취시킬 수 있도록 원뿔, 다각형 뿔, 또는 상단이 뾰쪽한 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수용되는 용제에 상기 캡슐이 용융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1020220028174A 2022-03-04 2022-03-04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102595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74A KR102595748B1 (ko) 2022-03-04 2022-03-04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74A KR102595748B1 (ko) 2022-03-04 2022-03-04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941A KR20230130941A (ko) 2023-09-12
KR102595748B1 true KR102595748B1 (ko) 2023-10-31

Family

ID=8802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174A KR102595748B1 (ko) 2022-03-04 2022-03-04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7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283A (ja) 2004-11-08 2006-05-25 Nicchu Saisei Shigen Kk 容器の蓋体構造
KR100947673B1 (ko) 2007-11-20 2010-03-15 김두연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265A (ko) * 2007-10-23 2009-04-28 김홍열 고형 및 액상물질을 분리 수용하는 용기
KR20200099228A (ko) * 2019-02-13 2020-08-24 성이바이오(주) 이종물질 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283A (ja) 2004-11-08 2006-05-25 Nicchu Saisei Shigen Kk 容器の蓋体構造
KR100947673B1 (ko) 2007-11-20 2010-03-15 김두연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941A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8996A (en) Package for keeping products separate before use
US9919860B2 (en) Cap device and methods
MXPA99007992A (en) A package for keeping products separate before use
US3439823A (en) Container stopper comprising a hollow capsule
US8297456B1 (en) Drinkable storage and dispensing ingredient cap for a liquid container
US7219796B2 (en) Dispensing capsule for a liquid container
HUE027636T2 (en) Packaging for detergent scent
CA2811474C (en) 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and container comprising said closing device
ES2590507T3 (es) Frasco para productos de preparación extemporánea, particularmente productos medicinales, farmacéuticos, cosméticos o similares
CA2143765A1 (en) Cosmetic capsules
KR102595748B1 (ko) 캡술과 용제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AU2021345041B2 (en) Container-closure system
KR200261356Y1 (ko) 피스톤 방식의 공기 밀폐용 보관 용기
CN205738686U (zh) 一种集成式防潮组合药用容器及干燥容器
KR20210060321A (ko) 스틱형 패키지 제조 장치 및 방법
CN209796265U (zh) 一种即配式瓶盖及采用该瓶盖的瓶
WO2013173470A1 (en) Cap device and methods
EP2481681A1 (en) Closing device with chamber for containers
KR200338755Y1 (ko) 화장품 용기
KR20240042941A (ko) 내용물 용기
CN218344203U (zh) 一种便于组装的冻干制剂分腔式包装瓶
CN216753777U (zh) 一种护肤精华液瓶子
EP3760555A1 (en) Bottle capping device adapted for the storage of a substance packaged in a capsule and contained in a cavity therein
KR102157298B1 (ko) 액제와 분말제를 즉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조립체
KR20220000033U (ko) 이중 씰링 구조의 공기 노출 차단용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