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671A -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671A
KR20090021671A KR1020070086370A KR20070086370A KR20090021671A KR 20090021671 A KR20090021671 A KR 20090021671A KR 1020070086370 A KR1020070086370 A KR 1020070086370A KR 20070086370 A KR20070086370 A KR 20070086370A KR 20090021671 A KR20090021671 A KR 20090021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ath plate
powder
transfer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노리 쿠로가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1671A/ko
Priority to US12/166,662 priority patent/US7899369B2/en
Priority to CN2008101756769A priority patent/CN101414145B/zh
Publication of KR2009002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38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 G03G2215/014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vertic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분체이송장치는 토너와 같은 분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체가 놓이는 이송경로판과, 이송경로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와, 이송경로판에 놓이는 분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경로판의 표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이송돌기를 구비하고, 이송돌기는 분체 이송경로 상의 상류측 구배가 하류측 구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설치공간과 저렴한 비용으로 분체를 이송시킬 수 있다.
분체이송장치, 이송경로판, 진동발생장치, 이송돌기

Description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Powder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체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은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체이송장치는 미세 입자로 이루어지는 분체(粉體)를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로, 각종 제품의 생산설비에 설치되어 분체의 원료를 이송시키거나, 분체를 이용하는 장치에 설치되어 분체를 일정량씩 이송시키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분체이송장치의 일예로, 일본공개특허 특개2004-220012호(2004. 08. 05. 공개)에는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어 토너를 이송시키는 분체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분체이송장치는 이송관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송관의 내부에 회전식반송부재인 코일스프링이 삽입 설치되고 코일스프링은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장치가 코일스프링을 회전시키면 이송관 내부의 토너가 출구를 향해 이송된다.
그리고, 일본공개특허 특개2007-57790호(2007. 03. 08. 공개)와 일본공개특 허 특개2007-17464호(2007. 01. 25. 공개)에는 나선형태의 날개를 갖는 오거를 회전시켜 이송경로에 있는 토너를 이송시키는 분체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개2004-220012호에 개시되어 있는 분체이송장치는 코일스프링이 굴곡된 이송관의 내부면에 강하게 접하여 굴곡된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되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토너의 이송경로가 굴곡되어 있어서 굴곡된 이송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고, 설치공간이 커 화상형성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개2007-57790호와특개2007-17464호에 개시되어 있는 오거형 분체이송장치는 오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열이 필요하므로 제조비용이 높고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은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체이송장치는 분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체가 놓이는 이송경로판과, 상기 이송경로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와, 상기 이송경로판에 놓이는 분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경로판의 표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이송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돌기는 분체 이송경로 상의 상류측 구배가 하류측 구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돌기의 높이는 분체 입자의 체적평균직경의 10배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상기 이송경로판의 상류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편평형 진동브러시리스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돌기의 하류각은 20°~150°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돌기의 상류각은 1°~20°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체이송장치는 상기 이송경로판의 진동시 상기 이송경로판과 충돌하여 토너의 이송성능을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이송경로판과 이격 설치되는 충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돌부재는 상기 이송경로판 보다 토너 이송경로 상의 상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경로판과 상기 다수의 이송돌기의 표면에는 분체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토너를 이송시키기 위한 분체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이송장치는 토너가 놓이는 이송경로판과, 상기 이송경로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와, 상기 이송경로판에 놓이는 토너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경로판의 표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돌기는 토너 이송경로 상의 상류측 구배가 하류측 구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오거 타입, 코일스프링 타입, 벨트컨베이어 타입으로 분체를 이송시키는 종래에 비해 작은 설치공간과 저렴한 비용으로 분체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의 컬러 화상형성장치로, 화상형성장치 본체(11)의 내부에 네 가지 색상(예컨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현상유닛(30)이 설치되고 각 현상유닛(30)에는 토너를 이송시키기 위한 분체이송장치(40)가 설치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1)의 내부에는 각 현상유닛(30)에 빛을 조사하는 네 개의 노광유닛(20)과, 각 현상유닛(30)에 토너에 의해 형성되는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유닛(60)과,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닛(70)이 설치된다. 이 이외에도 화상형성장치 본체(11)의 내부에는 인쇄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12)와, 공급장치(12)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장치(13)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현상유닛(30)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4)와, 정착유닛(7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롤러(15)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전사유닛(60)은 인쇄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벨트(61)와, 이송벨트(61)를 주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벨트구동롤러(62)와, 현상유닛(30)에 구비되 는 감광체(33)의 가시화상을 이송벨트(61)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매체로 전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사롤러(6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착유닛(70)은 고열을 발생하는 히팅롤러(71)와, 히팅롤러(71)와 접하여 회전하는 가압롤러(7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상유닛(30)은 하우징(31)과, 하우징(31)의 일단부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노광유닛(20)에서 조사되는 빛을 받아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3)와, 감광체(33)의 표면을 일정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장치(34)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33)에 토너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부재(35)와, 현상부재(35)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36)와, 공급롤러(36)로 토너를 이송시키는 분체이송장치(40)를 포함한다.
하우징(31)의 상부 일측에는 공급구(32)가 구비되고, 하우징(31)의 상부에는 하우징(31)으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통(50)이 결합된다. 토너통(50)의 토너는 공급구(32)를 통해 하우징(31)의 내부로 공급된다. 분체이송장치(40)는 공급구(32)를 통해 하우징(31)의 후방에 공급되는 토너를 하우징(31)의 전방에 설치되는 공급롤러(36)로 이송시킨다.
분체이송장치(40)는 토너가 놓이는 이송경로판(41)과, 이송경로판(41)의 표면에 돌출 구비되는 다수의 이송돌기(42)와, 이송경로판(41)을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장치(43)와, 이송경로판(41)과 충돌할 수 있도록 이송경로판(41)과 이격 설치되는 충돌부재(45)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체이송장치(40)는 진동발생장치(43)가 작동하여 이송경로판(41)이 진동하면 이송경로판(41) 표면의 토너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추진력을 받게 되고, 추진력을 받는 토너는 이송돌기(42)와의 작용에 의 해 공급롤러(36) 쪽으로 이송된다.
이송경로판(41)과 다수의 이송돌기(42)는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고,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송경로판(41)과 이송돌기(42)는 알루미늄, SUS, 놋쇠 등의 금속재질이나, 아크릴수지, 실리콘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등의 수지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경로판(41)과 이송돌기(42)의 표면에는 토너가 쉽게 부착될 수 없도록 실리콘이나 테프론 등의 코팅층(44)이 코팅된다.
도면에는 이송경로판(41) 및 이송돌기(42)를 측면에서 나타냈으므로 잘 표현되지는 않았으나, 이송경로판(41)은 일정한 폭을 갖는 장방형의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이송돌기(42)는 이송경로판(41)의 폭과 같은 길이를 갖는다. 이송돌기(42)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이송돌기(42)는 이송경로판(41)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이 좋으며, 인접하는 것 사이의 이격거리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진동발생장치(43)가 작동하여 이송경로판(41)이 진동하면 이송경로판(41) 표면의 분체 입자(P)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등방적인 추진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추진적을 받는 분체 입자(P)는 다수의 이송돌기(42)와의 작용에 의해 도면상 우측으로 이송된다. 이송돌기(42)에 의한 분체 입자(P)가 이송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돌기(42)의 높이(H)는 분체 입자(P)의 평균체적직경의 10배 이하인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송돌기(42)의 높이(H)가 분 체 입자(P)의 평균체적직경의 5배 이하인 것이 좋다. 그리고, 이송돌기(42)의 상류측 구배는 하류측 구배 보다 작다. 즉, 이송돌기(42)의 상류측 면(42a)이 이송경로판(41)의 표면과 이루는 상류각(α)은 이송돌기(42)의 하류측 면(42b)이 이송경로판(41)의 표면과 이루는 하류각(β)보다 작다. 이렇게 이송돌기(42)의 상류각(α)이 하류각(β)보다 작기 때문에, 상류측 면(42a)에 위치하는 분체 입자(P)가 중력(Fg)을 거슬러 상류측 면(42a)을 오르기 위한 힘(Fup)이 하류측 면(42b)에 위치하는 분체 입자(P)가 중력(Fg)을 거슬러 하류측 면(42b)을 오르기 위한 힘(Fdown)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진동발생장치(43)에 의해 추진력을 받는 분체 중 하류 방향으로 이동하는 분체의 양이 상류 방향으로 이동하는 분체의 양보다 많아 결과적으로 분체는 하류 방향으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이송돌기(42)의 상류각(α)은 1°~20°의 범위인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인 것이 좋다. 상류각(α)이 15°보다 크면 분체의 하류 방향으로의 이송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하류각(β)은 20°~150°의 범위인 것이 좋다. 하류각(β)이 이 범위를 벗어나면 분체의 충분한 이송성능을 얻을 수 없다.
진동발생장치(43)는 이송경로판(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경로판(41)을 진동시킨다. 진동발생장치(43)로는 압전소자나, 편심회전체를 갖는 진동모터, 편평형 진동브러시리스모터 등 이송경로판(41)을 진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진동발생장치(43)의 진동량은 분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체적평균직경이 8.0μm의 폴리에스테르수지로 된 분체를 이송시킬 경우 1~11G의 진동 량을 갖는 진동발생장치(43)가 이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기와 비용을 고려해서 진동발생장치(43)로는 편평형 진동브러시리스모터(예컨대, 일본공개특허 특개평5-38093호(1993. 02. 12. 공개)에 개시된 편평형 진동브러시리스모터)가 이용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모터의 회전수는 1000~100000rpm의 범위인 것이 좋다. 회전수가 1000rpm보다 작으면 충분한 이송성능을 확보할 수 없고, 회전수가 100000rpm보다 크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충돌부재(45)는 토너의 이송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토너 이송경로 상의 이송경로판(41)의 하류측에 이송경로판(41)의 단부와 다소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송경로판(41)과 충돌부재(45) 사이의 거리(D)는 진동발생장치(43)의 진동량, 진동발생장치(43)와 충돌부재(45) 사이의 거리, 이송경로판(41)의 재질에 따라 달라지지만, 0.1~1mm의 범위인 것이 좋다. 진동발생장치(43)에 의해 이송경로판(41)이 진동하면 이송경로판(41)의 단부가 충돌부재(45)에 충돌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경로판(41)의 속도는 감속되지만 이송경로판(41) 표면의 토너는 관성력에 의해 하류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에 의해 이송성능이 향상된다. 충돌부재(45)는 금속재질, 세라믹재질, 수지재질 등 충돌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7b는 이송돌기(42')(42")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송돌기(42)는 그 표면이 평면이 아닌 굴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체이송장치(80)를 개 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분체이송장치(80)는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분체이송장치(40)와 같이 이송경로판(81)의 표면에 다수의 이송돌기(83)가 배치되는 구성은 동일하고, 진동발생장치(84)가 이송경로판(41)의 상류측 단부에 설치되고, 충돌부재(85)가 이송경로판(81)의 하부에 설치된 것이다. 이송경로판(81)의 하부에는 충돌부재(85)와 충돌할 수 있는 충돌부(82)가 충돌부재(85)와 이격 구비된다. 이렇게 충돌부재(85)가 이송경로판(81)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이송되는 분체가 이송경로판(81)의 단부 및 충돌부재(85)의 충돌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발생장치(84)가 이송경로판(81)의 상류측 단부에 설치되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경로판(81) 표면의 분체 입자(P)가 하류측 방향으로 큰 추진력을 받아 분체의 이송성능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실제로 제작된 다양한 분체이송장치(40)의 이송성능에 대하여 실험 결과값을 토대로 설명한다.
<실시예1-1>
본 실시예에서는 일본공개특허 특개2006-348214호(2006. 12. 28. 공개)에 개시된 광조형법을 이용하여 이송경로판(41)을 제조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반장치를 구비한 용기에 지펜타에리스리토르헥사아크릴레이트 80g과, 에톡시화트리메티롤프로판토리아크릴레이트 20g과, CGI403 3g과, 4-디에틸티오크산톤 2g과,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5g과, Yellow6G Gran 2g과, SH28PA(치바 스페셜티 케미칼스社) 0.06g과, FM0411-TH(치바 스페셜티 케미칼스社) 0.18g과, 알릴에테르코폴리머(마리아림AAB-0851:일본유지(日本油脂)社) 6.5g을 첨가하여 60°C로 1시간 교반한 후에, 알루미나 입자(TM-DAR:대명화학공업(大明化學工業)社) 209g을 첨가하여 T.K. HOMODISPER(특수기화공업(特殊機化工業)社)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에 의하여 광경화성 액상조성물을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광경화성 액상조성물을 수용한 용기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스테이지 위에 상기 액상조성물 위치시켜 액상조성물의 박층을 형성한 후, 마스크와 스테이지를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이송경로판(41)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송경로판(41)의 표면에 다수의 이송돌기(42)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여기에서, 이송경로판(41)은 그 길이가 100mm, 폭이 20mm, 두께가 2mm이고, 이송돌기(42)는 높이(H)가 0.03mm, 상류각(α)이 5°, 하류각(β)이 90°이고 0.5mm간격으로 배치된다.
진동발생장치(43)는 동경파트공업사의 편평모터(FM88E)를 이용하고, 이를 이송경로판(41)의 상류 측 단부에 양면테이프(두께 0.1mm)를 이용하여 접착한다.
<실시예1-2>
이송돌기(42)의 상류각(α)이 10°로 된 것으로,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1-1과 같다.
<실시예1-3>
이송돌기(42)의 상류각(α)이 15°로 된 것으로,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1-1과 같다.
<실시예1-4>
이송돌기(42)의 상류각(α)이 30°로 된 것으로,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1-1과 같다.
이러한 네 가지 실시예의 분체이송장치(40) 각각에 대해 이송경로판(41)의 상류측 단부에 0.1g의 분체를 배치하고 분체가 하류측 단부까지 이송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다음의 <표1>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에 사용된 분체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착색제 및 왁스로 된 입자에 실리카, 이산화티타늄이 외첨 처리된 것으로, 체적평균직경이 8.3μm, 밀도 0.44g/cm3, 평균원형도 0.912이다.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도달시간(sec) 10 15 30 도달하지 못함
<표1>
<표1>을 살펴보면 상류각(α)이 작은 것이 이송성능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 의한 분체이송장치(40)는 이송돌기(42)의 높이(H)가 0.1mm, 이송돌기(42)의 간격이 1.5mm이고,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1-1과 동일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대해 상기 실험과 같은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분체는 상류측 단부에서 하류측 단부까지 도달하지 못하였다.
<실시예3>
본 실시예에 의한 분체이송장치(40)는 진동발생장치(43)가 이송경로판(41)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고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1-1과 동일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대해 상기 실험과 같은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분체가 상류측 단부에서 하류측 단부까지 도달하는데 25초가 소요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분체이송장치(40)(80)는 오거 타입, 코일스프링 타입, 벨트컨베이어 타입 등의 종래 분체이송장치에 비해 설치공간이 작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분체이송장치(40)를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30)에 설치되어 공급롤러(36)에 토너를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분체이송장치(40)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폐토너를 이송시키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생산설비를 비롯한 분체를 이송시키는 다른 다양한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현상유닛의 분체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분체이송장치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의한 분체이송장치의 이송돌기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체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화상형성장치 본체 20...노광유닛
30...현상유닛 31...하우징
33...감광체 34...대전장치
35...현상부재 36...공급롤러
40,80분체이송장치 41,81...이송경로판
42,83...이송돌기 43,84...진동발생장치
44...코팅층 45,85...충돌부재
82...충돌부

Claims (18)

  1. 분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분체이송장치에 있어서,
    분체가 놓이는 이송경로판과,
    상기 이송경로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와,
    상기 이송경로판에 놓이는 분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경로판의 표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이송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돌기는 분체 이송경로 상의 상류측 구배가 하류측 구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의 높이는 분체 입자의 체적평균직경의 10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상기 이송경로판의 상류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편평형 진동브러시리스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의 하류각이 20°~15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이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의 상류각이 1°~2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이송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판의 진동시 상기 이송경로판과 충돌하여 토너의 이송성능을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이송경로판과 이격 설치되는 충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이송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부재는 상기 이송경로판 보다 토너 이송경로 상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이송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판과 상기 다수의 이송돌기의 표면에는 분체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이송장치.
  10. 토너를 이송시키기 위한 분체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체이송장치는 토너가 놓이는 이송경로판과, 상기 이송경로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와, 상기 이송경로판에 놓이는 토너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경로판의 표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돌기는 토너 이송경로 상의 상류측 구배가 하류측 구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의 높이는 토너 입자의 체적평균직경의 10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상기 이송경로판의 상류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편평형 진동브러시리스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의 하류각이 20°~15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의 상류각이 1°~2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판의 진동시 상기 이송경로판과 충돌하여 토너의 이송성능을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이송경로판과 이격 설치되는 충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부재는 상기 이송경로판 보다 토너 이송경로 상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판과 상기 다수의 이송돌기의 표면에는 토너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86370A 2007-08-28 2007-08-28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20090021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370A KR20090021671A (ko) 2007-08-28 2007-08-28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12/166,662 US7899369B2 (en) 2007-08-28 2008-07-02 Powder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8101756769A CN101414145B (zh) 2007-08-28 2008-07-18 粉末传送装置及具有这种装置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370A KR20090021671A (ko) 2007-08-28 2007-08-28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671A true KR20090021671A (ko) 2009-03-04

Family

ID=4040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370A KR20090021671A (ko) 2007-08-28 2007-08-28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99369B2 (ko)
KR (1) KR20090021671A (ko)
CN (1) CN1014141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3346A (zh) * 2019-12-17 2021-06-18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集尘装置和空气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2559B2 (ja) * 2010-12-28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661065B2 (ja) * 2012-05-25 2015-01-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US9063463B2 (en) * 2012-11-30 2015-06-23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dvanced toner dispensing from rotating toner cartridge components
CN103176384A (zh) * 2013-04-01 2013-06-26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粉盒
JP2015092226A (ja) * 2013-10-01 2015-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粉体搬送機構、紛体搬送方法、現像剤収納容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463063B2 (ja) * 2014-10-02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489364B2 (ja) * 2015-04-30 2019-03-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01582B2 (ja) * 2015-03-27 2019-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381471B2 (ja) 2015-03-27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6184138A (ja) 2015-03-27 2016-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517A (en) * 1975-02-18 1976-08-10 Xerox Corporation Development device and method
JPH0538093A (ja) 1991-07-24 1993-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平型振動ブラシレスモータ
JP4294464B2 (ja) 2002-12-27 2009-07-1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076192B2 (en) 2002-12-27 2006-07-11 Ricoh Company, Ltd. Powder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6348214A (ja) 2005-06-17 2006-12-28 Jsr Corp 光造形用光硬化性液状組成物、立体造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779472B2 (ja) 2005-07-05 2011-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57790A (ja) 2005-08-24 2007-03-0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3346A (zh) * 2019-12-17 2021-06-18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集尘装置和空气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14145B (zh) 2013-03-06
US7899369B2 (en) 2011-03-01
US20090060590A1 (en) 2009-03-05
CN101414145A (zh)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1671A (ko) 분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612788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
US5950055A (en) Powder pump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powder pump and method therefor
EP1528438B1 (en) Printing device
JP6938982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182704B2 (en) Developer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ump to move the developer in a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er contained in a reservoir
EP1494094B1 (en) Waste toner transfer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the same
EP1681604B1 (en) A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6766132B2 (en) Developing device
EP1494093A1 (en) Waste toner transfer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dopting the same
JP2017072717A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137374A (ja) 現像剤供給装置、現像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7163790A (ja) 現像剤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10684572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26076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uxiliary image forming mechanism
KR101245853B1 (ko) 화상형성기기
JP2006258997A (ja) 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54162B2 (ja) トナー補給容器
US10663885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053689A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9078828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0018942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29348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391215B2 (ja) トナー搬送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61785A (ja) 粉体補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