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412A - 액정 표시 패널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412A
KR20090017412A KR1020080072116A KR20080072116A KR20090017412A KR 20090017412 A KR20090017412 A KR 20090017412A KR 1020080072116 A KR1020080072116 A KR 1020080072116A KR 20080072116 A KR20080072116 A KR 20080072116A KR 20090017412 A KR20090017412 A KR 20090017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rray substrate
liquid crystal
pixels
column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다이시
데쯔야 이이즈까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1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3Storage capacitors associated with the pixel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7Through-hole 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 to the active element through an insulation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패널은, 기판상에 형성된 광 차단부, 기판상에 위치하고 광 차단부와 오버랩하는 컨택트 홀(32)을 포함하는 절연막, 및 컨택트 홀을 포함하는 픽셀들을 구비한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과, 액정층과,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각기 위치하여 인접 픽셀들과 스트래들하고, 컨택트 홀들 중 대응하는 컨택트 홀로부터 이격된 광 차단부와 오버랩하는 원주형 스페이서(35)를 포함하며, 원주형 스페이서는 기판들 사이의 갭을 유지하고, 어레이 기판의 표면과, 대향 기판의 표면에 평행한 원주형 스페이서 각각의 교차부는 장축(a1)을 가지고, 장축은 스페이서들에 의해 오버랩되는 픽셀들에서 컨택트 홀들을 서로 연결하는 라인(L)과 교차한다.
어레이 기판, 대향 기판, 컨택트 홀, 액정층, 원주형 스페이서

Description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주형 스페이서(columnar spacer)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가볍고 소형이며 고해상도의 액정 표시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과, 소정의 갭을 두고 어레이 기판에 대향 배치된 대향 기판과,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있는 액정층을 갖는다. 어레이 기판은, 글래스 기판과, 글래스 기판 상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와, 글래스 기판 및 스위칭 소자 상에 형성된 절연막과, 절연막 상에 형성되고 절연막에 형성된 컨택트 홀을 통해 스위칭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픽셀 전극을 갖는다.
균일한 입자 사이즈의 플라스틱 비즈(plastic beads)가 2개의 기판들 사이에 산재되어 기판들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컬러 표시를 위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으로 이루어진 컬러층을 갖는 컬러 필터가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 중 하나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플라스틱 비즈가 분산에 의해 기판 상에 산재된다. 따라서, 일부의 플라스틱 비즈는 생산 라인을 오염시켜 결함을 야기하게 하는 입자들이 될 수도 있다. 더욱이, 픽셀부에 존재하는 플라스틱 비즈는 액정 분자의 배향을 어지럽혀 표시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균일하지 않은 분산 밀도는 부적절한 갭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일본 특허 출원 제2001-33734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수의 원주형 스페이서가 어레이 기판상에 직접 형성되는 구성이 제안되었다. 원주형 스페이서는 포토리소그래피 등을 이용한 패터닝에 의해 어레이 기판상에 형성된다. 원주형 스페이서는 기판들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고정된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원주형 스페이서는 컨택트 홀들 중 대응하는 홀로부터 이격 형성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및 이용 동안에, 원주형 스페이서에 작용하는 압력을 견디기 위해, 각각의 원주형 스페이서는 넓은 교차부와 컨택트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택트 영역에서 원주형 스페이서가 대향 기판과 컨택트한다.
액정 표시 패널에 있어, 해상도의 증가는 픽셀들 간의 거리와, 컨택트 홀들 간의 거리를 줄인다. 또한,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주형 스페이서가 광 차단부와 오버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대응 컨택트 홀로부터 이격되게 하면서 광 차단층과 오버랩하게 원주형 스페이서 각각을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대응 컨택트 홀로부터 이격되게 하면서 광 차단층과 오버랩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원주형 스페이서 각각의 사이즈를 줄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원주형 스페이서가 얇고, 원주형 스페이서 각각의 컨택트부가 줄어든 컨택트 영역을 가져, 컨택트부에 큰 부하가 작용한다. 따라서, 외부 힘이 기판에 작용할 때, 원주형 스페이서는 변형될 수 있다. 이는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 결과, 액정 표시 패널이 부적절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상에 형성된 광 차단부, 기판상에 위치하고 광 차단부와 오버랩하는 컨택트 홀을 포함하는 절연막, 및 컨택트 홀을 포함하는 픽셀들을 구비한 어레이 기판; 대향 기판 - 상기 대향 기판은 어레이 기판과의 사이에 갭을 갖고 어레이 기판에 대향 배열됨 - ; 어 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있는 액정층; 및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각기 위치하여 인접 픽셀들과 스트래들하고, 컨택트 홀들 중 대응하는 컨택트 홀로부터 이격된 광 차단부와 오버랩하는 원주형 스페이서 - 상기 원주형 스페이서는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갭을 유지함 -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이 제공되며, 어레이 기판의 표면과, 대향 기판의 표면에 평행한 원주형 스페이서 각각의 교차부는 장축(major axis)을 가지고, 원주형 스페이서 각각의 장축은 스페이서들에 의해 오버랩되는 픽셀들에서 컨택트 홀들을 서로 연결하는 라인과 교차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과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일부는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과 이점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단들 및 그 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1)과, 어레이 기판에 대향 배치된 대향 기판(2)과, 어레이 기판(1)과 대향 기판(2) 사이에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1)과 대향 기판(2)이 서로 오버랩하는 표시 영역(R)을 갖는다. 어레이 기판(1)은 표시 영역(R)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픽셀(13)을 갖는다. 이러한 픽셀(1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R) 외부에는, 스캐닝 라인 구동 회로(4), 신호 라인 구동 회로(5) 및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 구동 회로(6)가 글래스 기판(10)상에 형성된다. 스캐닝 라인 구동 회로(4)는 표시 영역(R) 외부로 연장하는 복수의 스캐닝 라인(19)에 접속된다. 신호 라인 구동 회로(5)는 표시 영역(R) 외부로 연장하는 복수의 신호 라인(27)에 접속된다.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 구동 회로(6)는 표시 영역(R) 외부로 연장하는 복수의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에 접속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 기판(1)은 예를 들어 투명 절연 기판으로서 글래스 기판(10)을 포함한다. 이 글래스 기판(10)상에는 언더코팅층(12)이 피착된다.
표시 영역(R)에서, 복수의 스캐닝 라인 및 복수의 신호 라인(27)은 글래스 기판(10)상에 배열되고, 스캐닝 라인(19)은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하고, 신호 라인(27)은 제1 방향에 직교한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한다. 스캐닝 라인(19)에 평행한 복수의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이 글래스 기판(10)상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이 광 차단부 역할을 한다. 2개의 인접 신호 라인(27)과 2개의 인접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이 둘러싼 영역에 픽셀들(13)이 각각 형성된다.
이제, 픽셀들(13) 중 하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13)은 픽셀 전극(34)과, 픽셀 전극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보조 커패시턴스 소자(16)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채널층(15) 및 보조 커패시턴스 전극(17)이 언더코팅층(12)상에 형성된다. 채널층(15) 및 보조 커패시턴스 전극(17)은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고 언더코팅층(12)상에 형성된 반도체막을 패터닝하여 동시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채널층(15) 및 보조 커패시턴스 전극(17)이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8)은 언더코팅층(12), 채널층(15) 및 보조 커패시턴스 전극(17)상에 피착된다. 게이트 절연막(18)상에는, 복수의 스캐닝 라인(19), 스캐닝 라인(19) 일부를 연장하여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전극(20), 및 복수의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이 형성된다. 보조 커패시턴스 전극(17)과 오버랩하는 영역에서는,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에 개구(21a)가 형성된다.
스캐닝 라인(19), 게이트 전극(20) 및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은 광 차단 효과를 발휘하는 알루미늄 또는 몰리브덴-텅스텐 등의 저저항 물질을 이용해 동시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캐닝 라인(19), 게이트 전극(20) 및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이 몰리브덴-텅스텐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게이트 전극(20)은 대응하는 채널층(15)과 오버랩하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은 복수의 보조 커패시턴스 전극(17)과 오버랩하도록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8)을 통해 서로 대향 배치된 보조 커패시턴스 전극(17)과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이 보조 커패시턴스 소자(16)를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18), 스캐닝 라인(19), 게이트 전극(20) 및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상에는 충간 절연막(22)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22)상에는, 복수의 소스 전극(26), 복수의 신호 라인(27), 복수의 드레인 전극(28), 복수의 접속 와이어(29) 및 복수의 컨택트 전극(30)이 형성된다.
각각의 소스 전극(26)과 신호 라인들(27) 중 대응하는 라인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드레인 전극(28) 각각과, 복수의 접속 와이어들(29) 중 대응하는 와이어와, 복수의 컨택트 전극들(30) 중 대응하는 전극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형성된다.
각각의 소스 전극(26)은 게이트 절연막(18)의 일부와 층간 절연막(22)의 일부를 관통하는 컨택트 홀(23)을 통해 채널층(15)에서 소스 영역(RS)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각의 드레인 전극(28)은 게이트 절연막(18)의 일부와 층간 절연막(22)의 일부를 관통하는 컨택트 홀(24)을 통해 채널층(15)에서 드레인 영역(RD)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각의 컨택트 전극(30)은 게이트 절연막(18)의 일부와 층간 절연막(22)의 일부를 관통하는 컨택트 홀(25)을 통해 대응하는 보조 커패시턴스 전극(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컨택트 홀(25)은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에서 개구(21a)를 통과한다. 이는 컨택트 전극(30)과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 간의 절연 조건을 유지하게 한다.
소스 전극(26), 신호 라인(27), 드레인 전극(28), 접속 와이어(29) 및 컨택트 전극(30)은 광 차단 효과를 발휘하는 알루미늄 또는 몰리브덴-텅스텐 등의 저저 항 물질을 이용해 동시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소스 전극(26), 신호 라인(27), 드레인 전극(28), 접속 와이어(29) 및 컨택트 전극(30)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22), 소스 전극(26), 신호 라인(27), 드레인 전극(28), 접속 와이어(29) 및 컨택트 전극(30)상에는 투명 수지로 형성된 평탄화막(31)이 절연막으로서 피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평탄화막(31)이 유기 절연막이다. 평탄화막(31)은 각각의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과 각각의 컨택트 전극(30)과 오버랩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컨택트 홀(32)을 갖는다.
평탄화막(31)상에는, ITO(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도전 물질을 이용해 복수의 픽셀 전극(34)이 형성된다. 이러한 픽셀 전극(34)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각각의 픽셀 전극(34)은 컨택트 홀(32)을 통해 컨택트 전극(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픽셀 전극(34)은, 그 주변부가 인접한 2개의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과 2개의 신호 라인(27)과 오버랩하도록 형성된다. 픽셀 전극(34)은 신호 라인(27)을 따른 방향으로 장축(major axis)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TFT(14), 보조 커패시턴스 소자(16) 및 픽셀 전극(34)을 갖는 하부층(under layer : 11)이 글래스 기판(10)상에 형성된다. 복수의 원주형 스페이서(35)는 복수의 컨택트 홀들(32) 중 대응하는 컨택트 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층(11)상에 각각 형성된다. 도 3에는, 원주형 스페이서(35)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원주형 스페이서(35)가 형성되는 하부층(11)상에는 배향막(alignment film : 37)이 형성된다.
복수의 픽셀(13) 각각은 하나의 TFT(14), 하나의 보조 커패시턴스 소자(16), 하나의 컨택트 홀(32) 및 하나의 픽셀 전극(34)을 갖는다.
다음으로, 대향 기판(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 기판(2)은 투명 절연 기판으로서 글래스 기판(40) 등을 포함한다. 이 글래스 기판(40)상에는 컬러 필터(50)가 형성된다.
컬러 필터(50)는 복수의 적색층(50R), 복수의 녹색층(50G) 및 복수의 청색층(50B)을 갖는다. 이러한 컬러층들은 신호 라인(27)이 연장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줄무늬 패턴으로 형성된다. 컬러층들 각각의 주변부는 대응하는 신호 라인(27)과 오버랩한다. 대향 전극(41)은 ITO 등의 투명 도전 물질을 이용해 컬러 필터(50)상에 형성된다. 컬러 필터(50)와 대향 전극(41)상에는 배향막(43)이 형성된다.
어레이 기판(1)과 대향 기판(2)은 복수의 원주형 스페이서(35)에 의해 그 사이에 소정의 갭을 갖고 서로 대향 배치된다. 어레이 기판(1)과 대향 기판(2)은 표시 영역(R)의 바깥 주변부 근방에서 어레이 기판(1)과 대향 기판(2) 사이에 위치한 밀봉재(sealing member : 6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액정층(3)은, 어레이 기판(1), 대향 기판(2) 및 밀봉재(6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형성된다. 밀봉 물질(60)의 일부에는 액정 주입구(61)가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 주입구는 밀봉제(62)로 밀봉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원주형 스페이서(35)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원주형 스페이서(35)는, 대응 컨 택트 홀(32)로부터 이격된 대응하는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의 일부와 오버랩한다. 원주형 스페이서(35)는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인접 배열된 픽셀들(13)과 스트래들(straddle)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원주형 스페이서(35)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인접 배열된 픽셀 전극들(34)과 스트래들한다.
어레이 기판(1)의 표면과 대향 기판(2)의 표면에 평행한 원주형 스페이서(35)의 교차부가 장축(a1)을 갖는다. 각각의 원주형 스페이서(35)의 장축(a1)은 원주형 스페이서에 의해 오버랩되는 픽셀(13)에서 컨택트 홀(32)을 서로 연결하는 라인(L)과 교차한다. 라인(L)은 제1 방향(d1)을 따르는 직선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원주형 스페이서(35)가 타원형 기둥이고, 어레이 기판(1)의 표면과 대향 기판(2)의 표면에 평행한 원주형 스페이서(35)의 교차부가 타원이다. 원주형 스페이서(35)의 교차부는 서로 직교하는 장축(a1)과 단축(a2)을 갖는다. 각각의 원주형 스페이서(35)의 중앙은 라인(L)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각각의 원주형 스페이서(35)가 대응 컨택트 홀(32)로부터 이격된 대응하는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의 일부와 오버랩한다. 원주형 스페이서(35)는 인접 픽셀들(13)과 스트래들한다. 각각의 원주형 스페이서(35)의 장축(a1)은 원주형 스페이서에 의해 오버랩되는 픽셀(13)에서 컨택트 홀(32)을 서로 연결하는 라인(L)과 교차한다.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의 해상도의 증가가 픽셀들(13) 간의 거리 또는 컨택트 홀들(32) 간의 거리를 줄이더라도, 각각의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과 오버랩하게 큰 사이즈의 원주형 스페이서(35)를 형성할 수 있다.
원주형 스페이서(35)는 기판에 대한 외부 힘의 영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어레이 기판(1)과 대향 기판(2) 사이의 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주형 스페이서(35)가 각각의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과 오버랩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은 높은 표시 품질과 높은 생산 수율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구성 일부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픽셀(13)(픽셀 전극(34))은 제2 방향(d2)으로 정렬되지 않고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며, 제2 방향으로는 일렬로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방향(d1)에서, 복수의 홀수번째 픽셀(13) 각각과, 복수의 짝수번째 픽셀(13) 중 그 다음 픽셀이 제2 방향(d2)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픽셀 배열은 픽셀들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여준다. 이는 누화(cross talk) 등에 의한 이미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게 해준다.
컨택트 홀(32)은 제1 방향(d1)으로 엇걸리게 배열(stagger)된다. 각각의 원주형 스페이서(35)의 장축(a1)은 원주형 스페이서에 의해 오버랩되는 픽셀(13)에서 컨택트 홀(32)을 서로 연결하는 라인(L)과 교차한다. 라인(L)은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으로 기울어진 직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각각의 원주형 스페이서(35)가 대응 컨택트 홀(32)로부터 이격된 대응하는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의 일부와 오버랩한다. 원주형 스페이서(35)는 인접 픽셀들(13)과 스트래들한다. 각각의 원주형 스페이서(35)의 장축(a1)은 원주형 스페이서에 의해 오버랩되는 픽셀(13)에서 컨택트 홀(32)을 서로 연결하는 라인(L)과 교차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은 높은 표시 품질과 높은 생산 수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구현시에,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 이러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적절히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발명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들에 도시되어 있는 일부 구성요소들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적절히 결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전술한 실시예들은 최대 50㎛의 단측(도 7 및 도 8에서의 제1 방향(d1))을 갖는 픽셀 전극(34)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픽셀 전극이 최대 50㎛의 단측을 가질 때, 픽셀 전극들 간의 거리와 컨택트 홀들 간의 거리가 줄어든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 원주형 스페이서는, 컨택트 홀들 사이에 위치할 때, 얇아질 필요가 없고 충분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주형 스페이서 의 컨택트부는 충분한 컨택트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큰 부하가 컨택트부에 작용하더라도, 원주형 스페이서는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정 표시 패널은 적절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원주형 스페이서(35)의 단면 모양은 식 모양(eclipse)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또는 십자형일 수도 있다. 원주형 스페이서(35)의 교차부는 장축(a1)을 가져야 한다. 이때, 원주형 스페이서(35)의 장축(a1)이 원주형 스페이서(35)에 의해 오버랩되는 픽셀(13)에서 컨택트 홀(32)을 서로 연결하는 라인과 교차하면 전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픽셀 전극(34)의 모양은, 원주형 스페이서(35)가 대응하는 픽셀 전극(34)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원주형 스페이서(35)는 어레이 기판(1)상에 형성되지 않고, 대향 기판(2)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컬러 필터(50)는 대향 기판(2)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주형 스페이서(35)는 대응하는 보조 커패시턴스 라인(21)과 오버랩하지 않고, 광 차단부 역할을 하는 부재와 오버랩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패널의 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정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일부의 확대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등가 회로도.
도 5는 도 3에서 라인 V-V를 따라 취해진 액정 표시 패널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라인 VI-VI을 따라 취해진 액정 표시 패널의 단면도.
도 7은 어레이 기판의 일부, 특히 컨택트 홀, 픽셀 전극 및 원주형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에서의 어레이 기판의 일부, 특히 컨택트 홀, 픽셀 전극 및 원주형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레이 기판 2 : 대향 기판
3 : 액정층 4 : 스캐닝 라인 구동 회로
5 : 신호 라인 구동 회로 10 : 글래스 기판
13 : 픽셀 15 : 채널층
17 : 보조 커패시턴스 전극

Claims (5)

  1. 액정 표시 패널로서,
    기판상에 형성된 광 차단부,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고 상기 광 차단부와 오버랩하는 컨택트 홀을 포함하는 절연막, 및 상기 컨택트 홀을 포함하는 픽셀들을 구비한 어레이 기판;
    대향 기판 - 상기 대향 기판은 상기 어레이 기판과의 사이에 갭을 갖고 상기 어레이 기판에 대향 배열됨 - ;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있는 액정층;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각기 위치하여 인접 픽셀들과 스트래들(straddle)하고, 상기 컨택트 홀들 중 대응하는 컨택트 홀로부터 이격된 상기 광 차단부와 오버랩하는 원주형 스페이서(columnar spacer) - 상기 원주형 스페이서는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갭을 유지함 - 를 포함하며,
    상기 어레이 기판의 표면과, 상기 대향 기판의 표면에 평행한 상기 원주형 스페이서 각각의 교차부는 장축(major axis)을 가지고,
    상기 원주형 스페이서 각각의 상기 장축은 스페이서들에 의해 오버랩되는 픽셀들에서 상기 컨택트 홀들을 서로 연결하는 라인과 교차하는 액정 표시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은 서로 직교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매트릭스 형태로 배 열되며,
    상기 원주형 스페이서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위치한 픽셀들과 스트래들하는 액정 표시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한 상기 제2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는 일렬로 배열되는 액정 표시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기판의 표면과, 상기 대향 기판의 표면에 평행한 상기 원주형 스페이서 각각의 교차부는 타원형(elliptic)인 액정 표시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 스페이서 각각의 중앙은 상기 컨택트 홀들을 서로 연결하는 라인의 중앙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패널.
KR1020080072116A 2007-08-13 2008-07-24 액정 표시 패널 KR20090017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10873 2007-08-13
JP2007210873A JP2009047729A (ja) 2007-08-13 2007-08-13 液晶表示パネ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412A true KR20090017412A (ko) 2009-02-18

Family

ID=4036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116A KR20090017412A (ko) 2007-08-13 2008-07-24 액정 표시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046238A1 (ko)
JP (1) JP2009047729A (ko)
KR (1) KR20090017412A (ko)
TW (1) TW2009212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8106B2 (ja) * 2010-07-08 2014-07-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パネル
WO2012073798A1 (en) * 2010-11-30 2012-06-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566023B (zh) * 2016-03-31 2017-01-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主動元件陣列基板
CA3118139A1 (en) * 2018-11-02 2020-05-07 Grey Matter Medical Products Rail tension extraction devices
WO2023236063A1 (zh) * 2022-06-07 2023-12-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8608B2 (en) * 1995-09-06 2005-05-03 Kabushiki Kaisha Toshib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373098B (en) * 1995-09-06 1999-11-01 Toshiba Corp Liquid crystal exposure component and its fabricating method
JP2907137B2 (ja) * 1996-08-05 1999-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456896B2 (ja) * 1997-12-25 2003-10-1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362250B2 (ja) * 2001-10-16 2009-11-11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133109B2 (en) * 2003-06-17 2006-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pacers disposed near the liquid crystal inlet, wherein the spacers have prism shapes or elliptical column shapes
TWI315003B (en) * 2004-06-18 2009-09-2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608858B2 (en) * 2006-06-06 2009-10-27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Spacing architecture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spac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21219A (en) 2009-05-16
JP2009047729A (ja) 2009-03-05
US20090046238A1 (en)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59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9061953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6542986B2 (ja) Va型coa液晶表示パネル
US822847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0548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23790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45354B1 (ko) 화소영역외곽부에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된 cot구조액정표시장치
US9897865B2 (en) Arr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20140085558A1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5019033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injection hole for liquid crystal
KR101367135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763933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ubstrate spacers engaging with contact holes that contact pixel electrode with the electrodes of switching elements
TWI753527B (zh) 顯示裝置
KR0144061B1 (ko) 실드된 픽셀 구조를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17412A (ko) 액정 표시 패널
JP4065645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2009145367A (ja) 電界駆動型装置及び電子機器
US970315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251417A (ja) 液晶表示装置
US7173681B2 (en) Two pixel electrodes interposing the signal line extending into without extending beyond the recess on the protection film caused by the contact hole
US8665405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JP2000338514A (ja) 液晶表示装置
KR101350407B1 (ko)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US1114391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spacers
KR20160090450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