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348B1 -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348B1
KR100529348B1 KR10-2003-0076212A KR20030076212A KR100529348B1 KR 100529348 B1 KR100529348 B1 KR 100529348B1 KR 20030076212 A KR20030076212 A KR 20030076212A KR 100529348 B1 KR100529348 B1 KR 10052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eveloper
counseling
developing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1155A (ko
Inventor
이현철
김정선
발레리 크라스노슬로보드체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6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348B1/ko
Priority to US10/964,617 priority patent/US7171137B2/en
Priority to CNB2004100879941A priority patent/CN100426150C/zh
Priority to EP04105388.5A priority patent/EP1528438B1/en
Publication of KR20050041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36Specific type of dry develope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현상장치는, 상담지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하면서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이송체와; 상담지체와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전에 의하여 상담지체와 현상제 이송체 사이의 현상영역에서 상담지체 및 현상제 이송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담지체와 현상제 이송체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현상이 이루어지는 비접촉식 현상방식에서 현상시 현상제의 비산을 방지하여 장치 내부의 현상제 오염을 방지하고,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디지털 복사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에 광을 주사하여 원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한 후, 이를 용지에 인쇄하는 기기이다.
도 1에는 종래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담지체(21)는 대전기(22)의 방전에 의하여 그 표면이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어서, 컴퓨터 또는 스캐너로부터 화상형성장치에 입력된 디지털 신호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 Laser Scanning Unit)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어레이 등과 같은 노광장치를 통해 광신호로 변환된다. 이러한 광신호는 상담지체(21) 상에 소정 형상의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때, 현상장치(24)의 현상제(28)는 공급롤러(26)에 의해 현상제 이송체(25)로 공급되고, 이 현상제 이송체(25)에 공급된 현상제(28)는 현상제 이송체(25)가 회전함에 따라 상담지체(21)와 현상제 이송체(25) 사이의 현상영역(A)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현상제 이송체(25)의 상부에 설치된 현상제층 규제부재(27)에 의하여 현상제 이송체(25)의 표면에는 현상제층이 일정한 두께로 규제된다. 다음으로, 상담지체(21)가 회전하여 상기 현상영역(A)을 지나게 되면 현상제 이송체(25)에 부착된 현상제(28)는 정전기력에 의하여 상담지체(21)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달라붙게 되고, 이에 따라 상담지체(21)상에는 가시 형태의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급지장치로부터 이송된 인쇄 매체(23)가 전사유닛(29)으로 진입하면 상담지체(2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상기 전사유닛(29)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인쇄매체(23)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인쇄매체(23)로 이동한 토너 화상은 정착유닛(30)의 열과 압력에 의하여 인쇄매체(23)에 정착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20은 상담지체(2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23)로 전사된 후, 상기 상담지체(21)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블레이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8'는 상기 클리닝블레이드(20)에 의하여 제거된 폐현상제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31은 현상장치(24) 내부의 현상제(28)를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이송체(25)와 상담지체(21)는 서로 대향하여 맞물려 돌아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현상영역(A)에서는 현상제 이송체(25)와 상담지체(21) 사이의 간격(gap)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현상제(28)가 현상제 이송체(25)로부터 상담지체(21)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현상제 이송체(25)의 회전속도는 상담지체(21)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현상제 이송체(25)에 부착된 현상제(28)는 현상영역(A)을 통과하면서 상담지체(21)와 현상제 이송체(25) 사이의 전위차에 따른 정전기력에 의하여 상담지체(21)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현상제 이송체(25) 및 상담지체(21)는 모두 드럼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현상영역(A)도 노즐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노즐 형상의 현상영역(A)에서, 상담지체(21)와 현상제 이송체(25)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a)이 형성된다. 그리고, 급지장치에 의해 이송된 인쇄매체(23)가 전사수단(29)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현상장치(24)와 인쇄매체(23)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b)이 형성된다. 따라서, 현상영역(A)에서 정전기력에 의하여 정전잠상 영역으로 이동하는 미세한 현상제(28) 입자는 상기와 같은 공기흐름(a,b)에 의하여 교란된다. 특히, 대전량이 불충분한 현상제(28) 입자는 정전기력에 비해 공기 흐름(a,b)의 영향이 더 커져서 정전잠상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담지체(21)의 비화상 영역에 부착되어 화상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공기 흐름(a,b)을 따라 화상형성장치 내부로 비산되어 장치 내부를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인쇄매체(23)를 전사수단(29)으로부터 정착수단(30)으로 안내하는 용지 가이드(51)를 오염시켜서 용지 가이드(51)에 접촉하는 인쇄매체(23)의 선단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현상제 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상장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2개의 팬(fan5,15)을 이용하여 상담지체(1)와 현상제 이송체(2a) 사이의 현상영역에서 발생하는 공기 흐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강제 대류시킨 후, 흡기 및 배기 덕트(3,13)를 통하여 상기 현상영역에 통과시키면 현상제는 다른 곳으로 비산되지 않고 현상장치(2) 외부에 설치된 필터(4)쪽으로 이동하여 집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현상장치(2)에서는 흡기 및 배기 덕트(3,13)와 2개의 팬(5,15)이 설치되어야 하고, 제어장치(6)를 통하여 풍량이 제어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상장치(2)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가격이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비산한 현상제가 집진되는 필터(4)를 적정한 시점에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크기가 수 미크론(micron)인 현상제 입자들의 거동을 팬(5,15)의 풍량으로 제어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즉, 풍량이 과다하면 집진되는 현상제의 양이 많아져서 필터(4) 교환 주기가 빨라지고, 반대로 풍량이 적으면 비산 방지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담지체와 현상제 이송체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현상이 이루어지는 비접촉식 현상방식에서 현상시 현상제의 비산을 방지하여 장치 내부의 현상제 오염을 방지하고,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형화 및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는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는,
상담지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이송체와;
상기 상담지체와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이송체 사이의 현상영역에서 상기 상담지체 및 현상제 이송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선속도는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선속도와 같거나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선속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상에 마련되는 회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회전하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외주면에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이송체와, 상기 상담지체와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이송체 사이의 현상영역에서 상기 상담지체 및 현상제 이송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121)와, 상기 상담지체(121)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122)와, 대전된 상기 상담지체(121)에 광을 주사하여 소정 형상의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노광장치(미도시)와,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124)와, 상기 상담지체(12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123)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129)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현상장치(124)는 상기 상담지체(121)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하면서 상담지체(12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이송체(125)와,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에 현상제(128)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26)와, 현상제 이송체(125)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러(126)에 의해 현상제 이송체(125)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층을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규제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127)와,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의 하부에 상기 상담지체(121)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회전부재(150)를 구비한다.
도 3에서, 참조부호 120은 상담지체(12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123)로 전사된 후, 상기 상담지체(121)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블레이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28'는 상기 클리닝블레이드(120)에 의하여 제거된 폐현상제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131은 현상장치(124) 내부의 현상제(128)를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60은 현상장치(124)의 외벽을 이루는 하우징을 나타낸다.
상기 대전기(122)는 상담지체(121)에 전압을 인가하여 그 표면 전위가 대략 -600 ~ -700V 범위 내에서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대전기(122)는 상담지체(121)와 접촉하는 도전성 고무롤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노광장치(미도시)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어레이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노광장치에 의해 컴퓨터 또는 스캐너로부터 화상형성장치에 입력된 디지털 신호가 광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러한 광신호가 상담지체(121) 상에 소정 형상의 정전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사유닛(129)은 상담지체(121)와 접촉하는 도전성 스폰지롤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전사유닛(129)에는 상담지체(12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123)로 전사시키기 위해 고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는 현상영역(A)에서 상담지체(121)와의 간격이 대략 150 ~ 300㎛ 범위 내에서 일정한 값이 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의 양단에는 디스크 형상의 간격유지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로는 도전성 고무 롤러 또는 원통형 알루미늄을 샌드블라스트(Sand Blast)처리후 니켈(Ni) 도금한 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현상제층 규제부재(127)는 탄성력을 갖는 스테인리스(stainless) 박판(두께가 대략 0.06~1.0㎜)을 L자로 절곡함으로써 제조되며, 이러한 현상제층 규제부재(127)는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스틸 강판으로 이루어진 현상장치(124)의 하우징(160)에 장착된다. 상기 현상제층 규제부제(127)가 장착되면, 현상제 이송체(125)에 의해 스테인리스 박판에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일정한 선압(line force)을 가지는 탄성력이 현상제 이송체(125)에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현상제(128)는 바인더 수지로 폴리에스터(Polyester) 수지를 사용하는 1성분 비자성 현상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현상제 이송체(125), 공급롤러(126) 및 현상제층 규제부재(127)에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데, 이러한 전원 공급부에는 DC전압에 사각파형(rectangular)의 AC전압을 중첩한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사용환경 및 조건에 따라 가변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150)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현상장치(124)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50)는 상기 상담지체(121)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150)는 그 회전에 의하여 상담지체(121)와 현상제 이송체(125) 사이의 현상영역(A)에서 상담지체(121)와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킨다.이러한 회전부재(150)의 사시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150)는 그 양단이 현상장치(124)의 하우징(160)에 장착되는 회전축(151)과, 상기 회전축(151)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1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날개(152)들의 모양이나 개수는 사용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50)는 현상영역(A)에서 상담지체(121)와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담지체(12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날개(152)의 회전 선속도는 상기 상담지체(121)의 회전 선속도와 동일하거나 상기 상담지체(121)의 회전 선속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150)는 그 회전 구동력을 현상제 이송체(125)의 일단부에 조립된 구동기어로부터 연결 기어를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부재(150)는 독립된 구동수단이나 다른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124)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회전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250)는 그 양단이 현상장치(124)의 하우징(160)에 장착되는 회전축(251)과, 상기 회전축(251)상에 마련되는 드럼 형상의 회전롤러(2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250)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담지체(12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롤러(252)의 회전 선속도는 상기 상담지체(121)의 회전 선속도와 동일하거나 상기 상담지체(121)의 회전 선속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된 회전부재들(150,250)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회전에 의하여 현상영역(A)에서 상담지체(121)와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회전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담지체(121)는 대전기(122)의 방전에 의하여 그 표면이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어서, 컴퓨터 또는 스캐너로부터 화상형성장치에 입력된 디지털 신호가 노광장치에 의하여 광신호로 변환되고, 이 광신호는 상담지체(121) 상에 소정 형상의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는 상기 상담지체(12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지체(121)와 맞물려 돌아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는 현상제(128)가 상담지체(121)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상담지체(121)의 회전 선속도보다 대략 1.1 ~ 1.6배 정도 빠르게 회전한다.
현상장치(124) 내의 현상제(128)는 공급롤러(126)에 의해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에 공급된 현상제(128)는 현상제층 규제부재(127)를 통과하면서 마찰대전에 의해 적정한 대전량을 갖게 되는 동시에 일정한 두께로 규제된다.
이렇게 규제된 현상제 이송체(125)상의 현상제(128)는 상담지체(121)와 현상제 이송체(125) 사이의 현상영역(A)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현상제(128)는 현상영역(A)을 왕복운동하면서 상담지체(121)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121)상에는 가시 형태의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급지장치(미도시)로부터 이송된 인쇄 매체(123)가 전사유닛(129)으로 진입하면 상기 상담지체(12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상기 전사유닛(129)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인쇄매체(123)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인쇄매체(123)로 이동한 토너 화상은 정착유닛의 열과 압력에 의하여 인쇄매체(123)에 정착된다.
한편, 현상 작업시 현상영역(A)에서는 상담지체(121)와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에 의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공기흐름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공기흐름에 의하여 대전량이 불충분한 현상제(128) 입자는 상기한 공기흐름을 타고 현상영역(A)을 벗어나 비산하였다. 그리고, 급지장치(미도시)로부터 이송되어 온 인쇄매체(123)가 전사유닛(129)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123)의 표면을 타고 들어오는 공기흐름이 전술한 공기흐름과 서로 만나서 기기 내부로 흩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비산되는 현상제(128)가 기기 내부를 오염시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영역(A)에서 상담지체(121)와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향하는 공기흐름을 상쇄시키는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현상제 이송체(125)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부재(15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50)는 상기 상담지체(12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재(150)가 회전하게 되면, 상담지체(121)와 회전부재(150) 사이에는 회전날개(152)들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c) 즉, 위쪽 방향으로 공기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현상영역(A)에서 상담지체(121)와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흐름과 회전부재(15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흐름이 서로 상쇄된다. 그 결과, 대전량이 불충분한 현상제(128) 입자도 기기 내부로 비산되지 않고 현상제 이송체(125)에 재부착되어 현상장치(124)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15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흐름의 양은 회전날개(152)의 형상 및 개수, 회전속도의 조절 등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현상제 이송체와 회전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124')는 현상제 이송체(125)의 하부에 상담지체(121)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회전부재(3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현상장치(124)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회전축(351)과, 상기 회전축(351)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352)와, 상기 회전축(351)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판(35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날개(152)들의 모양이나 개수는 사용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353)들은 현상제 이송체(12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들이 각각 회전하는 현상제 이송체(125)의 외주면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판(353)들은 상기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판(353)들 사이에 마련된 회전날개(352)들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350)가 회전하면, 상담지체(121)와 회전부재(350) 사이에는 상담지체(121)와 현상제 이송체(125)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이 발생하게 되어 현상제(128)가 기기 내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현상영역에서 상담지체와 현상제 이송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킴으로써 현상제가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내부가 현상제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인쇄매체의 비화상영역에 원하는 않는 현상제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현상제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종래보다 간단하기 때문에 현상장치의 소형화 및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현상제 이송체와 회전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클리닝블레이드 121... 상담지체
122... 대전기 123... 인쇄매체
124... 현상장치 125... 현상제 이송체
126... 공급롤러 127... 현상제층 규제부재
128... 현상제 128'... 폐현상제
129... 전사유닛 131... 교반기
150,250,350... 회전부재 A... 현상영역

Claims (14)

  1. 상담지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이송체와;
    상기 상담지체와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이송체 사이의 현상영역에서 상기 상담지체 및 현상제 이송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회전하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외주면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선속도는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선속도와 같거나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선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축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축상에 마련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7. 삭제
  8. 삭제
  9.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이송체와, 상기 상담지체와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이송체 사이의 현상영역에서 상기 상담지체 및 현상제 이송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회전하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외주면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판을 포함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선속도는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선속도와 같거나 상기 상담지체의 회전 선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축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축상에 마련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3-0076212A 2003-10-30 2003-10-30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52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212A KR100529348B1 (ko) 2003-10-30 2003-10-30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0/964,617 US7171137B2 (en) 2003-10-30 2004-10-15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CNB2004100879941A CN100426150C (zh) 2003-10-30 2004-10-26 显影装置和成像设备及其方法
EP04105388.5A EP1528438B1 (en) 2003-10-30 2004-10-28 Prin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212A KR100529348B1 (ko) 2003-10-30 2003-10-30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155A KR20050041155A (ko) 2005-05-04
KR100529348B1 true KR100529348B1 (ko) 2005-11-21

Family

ID=3724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212A KR100529348B1 (ko) 2003-10-30 2003-10-30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4884B2 (ja) * 2006-12-27 2012-07-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172354B2 (ja) * 2018-09-25 2022-11-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155A (ko)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8438B1 (en) Printing device
EP2058711A2 (en) Lubricant application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2011053340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052207A (ja) 画像形成装置
EP1681604B1 (en) A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4336353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5971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51263A (ja) 潤滑性付与剤塗布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29348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811101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7164066A (ja) 現像機及び画像形成装置
JP4538044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59718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629675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0421965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89594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530964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27202B1 (ko)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JP6635053B2 (ja) 画像形成装置
JP3684342B2 (ja) 転写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656165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67975A (ja) 画像形成装置
JPH103136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58044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2020020951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