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323A -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323A
KR20090020323A KR1020070085002A KR20070085002A KR20090020323A KR 20090020323 A KR20090020323 A KR 20090020323A KR 1020070085002 A KR1020070085002 A KR 1020070085002A KR 20070085002 A KR20070085002 A KR 20070085002A KR 20090020323 A KR20090020323 A KR 20090020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file
signal
sound effec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879B1 (ko
Inventor
김세나
이윤철
강인권
권경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8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91Means for obtaining special acoustic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195Modulation effects, i.e. smooth non-discontinuous variations over a time interval, e.g. within a note, melody or musical transition, of any sound parameter, e.g. amplitude, pitch, spectral response, playback speed
    • G10H2210/241Scratch effects, i.e. emulating playback velocity or pitch manipulation effects normally obtained by a disc-jockey manually rotating a LP record forward and backwar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65Key design details; Speci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keys of a keyboard; Key-like musical input devices, e.g. finger sensors, pedals, potentiometers, se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리믹싱 기능을 가지는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요청된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고, 소정의 효과음 파일을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에 믹싱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미리 설정된 효과음 파일을 디코딩하여 효과음 신호로 출력한 후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효과음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악 청취할 시 자신이 원하는 음악으로 리믹싱하여 청취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70085002
오디오 재생, 리믹싱, 음악 편집

Description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UDIO DATA}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디오 파일 재생 시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을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로 직접 리믹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재생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재생 장치에 미리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을 재생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해당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을 재생한다. 이때, 사용자는 오디오 재생 장치에 구비된 정지, 되감기, 감기와 같은 기능 키 버튼들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을 정지하거나 일정시간 동안 되감기 또는 감기를 한 후 재생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오디오 재생 장치는 오디오 재생 장치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재생 장치를 움직일 경우 오디오 재생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이 감지된 시간 동안만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에 효과음을 믹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오디오 재생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오디오 재생 장치에 미리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을 재생하거나 되감기 또는 감기를 한 후 재생하는 것과 같은 단순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제공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여 움직임이 감지된 시간동안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에 효과음을 믹싱한다고 하더라도 마치 DJ가 LP 판을 스크레치하거나 효과음을 믹싱하듯이 음악을 리믹싱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디오 파일 재생 시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을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파일로 리믹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과 적어도 하나의 효과음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입력되는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더와, 입력되는 효과음 파일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효과음 디코더와, 상기 오디오 디코더를 통해서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효과음 디코더를 통해서 디코딩된 효과음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서부와, 소정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요청된 오디오 파일을 상기 오디오 디코더로 출력하고, 소정의 효과음 파일을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에 믹싱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효과음 파일을 상기 효과음 디코더로 출력한 후 상기 믹서부를 통해서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효과음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오디오 리믹싱 기능을 가지는 오디오 재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요청된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제 1과정과, 소정의 효과음 파일을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에 믹싱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미리 설정된 효과음 파일을 디코딩하여 효과음 신호로 출력한 후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효과음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2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치 DJ가 LP 판을 스크레치하거나 효과음을 믹싱하듯이 오디오 파일 재생 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으로 리믹싱하여 청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리믹싱 기능을 가지는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오디오 파일 재 생 시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을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로 리믹싱함으로써 마치 DJ가 재생 중인 음악을 리믹싱하듯이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으로 리믹싱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도록 한다.
그러면 이제 도 1를 참조하여 리믹싱 기능을 가지는 오디오 재생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100)는 오디오 재생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01)를 통해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을 독출하여 오디오 디코더(104)를 통해서 디코딩한 후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믹서(106)를 통해서 오디오 처리부(107)로 출력하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여 오디오 처리부(107)의 스피커(SPK)를 통해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는 중에 접촉 감지 센서부(102)와 같은 감지 센서를 통해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접촉에 따른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입력된 감지 신호에 따라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을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만큼 이전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거나 다음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에 소정의 효과음 파일을 믹싱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효과음 파일을 독출하여 효과음 디코더(105)를 통해서 디코딩한 후 효과음 신호로 출력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믹서(106)를 통해서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디코딩된 효과음 신호 를 믹싱하여 오디오 처리부(107)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믹싱된 오디오 신호와 효과음 신호를 청취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처리부(107)의 스피커(SPK)를 통해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2(a)의 200과 같은 접촉 감지 센서부(102)로부터 반시계 방향의 접촉에 따른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오디오 디코더(104)를 통해서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을 해당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 만큼 이전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또한, 접촉 감지 센서부(102)로부터 시계 방향의 접촉에 대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을 해당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 만큼 다음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또한, 키 입력부(101)를 통해서 도 2의 (a)에서 201과 같이 소정의 효과음 파일을 믹싱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효과음 파일을 독출하여 효과음 디코더(105)를 통해서 디코딩한 후 효과음 신호로 믹서(106)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디코딩된 효과음 신호를 믹서(106)를 통해서 믹싱하여 오디오 처리부(107)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믹싱된 오디오 신호와 효과음 신호를 청취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화여 오디오 처리부(107)의 스피커(SPK)를 통해서 출력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에 사용자에 의해서 효과음이 믹싱된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키 입력부(101)는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키, 적어도 하나의 효과음을 믹싱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값의 데 이터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또한, 접촉 감지 센서부(102)는 사람의 손가락과 같은 대상의 접촉에 따른 접촉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접촉 감지 센서부(102)는 대상의 접촉이 있으면 이러한 접촉에 따른 접촉 감지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는 접촉 감지 센서부(200) 이외에 도 2의 (a)와 같이 휠 스크롤 키(2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휠 스크롤 키(210)로부터 상하로 스크롤링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이러한 스크롤링 입력에 따라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을 이전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거나 다음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 재생 장치는 휠 스크롤 키(210) 입력이 있으면 휠 스크롤 키(210)의 입력이 있는 동안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에 효과음 파일을 믹싱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103)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효과음 파일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03)는 접촉 감지 신호에 따른 오디오 재생 동작을 저장한다.
또한, 오디오 디코더(104)는 입력된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그리고, 효과음 디코더(105)는 입력된 효과음 파일을 디코딩하여 효과음 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믹서(106)는 오디오 디코더(104)로부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107)로 출력한다. 그리고, 믹서(106)는 오디오 디코더(104)로부터 디코 딩된 오디오 신호와 효과음 디코더(105)로부터 디코딩된 효과음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07)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로 구성되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 또는 믹서(106)를 통해서 믹싱된 오디오 신호와 효과음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서 출력한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07)가 디지털 신호를 출력 가능한 스피커(SPK)를 구비할 경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필요 없이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107)의 스피커(SPK)를 통해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을 리믹싱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100)는 300단계에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30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01)를 통해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지 검사하여 요청이 있으면 30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1단계에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지 계속적으로 검사한다. 302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을 독출하여 오디오 디코더(104)를 통해서 디코딩한 후 믹서(106)를 통해서 오디오 처리부(106)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처리부(107)의 스피커(SPK)를 통해서 출력한다. 303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접촉 감지 센서(102)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감시 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3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5단계로 진행하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에 소정의 효과음 파일을 믹싱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지 검사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효과음 파일을 믹싱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3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9단계를 진행한다. 306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03)를 통해서 소정의 효과음 파일을 독출하여 효과음 디코더(105)를 통해서 디코딩한 후 효과음 신호로 믹서(106)에 출력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디코딩된 효과음 신호를 믹서(106)를 통해서 믹싱하여 오디오 처리부(107)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믹싱된 오디오 신호와 효과음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처리부(107)의 스피커(SPK)를 통해서 출력한다.
한편, 303단계에서 304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되감기 또는 감기를 위한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되감기를 위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308단계로 진행하고, 감기를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307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되감기 또는 감기를 위한 감지 신호는 접촉 감지 센서부(102)를 통해서 입력되는 반시계 방향의 접촉에 따른 감지 신호 또는 시계 방향의 접촉에 따른 감지 신호가 될 수 있다. 307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을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만큼 다음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한다. 그리고, 308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을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만큼 이전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한다. 305단계, 306단계, 307단계, 308단계에서 309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종료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지 검사하여 요청이 있으면 오디오 파일 재생 과정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302단계로 진행하여 계속적으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을 자신이 원하는 음악으로 리믹싱하여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오디오 리믹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오디오 리믹싱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Claims (6)

  1. 오디오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과 적어도 하나의 효과음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입력되는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더와,
    입력되는 효과음 파일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효과음 디코더와,
    상기 오디오 디코더를 통해서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효과음 디코더를 통해서 디코딩된 효과음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서부와,
    소정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요청된 오디오 파일을 상기 오디오 디코더로 출력하고, 소정의 효과음 파일을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에 믹싱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효과음 파일을 상기 효과음 디코더로 출력한 후 상기 믹서부를 통해서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효과음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 재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대상의 접촉에 따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감지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부를 통해서 반시계 방향의 접촉에 따른 감지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을 상기 감지 신호가 입 력된 시간만큼 이전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 재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부를 통해서 시계 방향의 접촉에 따른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을 상기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만큼 다음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 재생 장치.
  4. 접촉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오디오 리믹싱 기능을 가지는 오디오 재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요청된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과정과,
    소정의 효과음 파일을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에 믹싱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미리 설정된 효과음 파일을 디코딩하여 효과음 신호로 출력한 후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코딩된 효과음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 재생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 센서를 통해서 반시계 방향의 접촉에 따른 감지 신호가 입력 되면 상기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을 상기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만큼 이전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 재생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 센서를 통해서 시계 방향의 접촉에 따른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재생 중인 오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을 상기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만큼 다음 재생 시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 재생 방법.
KR1020070085002A 2007-08-23 2007-08-23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394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002A KR101394879B1 (ko) 2007-08-23 2007-08-23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002A KR101394879B1 (ko) 2007-08-23 2007-08-23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323A true KR20090020323A (ko) 2009-02-26
KR101394879B1 KR101394879B1 (ko) 2014-05-14

Family

ID=4068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002A KR101394879B1 (ko) 2007-08-23 2007-08-23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8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6601A (zh) * 2015-03-28 2015-07-08 王评 啦啦操音乐自动混合器
KR102111990B1 (ko) * 2019-03-14 2020-05-18 장석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54B1 (ko) * 2004-07-02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음악 데이터와 함께사운드 효과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74533B1 (ko) * 2005-12-08 200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입력 장치를 이용한 사운드 효과발생 방법
KR100658151B1 (ko) * 2006-02-13 2006-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mp3 재생 포지션 설정 방법 및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6601A (zh) * 2015-03-28 2015-07-08 王评 啦啦操音乐自动混合器
KR102111990B1 (ko) * 2019-03-14 2020-05-18 장석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879B1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4950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230179A1 (en) Digital audio data reproducing apparatus
KR101394879B1 (ko)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14187413A (ja) 音響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63493B1 (ko) Mp3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6244648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及びスキャン再生制御方法
KR100357241B1 (ko)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서의 반복재생구간 설정제어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파일재생장치 및 저장매체
US7385129B2 (en) Music reproducing system
JP2006146996A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2010225235A (ja) 車載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方法
JP2006308993A (ja) 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KR100353512B1 (ko) 엠피쓰리용 컴팩트 디스크 재생장치
WO2019051689A1 (zh) 一种用于智能终端的声音控制方法及声音控制装置
JP2001160266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KR20070014768A (ko) 동작감지 기능을 가지는 mp3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
TW201015254A (en) Robot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tone and robot apparatus
JP6810527B2 (ja) 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システム、並びに再生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50117776A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악 및 보이스 믹싱 기록장치및 방법
WO2013121579A1 (ja) 楽曲再生装置、楽曲再生方法、楽曲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楽曲再生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2004303409A (ja) ディジタル音声信号再生システム
JP2021039386A (ja) 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システム、並びに再生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224639B1 (ko)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악 재생방법
JP3114560B2 (ja) 音声メモリ再生装置
JP6145320B2 (ja) 音声再生装置、音声再生システム、音声再生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30030044A (ko)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