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813A -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 - Google Patents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813A
KR20090019813A KR1020087029275A KR20087029275A KR20090019813A KR 20090019813 A KR20090019813 A KR 20090019813A KR 1020087029275 A KR1020087029275 A KR 1020087029275A KR 20087029275 A KR20087029275 A KR 20087029275A KR 20090019813 A KR20090019813 A KR 20090019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igue
weight
parts
amino acid
ac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사이토
히로유키 아리타
히로시 츠치타
Original Assignee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1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8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1Proline; Derivatives thereof, e.g. captop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2Imidazole-alkanecarboxylic acids, e.g. hist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iabetes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육 피로와 신경 피로의 쌍방을 동시에 방지할 수가 있는 피로 방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종·특정량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에 의해, 근육 피로와 신경 피로의 쌍방을 동시에 방지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아미노산 종류와 양비로서는, 프롤린 30~200 중량부; 글리신 60~140 중량부; 알라닌 25~260 중량부; 리신 40~130 중량부; 트립토판 20~75 중량부; 히스티딘 15~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이다. 또, 스레오닌 35~65 중량부; 티로신 15~65 중량부; 아르기닌 25~4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발린 30~55 중량부; 류신 35~60 중량부; 이소류신 25~4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노산, 피로 방지제

Description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 {ANTI-FATIGUE AGENT CONTAINING AMINO ACID COMPOSITION}
본 발명은 특정 종류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인간에게 있어 「피로」라고 하는 현상은, 이미 단순히는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 근년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전국민의 60% 정도가 피로를 느끼고 있고, 그 중 40% 미만의 사람들이 6개월 이상 계속되는 피로를 느끼고 있다고 회답하고 있다. 이것을 취업 인구로 환산하면, 약 3000만명의 노동자가 계속되는 피로감을 수반한 채로 업무에 종사하고 있다. 또, 심각한 만성 피로의 경우에는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이러한 피로에 의해 유발되는 경제적 손실은, 회복 조치와 관련되는 비용도 포함하면, 수조원으로부터 10조원 규모가 된다고 추측되고 있다.
피로는 발현으로부터 분류했을 경우에 급성 피로와 만성 피로로 대별되는데, 전자는 몇 분부터 수시간의 단위로 발생하고, 비교적 단시간의 휴식으로 회복하는 경우가 많다. 후자는 급성 피로가 축적되었을 경우에, 회복하지 않고 몇일, 긴 경우에는 몇주 단위로 회복하는 레벨의 것이지만, 상기와 같이 장기에 걸치는 경우에는 6개월 이상 계속하는 일도 있다.
또, 피로가 생기는 부위로부터 분류했을 경우에는, 육체 피로와 정신(신경) 피로로 대별된다. 단, 이러한 피로에 대해서는 근육 피로와 신경 피로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이지만, 그 스트레스로부터 보았을 경우에는, 실제로는 항상 서로가 복잡하게 관련하여 생기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단순한 분류에서는, 대처 방법은 일의적으로는 보지 못하고, 이 점에 대한 지견을 얻을 수 있으면, 효과적인 피로 회복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피로 방지나 회복의 방법으로서는, 목욕 등의 간이적인 스트레스 해소 방법으로부터, 약제 투여까지 포함한 치료 방법이 다양하게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한 근육 피로와 신경 피로의 각각의 피로를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 쌍방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과 같은 방법은 아직도 얻지 못하고 있다.
또,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어떤 종류의 약제 또는 보충물 등의 투여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약제 투여의 경우에는 의사 등에 의한 진단이나 처방의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번잡하다. 한편, 보충물로서의 식이에 의한 대응 방법은, 간편하고 일상생활에 흡수되기 쉬워서, 근년 그 연구개발·상품개발이 진행되고 있어서 보충물 시장은 확대 일로에 있다. 예를 들면, 구연산, 비타민, 코엔자임 Q10를 비롯한 피로 회복용 보충물은 편의점 등에서도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충물에 대해서도, 상기한 근육 피로와 신경 피로의 각각의 피로를 회복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고, 실제로는 그 쌍방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과 같은 명확한 방법은 아직도 얻지 못하고 있다.
한편, 주로 운동 능력 향상의 목적으로 주목을 끌고 있는 상품명 「VAAM」(메이지 유업 주식회사제)로서 알려져 있는 말벌의 유충이 분비하는 침 중에 포함되는 복수의 아미노산 조성물에 대해서는, 피로 회복에도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고 있고(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더욱이 이 기술로부터 파생한 여러 가지의 아미노산 조성물에 대해서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근육 자체의 피로 및 거기에 따르는 권태감 등의 정신적 피로를 신속하게 회복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이 개시되고 있다.
또, BCAA로서 알려져 있는 발린(valine),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에 대해서는, 이들에도 운동 능력 향상으로서의 용도 이외에, 중추 신경계의 피로(뇌성 피로) 예방 또는 뇌 피로의 회복 효과가 있다고 하여, 이것을 이용한 중추 신경계용 피로 예방/회복제가 제공되고 있다(특허 문헌 3).
한편, 몇 개의 피로에 관한 연구의 결과로부터, 피로에 수반하는 어떤 종류의 아미노산의 혈중 농도의 저하나 특정 조직에의 흡수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에는 자전거에 의한 장시간 부하를 준 사람에 대해, 프롤린(proline), 글리신(glycine), 알라닌(alanine) 등의 아미노산이 유의미하게 소비되고 저하하는 것이 개시되고 있다.
 
 또, 비특허 문헌 2에는 운동시에 있어서의 탄수화물의 보급의 유무 조건에서의 혈장중 성분에 대한 농도 변화에 대해 검토를 하고 있다. 이 문헌에서는 글리신, 알라닌, 리신(lysine), 스레오닌(threonine), 히스티딘(histidine)의 혈장 중 농도 저하가 보여지고 특히 히스티딘의 저하율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비특허 문헌 3에도 운동시에 있어서의 식이(食餌) 공급 유무의 계에 있어서의 각종 혈장중 성분의 농도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가 개시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특히 트립토판(Tryptophan)의 농도 저하율이 큰 것이 개시되고 있다.
 
 그 양이 저하한 각각의 아미노산에 대한 운동이나 피로 현상의 인과관계는 아직도 명확하지 않지만, 에너지 대사 사이클에 대해 이러한 아미노산이 어떠한 관계가 있어 소비되고 있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따라서, 이러한 농도 저하를 볼 수 있는 아미노산을 보충하는 것으로 피로 회복하는 것은 용이하게 생각된다. 그러 나, 육체 피로, 정신 피로 후에 이들을 단순히 보충하는 것으로도 용이하게 피로 회복하는 것은 없고, 또, 이들을 사전에 투여했다고 해도, 피로 회복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사실은 아직도 알려지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 2518692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평 8-198748호 공보
[특허 문헌 3] 재표 2002/034257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G. 아보르그 등 (G.Ahlborg et al),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제53권, 1974년 4 월호, p.1080-1090
[비특허 문헌 2] T. L. 바자레 등 (T.L.Bazzare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1992년, 제11권, 제5호, p.501-511
[비특허 문헌 3] A. H. 포스런드 등 (A.H.Forslund et al),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0년, 제278권, p.857-867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종래의 아미노산 조성물은 운동 능력의 향상이 주된 목적이며, 피로 방지 효과, 피로 방지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의 검토에 대해서는 아직도 불충분했다. 또, 특히 피로 회복이나 예방에 대한 효과를 보여주는 기술도 있지만, 모두 근육 피로와 신경 피로의 방지 효과에 대한 검토는 불충분 한 것이며, 아직도 해결되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게다가 이들 종래의 아미노산 조성물은 다종 또한 다량의 아미노산을 조성물로서 공급하지 않으면 안 되고, 필연적으로 고비용의 것이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잠재하고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연구의 결과, 종래에는 없는 조성과 양비(量比)에서 아미노산 조성물을 구성함으로써, 종래에는 불충분한 피로 방지 효과를 얻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종류의 특정량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즉, 본 발명은 하기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를 제공한다:
프롤린 30~200 중량부;
글리신 60~140 중량부;
알라닌 25~260 중량부;
리신 40~130 중량부;
트립토판     20~75 중량부;
히스티딘 15~40 중량부.
또, 상기 구성의 아미노산 조성물에 추가로 하기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스레오닌 35~65 중량부;
티로신 15~65 중량부;
아르기닌 25~45 중량부.
또, 상기 구성의 아미노산 조성물에 추가로 하기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발린 30~55 중량부;
류신 35~60 중량부;
이소류신 25~45 중량부.
또, 본 발명은 근육 피로 및 신경 피로의 쌍방을 동시에 방지하는 상기의 피로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근육 피로가 행동량 측정에 의해 평가되는 것이고, 신경 피로가 혈중 바이오 마커 측정에 의해 평가되는 것인, 상기의 피로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행동량 측정에 의한 평가에 있어서, 비투여군의 행동량을 100으로 했을 경우에 투여군의 행동량(상대치)는 110 이상이며, 한편, 혈중 바이오 마커 측정에 의한 평가에 있어서, 비투여군의 측정 농도를 100으로 했을 경우에 투여 군의 측정 농도(상대치)는 96 이하이며, 근육 피로 및 신경 피로의 방지 효과를 가진다고 평가되는 상기의 피로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에 이용되는 조성물은, 종래에는 없는 조성과 양비에 의한 아미노산 조성물이다. 이것에 의해, 종래 불충분한 피로 방지에 대해 높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처음으로 실제의 근육 피로와 신경 피로의 쌍방을 동시에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평가계로서 피로시의 행동량 측정과 피로시의 혈중 바이오 마커 측정과의 2종의 평가계를 특별히 이용하여 각각을 근육 피로와 정신 피로의 지표로 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아미노산 조성물에 관해서 특히 양평가계에 있어서의 현저한 피로 방지 효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아미노산 조성물보다 적은 종류의 아미노산으로 높은 피로 방지 효과를 얻을 수가 있기 위해, 조제에 필요한 원재료 종류가 줄어 들기 때문에 공업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높은 효과를 보여 준다.
게다가 종래의 아미노산 조성물보다 적은 양의 아미노산에 의해 높은 피로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공업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높은 효과를 보여준 다. 또, 종래와 동등의 효과를 얻도록 조제했을 경우에는, 각각의 아미노산의 사용량이 적고, 이것을 음료등에 적절하도록 조제했을 경우에는 음료로서 저용량화를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스포츠 드링크 등 휴대용 음료로서 유효한 것이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 말하는 개개의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에 포함되는 아미노산 조성물로서는, 아래와 같은 아미노산을 아래와 같은 양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롤린 30~200 중량부;
글리신 60~140 중량부;
알라닌 25~260 중량부;
리신 40~130 중량부;
트립토판 20~75 중량부;
히스티딘 15~40 중량부.
상기 조성의 아미노산 조성물에는, 아래와 같은 아미노산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레오닌 35~65 중량부;
티로신 15~65 중량부;
아르기닌 25~45 중량부.
또, 상기 조성의 아미노산 조성물에는, 아래와 같은 아미노산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린 30~55 중량부;
류신 35~60 중량부;
이소류신 25~45 중량부.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에 포함되는 아미노산 조성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와 같은 아미노산을 아래와 같은 양비로 포함하는 것이다.
프롤린 40~150 중량부;
글리신 75~110 중량부;
알라닌 30~220 중량부;
리신 55~95 중량부;
트립토판 25~65 중량부;
히스티딘 20~35 중량부;
스레오닌 35~65 중량부;
티로신 15~65 중량부;
아르기닌 25~45 중량부.
또, 상기 9종만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에 포함되는 아미노산 조성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와 같은 아미노산을 아래와 같은 양비로 포함하는 것이다.
프롤린 40~150 중량부;
글리신 75~110 중량부;
알라닌 30~220 중량부;
리신 55~95 중량부;
트립토판 25~65 중량부;
히스티딘 20~35 중량부;
발린 30~55 중량부;
류신 35~60 중량부;
이소류신 25~45 중량부.
또, 이 9종만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에 포함되는 아미노산 조성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와 같은 아미노산을 아래와 같은 양비로 포함하는 것이다.
프롤린 40~120 중량부;
글리신 60~85 중량부;
알라닌 25~170 중량부;
리신 40~75 중량부;
트립토판 20~50 중량부;
히스티딘 20~30 중량부;
스레오닌 35~55 중량부;
티로신 15~55 중량부;
아르기닌 25~40 중량부;
발린 30~40 중량부;
류신 35~50 중량부;
이소류신 25~40 중량부.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들 12종만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이다.
덧붙여, 상기 구성의 아미노산 조성물에 대해서는, 티로신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35~55 중량부이다.
또,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는, 피로시의 행동량 측정과 피로시의 혈중 바이오 마커 측정과의 2종의 평가계에 의해, 근육 피로 및 신경 피로의 쌍방에 대해 피로 방지 효과가 있다고 평가된다.
행동량 측정에 의한 평가는, 예를 들면, 투여군(아미노산 조성물을 투여)과 비투여군(대조군)의 2개의 군에 대해, 트레드밀(treadmil) 등에 의해 운동 부하를 주고 2군의 행동량을 각각 측정하여, 비투여군의 행동량을 100으로 했을 경우의 투여군의 상대적인 행동량을 산출했다. 투여군의 행동량(상대치)이 100을 넘었을 경우,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90 이상의 경우, 투여한 아미노산 조성물은 근육 피로의 방지 효과를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 투여군의 행동량(상대치)은 수치가 큰 만큼 근육 피로의 방지 효과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혈중 바이오 마커 측정에 의한 평가는, 예를 들면, 투여군(아미노산 조성물을 투여)과 비투여군(대조군)의 2개의 군에 대해, 트레드밀 등에 의해 운동 부하를 주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 채혈하여 2군의 혈중 바이오 마커의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비투여군의 측정 농도를 100으로 했을 경우의 투여군의 상대적인 측정 농도를 산출했다. 임의의 혈중 바이오 마커(콜티졸, 인터페론-γ(IFN-γ), 인터루킨 10(IL-10)을 포함한다)을 지표로 했을 경우, 투여군의 측정 농도(상대치)가 100 미만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96 이하의 경우, 신경 피로의 방지 효과를 가진다고 평가 할 수 있다.
특히 콜티졸을 지표로 했을 경우, 투여군의 측정 농도(상대치)가 바람직하게는 95 이하, 또,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의 경우, 신경 피로의 방지 효과를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 IFN-γ를 지표로 했을 경우, 투여군의 측정 농도(상대치)가,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또,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의 경우, 신경 피로의 방지 효과를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 IL-10을 지표로 했을 경우, 투여군의 측정 농도(상대치)가,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또,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의 경우, 신경 피로의 방지 효과를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 투여군의 측정 농도(상대치)는 수치가 작을수록 신경 피로의 방지 효과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에는 상기 아미노산 외에, 필요에 따라서, 메티오닌(바람직하게는 0.3~0.7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6 몰%), 아스파라긴산(바람직하게는 0.1~0.3 몰%), 타우린(바람직하게는 3 몰% 이하), 인산 에탄올 아민(바람직하게는 2 몰% 이하), 시스틴(바람직하게는 0.5 몰% 이하), β-알라닌(바람직하게는 1 몰% 이하), γ-아미노 낙산(바람직하게는 0.5 몰% 이하), 오르니틴 또는 에탄올 아민(바람직하게는 3 몰% 이하), 암모니아(바람직하게는 2 몰% 이하), 1-메틸 히스티딘(바람직하게는 3 몰% 이하), 3-메틸 히스티딘(바람직하게는 1 몰%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미노산 조성물 중의 아미노산은 특히 L- 아미노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으로 사용하는 각 아미노산은 각각 단품으로 고순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식품첨가물 공정서」에 규정하는 순도 이상의 아미노산을 사용한다. 또, 이러한 아미노산으로서는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의 형태의 것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 조성물을 제조할 즈음에서는, 시판의 상기 아미노산을 상기의 소정 비율로 혼합하면 좋다. 또, 용액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증류수에 용해하면 좋다. 통상은 분말상으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조성물로 하고,, 사용시에 증류수에 용해하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 보존하는 온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온 이하로 제조,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의 투여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피복 정제, 캅셀제, 과립제, 가루약, 용액, 시럽제, 유액 등에 의한 경구 투여가 있다. 이러한 각종 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아미노산 조성물에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착색제, 교미교취(嬌味嬌臭)제, 용해 보조제, 현탁제, 코팅제 등의 의약의 제제 기술 분야에 있어 통상 사용할 수 있는 기존의 보조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의 주성분인 아미노산 조성물은 지극히 안전성이 높고, 투여량은 광범위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투여 경로, 사람을 포함한 투여 대상 동물의 연령, 체중, 증상 등, 여러 가지의 요인을 고려하여 적당 설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유효 성분으로서 1 g ~ 8 g/kg/day 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로를 방지하고 싶을 때에 사전에 투여하여 피로 방지제로서 사용할 뿐만이 아니고, 피로를 느꼈을 때에 사후적으로 투여하여 피로 회복제로 사용할 수 있고, 0.3~6.0 중량% 용액으로 1일에 100~500 ml를 1~3회 투여하면 좋다. 주사제로서는 0.3~6.0 중량% 용액으로 1회당 100~400 ml, 바람직하게는 150~300 ml를 투여하면 좋다.
또,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는, 경구투여 또는 비경구투여(근육내, 피하, 정맥내, 좌약, 경피 등)의 어느 것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를 그 조성으로 함유하는 특정 보건용 식품 등의 특별 용도 식품으로 할 수 있고, 또,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는 식품 조성물에 포함하여 영양 기능 식품 등의 기능성 식품으로서 직접 섭취하는 것으로써, 피로 방지 효과를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종 음식품(우유, 청량 음료, 발효유, 요구르트, 치즈, 빵, 비스킷, 크래커, 피자 크러스트, 조제분유, 유동식, 환자용 식품, 유아용 분유 등 식품, 수유부(授乳婦)용 분유 등 식품, 영양 식품 등)에,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를 그 조성으로 첨가하여 이것을 섭취해도 괜찮다. 또, 다른 식품 내지 식품 성분과 혼합하는 등, 통상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또, 그 성질과 상태에 대해서도, 통상 이용되는 음식품 상태, 예를 들면, 고체상(분말, 과립장 그 외), 페이스트상, 액상내지 서스펜션의 어느 것도 좋다.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그 외의 성분에 대해서도 특히 한정은 없지만,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예를 들면 음식물에는, 물, 단백질, 당질, 지질, 비타민류, 미네랄류, 유기산, 유기 염기, 과즙, 플래이버류 등을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단백질로서는, 예를 들면 전지분유, 탈지분유, 부분 탈지분유, 카제인, 호에이 분말, 호에이 단백질, 호에이 단백질 농축물, 호에이 단백질 분리물, α-카제인, β-카제인, κ-카제인, β-락토글로불린, α-락토알부민, 락토페린, 대두 단백질, 계란 단백질, 고기 단백질 등의 동식물성 단백질, 이들 가수분해물; 버터, 유청(乳淸) 미네랄, 크림, 호에이, 비단백형 질소, 시알산, 인지질, 유당 등의 각종 유(乳) 유래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당류, 가공 전분(덱스트린외, 가용성 전분, 브리티쉬 녹말, 산화 전분, 전분 에스테르, 전분 에테르 등), 식물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지질로서는, 예를 들면, 라드(lard), 어유 등, 이들의 분별유, 수소 첨가유, 에스테르 교환유 등의 동물성 유지; 팜유, 홍화유, 콘유, 유 채의씨유, 야자유, 이들의 분별유, 수소 첨가유, 에스테르 교환유 등의 식물성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 카로틴류, 비타민 B군, 비타민 C, 비타민 D군, 비타민 E, 비타민 K군, 비타민 P, 비타민 Q, 나이아신, 니코틴산, 판토텐산, 비오틴, 이노시톨, 코린, 엽산 등을 들 수 있고, 미네랄류로서는, 예를 들면,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구리, 철, 망간, 아연, 셀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과산, 구연산, 유산, 주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2종 이상을 조합해 사용할 수가 있고, 합성품 및/또는 이들을 많이 포함한 식품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마우스(수컷, 8주령, C57BL/6N, 사육 환경 23±3℃으로 명암 12시간 사이클)를 각 군의 체중이 가능한 한 균일하게 되도록 할당하고, 각 군 3~4마리로부터 되는 샘플군(실시예)과 대조군(비교예)으로 나누었다. 이들은 절식시키지 않고,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 또는 대조군로서의 생리 식염수를 강제 경구투여했다. 투여 후 1시간 후에 트레드밀 시험(25 m/min 로 60분)에 의한 운동 부하를 주었다.
또, 투여량은 아미노산 환산으로 500 mg/kg체중(5% 현탁액을 10μL/g체중에 서 투여)으로 했다. 여기서 투여한 본 발명의 피로 방지제의 아미노산 조성을 표 1에 나타낸다(아미노산 조성의 수치는 중량부에서 가리킨다).
[시험 1] (피로시의 행동량 측정)
트레드밀에 의한 운동 부하 부여 후에 행동량 측정을 실시했다. 또한 행동량으로서는, 적색 램프 점등 아래에서 30분간에 행동한 도정의 합계를 측정했다. 대조군(비교예 1)을 100으로 했을 때의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행동량을 나타냈다. 즉, 수치가 클수록 근육 피로가 적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시험 2] (피로시의 혈중 바이오 마커 측정)
트레드밀 시험 종료후 일정 시간 경과후에 채혈하고, 혈액 중의 면역 학문적 지표로서 콜티졸, 인터페론-γ(IFN-γ), 인터루킨 10(IL-10)을 측정했다. 대조군을 100으로 했을 때의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농도를 나타냈다. 즉, 수치가 작을수록 피로감이 낮고, 정신적 피로가 적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이러한 평가방법은, 오사카시 릿쿄 대학 의학부 생화학·분자 병의 용태학 강좌 이노우에 타다시강 교수들이 2005년의 일본 생화학회에서 발표한 방법(연제:운동 피로에 있어서의 면역 응답 시스템의 성차 해석, 생화학, 2005년, 제77권, p.1056)을 근거로 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Pro 53.63 197.85 43.29 143.76 34.00 115.40 -
Gly 101.74 136.83 82.12 99.37 64.47 79.74 -
Ala 256.56 52.05 207.06 37.80 162.59 30.34 -
Lys 74.27 120.40 59.94 87.44 47.06 70.19 -
Trp 69.18 42.85 55.82 31.12 43.82 24.98 -
His 32.85 38.14 26.53 27.70 20.82 22.24 -
Thr - - 41.76 59.24 41.76 47.55 -
Tyr - - 41.82 58.32 41.82 47.62 -
Arg - - 29.94 42.47 29.94 34.09 -
Val - - - - 33.59 38.24 -
Leu - - - - 39.41 44.87 -
Ile - - - - 28.94 32.95 -
아미노산 종류 6종 6종 9종 9종 12종 12종 0종
행동량 100
IFN-γ 100
콜티졸 100
IL-10 100
본 발명의 실시예 1~6의 피로 방지제에 대해서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트레드밀에 의한 운동 부하를 준 후에도, 더욱이 행동할 수 있다고 하는 근육 피로의 방지 효과가 높은 것이 밝혀진다. 특히, 실시예 5 및 6에 대해 매우 높은 운동 후의 행동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 혈중 바이오 마커 측정에 의한 결과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 에 있어서는, 콜티졸, IFN-γ, IL-10의 농도 상승이 현저하게 억제되고 있다. 이들 화합물은 피로감의 상승에 비례해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정신 피로의 대체 지표로서 평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서는 정신 피로의 방지 효과에 있어서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게다가, 이 경향은 실시예 5 및 6에 대해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아미노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 방지제는, 근육 피로와 정신 피로의 쌍방을 동시에 방지한다고 하는, 높은 피로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종래와 같은 운동 능력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아미노산 조성물과 비교하여, 보다 적은 종류의 아미노산 종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이기 때문에, 조제에 필요한 원재료 종류가 감소하고, 공업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뛰어난 효과를 보여준다. 따라서, 산업상의 이용가치는 높다.

Claims (6)

  1. 하기의 아미노산:
    프롤린 30~200 중량부;
    글리신 60~140 중량부;
    알라닌 25~260 중량부;
    리신 40~130 중량부;
    트립토판 20~75 중량부;
    히스티딘 15~40 중량부
    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하기의 아미노산:
    스레오닌 35~65 중량부;
    티로신 15~65 중량부;
    아르기닌 25~45 중량부.
    을 추가로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
  3.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하기의 아미노산:
    발린 30~55 중량부;
    류신 35~60 중량부;
    이소류신 25~45 중량부
    을 추가로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
  4.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근육 피로 및 신경 피로의 쌍방을 동시에 방지하는 피로 방지제.
  5. 청구항 4 에 있어서, 근육 피로가 행동량 측정에 의해 평가되고 신경 피로가 혈중 바이오 마커 측정에 의해 평가되는 피로 방지제.
  6. 청구항 5 에 있어서, 행동량 측정에 의한 평가에 있어서, 비투여군의 행동량을 100으로 했을 경우에 투여군의 행동량(상대치)는 110 이상이며, 혈중 바이오 마커 측정에 의한 평가에 있어서, 비투여군의 측정 농도를 100으로 했을 경우에 투여군의 측정 농도(상대치)는 96 이하이며, 근육 피로 및 신경 피로의 방지 효과를 가진다고 평가되는 피로 방지제.
KR1020087029275A 2006-06-13 2007-06-13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 KR20090019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63683 2006-06-13
JP2006163683 2006-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813A true KR20090019813A (ko) 2009-02-25

Family

ID=3883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275A KR20090019813A (ko) 2006-06-13 2007-06-13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5775657B2 (ko)
KR (1) KR20090019813A (ko)
CN (1) CN101454000A (ko)
WO (1) WO20071452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563B1 (ko) 2020-08-26 2021-04-02 (주)이삼오구 고함량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및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813A (ko) * 2006-06-13 2009-02-25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
JP5775668B2 (ja) * 2007-10-31 2015-09-09 株式会社明治 アミノ酸組成物を含有する疲労防止剤
KR101325374B1 (ko) * 2008-02-19 2013-11-08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신체 기능의 회복에 유용한 경구 또는 경장 조성물
WO2010041647A1 (ja) * 2008-10-06 2010-04-15 明治乳業株式会社 アミノ酸組成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持久力向上剤、疲労防止剤、又は疲労回復剤
WO2012169600A1 (ja) * 2011-06-07 2012-12-13 味の素株式会社 アミノ酸組成物
JP2013060406A (ja) * 2011-09-15 2013-04-04 Kyowa Hakko Bio Co Ltd 脳疲労改善用経口剤
CN104509919A (zh) * 2013-09-30 2015-04-15 张自力 一种功能性营养素饮料
JP6847578B2 (ja) * 2013-10-09 2021-03-24 味の素株式会社 ヒスチジンを含有する食品およびその用途
JP6496599B2 (ja) * 2014-06-13 2019-04-03 花王株式会社 筋タンパク質合成シグナル活性化剤
JP2016121194A (ja) * 2016-04-05 2016-07-07 協和発酵バイオ株式会社 脳疲労改善用経口剤
AU2016407955B2 (en) * 2016-05-26 2019-09-05 Profeat Biotechnology Co., Ltd. Method for reducing lactic acid
CU20200012A7 (es) * 2017-08-14 2021-02-04 Axcella Health Inc Composiciones de aminoácido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 hepática
JP7275499B2 (ja) 2018-08-27 2023-05-18 味の素株式会社 脳機能改善用組成物
JP7414676B2 (ja) * 2020-09-14 2024-01-16 株式会社東芝 負荷推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62127B1 (ja) 2023-08-16 2024-04-05 株式会社Healthy Body 筋肥大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6721A (en) * 1989-06-05 1991-06-25 Dudrick Stanley J Amino acid nutritional supplement and regimen for enhancing physical performance through sound nutrition
JP2518692B2 (ja) * 1989-06-14 1996-07-24 理化学研究所 筋力持続剤,滋養強壮剤,輸液用剤,栄養補給剤,疲労回復剤及び乳酸生成調節剤
JPH0725838A (ja) * 1993-05-13 1995-01-27 Yotsuba Yuka Kk 疲労の予防または回復のための経口投与剤
JP4009682B2 (ja) * 1993-05-28 2007-11-21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アドレナリン及びノルアドレナリン分泌促進組成物
JP3617102B2 (ja) * 1995-01-27 2005-02-02 味の素株式会社 ヒト筋肉疲労の早期回復効果を有するアミノ酸栄養組成物
JP4280310B2 (ja) * 1995-08-10 2009-06-17 佐々木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ミノ酸組成剤
JP3814683B2 (ja) * 1996-01-09 2006-08-30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アミノ酸組成物
JP2000009717A (ja) * 1998-02-27 2000-01-14 Taisho Pharmaceut Co Ltd 滋養強壮効果の評価方法
JP2001226272A (ja) * 2000-02-18 2001-08-21 Zeria Pharmaceut Co Ltd クエン酸及びローヤルゼリーを配合した内服液剤
JP3838038B2 (ja) * 2001-02-05 2006-10-2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心身状態評価方法、商品又は環境の感性的品質の評価方法、評価用測定キット及び商品又は環境の品質表示方法
JP2003207495A (ja) * 2002-01-10 2003-07-2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心理状態判定装置
JP2004123564A (ja) * 2002-09-30 2004-04-22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中枢機能改善用アミノ酸組成物
AU2003271144A1 (en) * 2002-10-11 2004-05-04 Ajinomoto Co., Inc. Food compositions for recovery from fatigue
JP4528925B2 (ja) * 2003-05-30 2010-08-25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アミノ酸組成物及び補液
GB0400031D0 (en) * 2004-01-03 2004-02-04 Univ Sheffield Depression treatment
US20070134156A1 (en) * 2004-02-17 2007-06-14 Soiken Inc. Fatigue evaluation apparatus, fatigue evalu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2005239579A (ja) * 2004-02-24 2005-09-08 Ajinomoto Co Inc 疲労回復剤及び疲労回復用食品
KR20090019813A (ko) * 2006-06-13 2009-02-25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아미노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로 방지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563B1 (ko) 2020-08-26 2021-04-02 (주)이삼오구 고함량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및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20715A (ja) 2015-07-02
WO2007145239A1 (ja) 2007-12-21
JPWO2007145239A1 (ja) 2009-11-05
JP5775657B2 (ja) 2015-09-09
CN101454000A (zh)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5657B2 (ja) アミノ酸組成物を含有する疲労防止剤
JP5798648B2 (ja) アミノ酸組成物を含有する疲労防止剤
JP5574561B2 (ja) 総合経腸栄養組成物
US2022026570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 combination of calcium and at least one of oleuropein or metabolite thereof
AU2014237014B2 (en) Nutri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a peptide component with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uses thereof
US20120302513A1 (en) Mitochondrial Function Improver
CN111315239A (zh) 针对肌肉质量和/或肌肉量使用橄榄苦苷或姜黄素的组合物和方法
EP2435039B2 (en) Combination of a leucine source and an omega-3 unsaturated fatty acid sourc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hypercalcaemia
EP3738590A1 (en) Dietary supplement comprising amino acids for the treatment of sarcopenia
JP2007031403A (ja) 乳酸産生抑制剤
WO2023022174A1 (ja) 筋肉疲労および/または即発性筋肉痛を抑制する食品組成物
US20230255238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t least one of oleuropein or a metabolite thereof to treat or prevent muscle fatigue from exercise and/or for resistance to muscle fatigue from exercise
JP6752659B2 (ja) 更年期障害の改善剤
JP2019099495A (ja) 血圧降下促進のための組成物
Kern et al. Potential Nutrition Support for Age-Related Muscular Conditions
JP2019099497A (ja) 肝機能改善のための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