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203A -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203A
KR20090024203A KR1020087031728A KR20087031728A KR20090024203A KR 20090024203 A KR20090024203 A KR 20090024203A KR 1020087031728 A KR1020087031728 A KR 1020087031728A KR 20087031728 A KR20087031728 A KR 20087031728A KR 20090024203 A KR20090024203 A KR 20090024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ttachment
cam
hinge device
compressio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타카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2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 개폐 부재의 제1 부재(1)와 제2 부재(2) 사이에 장착되는 힌지 장치로서, 캠부(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부재(1)와 함께 회동하는 제1 부착체(3)와, 상기 제2 부재(2)와 함께 회동하는 통형상의 제2 부착체(6)와, 상기 캠부(4)에 결합되는 캠 결합 부재(5)와, 상기 캠 결합 부재(5)를 압박하여 밀어붙히는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구비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체(3)는 상기 통형상의 제2 부착체(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착체(6)는 슬릿부(9)를 갖는 개구부(8)가 마련되며, 상기 개구부(8)는 상기 슬릿부(9)가 마련됨으로써 직경 확장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장착 시, 상기 직경 확장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구부(8)가 초기 직경으로부터 직경 확장되며,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장착된 후, 확장된 직경으로부터 복귀한 초기 직경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힌지 장치이다. 또한, 이 힌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이다.

Description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HING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HINGE DEVICE}
본 발명은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조작부를 설치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중합부를 피봇 부착하고, 서로 중첩된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 회동하도록 구성한 절첩식 휴대전화에, 유닛화된 힌지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힌지 장치로서, 상기 절첩식 휴대전화의 상기 중합부와 함께 회동하는 제1 부착체와, 상기 본체부와 함께 회동하는 제2 부착체를 구비하고, 이 제2 부착체에 설치한 베어링부로 지지되는 축부를 상기 제1 부착체에 설치하며, 또한 이 제1 부착체에 캠부를 설치하고, 이 캠부에 결합하는 캠 결합부를 제2 부착체에 설치하며, 이 캠부와 캠 결합부가 결합 상태일 때에, 상기 절첩식 휴대전화의 상기 중합부와 본체부가 회동 잠금되도록 구성하고, 이 캠 결합부를 결합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축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이 캠 결합부를 결합 방향으로 밀어붙히는 결합 편향 기구(예컨대 코일 스프링)를 구비하고, 상기 중합부와 본체부와의 상대 회동에 따라, 이 캠부와 캠 결합부가 상기 결합 편향 기구의 결합 편향에 의해 박히어 결합됨으로써 상대 회동 편향력이 생기도록 구성된 힌지 장치(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84861호)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 종류의 힌지 장치에서의 각 파트의 조립은, 예컨대 도 12∼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축부(58)의 단부에 코오킹 작업이 행해지지만, 생산 작업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양산성이 좋지 않고, 또한 이 축부(58)를 조립시에 가공하게 되기 때문에, 조립 밸런스가 좋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시한 종래 타입의 힌지 장치는, 중합부(51)와 본체부(52)를 피봇 부착하는 부착시에 있어서, 제2 부착체(56)를 본체부(52)에 마련한 오목부(52a)에 배치하고, 이 상태로 축부(58)를 압축 저항 스프링체(57)의 편향에 대항하여 이동시키며, 이 축부(58)의 단부에 설치한 제1 부착체(53)를 제2 부착체(56)에 몰입시키고, 이 제1 부착체(53)가 압축 저항 스프링체(57)의 밀어붙힘에 의해 중합부(51)에 마련한 오목부(51a)에 끼워지는 것으로 힌지 장치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축부(58)를 이동시키는 구조 상, 제2 부착체(56)로부터 돌출하는 축부(58)를 피하기 위한 오목부(52a')를 마련해야 하고, 이것이 비용 상승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유형의 힌지 장치에 대해서 연구·개발을 더 진행하여 종래에 없는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획기적인 힌지 장치 및 이 힌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절첩 개폐 부재의 제1 부재(1)와 제2 부재(2) 사이에 장착되는 힌지 장치로서,
캠부(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부재(1)에 연계하여 이 제1 부재(1)와 함께 회동하는 제1 부착체(3)와,
상기 제2 부재(2)에 연계하여 이 제2 부재(2)와 함께 회동하는 통형상의 제2 부착체(6)와,
상기 제1 부착체(3)의 상기 캠부(4)에 결합하는 캠 결합 부재(5)와, 상기 캠 결합 부재(5)를 상기 캠부(4)의 방향으로 압박하여 밀어붙히는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구비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체(3)는 상기 통형상의 제2 부착체(6) 내부에 회전 가능하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착체(6)는, 그 타단부에는 슬릿부(9)를 갖는 개구부(8)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8)는 상기 슬릿부(9)가 마련됨으로써 직경 확장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캠 결합 부재(5)는 상기 제2 부착체(6)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서 회동 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착체(6)의 내부에 상기 제1 부착체(3), 상기 캠 결합 부재(5) 및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장착되며,
또한,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장착 시, 상기 직경 확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구부(8)가 초기 직경으로부터 직경 확장되고,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장착된 후, 확장된 직경으로부터 복귀된 초기 직경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힌지 장치에 있어서, 개구부(8)의 후측부에 단차부(16b)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후측부(7a)가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8)의 단부(16b)에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상기 후측부(7a)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힌지 장치에 있어서, 개구부(8)가 직경 확장되면서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후측부를 지지하는 별도 제작되는 스프링 지지체(10)가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8)에 상기 스프링 지지체(10)가 걸림으로써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힌지 장치에서 상기 슬릿부(9)는 제2 부착체(6)의 둘레면 대향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 결합부(5)에는 슬라이드 볼록부(5a)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부착체(6)의 내면부에는 상기 캠 결합부(5)의 슬라이드 볼록부(5a)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오목홈(13)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힌지 장치에서 상기 제2 부착체(6)는 적합한 합성 수지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첩 개폐 부재의 제1 부재(1)와 제2 부재(2) 사이에 장착되는 힌지 장치로서,
캠부(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부재(1)에 연계하여 이 제1 부재(1)와 함께 회동하는 제1 부착체(3)와,
상기 제2 부재(2)에 연계하여 이 제2 부재(2)와 함께 회동하는 통형상의 제2 부착체(6)와,
상기 제1 부착체(3)의 상기 캠부(4)에 결합되는 캠 결합 부재(5)와,
상기 캠 결합 부재(5)를 상기 캠부(4)의 방향으로 압박하여 밀어붙히는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구비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체(3)는 상기 통형상의 제2 부착체(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착체(6)는 그 타단부에 개구부(8)가 마련되며,
상기 캠 결합 부재(5)는 상기 제2 부착체(6)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서 회동 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착체(6)의 내부에 상기 제1 부착체(3), 상기 캠 결합 부재(5) 및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장착되고,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는 그 후측부(7a)를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부착체(6)의 상기 개구부(8)의 후측부에는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후측부(7a)의 직경에 맞는 암나사부(16c)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8)의 암나사부(16c)에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상기 후측부(7a)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첩 개폐 부재의 제1 부재(1)에 조작부(14)를 설치하여 기기 본체부로 하고, 절첩 개폐 부재의 제2 부재(2)에 디스플레이부(15)를 설치하여 기기 중합부로 하며, 이들 기기 본체부와 기기 중합부 사이에, 상기한 힌지 장치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부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예에 따른 주요부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3은 종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절첩 개폐 부재의 제1 부재(1)와 제2 부재(2) 사이에 장착되는 힌지 장치이다.
이 힌지 장치는 회동부(12)에 캠부(4)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부재(1)에 연계하여 이 제1 부재(1)와 함께 회동하는 제1 부착체(3)와, 상기 제2 부재(2)에 연계하여 이 제2 부재(2)와 함께 회동하는 통형상의 제2 부착체(6)와, 상기 제1 부착체(3)의 상기 캠부(4)에 결합하는 캠 결합 부재(5)와, 상기 캠 결합 부재(5)를 상기 캠부(4)의 방향으로 압박하여 밀어붙히는 압축 저항 스프링체(7)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부재(1)와 제2 부재(2)와의 상대 회동에 따라 이 캠부(4)와 캠 결합부(5)가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결합하여 밀어붙힘에 의해 박히어 결합됨으로써 상대 회동 편향력이 생기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절첩 개폐 부재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를 구비한 수지제의 중합부를 제1 부재(1)로 하고, 조작부(14)를 구비한 수지제의 본체부를 제2 부재(2)로 하고 있다. 이 본체부에 대하여 중합부가 중합된 폐색 상태로부터, 중합부를 예컨대 120˚까지 회동한 개방 상태(통화 상태)로 할 수 있는 피봇 부착 구조에, 본 실시예의 힌지 장치(H)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합부[제1 부재(1)]의 기초부에 연결 오목부(1a)를 마련하고, 본체부[제2 부재(2)]의 기초부에도 이 연결 오목부(1a)와 연통 상태로 인접하는 연결 오목부(2a)를 마련한다. 이 각각의 연결 오목부(1a, 2a)에, 축형 부품으로서 구성한 본 실시예의 힌지 장치(H)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제2 부재(2)]에는, 상기 연결 오목부(2a)에 대하여 회전 방지 형상을 한 통형체(케이싱)로 이루어지는 제2 부착체(6)를, 이 본체부의 연결 오목부(2a)에 삽입하여 회전 방지 상태로 고정하고 있다.
이 제2 부착체(6)는, 후술하는 캠 결합부(5)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구조체이고, 적절한 합성 수지제의 부재를 일체 성형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부착체(6)의 일단부에, 중앙에 구멍(16a)을 갖는 폐색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멍(16a)은, 제1 부착체(3)에 마련되는 회동부(12)의 축부(12a)를 유지하는 베어링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2 부착체(6)에는, 합성 수지제의 캠 결합부(5)(슬라이드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캠 결합부(5)는 단면이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면에는 90˚ 간격의 네 지점에 슬라이드 볼록부(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부착부(6)의 길이 방향으로는 가이드 오목홈(1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오목홈(13)에 상기 각 슬라이드 볼록부(5a)가 가이드됨으로써 캠 결합부(5)가 제2 부착부(6) 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 방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 결합부(5)는 중심 위치에 캠부(4)의 축(4b)이 관통하는 구멍(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결합부(5)의 단부의 대향 위치에는 오목부(5c, 5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캠 결합부(5)는, 제2 부착체(6)의 내면에서 정밀도 좋게 가이드되어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4)에 상기 축(4b)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축부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축부를 구비함으로써 생겼던 조립 밸런스가 좋지 않게 되는 것이 가급적 방지되어,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부착체(6) 내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캠 결합부(5)는 캠부(4)에 대하여 결합 분리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부착체(6)는 그 둘레면 길이 방향으로 하여 대향 위치에 타단부의 개구부(8)에 개구하는 한 쌍의 슬릿부(9)가 마련되어 있고, 이 슬릿부(9)에 의해 이 슬릿부(9)의 주변 부위에 유연성이 부여되어, 상기 개구부(8)는 직경 확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부착체(6)의 내부에 상기 제1 부착체(3), 상기 캠 결합 부재(5) 및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를 장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를 장착할 때, 상기 직경 확장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8)를 초기에서의 직경으로부터 확장시키고,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를 장착한 후, 확장된 직경으로부터 복귀된 초기 직경의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힌지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후측부를 지지하는 별도 제작된 스프링 지지체(10)를 이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힌지 장치에 있어서, 개구부(8)를 직경 확장시켜 스프링 지지체(10)를 장착하고, 상기 개구부(8)에 상기 스프링 지지체(10)가 걸림으로써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도록 하고 있다.
이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것은, 스프링 지지체(10)의 좌우단부가, 좌우의 슬릿부(9) 내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부착체(6)에, 개구부(8)에 눌러 끼운 스프링 지지체(10)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스프링 지지체 걸림부(11)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스프링 지지체 걸림부(11)는, 슬릿부(9)의 선단 대향 부위에 형성되는 갈고리형부(9a)와, 제2 부착체(6)의 둘레면 대향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17)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부(8)를 직경 확장하여 스프링 지지체(10)를 개구부(8)에 장착하고, 개구부(8)의 직경 확장을 원래대로 복귀하면, 스프링 지지체(10)의 좌우단부는 갈고리형부(9a)에 걸리며, 스프링 지지체(10)의 상하단부는 관통 구멍(17)에 박히어 걸린다.
또한, 제2 부착체(6)는 그 베어링부(16a)에 회동부(12)의 축부(12a)가 관통된다. 즉, 축부(12a)는 제2 부착부(6)의 구멍(16a)에 삽입 관통되고 회동부(12)는 이탈 방지되어 걸린다. 이 회동부(12)의 내면에는, 상기 캠 결합부(5)의 오목부(5c)와 요철 결합하는 한 쌍의 볼록부(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부착체(3)는, 상기 중합부[제1 부재(1)]의 기초부에 마련된 연결 오목부(1a)에 끼워 맞춤 연결할 수 있는 단면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중합부에 대하여 회전 방지 상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부착체(6) 내로 하여 캠 결합부(5)의 외면과 스프링 지지체(10) 사이에는, 상기와 같이, 캠 결합부(5)를 결합 방향으로 밀어붙히는 압축 저항 스프링체(7)(코일 스프링)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압축 저항 스프링체(7)를 직경이 작은 스프링이 직경이 큰 스프링 안에 들어간 상태(이중 상태)로 제2 부착체(6) 내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힌지 장치(H)는, 이 캠부(4)와 캠 결합부(5)가 결합 상태일 때 중합부[제1 부재(1)]와 본체부[제2 부재(2)]가 회동 잠금되고, 본체부(2)에 대한 중합부의 개폐 회동에 따라 이 캠부(4)와 캠 결합부(5)가 결합 분리되며, 이 캠부(4)와 캠 결합부(5)가 결합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박히어 결합하려는 상대 회동 편향력이 생기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힌지 장치(H)는, 이 상대 회동 편향력을 본체부에 대한 중합부의 중합 상태를 유지하는 폐쇄력으로서 기능시키고, 본체부에 대한 중합부의 완전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개방력으로서 기능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과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각 부품의 부착 작업이, 제2 부착체(6)의 개구부(8)에 스프링 지지체(10)를 눌러 끼우는 작업으로 완료되기 때문에 생산 작업성이 좋아져 양산성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2 부착체(6)를 합성 수지제의 부재로 일체 성형하여 구성되므로, 캠 결합부(5)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고정밀도로 얻어짐으로써, 종래 필수였던 축부가 필요없게 되고, 축이 없는 구성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품 개수가 적어 비용이 낮아지는 것은 물론, 종래와 같이 힌지 장치를 부착하는 부위에 축이 피하는 오목부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축이 없는 구성은 제2 부착체(6)를 크게 하지 않고 전술한 한 쌍의 압축 저항 스프링체(7)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치밀하여도 충분한 편향력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단, 압축 저항 스프링체(7)는 하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지지체(10)를 제2 부착체(6)의 개구부(8)에 눌러 끼워 장착하는 구조로서, 제2 부착체(6)의 개구부(8)에 슬릿부(9)를 마련하여 직경 확장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프링 지지체(10)를 눌러 끼우는 구조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제2 부착체(6)의 개구부(8)를 적절한 유연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하여 직경 확장 가능한 구조로 하거나, 스프링 지지체(10)를 직경 축소 가능해지는 구조로 하여 스프링 지지체(10)를 눌러 끼워 장착하는 것을 달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한 힌지 장치에 있어서, 개구부(8)의 후측부에 단차부(16b)를 형성하고,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후측부(7a)를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8)의 단차부(16b)에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상기 후측부(7a)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것은, 앞의 실시예에서 이용한 스프링 지지체(10)를 대신하여, 개구부(8)에 단차부(16b)를 마련함과 동시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후측부(7a)를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함으로써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것이다.
따라서, 개구부(8)를 직경 확장하여 압축 저항 스프링체(7)를 장착하고, 개구부(8)의 확장된 직경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면, 개구부(8)의 단부(16b)가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후측부(7a)에 끼워 넣어져 걸린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전술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후측부(7a)를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제2 부착체(6)의 상기 개구부(8)의 후측부에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후측부(7a)의 직경에 맞는 암나사부(16c)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8)의 암나사부(16c)에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상기 후측부(7a)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개구부(8)의 후측부에 형성한 암나사부(16c)에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상기 후측부(7a)를 나사 결합시키기 때문에, 앞의 실시예와 같이 개구부(8)를 직경 확장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부착체(6)에 가요성을 갖지 않는 것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 요건의 구체적인 구성은 적절히 설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기기용 힌지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휴대전화 등에 적합하다.

Claims (8)

  1. 절첩 개폐 부재의 제1 부재(1)와 제2 부재(2) 사이에 장착되는 힌지 장치로서,
    캠부(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부재(1)에 연계하여 이 제1 부재(1)와 함께 회동하는 제1 부착체(3)와,
    상기 제2 부재(2)에 연계하여 이 제2 부재(2)와 함께 회동하는 통형상의 제2 부착체(6)와,
    상기 제1 부착체(3)의 상기 캠부(4)에 결합하는 캠 결합 부재(5)와,
    상기 캠 결합 부재(5)를 상기 캠부(4)의 방향으로 압박하여 밀어붙히는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구비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체(3)는 상기 통형의 제2 부착체(6) 내부에 회전 가능하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착체(6)는 그 타단부에 슬릿부(9)를 갖춘 개구부(8)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8)는 상기 슬릿부(9)가 마련됨으로써 직경 확장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캠 결합 부재(5)는 상기 제2 부착체(6)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서 회동 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부착체(6) 내부에 상기 제1 부착체(3), 상기 캠 결합 부재(5) 및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장착되고,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장착 시에 상기 직경 확장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8)가 초기 직경으로부터 직경 확장되고,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장착된 후, 확장된 직경으로부터 복귀한 초기 직경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개구부(8)의 후측부에 단차부(16b)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후측부(7a)가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8)의 단부(16b)에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상기 후측부(7a)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개구부(8)가 직경 확장되면서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후측부를 지지하는 별도 제작된 스프링 지지체(10)가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8)에 상기 스프링 지지체(10)가 걸림으로써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9)는 제2 부착체(6)의 둘레면 대향 위치에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 결합부(5)에는 슬라이드 볼록부(5a)가 마련되 고, 상기 제2 부착체(6)의 내면부에는 상기 캠 결합부(5)의 슬라이드 볼록부(5a)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오목홈(13)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착체(6)는 적합한 합성 수지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7. 절첩 개폐 부재의 제1 부재(1)와 제2 부재(2) 사이에 장착되는 힌지 장치로서,
    캠부(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부재(1)에 연계하여 이 제1 부재(1)와 함께 회동하는 제1 부착체(3)와,
    상기 제2 부재(2)에 연계하여 이 제2 부재(2)와 함께 회동하는 통형의 제2 부착체(6)와,
    상기 제1 부착체(3)의 상기 캠부(4)에 결합되는 캠 결합 부재(5)와,
    상기 캠 결합 부재(5)를 상기 캠부(4)의 방향으로 압박하여 밀어붙히는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구비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체(3)는 상기 통형의 제2 부착체(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착체(6)는 그 타단부에 개구부(8)가 마련되며,
    상기 캠 결합 부재(5)는 상기 제2 부착체(6)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서 회동 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착체(6)의 내부에 상기 제1 부착체(3), 상기 캠 결합 부재(5), 및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장착되고,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는 그 후측부(7a)가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착체(6)의 상기 개구부(8)의 후측부에는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후측부(7a)의 직경에 맞는 암나사부(16c)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8)의 암나사부(16c)에 상기 압축 저항 스프링체(7)의 상기 후측부(7a)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8)에 압축 저항 스프링체(7)가 이탈 방지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8. 절첩 개폐 부재의 제1 부재(1)에 조작부(14)를 설치하여 기기 본체부로 하고, 절첩 개폐 부재의 제2 부재(2)에 디스플레이부(15)를 설치하여 기기 중합부로 하며, 이들 기기 본체부와 기기 중합부 사이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따른 힌지 장치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20087031728A 2006-06-30 2007-06-29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KR200900242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2087 2006-06-30
JPJP-P-2006-182087 2006-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203A true KR20090024203A (ko) 2009-03-06

Family

ID=3884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728A KR20090024203A (ko) 2006-06-30 2007-06-29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300882A1 (ko)
EP (1) EP2037133A1 (ko)
JP (1) JPWO2008001951A1 (ko)
KR (1) KR20090024203A (ko)
CN (1) CN101484711B (ko)
WO (1) WO20080019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352B1 (ko) * 2016-08-05 2016-12-06 (주)로보와이즈 블록 조립 방식의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기기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0641A1 (en) * 2007-10-20 2009-04-2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Apparatus
CN101725628B (zh) * 2008-10-31 2013-01-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1745912B (zh) 2008-11-27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缓冲装置
US8621714B2 (en) * 2008-12-31 2014-01-07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101929502B (zh) * 2008-12-31 2013-03-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2207128A (zh) * 2010-03-30 2011-10-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套筒及应用该套筒的铰链结构
CN102215650A (zh) * 2010-04-01 2011-10-1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锁紧装置的电子设备
CN102221040A (zh) * 2010-04-15 2011-10-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CN102454686B (zh) * 2010-10-21 2013-12-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
WO2013031386A1 (ja) * 2011-08-29 2013-03-07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9782273B2 (en) * 2015-03-23 2017-10-10 Alwyn P. Johnson Flexible coupling system
DE112016007305B4 (de) * 2016-09-30 2023-09-21 Ykk Corporation Drehmechanismus eines teilbaren Anschlagsteils für einen Reißverschluss und einen solchen aufweisenden Reißverschlus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6244Y2 (ko) * 1973-08-20 1977-06-15
US5628089A (en) * 1995-05-18 1997-05-1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KR200141099Y1 (ko) * 1995-09-19 1999-05-15 김광호 휴대용 전화기의 버튼커버 개페장치
KR100266516B1 (ko) * 1998-05-18 2000-09-15 한영수 힌지장치
JP2002039242A (ja) * 2000-07-26 2002-02-06 Denso Corp コイルスプリング組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028135A (ja) * 2001-07-18 2003-01-29 Yashiro Denki Kk ヒンジ装置
US7173825B2 (en) * 2001-11-21 2007-02-06 Phoenix Korea Co., Ltd.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3693954B2 (ja) 2001-12-21 2005-09-14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4044743A (ja) * 2002-07-15 2004-02-12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機器用ヒンジ
WO2004067976A1 (ja) * 2003-01-31 2004-08-12 Kabushiki Kaisha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3999682B2 (ja) * 2003-02-14 2007-10-31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352B1 (ko) * 2016-08-05 2016-12-06 (주)로보와이즈 블록 조립 방식의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기기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84711B (zh) 2011-06-08
CN101484711A (zh) 2009-07-15
US20090300882A1 (en) 2009-12-10
EP2037133A1 (en) 2009-03-18
JPWO2008001951A1 (ja) 2009-12-03
WO2008001951A1 (fr)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4203A (ko)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US8240007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6115886A (en) Hinge apparatus
KR100439066B1 (ko) 절첩 휴대식 전화의 힌지구조
US5966776A (en) Hinge device
US8245354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913356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s
US7100239B2 (en) Hinge assembly
KR100742290B1 (ko)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US20100162526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9990036878A (ko) 힌지장치
US7111361B2 (en) Hinge assembly
US8621714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138577A1 (en) Hinge
US7027294B2 (en) Hinge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US20110254417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150075B2 (en) Hinge for portable terminal
JP2006170255A5 (ko)
JP2009074691A (ja) 両方向開閉ヒンジ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両方向開閉器機
JP3697339B2 (ja) ヒンジ装置
US8196264B2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70067956A1 (en) Self-contained floating shaft hinge mechanism
US20100122432A1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90029638A (ko) 양 방향 개폐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 방향 개폐기기
KR20040018937A (ko) 휴대기기용 힌지 및 그 힌지를 설치한 휴대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