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267A -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267A
KR20090041267A KR1020070106885A KR20070106885A KR20090041267A KR 20090041267 A KR20090041267 A KR 20090041267A KR 1020070106885 A KR1020070106885 A KR 1020070106885A KR 20070106885 A KR20070106885 A KR 20070106885A KR 20090041267 A KR20090041267 A KR 20090041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se
solid material
liquid material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김홍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열 filed Critical 김홍열
Priority to KR102007010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1267A/ko
Publication of KR2009004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7Packages for several ingred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물질과 액상물질을 분리수용후 필요시 혼합하여 각종 혼합 음료 취식 및 선식 취식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액상물질 케이스와;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와; 상기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에 조립되며, 외측에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와 결합되는 나사산 형태의 고형물질 잠금부를 설치하고, 내측에 고형물질을 임시보관하기 위한 사다리꼴 형태의 수납부를 갖으며, 아울러 상기 수납부는 모서리에 브이자 형태의 접이용 홀을 형성하되 수납부의 상부면은 내측에 접이용 홀을 형성하고, 수납부와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가 만나는 부분은 외측에 접이용 홀을 형성하는 고형물질 케이스와; 상기 고형물질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폐쇄형 용기 형태의 고형물질 보호필름과; 상기 고형물질 케이스의 하단부 내주연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액상물질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는 플렌지면을 외측 상부면에 형성하며, 내측 상부면에 고형물질 보호필름을 임시고정하는 돌출형 스토퍼를 형성하고, 내측 중앙에 상기 필름 절개용 칼을 내장하는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접이형, 고형물질, 액상물질, 용기

Description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A Folded Saparating Instrument Case of a Solid Body and a Liquefied Body}
본 발명은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고형물질과 액상물질을 분리수용후 필요시 혼합하여 각종 혼합 음료 취식 및 선식 취식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이나 그 밖의 유체상태의 내용물이 내장되는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상부 외주연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연에 형성된 뚜껑으로 구성된다.
또한, 사용되는 마개는 여러 종류가 있고 그 형태 또한 다양하며, 그 형태에 따라 쓰임새 또한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마개의 종류로는 병뚜껑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중에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뚜껑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용기 뚜껑의 경우 캡 형태로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상면은 판판한 형태를 취하며 외주면 테두리에는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어 뚜껑을 개구시 잡고 돌 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용기에는 각종 음료가 담기는바, 사람이 갈증을 풀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액체류로서, 각종 차류, 콜라나 사이다 및 쥬스, 과즙 따위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류의 음료 이외에 물에 분말가루 형태의 차종류를 타서 마시는 종류의 기호음료의 경우에는 분말가루 형태의 차종류는 봉지에 넣어 일회용으로 판매되고, 이 1회용 봉지에 들어 있는 차종류를 물에 타서 마실 때에는 타서 마실 컵과 같은 용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거기에다 물을 붓은 다음 1회용 봉지에 들어 있는 분말가루형태의 차를 그 물에 넣고 타서 마셔야 된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된 분말가루 형태의 차종류를 야외에서 마실 때에는 컵과 같은 별도의 용기와 별도의 봉지에 들어 있는 차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므로 사용하는 데 불편하고, 2종류의 물질을 미리 혼합된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용기는 장시간 보관할 경우 각 물질의 특성이 다르므로 변질될 염려가 있었다.
아울러, 찹쌀, 율무, 검정콩, 들깨, 검정깨 등의 곡물을 깨끗이 씻어 말린 후, 각 곡물의 특성에 맞게 분쇄한 다음, 물에 섞어서 먹는 선식과 같은 자연 식품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분말 선식은 대개 밀폐봉지에 별도로 진공 포장되어 판매되는 바, 분말 선식을 물이나 음료수와 같은 액체와 섞어 마시기 위해서는 밀폐봉지를 개봉 한 후, 미리 준비된 용기에 선식을 투입한 다음, 물 또는 음료수를 용기에 주입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말 선식을 특히 야외에서 액체와 혼합하여 식음하기 위 해서는, 컵과 같은 용기와 물 또는 음료수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므로 휴대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캔과 같은 용기에 분말 선식을 투입하여 캔에 저장된 액체와 섞어 마시고자 할 경우, 용기의 구멍으로 분말 선식을 투입하기가 불편하며, 직접 손으로 밀폐봉지를 개봉하여 분말 선식을 투입해야 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1개의 용기안에 액상물질과, 액상물질에 혼합하여 마시는 분말가루 또는 과립상 물질을 서로 분리저장하여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저장물질의 변질염려가 없고, 분말가루 또는 과립상 물질을 분리하고 있는 격막이 파열되면서 분리저장되어 있던 2종류의 물질이 서로 혼합됨으로써 간편하고 위생적인 혼합음료를 제작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액상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의 액상물질 케이스와; 상기 액상물질 케이스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사부를 형성한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와; 상기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에 조립되며, 외측에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와 결합되는 나사산 형태의 고형물질 잠금부를 설치하고, 내측에 고형물질을 임시보관하기 위한 사다리꼴 형태의 수납부를 갖으며, 아울러 상기 수납부는 모서리에 브이자 형태의 접이용 홀을 형성하되 수납부의 상부면은 내측에 접이용 홀을 형성하고, 수납부와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가 만나는 부분은 외측에 접이용 홀을 형성하는 고형물질 케이스와; 상기 고형물질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폐쇄형 용기 형태이고, 고형물질 케이스의 수납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용기 전체가 아래로 하강하며, 내측에 고형물질을 내장 하여 이루어지는 고형물질 보호필름과; 상기 고형물질 보호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며, 고형물질 보호필름이 하강시 절개시켜 고형물질이 액상물질로 투여되도록 하는 2개 이상의 칼날과, 고형물질을 통과시키는 공간부를 형성한 필름 절개용 칼과; 상기 고형물질 케이스의 하단부 내주연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액상물질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는 플렌지면을 외측 상부면에 형성하며, 내측 상부면에 고형물질 보호필름을 임시고정하는 돌출형 스토퍼를 형성하고, 내측 중앙에 상기 필름 절개용 칼을 내장하는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고형물질 잠금부의 외측에는 고형물질 케이스를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캡 형태의 보호용 케이스를 더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보호용 케이스는 수납용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의 수납부재와, 수납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얇은 띠 형태의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 하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 외주연을 감싸는 띠 형태로서 필요시 외부로 탈거하여 연결편을 찢기면서 수납부재를 분리하는 제거용 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고형물질 보호필름은 수납용 필름과 하부 지지용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폴리 에틸렌 테리프탈레이트(PET)필름과, 폴리 프로필렌 필름과, 폴리 에틸렌 필름과, 폴리 아미드 필름 중, 선택된 적어도 한개의 종을 다수겹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수납용 필름과 하부 지지용 필름은 초음파 열압착으로 접합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필름 절개용 칼은 일자형태 또는 일자형태가 수직으로 교차되는 십자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필름 제거용 칼은 중앙이 돌출되고 가장자리로 순차 경사지게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고형물질 케이스 잠금부의 내주연 일단에 돌기를 형성하고,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의 프렌지면 상부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 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장용기는 서로 다른 2종류의 물질을 분리하 여 저장하므로 보관기간이 길더라도 변질될 염려가 없고, 마실 때 외통의 개방구를 개방하는 동작으로 내통에 분리저장된 물질이 외통안의 물질안으로 투입되어 서로 혼합되므로 사용상 편리한 장점이 있다.
즉, 고형물질과 액상물질이 별도의 저장공간에 보관되므로 유통기간을 최대한 늘릴 수 있어 생산자와 유통자 및 소비자에게 경제적 및 위생적으로 많은 도움을 준다.
특히, 선식을 본 발명의 저장용기를 통해 제공할 경우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은 수험생이나 직장인이 안심하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상물질 케이스와 고형물질 케이스 전체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형물질 케이스를 확대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필름 절개용 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형물질 보호필름 상부를 압박하는 것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형물질 보호필름을 터트려 고형물질이 액상물질로 혼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고형물질과 액상물질의 혼합이 완료된후 고형물질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분류하면 크게 액상물질(10)과, 고형물질(20)과, 액상물질 케이스(100)와,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200)와, 고형물질 케이스(300)와, 고형물질 보호필름(400)과, 필름 절개용 칼(500)과, 고형물질 보호필름 압착구(600)와, 보호용 케이스(700)로 구분한다.
액상물질 케이스(100)는 액상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서 통상의 액상물질을 저장하는 케이스의 형태이다. 즉, 현재 유통되는 맥주캔이나 과일음료캔이나 생수용 물병 등과 흡사하다.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200)는 액상물질 케이스(10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외부 나사부를 형성한 수단과 결합하며, 통상 마개가 결합되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고형물질 케이스가 결합된다.
고형물질 케이스(300)는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에 조립되며, 외측에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200)와 결합되는 나사산 형태의 고형물질 잠금부(310)를 설치하고, 내측에 고형물질을 임시보관하기 위한 사다리꼴 형태의 수납부(320)를 갖으며, 아울러 상기 수납부(320)는 모서리에 브이자 형태의 접이용 홀(330, 340)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수납부의 상부면은 내측으로 접이용 홀(330)을 형성하고, 수납부와 잠금부가 만나는 부분은 외측으로 접이용 홀(340)을 형성한다. 이는 수납부(320)를 상부에서 눌렀을때 접이용 홀부분(330, 340)에서 접히면서 하부로 용이하게 눌려지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수납부의 상부면을 압착하여 수납부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후술하는 고형물질 보호필름을 하부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은 고형물질 케이스(3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폐쇄형 용기 형태이며, 내측에 질소를 충진한 고형물질을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은 수납용 필름(410)과 하부 지지용 필름(420)으로 이루어 지며,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은 폴리 에틸렌 테리프탈레이트(PET)필름과, 폴리 프로필렌 필름과, 폴리 에틸렌 필름과, 폴리 아미드 필름 중, 선택된 적어도 한개의 종을 다수겹 접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형물질을 보관하는 도중에 원치않는 충격에 의해서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수납용 필름(410)을 하부 지지용 필름(420)에 비해 좀더 두껍게 형성하여 외곽 지지역할을 충분히 하도록 하고 하부 지지용 필름(420)은 얇게 형성하여 쉽게 절개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요소 이외에도 합성수지 필름을 적절히 선택후 다수개 접합하여 제작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수납용 필름(410)과 하부 지지용 필름(420)은 초음파 열압착으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절개용 칼(500)은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의 하부에 2개 이상 배치되며,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이 하강시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의 하부면을 절개시켜 그 내부에 존재하는 고형물질이 액상물질 케이스(100)에 존재하는 액상물질로 투여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칼날(510)을 형성한다. 즉, 상기 필름 절개용 칼(500)을 일자형태 또는 일자형태가 수직으로 교차되는 십자형태로 구성하여 칼날(510)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칼날(510)이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을 절개하였을 경우 상기 일자형태 또는 십자형태를 구성하는 이외의 공간으로 고형물질이 투여되어 액상물질과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십자형태의 칼(500)과 칼날(510)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2개 이상의 칼을 배치하는 이유는 비교적 입구가 큰 용기에 적용되기 때문이며, 이때에는 1개의 칼로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을 절개하기 어렵기 때문이 다. 물론, 칼은 3개 이상 배치할 수도 있으나, 제작의 편의상 2개가 가장 바람직하다.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600)는 고형물질 케이스 잠금부(300)의 하단부 내주연에 슬라이딩 결합되는바, 고형물질 케이스 잠금부(300)의 내측에 돌기(350)를 형성하고, 액상물질 케이스(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플렌지면(610) 상부에 오목부(630)를 형성하여, 상기 플렌지면(610)과 고형물질 케이스 잠금부 내측과 결합되도록 한다. 이는 조립의 편의상 결합시에는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600)와 고형물질 케이스 잠금부(300)가 강제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고형물질 케이스(300)를 탈거하면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600)가 동시에 탈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600)의 내측면에는 돌출형 스토퍼(620)를 형성하여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이 돌출형 스토퍼(620)에 임시고정되도록 한다.
보호용 케이스(700)는 고형물질 케이스 잠금부(310)의 외측에 설치되어 고형물질 케이스(300)를 수납하여 보호하며, 더 상세하게는 수납용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의 수납부재(710)와, 수납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얇은 띠 형태의 연결편(720)과, 상기 연결편 하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 외주연을 감싸는 띠 형태로서 필요시 외부로 탈거하여 연결편을 찢기면서 수납부재를 분리하는 제거용 편(730)으로 이루어진다. 보호용 케이스(700)는 본 제품을 운반중에 고형물질 보호필름 압착구(60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사용시에는 제거용 편(730)을 이용하여 수납부재(710)를 제거후 이용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액상물질 케이스(100) 내부에는 통상 물이 담겨진다. 물론 물 이외에 우유나 요구르트 베지밀등 다양한 액상물질이 들어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의 내부에는 각종 분말 및 과립형태의 고형물질이 포함되는바, 분말형 비타민이나 분말형 꿀, 레몬가루, 홍차가루, 오랜지 가루 또는 찹쌀, 율무, 검정콩, 들깨, 검정깨와 같이 선식에 사용되는 곡물의 가루가 포함된다. 그리고, 고형물질 보호필름 내부에는 질소를 충진시켜 외부 충격으로부터 고형물질을 보호토록 한다.
또한, 액상물질 케이스(100)의 잠금부(200)에 고형물질 케이스(300)의 잠금부(310)가 맞물려 나사결합된 상태이다.
상기 고형물질 케이스(300)의 내부에는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이 장착되고, 고형물질 케이스(300)의 하단에 접속된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600)의 내측에는 필름 절개용 칼(500)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600)의 상부 내측에는 돌출용 스토퍼(620)가 일체로 형성되어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은 폴리 에틸렌 테리프탈레이트(PET)필름과, 폴리 프로필렌 필름과, 폴리 에틸렌 필름과, 폴리 아미드 필름 중, 선택된 적어도 한개의 종을 다수겹 접합하여 구성하므로, 직육면체 및 이와 비슷한 형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고형물질 케이스(300)의 외각으로 보호용 케이스(700)가 장착되며, 보호용 케이스(700)를 구성하는 수납부(710)는 연결편(720)과 제거편(730)에 연결되어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200)에 고정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용기 사용자는 먼저 제거편(730)을 뜯어내는바,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200) 외각을 띠 처럼 둘러쌓고 있는 제거편(730)을 순차적으로 뜯어내어 연결편(720)이 파손되면서 보호용 케이스(700)가 외부로 이탈된다.
즉, 제거편(730)이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200)의 외주연에 띠처럼 둘러쌓여 있으므로 제거편(730)을 순차적으로 뜯어나가면 연결편(720)이 순차적으로 파손되고 이에 따라 보호용 케이스(700)가 액상물질 케이스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사용자는 보호용 케이스(700)를 외부로 분리토록 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고형물질 케이스(300)를 손으로 누르거나 기타 외부물체에 충격을 주어 고형물질 케이스(300)의 내측으로 압축되도록 한다.
그러면, 고형물질 케이스(300)의 수납부(320)의 모서리면에 접이형 홀(330, 340)이 다수개 형성되어 접이형 홀(330, 340)에서 겹쳐지면서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고형물질 케이스(3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이 하강하게 되고,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이 아래로 하강하면서 필름 절개용 칼(500)로 진입하게한다.
이후,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안에 내장된 고형물질(20)이 필름 절개용 칼(500)의 공간부(520)를 통해 하부로 빠져나가 액상물질 케이스(100)에 존재하는 액상물질(10)에 투여되면서 고형물질(20)과 액상물질(10)이 상호 혼합된다.
그리고, 액상물질 케이스(100)에서 고형물질(20)과 액상물질(10)의 혼합이 이루어지면 고형물질 케이스 잠금부(31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200)로부터 고형물질 케이스(300)를 완전히 외부로 이탈시키도록 한다. 이때 고형물질 케이스(300)는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600)와 돌기(350) 및 오목부(630)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탈거된다.
즉,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600)의 플렌지면(610)은 단순히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200)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이기 때문에 고형물질 케이스 잠금부(310)를 해체하면 필름절개용 칼 케이스(600)도 동시에 해체되는 것이다.
그러면 액상물질 케이스(100)와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200)만이 존재하며 사용자는 액상물질 케이스(100)에 함유된 혼합액을 직접 마시거나 컵에 따라서 섭취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상물질 케이스와 고형물질 케이스 전체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형물질 케이스를 확대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필름 절개용 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형물질 보호필름 상부를 압박하는 것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형물질 보호필름을 터트려 고형물질이 액상물질로 혼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고형물질과 액상물질의 혼합이 완료된후 고형물질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액상물질
20: 고형물질
100: 액상물질 케이스
200: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
300: 고형물질 케이스
310: 고형물질 케이스 잠금부
320: 고형물질 케이스 수납부
330, 340: 고형물질 케이스 접이형 홀
350: 고형물질 케이스 돌기
400: 고형물질 보호필름
410: 수납용 필름
420: 하부 지지용 필름
500: 필름 절개용 칼
510: 칼날
520: 공간부
600: 필름절개용 칼 케이스
610: 플렌지면
620: 돌출형 스토퍼
630: 오목부
700: 보호용 케이스
710: 보호용 케이스 수납부
720: 보호용 케이스 연결편
730: 보호용 케이스 제거편

Claims (8)

  1. 액상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의 액상물질 케이스(100)와;
    상기 액상물질 케이스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사부를 형성한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200)와;
    상기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에 조립되며, 외측에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와 결합되는 나사산 형태의 고형물질 잠금부(310)를 설치하고, 내측에 고형물질을 임시보관하기 위한 사다리꼴 형태의 수납부(320)를 갖으며, 아울러 상기 수납부(320)는 모서리에 브이자 형태의 접이용 홀(330, 340)을 형성하되 수납부의 상부면은 내측에 접이용 홀(330)을 형성하고, 수납부(320)와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200)가 만나는 부분은 외측에 접이용 홀(340)을 형성하는 고형물질 케이스(300)와;
    상기 고형물질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폐쇄형 용기 형태이고, 고형물질 케이스의 수납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용기 전체가 아래로 하강하며, 내측에 고형물질을 내장하여 이루어지는 고형물질 보호필름(400)과;
    상기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의 하부에 배치되며, 고형물질 보호필름이 하강시 절개시켜 고형물질이 액상물질로 투여되도록 하는 2개 이상의 칼날(510)과, 고형물질을 통과시키는 공간부(520)를 형성한 필름 절개용 칼(500)과;
    상기 고형물질 케이스의 하단부 내주연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액상물질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는 플렌지면(610)을 외측 상부면에 형성하며, 내측 상부면에 고 형물질 보호필름(400)을 임시고정하는 돌출형 스토퍼(620)를 형성하고, 내측 중앙에 상기 필름 절개용 칼(500)을 내장하는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6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질 잠금부(310)의 외측에는 고형물질 케이스(300)를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캡 형태의 보호용 케이스(700)를 더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케이스(700)는 수납용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의 수납부재(710)와, 수납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얇은 띠 형태의 연결편(720)과, 상기 연결편 하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액상물질 케이스 잠금부 외주연을 감싸는 띠 형태로서 필요시 외부로 탈거하여 연결편을 찢기면서 수납부재를 분리하는 제거용 편(7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질 보호필름(400)은 수납용 필름(410)과 하부 지지용 필름(420)으로 이루어지며, 폴리 에틸렌 테리프탈레이트(PET)필름과, 폴리 프로필렌 필름과, 폴리 에틸렌 필름과, 폴리 아미드 필름 중, 선택된 적어도 한개의 종을 다수겹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필름(410)과 하부 지지용 필름(420)은 초음파 열압착으로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절개용 칼(500)은 일자형태 또는 일자형태가 수직으로 교차되는 십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제거용 칼(500)은 중앙이 돌출되고 가장자리로 순차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질 케이스 잠금부(310)의 내주연 일단에 돌기(350)를 형성하고, 필름 절개용 칼 케이스(600)의 프렌지면(610) 상부에 오목부(630)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KR1020070106885A 2007-10-23 2007-10-23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KR20090041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85A KR20090041267A (ko) 2007-10-23 2007-10-23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85A KR20090041267A (ko) 2007-10-23 2007-10-23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67A true KR20090041267A (ko) 2009-04-28

Family

ID=4076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885A KR20090041267A (ko) 2007-10-23 2007-10-23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12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1660A1 (en) * 2021-03-04 2022-09-08 Psimos, Inc. Reusable dispenser l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1660A1 (en) * 2021-03-04 2022-09-08 Psimos, Inc. Reusable dispenser lid
US11834239B2 (en) * 2021-03-04 2023-12-05 Psimos, Inc. Reusable dispenser l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735B1 (en) Dispensing lid closure for confec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closure
US10464797B2 (en) Post-mix beverage system
US20010022304A1 (en) Container
SG187489A1 (en) Safety sealed reservoir cap
US20160244237A1 (en) Two compartment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a two component beverage
US9179749B2 (en) Combination beverage container and storage vessel
CN104787464A (zh) 内置功能性添加剂的食品饮料用容器盖
WO1999044901A1 (en) A container
KR20090041266A (ko) 자바라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CN101351125A (zh) 饮料系统
CA3149639A1 (en) Beverage-ingredient cartridge and cap for beverage-ingredient cartridge
KR20090041265A (ko) 고형 및 액상물질을 분리 수용하는 용기
KR100947673B1 (ko)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US9902537B2 (en) Multipurpose bottle cap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H0398871A (ja) 容器及び添加物用小容器並びにこれらを利用した炭酸飲料
JP2005187022A (ja) 飲料容器のキャップ構造
KR20090041267A (ko) 접이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US20160347538A1 (en) Cup with a cup inset for preparing a liquid in the cup
KR20090005510U (ko) 광구용 분말캡
KR200495854Y1 (ko) 분리편이 구비된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20100049137A (ko) 티백용 병뚜껑
RU2667455C2 (ru) Накладной колпачок с механизмом, упрощающим открытие контейнера и прямое употребление в пищу содержимого контейнера, способ употребления в пищу содержимого контейнера с накладным колпачком, емкость с накладным колпачком
KR200479110Y1 (ko) 혼합용 뚜껑조립체
EP1529742A1 (en) Container, with additional reservoir and method for packaging a substance
KR102128240B1 (ko) 음료용 컵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