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423A -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423A
KR20090018423A KR1020070082860A KR20070082860A KR20090018423A KR 20090018423 A KR20090018423 A KR 20090018423A KR 1020070082860 A KR1020070082860 A KR 1020070082860A KR 20070082860 A KR20070082860 A KR 20070082860A KR 20090018423 A KR20090018423 A KR 20090018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ber
polyester
fus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340B1 (ko
Inventor
하종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07008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3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3/00Mixing, e.g. blending, fibres; Mixing non-fibrous materials with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4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10 ∼ 70중량%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 10 ∼ 70중량%로 구성되어지되 각각의 원료들을 혼합하고 카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웹(web)을 적층한 다음, 적층된 웹을 미늘(barb)이 있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니들 펀칭하는 방법으로 결합하여 시트(sheet)를 형성하고, 시트를 건조로(dry box)와 가열로울러에 통과시켜 융착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조되는 고탄성 부직포는 뛰어난 반발탄성력(복원력)과 내구성, 경량성 및 재활용 가능성이 우수하여 폴리우레탄 폼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폴리우레탄 폼의 대체제로 사용되어 카시트류의 커버 패드, 차량 내장재의 내피재, 침구류의 매트리스, 방석용 패드, 브래지어 심지용, 스키복 또는 방한복의 패딩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부직포, 고탄성

Description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The high-elastic nonwoven fabric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뛰어난 반발탄성력(복원력)과 내구성, 경량성 및 재활용 가능성이 우수하여 폴리우레탄 폼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폴리우레탄 폼의 대체제로 사용되어 카시트류의 커버 패드, 차량 내장재의 내피재, 침구류의 매트리스, 방석용 패드, 브래지어 심지용, 스키복 또는 방한복의 패딩재로 사용될 수 있는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10 ∼ 70중량%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 10 ∼ 70중량%로 구성되어지되 각각의 원료들을 혼합하고 카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웹(web)을 적층한 다음, 적층된 웹을 미늘(barb)이 있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니들 펀칭하는 방법으로 결합하여 시트(sheet)를 형성하고, 시트를 건조로(dry box)와 가열로울러에 통과시켜 융착 결 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완충재용 소재 중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 폴리우레탄 발포체(통상적으로 "스폰지"라 칭함)이며, 가볍고 탄성이 좋으며 값아 싸다는 장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수지를 성글게 발포한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특유의 냄새가 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황변 현상이 발생하고, 발포 셀 자체의 부식으로 탄성이 저하되고 먼지가 발생하며,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대체할 소재에 대한 많은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는 소재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는 장, 단섬유를 카딩하여 웹을 적층화시키고 접착 바인더를 이용하거나 열접착 방법을 이용하여 결속시킨 제품으로서 세탁이나 반복 사용시 탄성 구조가 쉽게 허물어져 탄성과 반발 회복 기능이 저하되어 완충재용 소재로의 사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뛰어난 반발탄성력(복원력)과 내구성, 경량성 및 재활용 가능성이 우수하여 폴리우레탄 폼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폴리우레탄 폼의 대체제로 사용되어 카시트류의 커버 패드, 차량 내장재의 내피재, 침구류의 매트리스, 방석용 패드, 브래지어 심지용, 스키복 또는 방한복의 패딩재로 사용될 수 있는 고탄성 부직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고탄성 부직포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되는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10 ∼ 70중량%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 10 ∼ 70중량%로 구성되어지되 각각의 원료들을 혼합하고 카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웹(web)을 적층한 다음, 적층된 웹을 미늘(barb)이 있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니들 펀칭하는 방법으로 결합하여 시트(sheet)를 형성하고, 시트를 건조로(dry box)와 가열로울러에 통과시켜 융착 결합시켜 고탄성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뛰어난 반발탄성력(복원력)과 내구성, 경량성 및 재활용 가능성이 우수하여 폴리우레탄 폼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폴리우레탄 폼의 대체제로 사용되어 카시트류의 커버 패드, 차량 내장재의 내피재, 침구류의 매트리스, 방석용 패드, 브래지어 심지용, 스키복 또는 방한복의 패딩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 부직포는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 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10 ∼ 70중량%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 10 ∼ 70중량%로 구성되어지되 각각의 원료들을 혼합하고 카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웹(web)을 적층한 다음, 적층된 웹을 미늘(barb)이 있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니들 펀칭하는 방법으로 결합하여 시트(sheet)를 형성하고, 시트를 건조로(dry box)와 가열로울러에 통과시켜 융착 결합시킨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10 ∼ 70중량%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 10 ∼ 70중량%를 혼합하고 카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웹(web)을 적층한 다음, 적층된 웹을 미늘(barb)이 있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니들 펀칭하는 방법으로 결합하여 시트(sheet)를 형성하고, 시트를 건조로(dry box)와 가열로울러에 통과시켜 융착 결합시키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는 분자량이 서로 다른 폴리에스터 폴리머를 방사하여 섬유 가운데 기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연신과 열처리 과정을 거치면 폴리머간의 수축 차이에 의하여 스피럴 크림프(spiral crimp)가 형성되며, 고중공성으로 인하여 벌키성과 터치성이 우수해지는 섬유로서, 2 내지 10데니어의 단섬유를 사용한다.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의 심도가 10데니어를 초과할 경우에는 반발탄성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2데니어 미만일 경우에는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를 단섬유 형태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화이버들과 혼합이 용이하지 않아 균질한 제품을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는 10 ∼ 7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여 반발탄성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와의 융착이 용이하지 못해 내구성이 저하됨은 물론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10 ∼ 70중량%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경량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7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의 사용량이 적어 융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는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역시 심도가 2 내지 10데니어인 단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심도가 10데니어를 초과할 경우에는 반발탄성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2데니어 미만일 경우에는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섬유 형태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화이버들과 혼합이 용이하지 않아 균질한 제품을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는 열융착시 표면에 처리된 실리콘 오일로 인하여 다른 화이버들과 융착이 일어나지 않아 탄성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고, 10 ∼ 7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여 반발탄성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경량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7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의 사용량이 적어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와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및/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의 융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로는 융점이 80 ∼ 160℃이고, 표면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았으며, 크림프가 형성되지 않은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 섬유로서 섬도가 2 내지 10데니어인 단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의 융점이 80℃ 미만일 경우에는 내열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60℃를 초과할 경우에는 열융착시 고온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화이버가 손상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열융착에 많이 에너지가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는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및/ 또는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와의 융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 처리를 하지 않아야 하며, 크림프가 형성되면 융착이 않되는 부분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심도가 10데니어를 초과할 경우에는 반발탄성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2데니어 미만일 경우에는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섬유 형태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화이버들과 혼합이 용이하지 않아 균질한 제품을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는 10 ∼ 7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의 사용량이 적어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의 융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7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의 사용량이 저하되어 반발탄성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는 융점이 높은 폴리머가 내부에, 융점이 낮은 폴리머가 표면에 형성된 심초형 화이버로서 부드럽고 탄성이 좋으며, 표면을 구성하는 융점이 낮은 폴리머가 다른 황이버들과 융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열융착후 원단의 성질이 부드럽고 탄성이 뛰어난 제품으로서의 효과 를 발현하게 하는 것으로, 10 ∼ 7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의 사용량이 적어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의 융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7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의 사용량이 저하되어 반발탄성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제조된 고탄성 부직포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스판본드(부직포)와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휴비스(주)의 상표명 콘쥬게이트, 섬도 3데니어, 중공율 25%) 25중량%,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휴비스(주)의 상표명 콘쥬게이트, 섬도 3데니어, 중공율 25%) 50중량%,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휴비스(주)의 상표명 LMK, 섬도 4데니어) 10중량% 및 폴리에스터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일본 데이니진사, 상품명 ELK, 섬도 3데니어) 15중량%를 혼합하고 카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웹(web)을 적층한 다음, 적층된 웹을 미늘(barb)이 있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니들 펀칭하는 방법으로 결합하여 시트(sheet)를 형성하고, 시트를 건조로(dry box)와 가열로울러에 통과시켜 융착 결 합함으로서 본 발명의 고탄성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10 ∼ 70중량%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 10 ∼ 70중량%로 구성되어지되 각각의 원료들을 혼합하고 카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웹(web)을 적층한 다음, 적층된 웹을 미늘(barb)이 있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니들 펀칭하는 방법으로 결합하여 시트(sheet)를 형성하고, 시트를 건조로(dry box)와 가열로울러에 통과시켜 융착 결합시켜 고탄성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뛰어난 반발탄성력(복원력)과 내구성, 경량성 및 재활용 가능성이 우수하여 폴리우레탄 폼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폴리우레탄 폼의 대체제로 사용되어 카시트류의 커버 패드, 차량 내장재의 내피재, 침구류의 매트리스, 방석용 패드, 브래지어 심지용, 스키복 또는 방한복의 패딩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2)

  1.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10 ∼ 70중량%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 10 ∼ 70중량%로 구성되어지되 각각의 원료들을 혼합하고 카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웹(web)을 적층한 다음, 적층된 웹을 미늘(barb)이 있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니들 펀칭하는 방법으로 결합하여 시트(sheet)를 형성하고, 시트를 건조로(dry box)와 가열로울러에 통과시켜 융착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부직포.
  2.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10 ∼ 70중량%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 10 ∼ 70중량%를 혼합하고 카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웹(web)을 적층한 다음, 적층된 웹을 미늘(barb)이 있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니들 펀칭하는 방법으로 결합하여 시트(sheet)를 형성하고, 시트를 건조로(dry box)와 가열로울러에 통과시켜 융착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20070082860A 2007-08-17 2007-08-17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8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60A KR100908340B1 (ko) 2007-08-17 2007-08-17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60A KR100908340B1 (ko) 2007-08-17 2007-08-17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23A true KR20090018423A (ko) 2009-02-20
KR100908340B1 KR100908340B1 (ko) 2009-07-17

Family

ID=4068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860A KR100908340B1 (ko) 2007-08-17 2007-08-17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5498B2 (en) 2011-07-06 2015-04-14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soundproofing material using polyurethane foam from car seat foam and composition thereof prepared thereb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048B1 (ko) 2021-11-18 2022-06-23 박호철 양방향 tpu 스트레치 심지 및 이를 포함한 패딩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141B1 (ko) * 1992-10-17 1994-07-08 한국물산 주식회사 방음, 흡음재 및 그 제조 방법
KR0165627B1 (ko) * 1996-05-06 1999-01-15 라철효 흡음·차음용 섬유제 성형기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5498B2 (en) 2011-07-06 2015-04-14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soundproofing material using polyurethane foam from car seat foam and composition thereof prepar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340B1 (ko) 200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53363T3 (es) Revestimiento para mueble acolchado
JP6199754B2 (ja) 保温材および繊維製品
JP6110089B2 (ja) 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クッション材
KR101230405B1 (ko) 쿠션재용 섬유상기재,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용 쿠션재
KR101206821B1 (ko) 탄성 섬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3377687A1 (en) Flame retardant liner for upholstered furniture
KR100908340B1 (ko) 고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23707A (ja) 不織布構造体、シートクッション材及びそれからなる車両用シート
JP3976238B2 (ja) 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4016135A1 (en) Binder fiber and nonwoven fabric produced therefrom
KR101446729B1 (ko) 상변화물질을 함유하는 탄성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84503B1 (ko) 보온성과 복원력이 뛰어난 보온성 충진제
JP2017125267A (ja) 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繊維構造体および車両用クッション材
JP4102638B2 (ja) 生分解性複合バインダー繊維を用いた繊維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15206B1 (ko) 복합 구조를 갖는 쿠션재
TW201723260A (zh) 直立棉及其製備方法
JP2003033586A (ja) クッショ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用いる製造装置
JP3151737U (ja) 寝具
JP6342536B2 (ja) 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クッション材
JP3872203B2 (ja) バインダー繊維及びこの繊維を用いてなる不織布
JP3627826B2 (ja) マット及びその製法
JPH04506686A (ja) 吸収布
JP3610405B2 (ja) クッション性椅子
JP3627827B2 (ja) マット及びその製造法
JP3627825B2 (ja) マット及びそ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