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044A -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044A
KR20130030044A KR1020110093551A KR20110093551A KR20130030044A KR 20130030044 A KR20130030044 A KR 20130030044A KR 1020110093551 A KR1020110093551 A KR 1020110093551A KR 20110093551 A KR20110093551 A KR 20110093551A KR 20130030044 A KR20130030044 A KR 20130030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data
output
data process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662B1 (ko
Inventor
권준호
이형일
김기만
김연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6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40Visual indication of stereophonic sound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는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 또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장치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하는 출력방식 인식부, 출력방식을 모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출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출력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음향 데이터를 선택된 출력방식에 따라 음향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DATA PROCESSING}
본 발명은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 데이터의 출력방식을 음향출력장치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는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향 데이터(audio data)는 일반적으로 입출력 채널이 하나인 모노(mono), 두 개인 스테레오(stereo), 또는 그 이상의 채널을 갖는 멀티채널(multi-channel)로 구성된다. 음향 데이터는 홈 시어터(home theater), 컴퓨터(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blu-ray disc player)와 같은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된다. 이러한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면, 음향출력장치는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향출력장치와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는 연결되고, 경우에 따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 스마트 폰, 엠피쓰리 플레이어(MP3 player), 컴퓨터와 같이 이동이 편리한 재생장치와 텔레비전(television), 홈 시어터와 같은 고정형 재생장치를 서로 연결하여,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전송할 수도 있다.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장치도 입출력 채널의 개수에 따라, 모노, 스테레오, 멀티채널 음향출력장치로 구분된다. 멀티채널 음향출력장치는 5.1채널, 7.1채널, 10.1채널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5.1 채널 음향출력장치는 전방우측음 신호(FR), 후방우측음 신호(RR), 전방좌측음 신호(FL) 후방좌측음 신호(RL), 센터음 신호(C)를 각각 출력하는 5개의 스피커(speaker)와 우퍼음 신호(W)를 출력하는 우퍼(woofer)로 이뤄진다.
한편,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에서 재생된 음향 데이터를 음향출력장치로 출력하는 경우, 음향 데이터의 채널 수와 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장치의 채널 수가 같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모노 또는 스테레오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여 멀티채널 음향출력장치로 출력하는 경우 또는 멀티채널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테레오 음향출력장치에서 재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음향 데이터의 출력방식이 결정되어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음향 데이터는 웨이브 오디오 포맷(wave audio format), 엠피쓰리(MPEG audio layer-3), 에이씨쓰리(audio codec 3)와 같은 코덱(codec)에 의해 인코딩(encoding)된다. 인코딩된 음향 데이터를 저장한 재생장치를 다른 재생장치와 연결하고 음향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를 전송 받은 재생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음향 데이터를 전송 받은 재생장치가 음향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 코덱이 없어 음향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향 데이터의 출력방식을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 데이터의 코덱의 종류와 상관 없이,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에서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는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 또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장치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하는 출력방식 인식부, 출력방식을 모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출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출력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음향 데이터를 선택된 출력방식에 따라 음향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신호 처리부는 음향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디코더 및 선택된 출력방식에 따라 디코드한 음향 데이터를 인코드하는 인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코더는 선택된 출력방식 및 음향 출력장치의 디코더 종류에 따라, 음향 데이터를 인코드할 수 있다.
한편, 음향 데이터는 복수이고,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는 디코드한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음량을 유지하는 음량 제어부 및 디코드한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하나의 음향 데이터로 병합하는 믹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방식 인식부는 이디아이디(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통해 음향 출력장치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이용하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은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하는 단계,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장치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수단에 출력방식을 모두 표시하는 단계, 출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출력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음향 데이터를 선택된 출력방식에 따라 음향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결정하여 음향 출력장치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음향 출력장치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선택하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데이터의 코덱에 상관없이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 또는 음향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 이와 연결된 음향 출력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의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가 음향 출력장치를 통해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표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의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1), 이와 연결된 음향 출력장치(2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1)는 음향 출력장치(20)와 연결된다. 일례로,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1)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케이블(cable)과 같은 유무선 데이터 전송수단을 통해 음향 출력장치(20)와 연결된다.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1)는 음향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컴퓨터, 모바일 기기, 스마트 폰, 엠피쓰리 플레이어(MP3 player), 텔레비전 등일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1)가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향 출력장치(20)에 출력하게 되면, 음향 출력장치(20)는 스피커 또는 우퍼로 음향 데이터의 재생에 따른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 데이터를 텔레비전에 연결하여 텔레비전에 내장되어 있는 스피커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피커, 우퍼 또는 트위터(tweeter)와 같은 음향 출력장치(20), 음향 출력장치(20)와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1)가 따로 분리되어 연결된 형태 또는 음향 출력장치(20)와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1)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형태에 대해서 음향 출력장치(20)로 용어를 통일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1)는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와 연결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폰과 음향 출력장치(20)를 서로 연결하여 음향 데이터를 용이하게 소리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의 각 구성요소들은 각각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구성요소가 서로 통합되어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기능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1)에 기능적으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의 각 구성요소들을 그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출력방식 인식부(100), 제어부(200), 디스플레이부(3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 신호처리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출력방식 인식부(100)는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 또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장치(20)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한다. 이때, 음향 데이터는 복수일 수 있다. 음향채널 출력방식은 모노, 스테레오, 멀티채널 방식이 있으며, 일례로, 출력방식 인식부(100)는 음향 데이터의 출력방식이 스테레오이고, 음향 출력장치(20)의 출력방식이 5.1 채널인 경우, 이를 인식하고 각각의 음향 출력방식을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이때, 출력방식 인식부(100)는 이디아이디(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통해 음향 출력장치(20)의 출력방식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방식 인식부(100)는 음향 데이터의 코덱 종류 및 음향 출력장치(20)의 디코더 종류를 인식하여 이를 제어부(20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방식 인식부(100)는 수신한 음향 데이터를 제어부(200)를 통해 신호처리부(50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음향 데이터와 음향 출력장치(20)의 음향 출력방식을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음향 데이터와 음향 출력장치(20)가 출력 가능한 음향 출력방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장치(20)가 5.1채널 출력방식을 가진 출력장치인 경우, 음향 출력장치(20)는 모노, 스테레오, 5.1채널 방식을 지원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300)는 모노, 스테레오, 5.1채널 방식을 모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를 포함하는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1) 또는 음향 출력장치(20)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출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출력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일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부(300)와 결합된 터치 패널로 구성되거나,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와 원격으로 연결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음향 출력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출력방식 인식부(100)로부터 출력된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디스플레이부(30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음향 데이터를 신호처리부(500)로 출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신호 처리부가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출력방식에 따라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장치(20)로 출력하도록 신호처리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음향 출력장치(20)의 디코더(510)가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음향 출력장치(20)의 디코더(510)가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 제어부(200)는 신호처리부(500)를 통해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장치(20)의 디코더(510)가 디코딩 할 수 있도록 인코딩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음향 데이터의 코덱이 에이씨쓰리로 이루어지고 음향 출력장치(20)가 웨이브 오디오 포맷을 디코딩하는 디코더(510)가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신호처리부(500)를 통해 음향 데이터의 코덱을 웨이브 오디오 포맷으로하여 음향 데이터를 인코딩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신호 처리부는 디코더(510), 음량 제어부(200), 믹서(530), 인코더(540)를 포함한다. 디코더(510)는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PCM(pulse code modulation)으로 디코딩한다. 디코더(510)는 시간-주파수 변환(time-to-frequency mapping)을 사용하여 입력 채널의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코더(510)는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음량 제어부(520)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데이터가 복수인경우, 디코더(510)는 복수의 음량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음량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음량 제어부(520)는 디코딩된 오디오 PCM의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디코더(510)가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복수의 오디오 PCM으로 디코딩한 경우, 복수의 오디오 PCM의 음량을 유지하여 믹서(530)로 출력할 수 있다.
믹서(530)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PCM을 하나의 오디오 PCM으로 병합하여 믹싱하거나, 멀티채널 오디오 PCM을 모노 또는 스테레오 오디오 PCM으로 다운 믹싱할 수 있다. 또한, 믹서(530)는 모노 오디오 PCM을 스테레오 또는 멀티채널 오디오 PCM으로 믹싱할 수 있다. 즉, 믹서(5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수에 따라, 디코더(51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PCM을 믹싱하여 인코더(540)로 출력한다.
인코더(540)는 오디오 PCM을 시간-주파수 변환을 사용하여 음향 데이터로 인코딩한다. 또한, 인코더(540)는 음향 출력장치(20)의 디코더(510)의 종류에 따라, 오디오 PCM을 인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인코딩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장치(20)로 출력한다. 이때,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이용하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방식 인식부(100)는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과 음향 출력장치(20)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S10)한다. 음향채널 출력방식은 모노, 스테레오, 멀티채널방식일 수 있으며, 출력방식 인식부(100)는 이디아이디를 통해 음향 출력장치(20)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출력방식 인식부(100)는 음향 출력장치(20)의 디코더(510)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300)는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과 음향 출력장치(20)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표시(S20)한다. 즉, 디스플레이부(300)는 사용자에게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과 음향 출력장치(20)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모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표시한 음향채널 출력방식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S30)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음향채널 출력방식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장치(20)로 출력(S40)한다.
도 4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의 디코더(510)는 음향 데이터를 디코딩(S400)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음향채널 출력방식으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해, 디코더(510)는 음향 데이터의 코덱의 종류에 따라 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PCM으로 디코딩한다.
그리고, 믹서(530)는 오디오 PCM을 믹싱(S410)한다. 일례로, 믹서(530)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PCM을 하나의 오디오 PCM으로 병합하여 믹싱하거나, 멀티채널 오디오 PCM을 모노 또는 스테레오 오디오 PCM으로 다운 믹싱한다. 또한, 믹서(530)는 모노 오디오 PCM을 스테레오 또는 멀티채널 오디오 PCM으로 믹싱할 수 있다. 즉, 믹서(5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수에 따라, 디코더(51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PCM을 믹싱한다. 또한, 믹서(530)는 음향 데이터가 복수인 경우, 디코드한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음량을 유지하여 하나의 음향 데이터로 병합할 수 있다.
인코더(540)는 오디오 PCM을 시간-주파수 변환을 사용하여 음향 데이터로 인코딩(S420)한다. 또한, 인코더(540)는 음향 출력장치(20)의 디코더(510)의 종류에 따라, 오디오 PCM을 인코딩할 수 있다. 즉, 인코더(540)는 믹서(53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PCM을 사용자가 선택한 음향채널 출력방식 및 음향 출력장치(20)의 디코더(510)의 종류에 따라 인코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장치(20)로 출력(S430)한다. 이때,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장치(20)에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장치(20)는 사용자에게 소리를 통해 음향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300)가 음향채널 출력방식(310)을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2채널 스테레오, 4채널 또는 5.1채널과 같은 음향채널 출력방식(310)을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의 조작을 통해 표시된 음향채널 출력방식(310)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가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부(300)와 결합된 형태로 이뤄진 경우, 사용자는 화면을 눌러 어느 하나의 음향채널 출력방식(310)을 선택한다. 사용자의 선택이 완료되면,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향채널 출력방식으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장치(20)에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가 음향 출력장치(20)를 통해 음향채널 출력방식(320)을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음향 출력장치(20)의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음향채널 출력방식(32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와 원격으로 연결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이 완료되면,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향채널 출력방식(320)으로 음향 데이터를 음향 출력장치(20)에 출력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10) 및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은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과 음향 출력장치(20)의 음향채널 출력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음향채널 출력방식으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음향 출력장치(20)로 출력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향 출력장치(20)의 디코더로 디코딩이 가능한 형태로 음향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별도의 절차를 요하지 않고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오디오/비디오 재생장치 10: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20: 음향 출력 장치 100: 출력방식 인식부
200: 제어부 300: 디스플레이부
4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500: 신호처리부

Claims (12)

  1.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장치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수단에 상기 출력방식을 모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출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출력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출력방식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데이터 출력단계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출력방식에 따라 상기 디코드한 음향 데이터를 인코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인코드 단계는,
    상기 선택된 출력방식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의 디코더 종류에 따라, 상기 음향 데이터를 인코드하는 단계인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데이터는 복수이고,
    상기 디코드한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음량을 유지하여 하나의 음향 데이터로 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장치 음향채널 출력방식인식단계는,
    이디아이디(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통해 상기 음향 출력장치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데이터 출력단계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7. 음향 데이터의 음향채널 출력방식 또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장치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하는 출력방식 인식부;
    상기 출력방식을 모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출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출력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음향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출력방식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디코더; 및
    상기 선택된 출력방식에 따라 상기 디코드한 음향 데이터를 인코드하는 인코더;
    를 더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선택된 출력방식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의 디코더 종류에 따라, 상기 음향 데이터를 인코드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데이터는 복수이고,
    상기 디코드한 복수의 음향 데이터의 음량을 유지하는 음량 제어부; 및
    상기 디코드한 복수의 음향 데이터를 하나의 음향 데이터로 병합하는 믹서;
    를 더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방식 인식부는,
    이디아이디(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통해 상기 음향 출력장치의 음향채널 출력방식을 인식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12. 제7 항에 있어서,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KR1020110093551A 2011-09-16 2011-09-16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KR10185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551A KR101853662B1 (ko) 2011-09-16 2011-09-16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551A KR101853662B1 (ko) 2011-09-16 2011-09-16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044A true KR20130030044A (ko) 2013-03-26
KR101853662B1 KR101853662B1 (ko) 2018-05-02

Family

ID=4817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551A KR101853662B1 (ko) 2011-09-16 2011-09-16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459A (ko) * 2016-02-12 2017-08-23 주식회사 이엠텍 웨어러블 무선 음향 변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459A (ko) * 2016-02-12 2017-08-23 주식회사 이엠텍 웨어러블 무선 음향 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662B1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897B1 (ko) 3차원 오디오 사운드트랙의 인코딩 및 재현
JP5531486B2 (ja) オーディオ機器
CN104520924A (zh) 指示游戏音频内容的基于对象的音频的编码和呈现
JP2009540650A (ja) 複数の音声再生ユニットへの送信のための音声データを生成する装置及び方法
RU2011131868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и оптимальной реконструкции трехмерного акустического поля
CN105679345B (zh) 一种音频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12514358A5 (ko)
WO2020182020A1 (zh) 一种音频信号播放方法及显示设备
CN104303522A (zh) 用于布局与格式独立的三维音频再现的方法和装置
US11942096B2 (en) Computer system for transmitting audio content to realize customized being-there and method thereof
KR20140046980A (ko) 오디오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2423827B1 (ko) 송신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139666A (ko) 복수의 내장형 오디오 제어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CN101790123A (zh) 虚拟环绕立体声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853662B1 (ko) 음향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음향 데이터 처리장치
TWI699122B (zh) 多聲道音訊控制系統
CN105516862A (zh) 一种音频转录与无线分发的装置和方法
CN205793122U (zh) 一种具有arc通道的音响设备
JP200910967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音響装置にオーディオ信号を供給する方法
EP3864864A1 (en) Spatial audio augmentation and reproduction
TWI739429B (zh) 喇叭聲道音訊控制系統
CN111263273B (zh) 多声道音频控制系统
KR20110067471A (ko) 오디오 재생 시스템 및 오디오 재생 장치
JP2007180662A (ja) 映像音声再生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569675B1 (ko) 오디오 데이터의 다운 믹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