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904A - 금속 양이온 함유 화합물로 변성된 중합체 물품 - Google Patents

금속 양이온 함유 화합물로 변성된 중합체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904A
KR20090015904A KR1020087026365A KR20087026365A KR20090015904A KR 20090015904 A KR20090015904 A KR 20090015904A KR 1020087026365 A KR1020087026365 A KR 1020087026365A KR 20087026365 A KR20087026365 A KR 20087026365A KR 20090015904 A KR20090015904 A KR 2009001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ethylene
acid copolymer
stearate
methacr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파노 가르디
마시밀리아노 살라
군터 쉴링로프
Original Assignee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1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90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4Preparation of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76Neutralised polymers, i.e. i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농업용 물품:
(a) 유기 중합체, 및
(b-I)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 또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 염, 및
(b-II) 망간 스테아레이트.
멀치 필름, 폴리아크릴산, 망간 스테아레이트

Description

금속 양이온 함유 화합물로 변성된 중합체 물품{Polymer Article Modified With A Metal Cation Containing Compound}
본 발명은 특히 (a) 유기 중합체와 (b) 특정 유기 금속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농업용 물품; 농업용 물품의 내후성 및 농업용 물품의 분해를 조절하기 위한 유기 금속 염의 용도; 뿐만 아니라 수개의 신규 중합성 유기 금속 염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물품은 내구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여 일상 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시판되는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적절히 안정화함으로써 수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다.
그러나, 최근 환경 규제로 인해, 사용 기간 동안은 그 기능과 일체성을 유지하지만, 사용 후에는 화학적 수단이나 미생물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하기 시작하는 소위 각종 생분해성 물질을 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는 사용 기간 동안 생분해성과 일체성 간의 평형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다.
썩는 열가소성 조성물은 이를테면 US-A-5,258,422에 기재되어 있다.
분해성 합성 중합성 화합물은 이를테면 US-A-5,352,716에 기재되어 있다.
다가 산 이오노머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공 커버 조성물은 이를테면 US-A- 6,277,92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물품은 골프 공이나 골프공 커버와는 다르다.
광분해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이를테면 JP-A-Sho 50-34,045에 기재되어 있다.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분해성 필름은 이를테면 US-A-3,454,510에 기재되어 있다.
분해성/부패성 축합물, 분해성/부패성 포장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품은 이를테면 US-A-5,854,304에 기재되어 있다.
화학적 분해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이를테면 US-A-5,565,503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하기 성분(a) 및 성분(b-1)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농업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a) 유기 중합체, 및
(b-I)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1 또는 2 이상의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0.001∼9 중량%:
[화학식 I]
Figure 112008074771389-PCT00001
상기 식에서,
m은 0이 아니고,
n은 0이거나 또는 0이 아니고,
m + n은 10∼10 x 106이고, 그리고
n이 0이 아닐 때, m/n의 비는 1/100∼100/1이고,
반복 단위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의를 가질 수 있고,
반복 단위 Y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의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반복 단위 X 및 Y는 랜덤 혹은 블록 구조를 가질 수 있고;
X는 하기 화학식(II-1)의 기이고, Y는 하기 화학식(II-2)의 기이고:
[화학식 Ⅱ-1]
Figure 112008074771389-PCT00002
[화학식 II-2]
Figure 112008074771389-PCT00003
상기 식에서,
X1, X2 및 X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Y1, Y2 및 Y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Y3 는 수소, C1-C4알킬, 페닐 또는 -C(O)-Y0 기이고,
X0 는 화학식 -O- 1/r Mr+, -O- N+(R1)4 또는 -N(R3)2의 기이고,
그리고 n이 0일 때, X0 는 부가적으로 -OH 또는 -OR2 기이고,
Y0 는 화학식 -OH 또는 -O-R2의 기이고,
M 은 r이 1, 2, 3 또는 4인 r가를 갖는 금속 양이온이고,
라디칼 R1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C3-C12시클로알킬 또는 페닐이고,
R2 는 C1-C20알킬 또는 C3-C12시클로알킬이고, 그리고
라디칼 R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또는 C3-C12시클로알킬이고;
단,
1) 성분(b-I)은 성분(a)와 다르고;
2) 화학식(I)의 화합물이 전이 금속 양이온을 갖지 않거나 또는 반복 단위 X의 1% 이하가 전이 금속 양이온을 함유할 때, 조성물은 추가 성분(b-II)으로서 1 또는 2 이상의 전이 금속의 유기 염을 함유하고;
3) 화학식(I)의 화합물에서 반복 단위 X의 1∼100%가 전이 금속 양이온을 함유할 때, 성분(b-II)은 조성물에 임의로 존재하고;
4) 성분(b-II)는 성분(b-I)과 다르고; 그리고
5) n이 0이 아닌 경우에, 성분(b-I)의 금속 양이온이 Co, Cu, Mn 및 Cr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때, 조성물은 2 이상의 상이한 전이 금속 양이온이나 추가 성분으로서 안료 및/또는 광안정화제를 함유한다.
성분(b-I)/(b-II)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 000/1∼1/50 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 000/1∼1/5 000 또는 1/100∼100/1 또는 1/20∼20/1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 이를테면 본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 중 몇 개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
화학식(I)의 중합성 화합물을 종결시키는 말단 기들은 제제, 이를테면 중합 공정 동안 사용된 사슬 종결제(캐핑제, capping agents)에 따라 달라진다.
캐핑제의 적당한 예로는 톨루엔, 산소, 메르캅탄, 이를테면 1-부탄티올, 1-도데칸티올, 포스핀산 나트륨 염, 카르보노트리티오산 비스(페닐메틸)에스테르 및 테트라브로모메탄이 있다.
말단기의 적당한 예는 수소이다.
탄소 원자 20 이하를 갖는 알킬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부틸, 2-에틸부틸, n-펜틸, 이소펜틸, 1-메틸-펜틸, 1,3-디메틸-부틸, n-헥실, 1-메틸헥실, n-헵틸, 이소헵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1-메틸헵틸, 3-메틸헵틸, n-옥틸, 2-에틸-헥실, 1,1,3-트리메틸헥실, 1,1,3,3-테트라메틸펜틸, 노닐, 데실, 운데실, 1-메틸운데실, 도데실, 1,1,3,3,5,5-헥사메틸헥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및 아이코실이다.
C3-C12시클로알킬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및 시클로도데실이 있다.
m/n 비는 바람직하게는 1/100∼28/72,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1/5,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1/5 또는 1/70∼1/10 또는 1/50∼1/10이다.
m+n 은 바람직하게는 10∼82 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 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10 000; 30∼8 000; 30∼800; 30∼100 또는 30∼80이다.
m+n 값은 수평균 분자량
Figure 112008074771389-PCT00004
을 기본으로 한것이다.
다음에서, 분자량은 별도 규정이 없는 한, 크기별로 분자를 분리하고 평균 분자량
Figure 112008074771389-PCT00005
을 얻기 위한 분석법으로서 이용되는 GPC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평균 분자량 (
Figure 112008074771389-PCT00006
)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은 이를테면 W.W.Yan 일행이 지은 , N.Y., USA, 1979에 의해 편집된, "Modern Size - Exclusion Liquid Chromatography", pages 4-8, 249-283 및 315-340에 공지되어 있다.
GPC 분석은, 제조업체의 권고에 따라, 이를테면 ®Perkin-Elmer RI 검출기 LC 30 및 ®Perkin-Elmer 오븐 LC 101가 설치된 GPC 크로마토그라프 ®Perkin-Elmer LC 250로 실시될 수 있다.
성분 b)의 바람직한 분자량은 300∼3 000 000 g/mol, 300∼1 000 000 g/mol, 1 000∼1 000 000 g/mol 또는 2 000∼1 000 000 g/mol, 1 000∼500 000 g/mol, 2 000∼500 000 g/mol 또는 5 000∼500 000 g/mol이다.
M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 알칼리 토류 금속 양이온 및 전이 금속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 특히 Li, Na, K, Ca, Mg, Mn, Fe, Co, Ni, Zn 및 Ce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라, 반복 단위 X의 5∼50%, 특히 5∼20%는 금속 양이온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 반복 단위 X의 50∼100%, 이를테면 70∼100% 또는 80∼100%는 금속 양이온을 함유한다.
X0 가 화학식 -O- 1/r Mr+, -O- N+(R1)4 또는 -N(R3)2의 기인 화학식(I)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X1, X2 및 X3 중 하나는 수소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X1, X2 및 X3 은 수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Y1, Y2 및 Y4 는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그리고 Y3 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C1-C4알킬, 페닐 또는 -COOH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합물의 금속 염이다:
폴리아크릴산;
C1-C4알킬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특히 메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프로필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C1-C4알킬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C1-C4알킬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C1-C4알킬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성분(b-I)의 또 다른 예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금속 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300∼3 000 000 g/mol; 300∼1 000 000 g/mol, 2 000∼1 000 000 g/mol 또는 5 000∼500 000 g/mol을 갖는다.
상술한 중합체의 금속 염은 또한 -COOH 기의 상당량이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중합체 중 본래 -COOH 기의 10∼99 %, 바람직하게는 10∼90 %; 20∼80 %; 30∼99 %; 30∼90 %; 30∼50 %; 특히 20∼40 %가 금속 염 형태인 부분 금속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 염은 분자량 5 000∼500 000, 특히 200 000∼500 000 g/mol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본래 -COOH 기의 20∼90 %, 특히 20∼40 %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염 형태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상이한 금속 양이온을 함유한다.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양이온과 전이 금속 양이온의 조합물이 특히 중요하다. 이들 2개의 상이한 금속 양이온의 원자비는 이를테면 100:1 내지 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20:1 내지 1:1 또는 9:1 내지 1:1이다.
중요한 것은, Mn, Fe 및 Co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개의 상이한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화학식(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화학식(I)의 화합물은 2개의 상이한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데; 한 금속 양이온은 Li+, Na+, K+, Ca2+ 1/2 또는 Zn2+ 1/2 이고, 그리고 또 다른 금속 양이온은 Mn, Fe 및 Co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농업용 물품의 분해성을 개선하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I-1) 폴리아크릴산 망간 염,
I-2) 폴리아크릴산 철 염,
I-3) 폴리아크릴산 코발트 염,
I-4) 폴리아크릴산 망간/철 염,
I-5) 폴리아크릴산 망간/코발트 염,
I-6) 폴리아크릴산 철/코발트 염,
I-7) 폴리아크릴산 리튬/망간 염,
I-8) 폴리아크릴산 리튬/철 염,
I-9) 폴리아크릴산 리튬/코발트 염,
I-10) 폴리아크릴산 나트륨/망간 염,
I-11)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철 염,
I-12)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코발트 염,
I-13) 폴리아크릴산 칼륨/망간 염,
I-14) 폴리아크릴산 칼륨/철 염,
I-15) 폴리아크릴산 칼륨/코발트 염,
I-16) 폴리아크릴산 칼슘/망간 염,
I-17) 폴리아크릴산 칼슘/철 염,
I-18) 폴리아크릴산 칼슘/코발트 염,
I-19) 폴리아크릴산 아연/망간 염,
I-20) 폴리아크릴산 아연/철 염,
I-21) 폴리아크릴산 아연/코발트 염,
I-22) 폴리메타크릴산 망간 염,
I-23) 폴리메타크릴산 철 염,
I-24) 폴리메타크릴산 코발트 염,
I-25) 폴리메타크릴산 망간/철 염,
I-26) 폴리메타크릴산 망간/코발트 염,
I-27) 폴리메타크릴산 철/코발트 염,
I-28) 폴리메타크릴산 리튬/망간 염,
I-29) 폴리메타크릴산 리튬/철 염,
I-30) 폴리메타크릴산 리튬/코발트 염,
I-31)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망간 염,
I-32)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철 염,
I-33)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코발트 염,
I-34) 폴리메타크릴산 칼륨/망간 염,
I-35) 폴리메타크릴산 칼륨/철 염,
I-36) 폴리메타크릴산 칼륨/코발트 염,
I-37) 폴리메타크릴산 칼슘/망간 염,
I-38) 폴리메타크릴산 칼슘/철 염,
I-39) 폴리메타크릴산 칼슘/코발트 염,
I-40) 폴리메타크릴산 아연/망간 염,
I-41) 폴리메타크릴산 아연/철 염,
I-42) 폴리메타크릴산 아연/코발트 염,
I-43)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 염,
I-44)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철 염,
I-45)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코발트 염,
I-46)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철 염,
I-47)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코발트 염,
I-48)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철/코발트 염,
I-49)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망간 염,
I-50)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철 염,
I-51)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코발트 염,
I-52)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망간 염,
I-53)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철 염,
I-54)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코발트 염,
I-55)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망간 염,
I-56)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철 염,
I-57)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코발트 염,
I-58)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망간 염,
I-59)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철 염,
I-60)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코발트 염,
I-61)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연/망간 염,
I-62)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연/철 염,
I-63)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연/코발트 염,
I-64)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망간 염,
I-65)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철 염,
I-66)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코발트 염,
I-67)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철 염,
I-68)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코발트 염,
I-69)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철/코발트 염,
I-70)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리튬/망간 염,
I-71)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철 염,
I-72)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코발트 염,
I-73)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망간 염,
I-74)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철 염,
I-75)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코발트 염,
I-76)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륨/망간 염,
I-77)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철 염,
I-78)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코발트 염,
I-79)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슘/망간 염,
I-80)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철 염,
I-81)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코발트 염,
I-82)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연/망간 염,
I-83)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연/철 염,
I-84)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연/코발트 염,
I-85)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 염,
I-86)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철 염,
I-87)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코발트 염,
I-88)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철 염,
I-89)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코발트 염,
I-90)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철/코발트 염,
I-9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망간 염,
I-92)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철 염,
I-93)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코발트 염,
I-94)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망간 염,
I-95)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철 염,
I-96)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코발트 염,
I-97)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망간 염,
I-98)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철 염,
I-99)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코발트 염,
I-100)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망간 염,
I-10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철 염,
I-102)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코발트 염,
I-103)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연/망간 염,
I-104)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연/철 염,
I-105)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연/코발트 염,
상기 예에서, 2 금속의 원자비는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9:1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성분(b-I)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망간 염이다.
성분(b-II)은 바람직하게는 C2 내지 C36, 특히 C12 내지 C36의 탄소 수를 갖는 지방산의 금속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예는 팔미트산(C16), 스테아르산(C18), 올레산(C18), 리놀레산(C18), 리놀렌산(C18) 및 나프텐산의 금속 카르복실레이트이다. 성분(b-II)의 또 다른 예는 방향족 산, 이를테면 벤조산이다. Fe, Ce, Co, Mn 또는 Ni의 C2-C36카르복실레이트, 특히 스테아레이트, 팔미테이트 또는 나프테네이트로서, 성분(b-II)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Mn의 C12-C20알카노에이트 또는 C12-C20알케노에이트로서의 성분(b-II)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서, 성분(b-II)은 2개의 상이한 금속 염, 특히 1:9 내지 9:1의 몰비로 상이한 금속 양이온을 함유한다.
2개의 상이한 금속 염을 함유하는 성분(b-II)의 예는 다음과 같은 혼합물이다:
II-1) Mn-스테아레이트 및 Fe-스테아레이트,
II-2) Mn-스테아레이트 및 Co-스테아레이트,
II-3) Mn-스테아레이트 및 Ce-스테아레이트,
II-4) Co-스테아레이트 및 Fe-스테아레이트,
II-5) Co-스테아레이트 및 Ce-스테아레이트,
II-6) Ce-스테아레이트 및 Fe-스테아레이트,
II-7) Mn-팔미테이트 및 Fe-팔미테이트,
II-8) Mn-팔미테이트 및 Co-팔미테이트,
II-9) Mn-팔미테이트 및 Ce-팔미테이트,
II-10) Co-팔미테이트 및 Fe-팔미테이트,
II-11) Co-팔미테이트 및 Ce-팔미테이트,
II-12) Ce-팔미테이트 및 Fe-팔미테이트,
II-13) Mn-나프테네이트 및 Fe-나프테네이트,
II-14) Mn-나프테네이트 및 Co-나프테네이트,
II-15) Mn-나프테네이트 및 Ce-나프테네이트,
II-16) Co-나프테네이트 및 Fe-나프테네이트,
II-17) Co-나프테네이트 및 Ce-나프테네이트,
II-18) Ce-나프테네이트 및 Fe-나프테네이트,
II-19) Mn-스테아레이트 및 Mn-팔미테이트,
II-20) Mn-스테아레이트 및 Fe-팔미테이트,
II-21) Mn-스테아레이트 및 Co-팔미테이트,
II-22) Mn-스테아레이트 및 Ce-팔미테이트,
II-23) Co-스테아레이트 및 Fe-팔미테이트,
II-24) Co-스테아레이트 및 Ce-팔미테이트,
II-25) Ce-스테아레이트 및 Fe 팔미테이트,
II-26) Mn-팔미테이트 및 Fe-스테아레이트,
II-27) Mn-팔미테이트 및 Co 스테아레이트,
II-28) Mn 팔미테이트 및 Ce-스테아레이트,
II-29) Co-팔미테이트 및 Fe-스테아레이트,
II-30) Co-팔미테이트 및 Ce-스테아레이트,
II-31) Ce-팔미테이트 및 Fe-스테아레이트,
II-32) Mn-나프테네이트 및 Mn-스테아레이트,
II-33) Mn-나프테네이트 및 Fe-스테아레이트,
II-34) Mn-나프테네이트 및 Co-스테아레이트,
II-35) Mn-나프테네이트 및 Ce-스테아레이트,
II-36) Co-나프테네이트 및 Fe-스테아레이트,
II-37) Co-나프테네이트 및 Ce-스테아레이트,
II-38) Ce-나프테네이트 및 Fe-스테아레이트.
농업용 물품의 분해성을 개선하는 혼합물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아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
2) 폴리아크릴산 및 Fe-스테아레이트,
3) 폴리아크릴산 및 Co-스테아레이트,
4) 폴리아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
5) 폴리아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6) 폴리아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7) 폴리아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8) 폴리아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9) 폴리아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0) 폴리아크릴산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1) 폴리아크릴산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2) 폴리아크릴산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3)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
14)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
15)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Co-스테아레이트,
16)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7)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8)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9)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20)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21)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22)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23)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24)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25)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
26)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
27)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Co-스테아레이트,
28)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29)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30)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31)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32)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33)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34)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35)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36)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37) 폴리메타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
38) 폴리메타크릴산 및 Fe-스테아레이트,
39) 폴리메타크릴산 및 Co-스테아레이트,
40) 폴리메타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41) 폴리메타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42) 폴리메타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43) 폴리메타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44) 폴리메타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45) 폴리메타크릴산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46) 폴리메타크릴산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47) 폴리메타크릴산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48) 폴리메타크릴산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49)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
50)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
51)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Co-스테아레이트,
52)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53)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54)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55)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56)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57)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58)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59)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60) 폴리메타크릴산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61)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
62)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
63)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Co-스테아레이트,
64)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65)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66)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67)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68)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69)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70)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71)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72) 폴리메타크릴산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73)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Mn-스테아레이트,
74)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Fe-스테아레이트,
75)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Co-스테아레이트,
76)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77)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78)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79)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80)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81)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82)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83)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84)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85)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
86)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
87)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Co-스테아레이트,
88)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89)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90)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91)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92)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93)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94)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95)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96)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97)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
98)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
99)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Co-스테아레이트,
100)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01)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02)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03)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04)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05)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06)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07)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08)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09)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
110)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
111)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Co-스테아레이트,
112)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13)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14)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15)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16)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17)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18)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19)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20)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21)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
122)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
123)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Co-스테아레이트,
124)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25)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26)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27)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28)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29)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30)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31)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32)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33)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
134)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
135)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Co-스테아레이트,
136)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37)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38)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39)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40)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4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42)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43)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44)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45)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
146)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
147)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Co-스테아레이트,
148)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49)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50)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Fe-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5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52)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53)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Mn-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154)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1),
155)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4:1),
156)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 및 Fe-스테아레이트/Co-스테아레이트 혼합물(몰비 1:4).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염이란, 이를테면 폴리아크릴산의 -COOH 기 2∼50%, 바람직하게는 4∼25%, 특히 5∼15%만이 Na 염으로 전환된 것을 의미한다.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이란, 이를테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COOH 기 20∼80 %, 특히 20∼40 %가 Na 염으로 전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성분(b-I)이 폴리아크릴산의 알칼리 염,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또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염,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 특히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부분 나트륨염이고, 그리고 성분(b-II)가 망간 스테아레이트인 농업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첨가제 혼합물은 1 이상의 공지된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들어 2,6-디-t-부틸-4-메틸페놀, 2-t-부틸-4,6-디메틸페놀, 2,6-디-t-부틸-4-에틸페놀, 2,6-디-t-부틸-4-n-부틸페놀, 2,6-디-t-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t-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직쇄 또는 측쇄에서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스-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t-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 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를들어 2,6-디-t-부틸-4-메톡시페놀, 2,5-디-t-부틸-히드로퀴논, 2,5-디-t-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t-부틸-히드로퀴논, 2,5-디-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를 들어 α-토코페놀, β-토코페놀, γ-토코페놀, δ-토코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비타민E)
1.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들어 2,2'-티오비스(6-t-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t-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이차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1.6.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들어 2,2'-메틸렌비스(6-t-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t-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t-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 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t-부틸-2-메틸페놀), 1,1-비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t-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t-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t-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1.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3,5,3',5'-테트라t-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t-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머캅토아세테이트.
1.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t-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3, 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 포스포네이트, 예를들어 디메틸-2,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t-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 포스포네이트,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예를들어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3.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4.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3,9-비스[2-{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과 β-(5-t-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5.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6.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의 에스테르.
1.17.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들어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헥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피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오피오닐)히드라지드, N,N'-비스[2-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옥사미드(NaugardR XL-1, 유니로얄사 공급).
1.18.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1.19. 아민 산화방지제,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디-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이차부틸-디-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t-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t-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난오일아미노-페놀, 4-도데칸오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칸오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t-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t-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t-부틸/t-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t-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t-부틸/t-옥틸페노타이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t-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2. UV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
2.1.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를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t-부틸-디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이차부틸-디5'-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의 혼합물, 2-(3'-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과 2-[3'-t-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생성물; R이 3'-t-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인
Figure 112008074771389-PCT00007
, 2-[2'-히드록시-3'-(α,α-디메틸벤질)-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1,1,3,3-테트라메틸부틸)-5'-(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 2-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4-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t-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t-부틸페닐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t-부틸페닐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를들어 부가적인 리간드(예: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를 갖거나 갖지 않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t-부틸 벤질 포스폰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예 :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예: 2-히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부가적인 리간드를 갖거나 갖지 않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장애 아민, 예를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n-부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t-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t-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 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티렌디아민 및 4-시클로헥실아민-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및 2,4,6-트리크로로-1,3,5-트리아진 뿐만 아니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생성물(CAS Reg. No.[136504-96-6]); 1,6-헥산디아민 및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뿐만아니라 N,N-디부틸아민 및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생성물(CAS Reg. No. [192268-64-7]); N-(2,2,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생성물, 1,1-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카르보닐)-2-(4-메톡시페닐)에텐, N,N'-비스-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4-메톡시메틸렌말론산과 1,2,2,6,6-펜타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의 디에스테르, 폴리[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실옥산, 말레산 무수물-α-올레핀 공중합체와 2,2,6,6-테트라메틸-4-아미노피페리딘 또는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의 반응 생성물.
2.7. 옥사미드, 예를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t-부톡사아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t-부톡사아닐리드, 2-에톡시-2'-에톡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미드, 2-에톡시-5-t-부틸-2'-에톡사닐리드 및 그와 2-에톡시-2'-에틸-5,4'-디-t-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중 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중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2.8.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예를들어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라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3-(2-에틸헥실-1-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들어 N,N'-디페닐옥사아미드, N-살리실알-N'-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오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를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알킬 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큐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t-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t-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5-부틸-5-에틸-2-(2,4,6-트리-t-부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피란.
이하의 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IrgafosR 168, 시바 가이기 제조),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및 하기 화학식(A), (B), (C), (D), (E), (F) 및 (G)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스파이트:
Figure 112008074771389-PCT00008
Figure 112008074771389-PCT00009
Figure 112008074771389-PCT00010
Figure 112008074771389-PCT00011
Figure 112008074771389-PCT00012
5. 히드록실아민, 예를들어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 수지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6. 니트론, 예를들어 N-벤질-α-페닐니트론, N-에틸-α-메틸니트론, N-옥틸-α-헵틸니트론, N-라우릴-α-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α-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α-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페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 수지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티오상승제, 예를들어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8. 과산화물 제거제, 예를들어 β-티오디프로핀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즈이미다졸 또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디부틸디티오카밤산 아연,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9.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들어 요오드화물 및/또는 인 화합물 및 2가 망간염과 조합된 구리 염.
10.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를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베헨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리시놀레산 나트륨, 팔미트산 칼륨, 피로카테콜산 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 아연.
11. 핵생성제, 예를들어 무기물질(예;활석), 금속 산화물(예; 이산화 티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탄산염 또는 황산염; 유기 화합물(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이들의 염, 예컨대 4-t-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 나트륨 또는 벤조산 나트륨; 중합성 화합물, 예컨대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 특히 바람직한 것은 1,3: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2,4-디(파라메틸디벤질리덴)소르비톨 및 1,3:2,4-디(벤질리덴)소르비톨이다.
12. 충전제 및 보강제, 예를 들어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섬유, 유리 벌브,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블랙, 흑연, 목재 가루, 기타 천연 제품의 가루 또는 섬유, 합성 섬유.
13. 기타 첨가제, 예를들어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유동학적 첨가제, 촉매, 흐름-조절제, 광학 광택제, 내화제, 대전방지제 및 발포제.
14. 벤조푸라논 및 인돌리논, 예를들어 US-4 325 863호, US-4 338 244호, US-5 175 312호, US-5 216 052호, US-5 252 643호, DE-A-4 316 611호, DE-A-4 316 622호, DE-A-4 316 876호, EP-A-0 589 839호 또는 EP-A-0 591 102호에 개시된 것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t-부틸-벤조푸란-2-온, 5,7-디-t-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t-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t-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t-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t-부틸-벤조푸란-2-온, 3-(3,4-디메틸페닐)-5,7-디-t-부틸벤조푸란-2-온, 3-(2,3-디메틸페닐)-5,7-디-t-부틸벤조푸란-2-온.
공지의 첨가제는, 이를테면 유기 중합체 (성분(a))의 중량 기준으로, 0.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1 이상의 다음 성분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이 또한 바람직하다:
(b-III) 충전제 또는 보강제,
(b-IV) 안료,
(b-V) 광안정화제,
(b-VI) 가공 첨가제.
(b-VII) 산화방지제,
(b-VIII) Ca, Mg, Zn 또는 Al의 무기 또는 유기 염, 또는 Ca, Mg, Zn 또는 Al의 산화물,
(b-IX) 테르펜 유도체.
성분(b-III) 내지 (b-VIII)의 예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하는 US-A-2003-0 236 32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성분(b-III)은 이를테면 탄산칼슘, 실리카, 유리섬유, 유리 벌브,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블랙, 흑연, 목재 가루, 기타 천연 제품의 가루, 합성 섬유 및 충전제로서 사용된 금속 스테아레이트, 이를테면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스테아르산 아연; 불포화 유기 중합체, 이를테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옥테나머, 또는 불포화 산, 이를테면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또는 리놀렌산; 및 추가 중합체, 이를테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를 포함한다.
성분(b-IV)는 이를테면 카본블랙, 이산화티탄(1000 ㎛∼10 nm의 입경을 갖고, 필요한 경우 표면처리될 수 있는 아나타제 또는 루타일) 또는 농업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유기 또는 무기 착색 안료(예, 카본블랙, 갈색, 회색, 적색, 녹색)이다.
성분(b-V)는 바람직하게는 가리어진(장애) 아민 광안정화제(HALS) 또는 UV 흡수제이다. 바람직한 장애 아민 광안정화제의 예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하고 대응 미국 출원 10/257,339에 해당하는 WO-A-01/92,392에서 성분(A), (B) 및 (C)로 기재된 화합물이다.
성분(b-VI)의 예는 미끄럼방지/블록방지 첨가제, 가소제(예, 폴리글리콜), 광학 광택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또는 가공 안정화제이다.
성분(b-VII)의 예는 페놀성 산화방지제이다.
성분(b-VIII)의 예는 스테아르산 금속,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스테아르산 아연; 또는 산화 아연(입경 1000 ㎛∼10 nm, 필요한 경우 표면처리됨)이다.
성분(b-IX)으로서 사용된 폴리테르펜 수지는 천연 또는 합성 폴리테르펜 수지이다. 폴리테르펜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거나 또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폴리테르펜 수지는 이를테면 비시클릭 테르펜 또는 시클릭 테르펜, 예를 들면 모노시클릭 테르펜 또는 비시클릭 테르펜을 기본으로 하는 데, 테르펜 탄화수소를 기본으로 하는 폴리테르펜이 바람직하다.
비시클릭 테르펜의 예는 다음과 같다.
테르펜 탄화수소의 예
미르센, 오시멘 및 베타-파르네센;
테르펜 알코올의 예
디히드로미르세놀(2,6-디메틸-7-옥텐-2-올), 게라니올(3,7-디메틸-트랜스-2,6-옥타디엔-1-올), 네롤(3,7-디메틸-시스-2,6-옥타디엔-1-올), 리날로올(3,7-디메틸-1,6-옥타디엔-3-올), 미르세놀(2-메틸-6-메틸렌-7-옥텐-2-올), 라반둘올, 시트로넬올(3,7-디메틸-6-옥텐-1-올), 트랜스-트랜스-파르네솔(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엔-1-올) 및 트랜스-네롤리돌(3,7,11-트리메틸-1,6,10-도데카트리엔-3-올);
테르펜 알데히드 및 아세탈의 예
시트랄(3,7-디메틸-2,6-옥타디엔-1-알), 시트랄 디에틸 아세탈(3,7-디메틸-2,6-옥타디엔-1-알디에틸 아세탈), 시트로넬알(3,7-디메틸-6-옥텐-1-알), 시트로넬릴옥시아세트알데히드 및 2,6,10-트리메틸-9-운데센알;
테르펜 케톤의 예
타게톤, 솔라논 및 게라닐아세톤(6,10-디메틸-5,9-운데카디엔-2-온);
테르펜 산 및 에스테르의 예
시스-게라닉산, 시트로넬릭산, 게라닐 에스테르(게라닐 포르메이트, 게라닐 아세테이트, 게라닐 프로페오네이트, 게라닐 이소부티레이트 및 게라닐 이소발레레이트 포함), 네릴 에스테르(네릴 아세테이트 포함), 리날일 에스테르(리날일 포르메이트, 리날일 아세테이트, 리날일 프로페오네이트, 리날일 부티레이트 및 리날일 이소부티레이트 포함), 라반둘일 에스테르(라반둘일 아세테이트 포함), 시트로넬일 에스테르(시트로넬일 포르메이트, 시트로넬일 아세테이트, 시트로넬일 프로페오네이트, 시트로넬일 이소부티레이트, 시트로넬일 이소발레레이트 및 시트로넬일 티글레이트 포함); 및
질소 함유 불포화 테르펜 유도체의 예
시스-게라닉산 니트릴 및 시트로넬릭산 니트릴.
시클릭 테르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시클릭 테르펜 탄화수소의 예
리모넨(1,8-p-멘타디엔), 알파-테르피넨, 감마-테르피넨(1,4-p-멘타디엔), 테르피놀렌, 알파-펠란드렌(1,5-p-멘타디엔), 베타-펠란드렌, 알파-피넨(2-피넨), 베타-피넨(2(10)-피넨), 캄펜, 3-카렌, 카리오필렌, (+)-발렌센, 투조프센, 알파-세드렌, 베타-세드렌 및 론기폴렌;
시클릭 테르펜 알코올 및 에테르의 예.
(+)-네오이소-이소풀레골, 이소풀레골(8-p-멘텐-3-올), 알파-테르피네올(1-p-멘텐-8-올), 베타-테르피네올, 감마-테르피네올, 델타-테르피네올 및 1-테르피넨-4-올(1-p-멘텐-4-올);
시클릭 테르펜 알데히드 및 케톤의 예
카르본(1,8-p-만타디엔-6-온), 알파-이오논(C13H20O), 베타-이오논(C13H20O), 감마-이오논(C13H20O), 이론(알파-, 베타-, 감마-)(C14H22O), n-메틸이오논(알파-, 베타-, 감마-)(C14H22O), 이소메틸이오논(알파-, 베타-, 감마-)(C14H22O), 알릴이오논(C16H24O), 슈도이오논, n-메틸슈도이오논, 이소메틸슈도이오논, 다마스콘{1-(2,6,6-트리메틸시클로헥세닐)-2-부텐-1-온; 베타-다마스세논(1-(2,6,6-트리메틸-1,3-시클로하디에닐)-2-부텐-1-온) 포함}, 누트카톤(5,6-디메틸-8-이소프로페닐비시클로[4.4.0]-1-데센-3-온) 및 세드릴 메틸 케톤(C17H26O); 및
시클릭 테르펜 에스테르의 예
알파-테르피닐 아세테이트(1-p-멘텐-8-일 아세테이트), 노필 아세테이트((-)-2-(6,6-디메틸비시클로[3.1.1]헵트-2-엔-2-일)에틸 아세테이트) 및 큐시밀 아세테이트.
또 다른 적당한 테르펜 유도체는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John Wiley & Sons, 4. ed. (1994), Vol. 23, p. 833-882"에 기재되어 있다.
폴리테르펜의 기본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테르펜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트리시클렌, 알파-피넨, 알파-펜켄, 캄펜, 베타-피넨, 미르센, 시스-피난, 시스/트랜스-p-8-멘텐, 트랜스-2-p-멘텐, p-3-멘텐, 트랜스-p-멘탄, 3-카렌, 시스-p-멘탄, 1,4-시네올, 1,8-시네올, 알파-테르피넨, p-1-멘텐, p-4(8)-멘텐, 리모넨, p-시멘, 감마-테르피넨, p-3,8-멘타디엔, p-2,4(8)-멘타디엔 및 테르피놀렌.
성분(b-IX)의 또 다른 예는 다음과 같이 구조적으로 테르펜과 관련된 지환족 화합물이다:
알코올의 예
5-(2,2,3-트리메틸-3-시클로펜텐-1-일)-3-메틸펜탄-2-올;
알데히드의 예
2,4-디메틸-3-시클로헥센 카르복스알데히드, 4-(4-메틸-3-펜텐-1-일)-3-시클로헥센 카르복스알데히드 및 4-(4-히드록시-4-메틸펜틸)-3-시클로헥센 카르복스알데히드;
케톤의 예
시베톤, 디히드로자스몬(3-메틸-2-펜틸-2-시클로펜텐-1-온), 시스-자스몬(3-메틸-2-(2-시스-펜텐-1-일)-2-시클로펜텐-1-온), 5-시클로헥사데센-1-온, 2,3,8,8-테트라메틸-1,2,3,4,5,6,7,8-옥타히드로-2-나프탈레닐 메틸 케톤 및 3-메틸-2-시클로펜텐-2-올-1-온; 및
에스테르의 예
4,7-메타노-3a,4,5,6,7,7a-헥사히드로-5-(또는 6)-인데닐 아세테이트, 알릴 3-시클로헥실프로페오네이트, 메틸 디히드로자스모네이트 메틸(3-옥소-2-펜틸시클로펜틸) 아세테이트.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테르펜은 또한 상기 테르펜과 기타 불포화 유기 화합물과의 공중합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성분(b-IX)의 기타 예는 쿠마론-인덴 수지, 로진 등과 같은 불포화 콜타르 부생 중합체이다.
상기 성분(b-IX)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파-피넨, 폴리-베타-피넨, 폴리리모넨 또는 알파-피넨의 공중합체, 베타-피넨의 공중합체 또는 리모넨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테르펜 수지이며, 특히 폴리-베타-피넨이 바람직하다.
테르펜-계 탄화수소 수지는 통상 각각 목재 및 감귤류 공업에서 얻어진 알파-피넨, 베타-피넨 및 d-리모넨과 같은 생성물을 기본으로 한다. 테르펜-계 수지는 1930년대 중반 이래로 구입할 수 있었다(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John Wiley & Sons, 4. ed. (1994), Vol. 13, p. 717-718). 모노테르펜의 중합은 통상 염화알루미늄과 같은 프리델-크라프츠(Friedel-Crafts) 형 촉매 계를 이용하는 탄소양이온 중합반응에 의해 이루어진다(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John Wiley & Sons, 4. ed. (1994), Vol. 1, p.459).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테르펜은 1 이상의 테르펜 단위를 갖는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약 400 g/mol∼약 1,400 g/mol의 분자량을 갖는다.
성분(a)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모노올레핀 및 디올핀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뿐만 아니라 시클로올레핀(예컨대,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의 중합체, 폴리에틸렌(선택적으로 교차 결합될 수 있음),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간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VLDPE) 및 (ULDPE).
폴리올레핀 즉, 앞 단락에서 예시된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다양하게, 특히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라디칼 중합 반응(통상적으로는 고압 및 고온하에서)
b) 통상적으로는 주기율표의 Ⅳb,Ⅴb, VIb 또는 Ⅷ족 금속 1 이상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 중합반응. 이같은 금속은 일반적으로 1 이상의 리간드, 예컨대 π- 또는 σ-배위될 수 있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켄일 및/또는 아릴을 가진다. 이같은 금속 착물은 유리 형태이거나 기재(예컨대, 활성 염화 마그네슘, 염화 티탄(Ⅲ), 알루미나 또는 산화 실리콘)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같은 촉매는 중합반응 매질에서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촉매를 중합반응에서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추가의 활성제(예컨대 금속이 주기율표 Ia, IIa 및/또는 IIIa의 원소인 금속 알킬, 금속 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로겐화물, 금속 알킬 산화물 또는 금속 알킬옥산)를 사용할 수 있다. 활성제는 추가의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개질될 수 있다. 상기 촉매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필립스, 스탠다드 오일 인디애나, 지글러(-나타), TNZ(듀퐁), 메탈로센 또는 단자리 촉매(SSC)라고 칭한다.
2. 1)에서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PP/HDPE, PP/LDPE) 및 다양한 형태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LDPE/HDPE).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 서로간 또는 다른 비닐 단위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이들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산 공중합체, 에틸렌/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예컨대 COC 같은 에틸렌/노르보르넨 등), 에틸렌/1-올레핀 공중합체, 이때 1-올레핀은 자체적으로 생성됨;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센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이오노머)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예컨대,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의 삼중합체; 및 이같은 공중합체 간 그리고 이같은 공중합체와 상기 1)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LLDPE/EVA, LLDPE/EAA 및 교대의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예컨대, 폴리아미드)와 이들의 혼합물.
4. 폴리알킬렌과 전분의 혼합물 및 수소화 변형태(예컨대, 점착제)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예컨대 C5-C9).
상기 1)∼4)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비롯한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입체 블록 중합체도 또한 포함된다.
5.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6.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의 모든 이성질체, 특히 p-비닐톨루엔, 에틸 스티렌의 모든 이성질체, 프로필 스티렌, 비닐 비페닐, 비닐 나프탈렌, 및 비닐 안트라센을 비롯한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방향족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비롯한 임의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아탁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도 또한 포함된다.
6a.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니트릴, 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비닐 아세테이트 및 염화비닐로부터 선택된 상술한 비닐 방향족 단량체 및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그의 아크릴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에틸렌(인터중합체), 스티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아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의 고충역 강도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엔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과 같은 스티렌의 블록 공중합체.
6b. 6)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수소화로부터 유도된 수소화된 방향족 중합체, 특히 아탁틱 폴리스티렌을 수소화시켜 제조한 폴리시클로헥실에틸렌(PCHE)(흔히 폴리비닐시클로헥산(PVCH)로 칭함).
6c. 6a)에서 수록된 중합체의 수소화로부터 유도된 수소화된 방향족 중합체.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비롯한 임의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아탁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도 또한 포함된다.
7.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과 같은 비닐 방향족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스티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합체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뿐만 아니라 6)에서 열거한 공중합체와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ABS, MBS, ASA 또는 AES 중합체로 공지된 공중합체 혼합물.
8. 할로겐-함유 중합체 예컨대,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의 염소화 및 브롬화 공중합체(할로부틸 고무), 염소화 또는 황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틸렌 및 염소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동종- 및 공중합체, 특히 할로겐-함유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뿐만 아니라 그들의 공중합체(예컨대,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9. α,β-불포화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충격 변형됨).
10. 9)에서 언급된 단위체의 서로간의 또는 다른 불포화 단위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비닐 할라이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삼합체.
11. 불포화 알코올 및 아민 또는 아실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아세탈,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벤조에이트, 폴리비닐 말레에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알릴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릴 멜라민으로 부터 유도된 중합체; 뿐만 아니라 상기 1)에서 언급된 올레핀과 그들의 공중합체.
12.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알킬렌 글리콜과 같은 환형 에테르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 또는 이들과 비스글리시딜 에테르의 공중합체.
13. 폴리옥시메틸렌 및 공단위체로 에틸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폴리아세탈;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아세탈.
14.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및 술피드, 및 스티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와 폴리페닐렌 옥사이드의 혼합물.
15. 한편으로는 히드록시-말단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부타디엔 및 또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전구물질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
16. 디아민 및 디카르복시산 및/또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상응하는 락탐으로 부터 유도된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아미드 4,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6/10, 6/9, 6/12, 4/6, 12/12,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m-크실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으로 부터 개시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변형제로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이소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으로 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및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그라프티드 탄성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테르(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EPDM 또는 ABS로 개질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 공정(RIM 폴리아미드 시스템)중에 축합된 폴리아미드.
17. 폴리우레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18. 디카르복시산 및 디올 및/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 또는 이에 해당하는 락톤의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히드록시벤조에이트 뿐만아니라, 히디록시-말단 폴리에테르로 부터 유도된 블록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19.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20. 폴리케톤.
21.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및 폴리에테르 케톤.
22. 한편으로는 알데히드로부터 또 다른 한편으로는 페놀, 우레아 및 멜라민으로 부터 유도된 가교된 중합체 예컨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23. 건성 및 비건성 알키드 수지.
24.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시산과 가교제인 다가 알코올 및 비닐 화합물의 코폴리에스테르 및 저가연성인 그들의 할로겐-함유 개질제로 부터 유도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치환된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가교성 아크릴 수지, 예컨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26.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로 가교된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
27.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헤테로시클릭 또는 방향족 글리시딜 화합물로 부터 유도된 가교된 에폭시 수지 예컨대, 가속제와 함께 또는 가속제 없이 무수물 또는 아민 등의 통상의 경화제와 가교된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의 생성물.
28. 천연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오스, 고무, 젤라틴 및 화학적으로 개질된 이들의 동족 유도체 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또는 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테르; 뿐만 아니라 로진 및 그들의 유도체.
29. 전술한 중합체의 혼합물(복혼합물) 예컨대,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BTP/ABS, PC/ASA, PC/P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HI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HDPE, PA/PP, PA/PPO, PBT/PC/ABS 또는 PBT/PET/PC.
성분(a)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이다.
성분(a)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1) 올레핀 단량체, 예를 들면 에틸렌 및 프로필렌, 뿐만아니라 고급 1-올레핀, 이를테면 1-부텐, 1-펜텐, 1-헥센 또는 1-옥텐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틸렌 LDPE 및 LLDPE, HDPE 및 폴리프로필렌이다.
2) 올레핀 단량체의 동종중합체 및 올레핀 단량체와 디올레핀 단량체, 이를테면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시클릭 올레핀(예 노르보르넨)과의 공중합체.
3) 1 이상의 1-올레핀 및/또는 디올레핀과 일산화탄소 및/또는 기타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및 그의 대응 아크릴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및 그의 대응 에스테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케톤, 스티렌, 말레산 무수물 및 염화비닐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
4) 폴리비닐 알코올.
5) 기타 열가소성 수지,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액정 폴리에스테르(LCPs), 폴리아세탈(예, POM),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2 이상의 이들 수지로 이루어진 중합체 블렌드 또는 중합체 얼로이(alloy); 및 충전제, 이를테면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반-탄소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및 유리 비드, 난연제, 발포제, 항생제, 가교제, 미세 폴리올레핀 수지 분말, 폴리올레핀 왁스, 에틸렌 비스아미드 왁스, 금속 비누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물. 한편, 열경화성 수지의 예는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충전제, 이를테면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반-탄소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및 유리 비드, 난연제 등의 단독 성분 또는 이들 수지의 조합물을 혼입함으로써 얻어진 화합물이 있다.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이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양태에 따라, 성분(a)은 폴리올레핀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전분 변성 폴리올레핀 또는 전분계 중합체 복합물,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성분(a)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는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지방족 또는 지방-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및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이들의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분해가능한 중합체; 1 이상의 상술한 중합체와 천연 또는 변성된 전분, 다당류, 리그닌, 목재 가루, 셀룰로오스 또는 치틴과의 블렌드; 또는 그라프트 중합체인 상술한 중합체 물품이다.
성분(a)의 추가 예로는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카보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이를테면 폴리 3-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옥노에이트 공중합체,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헥사노에이트/데칸노에이트 삼합체, 및 폴리락트산이 있다.
분해가능한 중합체의 예는 수개의 문헌, 이를테면 "G. Hinrichsen et al., Macromol. Mater. Eng., 276/277, 1-24 (2000)" 및 "M. Flieger et al., Folia Microbiol. 48(1), 27-44 (2003)"에 기재되어 있다. 분해가능한 폴리에스테르에 관한 개략적인 요약은 문헌 "Bioploymers, Volumes 3a, 3b and 4, of A. Steinbuechel, Y. Doi (8. eds.), Wiley VCH, Weinheim (2001)"에 기재되어 있다.
열가소성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지방족 또는 지방-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및 지방족 또는 부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의 예는 이를테면 USP 6,307,003에 기재되어 있다. 분해가능한 폴리우레탄의 또 다른 예는 USP 5,961,906 및 5,898,049에 기재되어 있다. 분해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아미드의 예는 USP 5,512,339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미국 특허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하고 있다.
분해가능한 중합체의 원료는 화학 제품이거나, 발효에 의한 것이거나 또는 유전적으로 변형된 식물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성분(b-I)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유기 중합체(= 성분(a))에 0.001∼5 중량% 또는 0.005∼5 중량%, 특히 0.1∼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II)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유기 중합체(= 성분(a))에 0.005∼50 중량% 또는 0.005∼10 중량%, 특히 0.005∼5%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III)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유기 중합체(= 성분(a))에 0.05∼80 중량%, 특히 0.5∼7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IV)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유기 중합체(= 성분(a))에 0.05∼40 중량%, 특히 0.5∼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V)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유기 중합체(= 성분(a))에 0.01∼20 중량%, 특히 0.01∼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VI)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유기 중합체(= 성분(a))에 0.05∼10 중량%, 특히 0.0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VII)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유기 중합체(= 성분(a))에 0.001∼4 중량%, 예를 들면 0.005∼1 중량%, 특히 0.01∼0.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VIII)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유기 중합체(= 성분(a))에 0.005∼5 중량%, 특히 0.05∼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IX)은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유기 중합체(= 성분(a))에 0.01∼10 중량%, 특히 0.0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I) 및 임의의 성분(b-II) 내지 (b-IX)은 공지 방법, 이를테면 성형 전 또는 그 과정에서 용해 또는 분산된 화합물을 열가소성 유기 중합체에 적용하고, 필요한 경우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유기 중합체에 조절된 형태로 혼입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이들 성분을 2.5∼25 중량%의 농도로 분말, 과립 또는 마스터뱃치 형태로 함유하는 유기 중합체에 첨가될 수 있다.
제 1항에서 정의한 농업용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마스터뱃치이다:
(a) 유기 중합체
(b)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첨가제 혼합물 10∼70 %:
(b-I) 제 1항에서 정의한 화학식(I)의 화합물, 및
(b-II) Fe, Ce, Co, Mn 또는 Ni의 C2-C36카르복실레이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하기 성분(a) 및 (b)를 함유하는 마스터뱃치이다: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첨가제 혼합물 3∼60 중량%: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또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및
(b-II) 망간 스테아레이트.
바람직한 것은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상술한 마스터뱃치이다: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2∼10 중량%,
(b-II)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망간 스테아레이트 1∼5 중량%,
(b-III)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칼슘 스테아레이트 2∼10 중량%.
또한 바람직한 것은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상술한 마스터뱃치이다: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30∼50 중량%,
(b-II)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망간 스테아레이트 1∼5 중량%.
필요한 경우, 성분(b-I) 및 임의의 성분(b-II) 내지 (b-IX)은 유기 중합체(= 성분(a))에 혼입되기 전에 혼합될 수 있다. 이들은 중합반응 전 또는 그 과정에서 또는 가교반응 전에 유기 중합체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습한 환경에서 분해가 요망되는 모든 분야에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 혼합물의 용도는 상술한 조성물로 제조된 물품이 분해를 위해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장소의 기후 상태에 따라 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몇몇 예시적인 물품은 다음과 같이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통상, 물품은 수명은 비교적 길어야 하고, 사용 후 자체적으로 또는 쓰레기 매립지에서 취화(embrittlement) 및 분해가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물품은 폴리올레핀 또는 기타 유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 제품일 수 있다.
적당한 농업용 물품의 예는 멀치 필름, 스몰 터널 필름, 바나나 백, 직접 커버(direct covers), 부직물(nonwoven), 꼰실(twines), 클립, 네팅, 파이프, 튜브 및 폿트(pot)가 있다.
상기 모든 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물품은 사용 과정에서 그 성질을 유지하고, 사용 후에 분해된다.
멀치 필름은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양태이다.
멀치 필름은 성장 초기 단계에서 작물을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멀치 필름은, 작물 형태 및 목적에 따라, 파종 후나 파종과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멀치 필름은 작물이 특정 성장 단계에 이를 때까지 작물을 보호한다. 수확을 마칠 때, 경작지는 또 다른 경작을 위해 준비된 상태로 된다.
표준 플라스틱 필름은 새로운 경작을 위해 수집 및 처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첨가 시스템(성분(b-I) 및 임의의 성분(b-II) 내지 (b-IX))은, 표준 플라스틱 멀치 필름에 첨가될 때, 필름으로 하여금 작물이 필요한 성장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그 성질을 유지하고, 그 다음 분해가 시작되어 새로운 경작이 시작될 때 필름은 완전 분해되어야 한다.
사용 기간 및 분해후 완전 소멸까지의 기간은 농작물 형태 및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특정 요구 시간에 따라 첨가제 조합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첨가 시스템을 적절한 양으로 투입함으로써 필요한 서어비스 기간 및 분해 및 소멸까지의 시간이 얻어질 수 있다. 멀치 필름의 통상적인 수명의 예는 10∼180일인데, 24 개월까지의 수명이 요구되고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술한 성분(b-I) 및 임의의 성분(b-II) 내지 (b-IX)을 함유하고 10∼720일의 수명을 갖는 멀치 필름이다.
멀치 필름은 투명하거나 재배상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착색된(백색, 흑색, 은색, 녹색, 갈색) 단층 또는 다층(바람직하게는 3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멀치 필름의 두께는 이를테면 5∼100 미크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60 미크론의 필름이 바람직하다. 블로운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양태는 하기 농업용 물품 A), B) 및 C)에 관한 것이다.
A)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상술한 농업용 물품:
(a)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및
(b-II) Mn 스테아레이트;
특히
(a) 폴리에틸렌
(b-I) 분자량 200 000∼500 000 g/mol을 갖고, 그리고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COOH 기 20∼40 %가 나트륨염 형태인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및
(b-II) Mn 스테아레이트;
또는
(a)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IV) 카본 블랙;
특히
(a) 폴리에틸렌,
(b-I) 분자량 200 000∼500 000 g/mol을 갖고, 그리고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COOH 기 20∼40 %가 나트륨염 형태인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및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IV) 카본 블랙;
또는
(a)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V)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특히
(a) 폴리에틸렌,
(b-I) 분자량 200 000∼500 000 g/mol을 갖고, 그리고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COOH 기 20∼40 % 가 나트륨염 형태인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및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V)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또는
(a)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b-IV) 카본 블랙, 및
(b-V)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특히
(a) 폴리에틸렌,
(b-I) 분자량 200 000∼500 000 g/mol 을 갖고, 그리고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COOH 기 20∼40 %가 나트륨염 형태인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및
(b-II) Mn 스테아레이트,
(b-IV) 카본 블랙, 및
(b-V)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또는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및
(b-II) Mn 스테아레이트;
또는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VIII) Ca 스테아레이트;
또는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b-V)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및
(b-VIII) Ca 스테아레이트.
B)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상술한 농업용 물품: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Na/Mn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Mn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Fe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칼륨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Mn/Fe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K/Mn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트리도데실 암모늄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K/Mn 염,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Fe/Mn 염.
C)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상술한 농업용 물품: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VIII) Ca 스테아레이트;
또는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VI)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의 -COOH 기 약 100%가 나트륨염 형태인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이 바람직하다. 이 나트륨염은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2 000∼6 000 g/mol, 특히 4 000∼6 000 g/mol 또는 4 500∼5 500 g/mol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예는 다음 특성을 갖는 분해성 멀치 필름에 관한 것이다:
1)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m= 약 50, n=0의 값을 갖는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한 분자량: 약 5 100 g/mol) 0.1∼1 %, 특히 0.4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III) 칼슘 스테아레이트, 0.1∼5%, 특히 0.4%,
(b-V) Tinuvin 783 (RTM)1), 0.05∼2 %, 특히 0.1 %,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및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2)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m= 약 50, n=0의 값을 갖는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한 분자량: 약 5 100 g/mol) 0.1∼1 %, 특히 0.4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III) 칼슘 스테아레이트 0.1∼5%, 특히 0.4%,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및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3)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불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m= 약 50, n=0의 값을 갖는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한 분자량: 약 5 100 g/mol) 0.1∼1 %, 특히 0.4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IV) 카본 블랙 0.1∼20 %, 특히 0.1∼10 %,
(b-V) Tinuvin 783 (RTM)1), 0.1∼2 %, 특히 0.4∼1 %,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4)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불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m= 약 50, n=0의 값을 갖는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한 분자량: 약 5 100 g/mol) 0.1∼1 %, 특히 0.4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IV) 카본 블랙 0.1∼20 %, 특히 0.1∼10 %,
(b-V) Chimassorb 944 (RTM)2), 0.1∼2 %, 특히 0.4∼1 %,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5)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불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m= 약 50, n=0의 값을 갖는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한 분자량: 약 5 100 g/mol) 0.1∼1 %, 특히 0.4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IV) 카본 블랙 0.1∼20 %, 특히 0.1∼10 %,
(b-V) 광안정화제 LS3), 0.1∼2 %, 특히 0.4∼1 %,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6)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불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m= 약 50, n=0의 값은 갖는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한 분자량: 5 100 g/mol) 0.1∼1 %, 특히 0.4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IV) 카본 블랙 0.1∼20 %, 특히 0.1∼10 %,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7)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 염 (바람직한 분자량: 약 200 000-500 000 g/mol) 0.1∼5%, 특히 1.6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V) Tinuvin 783 (RTM)1), 0.05∼2 %, 특히 0.1 %,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및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8)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 염 (바람직한 분자량: 약 200 000-500 000 g/mol) 0.1∼5%, 특히 1.6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및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9)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불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바람직한 분자량: 약 200 000-500 000 g/mol)의 나트륨염 0.1∼5%, 특히 1.6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IV) 카본 블랙, 0.1∼20 %, 특히 0.1∼10 %,
(b-V) Tinuvin 783 (RTM)1), 0.1∼2 %, 특히 0.4∼1 %,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10)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불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 염 (바람직한 분자량: 약 200 000-500 000 g/mol) 0.1∼5%, 특히 1.6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IV) 카본 블랙 0.1∼20 %, 특히 0.1∼10 %,
(b-V) Chimassorb 944 (RTM)2), 0.1∼2 %, 특히 0.4∼1 %,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11)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불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바람직한 분자량: 약 200 000-500 000 g/mol) 0.1∼5%, 특히 1.6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IV) 카본 블랙 0.1∼20 %, 특히 0.1∼10 %,
(b-V) 광안정화제 LS3) 0.1∼2 %, 특히 0.4∼1 %,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12)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불투명한 10∼25 미크론 단층 또는 3층 블로운 필름: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 염 (바람직한 분자량: 약 200 000-500 000 g/mol) 0.1∼5%, 특히 1.6 %,
(b-II) 망간(II) 스테아레이트 0.05∼2 %, 특히 0.14 %,
(b-IV) 카본 블랙 0.1∼20 %, 특히 0.1∼10 %,
(b-VI-1) SiO2, 0.00005∼0.0005 %, 특히 0.0001∼0.0002 %,
(b-VI-2)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0.05∼4 %, 특히 0.1∼0.5 %,
(b-VII)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01∼4 %, 특히 0.02∼2 %.
상기 열거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성분(a))을 기준으로 한 중량%를 의미한다.
카본 블랙은 바람직하게는 마스터뱃치 형태, 이를테면 PLASBLAK PE 2642 MB 40% LD (RTM))가 첨가된다.
1) Tinuvin (RTM) 783: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및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숙신산 공중합체의 혼합물.
2) Chimassorb (RTM) 944: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3) 광안정화제 LS:
Figure 112008074771389-PCT0001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술한 성분(b-I) 및 임의의 성분(b-II) 내지 (b-IX)을 유기 중합체에 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 중합체로 이루어진 농업용 물품의 내후성 및 분해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I)의 일부 화합물은 신규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하기 화학식(I-A)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74771389-PCT00014
(I-A)
상기 식에서,
m은 0이 아니고,
n은 0 또는 0이 아니고,
m + n은 10∼10 x 106이고, 그리고
n이 0이 아닐 때, m/n의 비는 1/100∼100/1이고,
반복 단위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의를 가질 수 있고,
반복 단위 Y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의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반복 단위 X 및 Y는 랜덤 혹은 블록 구조를 가질 수 있고;
X는 하기 화학식(II-1)의 기이고, Y는 하기 화학식(II-2)의 기이고:
Figure 112008074771389-PCT00015
Figure 112008074771389-PCT00016
상기 식에서,
X1, X2 및 X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Y1, Y2 및 Y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Y3 는 수소, C1-C4알킬, 페닐 또는 -C(O)-Y0 기이고,
X0 는 화학식 -O- 1/r Mr+, -O- N+(R1)4 또는 -N(R3)2의 기이고,
Y0 는 화학식 -OH 또는 -O-R2의 기이고,
Mr+ 은 Mn2+, Mn3+, Mn4+, Fe2+, Fe3+, Co2+, Ca2+, Li+ 또는 K+이고,
라디칼 R1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C3-C12시클로알킬 또는 페닐이고,
R2 는 C1-C20알킬 또는 C3-C12시클로알킬이고, 그리고
라디칼 R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또는 C3-C12시클로알킬이고;
단,
a) 반복 단위 X의 1∼100%는 금속을 함유하고, 그리고
b) 화학식(I)의 화합물은 원자비 1:9 내지 9:1로 상이한 2개의 금속을 함유하고; 한 금속은 Mn2+, Mn3+, Mn4+, Fe2+, Fe3+, Co2+, Ca2+, Li+ 및 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또 다른 금속은 Mn2+, Mn3+, Mn4+, Fe2+, Fe3+ 및 C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농업용 물품의 분해성을 개선하는 전이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신규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IA-1) 폴리아크릴산 망간/철 염,
(IA-2) 폴리아크릴산 망간/코발트 염,
(IA-3) 폴리아크릴산 철 염/코발트 염,
(IA-4) 폴리아크릴산 리튬/망간 염,
(IA-5) 폴리아크릴산 리튬/철 염,
(IA-6) 폴리아크릴산 리튬/코발트 염,
(IA-7) 폴리아크릴산 칼륨/망간 염,
(IA-8) 폴리아크릴산 칼륨/철 염,
(IA-9) 폴리아크릴산 칼륨/코발트 염,
(IA-10) 폴리아크릴산 칼슘/망간 염,
(IA-11) 폴리아크릴산 칼슘/철 염,
(IA-12) 폴리아크릴산 칼슘/코발트 염,
(IA-13) 폴리메타크릴산 망간/철 염,
(IA-14) 폴리메타크릴산 망간/코발트 염,
(IA-15) 폴리메타크릴산 철 염/코발트 염,
(IA-16) 폴리메타크릴산 리튬/망간 염,
(IA-17) 폴리메타크릴산 리튬/철 염,
(IA-18) 폴리메타크릴산 리튬/코발트 염,
(IA-19) 폴리메타크릴산 칼륨/망간 염,
(IA-20) 폴리메타크릴산 칼륨/철 염,
(IA-21) 폴리메타크릴산 칼륨/코발트 염,
(IA-22) 폴리메타크릴산 칼슘/망간 염,
(IA-23) 폴리메타크릴산 칼슘/철 염,
(IA-24) 폴리메타크릴산 칼슘/코발트 염,
(IA-25)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철 염,
(IA-26)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코발트 염,
(IA-27)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철 염/코발트 염,
(IA-28)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망간 염,
(IA-29)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철 염,
(IA-30)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코발트 염,
(IA-31)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망간 염,
(IA-32)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철 염,
(IA-33)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코발트 염,
(IA-34)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망간 염,
(IA-35)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철 염,
(IA-36)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코발트 염,
(IA-37)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철 염,
(IA-38)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코발트 염,
(IA-39)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철 염/코발트 염,
(IA-40)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리튬/망간 염,
(IA-41)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철 염,
(IA-42)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코발트 염,
(IA-43)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륨/망간 염,
(IA-44)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철 염,
(IA-45)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코발트 염,
(IA-46)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슘/망간 염,
(IA-47)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철 염,
(IA-48)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코발트 염,
(IA-49)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철 염,
(IA-50)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코발트 염,
(IA-5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철 염/코발트 염,
(IA-52)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망간 염,
(IA-53)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철 염,
(IA-54)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코발트 염,
(IA-55)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망간 염,
(IA-56)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철 염,
(IA-57)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코발트 염,
(IA-58)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망간 염,
(IA-59)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철 염,
(IA-60)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코발트 염.
하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모든 퍼센트와 부는 별도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에틸렌/아크릴산 (5%) 공중합체 망간 염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적하 깔대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10.2g의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5%) 나트륨 염(Aldrich (RTM) 426695) 및 45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THF)을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가열시킨 후, 50ml의 THF에 0.43g의 망간 클로라이드가 용해된 용액을 부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200ml의 물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붓고, 형성된 침전물을 용액으로부터 여과에 의해 회수하여 감압하에 건조시켰다. 9.4g의 분홍색 고체를 목적물로서 얻었다.
Mn 중량%: 1.98
m/n 몰비: 2/98
융점: 98-107 ℃
실시예 2: Fe(II)로부터 에틸렌/아크릴산 (5%) 공중합체 철 염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적하 깔대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81.0g의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5%) 나트륨 염 (Aldrich (RTM) 426733) 및 300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고, 50ml의 물에 7.7g의 FeSO4 x 7 H2O가 용해된 용액을 부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1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200ml의 물을 반응 혼합물에 붓고,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 후 분리하여 물 및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진공 하에 건조시킨 후 75.5g의 목적물을 분홍-오렌지색의 고체로서 얻었다.
Fe 중량%: 2.13
m/n 몰비: 2/98
융점: 100-107 ℃
실시예 3: Fe(III)로부터 에틸렌/아크릴산(5%) 공중합체 철 염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적하 깔대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71.7g의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5%) 나트륨 염 (Aldrich (RTM) 426733) 및 300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고, 40ml의 물에 6.6g의 Fe(III)Cl3 x 6 H2O가 용해된 용액을 부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여과 후, 침전물을 분리하고 물 및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진공 하에 건조한 후 68.1g의 목적물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얻었다.
Fe 중량%: 1.54
m/n 몰비: 2/98
융점: 94-104 ℃
실시예 4: 에틸렌/아크릴산 (20%) 공중합체 나트륨/망간 염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적하 깔대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25.0g의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20%)(Aldrich (RTM) 181048; 분자량: 약 17 200 g/mol) 및 50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고, 10ml의 물에 2.8g의 NaOH가 용해된 용액을 부가하였다. 이어서, 50ml의 물에 4.4g의 망간 클로라이드가 용해된 용액을 교반된 혼합물 내로 신속하게 부었다. 상온까지 냉각한 후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진공 하에 건조한 후 25.6g의 목적물을 분홍색 고체로서 얻었다.
Mn 중량%: 3.46
Na 중량%: 2.01
Mn/Na 원자비: 1.0/1.4
m/n 몰비: 9/91
연화온도: 208 ℃
실시예 5: Fe(II)로부터 에틸렌/아크릴산(20%) 공중합체 나트륨/철 염의 제조.
출발 물질로서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20%)(Aldrich (RTM) 181048; 분자량: 약 17200 g/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e 중량%: 5.95
Na 중량%: 1.56
Fe/Na 원자비: 1.0/0.6
m/n 몰비: 9/91
연화온도: 115 ℃
융점: 216 ℃
실시예 6: 폴리아크릴산 나트륨/망간 염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적하 깔대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100.0g의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분자량: 약 5100 g/mol; Fluka(RTM) 81132) 및 1000ml의 에탄올/물(1:1)을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였다. 이어서, 50ml의 물에 7.44g의 망간 클로라이드가 용해된 용액을 혼합물 내로 신속하게 붓고, 상기 반응물을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점성질의 분홍색 수지를 경사분리에 의해 회수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76.9 g의 목적물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Mn 중량%: 3.79
Na 중량%: 18.4
Mn/Na 원자비: 1.0/11.7
연화온도: 142 ℃
실시예 7 : 에틸렌/아크릴산 (5%) 공중합체 트리도데실 암모늄염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적하 깔대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10.0g의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5%)(Aldrich (RTM) 426717; 분자량: 2000 g/mol 미만) 및 30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고, 3.6g의 트리도데실아민을 부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1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상온까지 냉각한 후, 300ml의 물을 상기 반응 혼합물 내에 붓고,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 후 분리하여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감압 하의 70 ℃ 오븐에서 건조한 후 12.5g의 목적물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m/n 몰비: 2/98
융점: 94 ℃
실시예 8: 에틸렌/아크릴산 (5%) 공중합체 망간/철 염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적하 깔대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30.0g의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5%) (Aldrich (RTM) 426717; 분자량: 2000 g/mol 미만) 및 100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고, 10ml의 물에 0.83g의 NaOH가 용해된 용액을 부가하였다. 이어서, 20ml의 물에 1.1g의 Fe(III)Cl3 x 6 H2O와 0.52g의 망간 클로라이드가 용해된 용액을 상기 반응 혼합물 내로 붓고, 환류 온도에서 유지하며, 30분 동안 반응하도록 방치하였다. 상온까지 냉각한 후 200ml의 물을 상기 반응 혼합물 내로 붓고, 형성된 참전물을 여과 후 분리하여 물 및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감압 하 70 ℃ 오븐에서 건조한 후 29.9g의 목적물을 분홍색 고체로서 얻었다.
Mn 중량%: 0.74
Fe 중량%: 0.68
Mn/Fe 원자비: 1.0/0.9
m/n 몰비: 2/98
융점: 95-103 ℃
실시예 9: 에틸렌/아크릴산 (5%) 공중합체 칼륨/망간 염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적하 깔대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70.0g의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5%) (Aldrich (RTM) 426717; 분자량: 2000 g/mol 미만) 및 1000ml의 THF를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고, 10ml의 물에 3.2g의 KOH가 용해된 용액을 부가하였다. 이어서, 20ml의 물에 1.8g의 망간 클로라이드가 용해된 용액을 상기 혼합물 내로 신속하게 붓고, 환류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 하에 방치하였다. 상온까지 냉각한 후 300ml의 물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붓고,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 후 분리하여 물 및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감압 하 70 ℃ 오븐에서 건조 한 후 69.0g의 목적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Mn 중량%: 1.06
K 중량%: 1.38
Mn/K 원자비: 1.0/1.8
m/n 몰비: 2/98
융점: 95-105 ℃
실시예 10: 에틸렌/아크릴산 (5%) 공중합체 칼륨 염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적하 깔대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70.0g의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5%) (Aldrich (RTM) 426717; 분자량: 2000 g/mol 미만) 및 1000ml의 THF를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고, 10ml의 물에 3.2g의 KOH가 용해된 용액을 부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에 방치하였다. 상온까지 냉각한 후 300ml의 물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붓고,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 후 분리하여 물 및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감압 하에 건조시킨 후 66.5g의 목적물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K 중량%: 2.77
m/n 몰비: 2/98
융점: 96-104 ℃
실시예 11: 메틸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철/망간 염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적하 깔대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70.0g의 폴리(메타크릴산-코-메틸메타크릴레이트) (Fluka (RTM) 81359; 분자량: 약 35000 g/mol) 및 250ml의 THF를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고, 10ml의 물에 2.0g의 NaOH가 용해된 용액을 부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 하에 방치하였다. 이어서, 20ml의 물에 2.7g의 Fe(III)Cl3 x 6 H2O와 1.3g의 망간 클로라이드가 용해된 용액을 상기 혼합물에 붓고, 환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방치하였다. 이어서, 700ml의 물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붓고, 형성된 고무성 침전물을 상온에서 조(crude) 용액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감압 하에 건조한 후 69.9g의 목적물을 약한 적색 고체로서 얻었다.
Fe 중량%: 0.76
Mn 중량%: 0.75
Fe/Mn 원자비: 1.0/1.0
m/n 몰비: 14/86
융점: 162-184 ℃
실시예 12: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칼슘 스테아레이트 혼합물(1:1)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40.0g의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분자량 약 5100 g/mol; Fluka (RTM) 81132) 및 40.0g의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180 ℃로 가열하고,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에서 냉각한 후 목적물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연화온도: 159-179 ℃
실시예 13: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폴리에틸렌 글리콜(MW 3400) 혼합물(1:1)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 열전대 및 응축기가 설치된 4-가지 달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연속적으로 40.0g의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분자량 약 5100 g/mol; Fluka (RTM) 81132) 및 40.0g의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3400 g/mol) 및 250ml의 물을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 환류하고, 균질한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진공 하에 농축하고, 감압 하에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목적물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연화온도: 58-65 ℃
실시예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단층 필름의 제조.
터보 믹서(Caccia (RTM), Labo 10)에 표 1에 기재된 양의 각 첨가제와 0.10 중량%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및 0.032 중량%의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함유하고, 1.1g/10분(190 ℃/2.16 kg)의 용융 지수를 갖는 LLDPE Dowlex (RTM) NG 5056-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COMAC (RTM) 이축 압출기(φ=32; L/D = 34) 또는 O.M.C. 이축 압출기(φ=19; L/D = 25)를 사용하여 210 ℃의 최대 온도에서 압출하여 과립화 하였다. 이어서, 210 ℃의 최대 온도에서 작동하는 취입 압출기(Dolci (RTM))를 사용하여 12㎛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도록 하는 최종 조성물을 얻기 위해 상기 과립을 동일한 LLDPE와 혼합하여 희석하였다. 표 2는 LLDPE 필름의 최종 조성물을 나타낸다.
표 1: 마스터뱃치 과립의 농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17
표 2: LLDPE 필름의 최종 조성물
Figure 112008074771389-PCT00018
실시예 B: LLDPE 단층 필름의 제조.
터보 믹서(Caccia (RTM), Labo 10)에 표 3에 기재된 양의 각 첨가제와 0.10 중량%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및 0.032 중량%의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함유하고, 1.1g/10분(190 ℃/2.16kg)의 용융 지수를 갖는 LLDPE Dowlex(RTM) NG 5056-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COMAC (RTM) 이축 압출기(φ=32; L/D = 34)를 사용하여 210 ℃의 최대 온도에서 압출하여 과립화 하였다. 이어서, 최종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상기 과립을 동일한 LLDPE와 혼합하여 희석하고, 210 ℃의 최대 온도에서 작동하는 취입 압출기(Dolci (RTM))를 사용하여 12㎛ 두께의 단층 필름으로 변환하였다. 표 4는 LLDPE 필름의 최종 조성물을 나타낸다.
표 3: 마스터뱃치 과립의 농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19
표 4: LLDPE 필름의 최종 조성물
Figure 112008074771389-PCT00020
실시예 C: 입체 장애 아민 화합물을 함유하는 LLDPE 단층 필름의 제조.
상기 필름은 실시예 B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표 5: 마스터뱃치 과립의 농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21
Tinuvin (RTM) 783: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및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숙신산 공중합체의 혼합물.
표 6: LLDPE 필름의 최종 조성물
Figure 112008074771389-PCT00022
실시예 D: 실시예 B와 유사한 LLDPE 단층 필름의 제조
표 7: 마스터뱃치 과립의 농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23
표 8: LLDPE 필름의 최종 조성물
Figure 112008074771389-PCT00024
실시예 E: LLDPE 단층 필름의 제조.
터보 믹서(Caccia (RTM), Labo 10)에 표 9에 기재된 양의 각 첨가제와 0.10 중량%의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및 0.032 중량%의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함유하고, 1.1g/10분(190 ℃/2.16kg)의 용융 지수를 갖는 LLDPE Dowlex (RTM) NG 5056-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O.M.C. (RTM) 이축 압출기(φ=19; L/D = 25)를 사용하여 210 ℃의 최대 온도에서 압출하여 과립화 하였다. 이어서, 210 ℃의 최대 온도에서 작동하는 취입 압출기(Dolci (RTM))를 사용하여, 상기 과립을 12㎛ 두께의 단층 필름으로 변환하 였다. 표 9는 LLDPE 필름의 최종 조성물을 나타낸다.
표 9: LLDPE 필름의 최종 조성물
Figure 112008074771389-PCT00025
실시예 F: 오븐 노출
실시예 A 내지 E의 필름을 50 ℃에서 작동하는 정적 오븐(Heraeus (RTM), model 6120 UT)에 노출하였다.
평가 파라미터:
1) 카르보닐 증분(CO): 노출 시간의 함수에 따른 카르보닐 밴드 증분(1710 cm-1)의 평가는 FT-IR Perkin-Elmer (RTM) Spectrum One으로 모니터링하였다.
2) 크래킹까지의 시간: 필름 시료의 시각적 손상은 표면 크래킹의 최초 발생 시간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 내지 19에 나타냈다.
표 10: 50 ℃의 오븐 노출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카르보닐 증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26
이러한 결과로부터, 필름 2 내의 첨가제 혼합물이 최대 폭의 산화(즉, 산소의 혼입)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1: 50 ℃의 오븐 노출에서 12 미크론 필름의 크래킹까지의 시간(시)
Figure 112008074771389-PCT00027
이러한 결과는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필름 2가 가장 빠른 분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2: 50 ℃의 오븐 노출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카르보닐 증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28
이러한 결과로부터, 필름 3 및 4 내의 첨가제 혼합물이 최대 폭의 산화(즉, 산소의 혼입)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3: 50 ℃의 오븐 노출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크래킹까지의 시간(시)
Figure 112008074771389-PCT00029
이러한 결과로부터,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필름 3이 가장 빨리 분해되고, 필름 4는 필름 3에 비하여 감소된 분해 속도를 갖지만 필름 1 보다는 여전히 훨씬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4: 50 ℃의 오븐 노출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카르보닐 증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30
이러한 결과로부터, 필름 5 내의 첨가제 혼합물이 최대 폭의 산화(즉, 산소의 혼입)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5: 50 ℃의 오븐 노출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크래킹까지의 시간(시)
Figure 112008074771389-PCT00031
이러한 결과로부터,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필름 5가 가장 빠른 분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6: 50 ℃의 오븐 노출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카르보닐 증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32
이러한 결과로부터, 필름 7 및 8 내의 첨가제 혼합물이 최대 폭의 산화(즉, 산소의 혼입)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7: 50 ℃의 오븐 노출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크래킹까지의 시간(시)
Figure 112008074771389-PCT00033
이러한 결과로부터,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필름 7 및 8이 가장 빠른 분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8: 50 ℃의 오븐 노출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카르보닐 증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34
이러한 결과로부터, 필름 9, 10 및 11 내의 첨가제 혼합물이 최대 폭의 산화(즉, 산소의 혼입)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9: 50 ℃의 오븐 노출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크래킹까지의 시간(시)
Figure 112008074771389-PCT00035
이러한 결과로부터,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필름 9, 10 및 11이 가장 빠른 분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G: 노광
실시예 A 내지 E의 필름을 6500W Xenon lamp (연속 광 주기, 블랙 패널 온도= 63 ℃)가 설치된 ATLAS 내후성 시험기(모델 Ci65A)에 노출시켰다.
평가 파라미터:
1) 카르보닐 증분(CO): 노출 시간의 함수에 따른 카르보닐 밴드 증분(1710 cm-1)의 평가는 FT-IR Perkin-Elmer (RTM) Spectrum One으로 모니터링하였다.
2) 크래킹까지의 시간: 필름 시료의 시각적 손상은 표면 크래킹의 최초 증거에 대한 시간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20 내지 표 28에 나타냈다.
표 20: 내후성 시험기 내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카르보닐 증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36
이러한 결과로부터, 필름 2 내의 첨가제 혼합물이 최대 폭의 산화(즉, 산소의 혼입)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1: 내후성 시험기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크래킹까지의 시간(시)
Figure 112008074771389-PCT00037
이러한 결과로부터,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필름 2가 가장 빠른 분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2: 내후성 시험기 내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카르보닐 증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38
이러한 결과로부터, 필름 3 및 4 내의 첨가제 혼합물이 최대 폭의 산화(즉, 산소의 혼입)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3: 내후성 시험기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크래킹까지의 시간(시)
Figure 112008074771389-PCT00039
이러한 결과로부터,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필름 3이 가장 빠른 분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4: 내후성 시험기 내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카르보닐 증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40
이러한 결과로부터, 필름 5 내의 첨가제 혼합물이 최대 폭의 산화(즉, 산소 의 혼입)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5: 내후성 시험기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크래킹까지의 시간(시)
Figure 112008074771389-PCT00041
이러한 결과로부터,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필름 5가 가장 빠른 분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6: 내후성 시험기 내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카르보닐 증분.
Figure 112008074771389-PCT00042
이러한 결과로부터, 필름 7 및 8 내의 첨가제 혼합물이 최대 폭의 산화(즉, 산소의 혼입)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7: 내후성 시험기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크래킹까지의 시간(시)
Figure 112008074771389-PCT00043
이러한 결과로부터,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필름 7 및 8이 가장 빠른 분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8: 오븐 내후성 시험기에서 12 미크론 LLDPE 필름의 크래킹까지의 시간(시)
Figure 112008074771389-PCT00044
이러한 결과로부터,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필름 9, 10 및 11이 가장 빠른 분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32)

  1. 하기 성분(a) 및 성분(b-1)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농업용 물품:
    (a) 유기 중합체, 및
    (b-I)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1 또는 2 이상의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0.001∼9 중량%:
    Figure 112008074771389-PCT00045
    상기 식에서,
    m은 0이 아니고,
    n은 0이거나 또는 0이 아니고,
    m + n은 10∼10 x 106이고, 그리고
    n이 0이 아닐 때, m/n의 비는 1/100∼100/1이고,
    반복 단위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의를 가질 수 있고,
    반복 단위 Y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의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반복 단위 X 및 Y는 랜덤 혹은 블록 구조를 가질 수 있고;
    X는 하기 화학식(II-1)의 기이고, Y는 하기 화학식(II-2)의 기이고:
    Figure 112008074771389-PCT00046
    Figure 112008074771389-PCT00047
    상기 식에서,
    X1, X2 및 X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Y1, Y2 및 Y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Y3 는 수소, C1-C4알킬, 페닐 또는 -C(O)-Y0 기이고,
    X0 는 화학식 -O- 1/r Mr+, -O- N+(R1)4 또는 -N(R3)2의 기이고,
    그리고 n이 0일 때, X0 는 부가적으로 -OH 또는 -OR2 기이고,
    Y0 는 화학식 -OH 또는 -O-R2의 기이고,
    M 은 r이 1, 2, 3 또는 4인 r가를 갖는 금속 양이온이고,
    라디칼 R1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C3-C12시클로알킬 또는 페닐이고,
    R2 는 C1-C20알킬 또는 C3-C12시클로알킬이고, 그리고
    라디칼 R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또는 C3-C12시클로알킬이고;
    단,
    1) 성분(b-I)은 성분(a)와 다르고;
    2) 화학식(I)의 화합물이 전이 금속 양이온을 갖지 않거나 또는 반복 단위 X의 1% 이하가 전이 금속 양이온을 함유할 때, 조성물은 추가 성분(b-II)으로서 1 또는 2 이상의 전이 금속의 유기 염을 함유하고;
    3) 화학식(I)의 화합물에서 반복 단위 X의 1∼100%가 전이 금속 양이온을 함유할 때, 성분(b-II)은 조성물에 임의로 존재하고;
    4) 성분(b-II)는 성분(b-I)과 다르고; 그리고
    5) n이 0이 아닌 경우에, 성분(b-I)의 금속 양이온이 Co, Cu, Mn 및 Cr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때, 조성물은 2 이상의 상이한 전이 금속 양이온이나 추가 성분으로서 안료 및/또는 광안정화제를 함유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X0 가 화학식 -O- 1/r Mr+, -O- N+(R1)4 또는 -N(R3)2의 기인 농업용 물품.
  3. 제 1항에 있어서, X1, X2 및 X3 중 한 라디칼이 수소가 아닌 농업용 물품.
  4. 제 1항에 있어서, Y1, Y2 및 Y4 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그리고 Y3 가 수소, C1-C4알킬, 페닐 또는 -COOH 기인 농업용 물품.
  5. 제 1항에 있어서, 성분(b-I)이 하기 화합물의 금속 염인 농업용 물품:
    폴리아크릴산;
    C1-C4알킬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C1-C4알킬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C1-C4알킬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C1-C4알킬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6. 제 1항에 있어서, 성분(b-I)의 금속 양이온이 알칼리 금속 양이온, 알칼리 토류 금속 양이온 및 전이금속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농업용 물품.
  7. 제 1항에 있어서, 성분(b-I)의 금속 양이온이 Li, Na, K, Ca, Mg, Mn, Fe, Co, Ni, Zn 및 Ce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농업용 물품.
  8. 제 1항에 있어서, 화학식(I)의 화합물이 2 이상의 상이한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농업용 물품.
  9. 제 1항에 있어서, 화학식(I)의 화합물이 Mn, Fe 및 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의 상이한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농업용 물품.
  10. 제 1항에 있어서, 화학식(I)의 화합물이 2개의 상이한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고; 하나의 금속 양이온이 Li+, Na+, K+, Ca2+ 1/2 또는 Zn2+ 1/2 이고, 그리고 또 다른 금속 양이온이 Mn, Fe 및 Co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농업용 물품.
  11. 제 1항에 있어서, 성분(b-I)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망간 염인 농업용 물품.
  12. 제 1항에 있어서, 성분 (b-I) 및 (b-II)를 함유하고, 성분 (b-II)가 Fe, Ce, Co, Mn 또는 Ni의 C2-C36카르복실레이트인 농업용 물품.
  13. 제 1항에 있어서, 성분(b-II)가 Mn의 C12-C20알카노에이트 또는 C12-C20알케노에이트인 농업용 물품.
  14. 제 1항에 있어서, 성분(b-II)가 상이한 금속염을 갖는 2개의 상이한 유기 금속 염을 함유하는 농업용 물품.
  15. 제 1항에 있어서, 성분(b-I)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또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트륨염이고, 그리고 성분(b-II)가 망간 스테아레이트인 농업용 물품.
  16. 제 1항에 있어서, 1 이상의 다음 성분을 더 포함하는 농업용 물품:
    (b-III) 충전제 또는 보강제,
    (b-IV) 안료,
    (b-V) 광안정화제,
    (b-VI) 가공 첨가제.
    (b-VII) 산화방지제,
    (b-VIII) Ca, Mg, Zn 또는 Al의 무기 또는 유기 염, 또는 Ca, Mg, Zn 또는 Al의 산화물,
    (b-IX) 테르펜 유도체.
  17. 제 1항에 있어서, 성분(a)가 열가소성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인 농업용 물품.
  18. 제 1항에 있어서, 성분(a)가 폴리올레핀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전분 변성 폴리올레핀 또는 전분계 중합체 복합물인 농업용 물품.
  19. 제 1항에 있어서, 성분(a)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인 농업용 물품.
  20. 제 1항에 있어서, 멀치 필름, 스몰 터널 필름, 바나나 백, 직접 커버, 부직물, 꼰실, 클립, 네팅, 파이프, 튜브 및 폿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농업용 물품.
  21. 제 1항에 있어서, 멀치 필름인 농업용 물품.
  22.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농업용 물품:
    (a)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및
    (b-II) Mn 스테아레이트;
    또는
    (a)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IV) 카본 블랙;
    또는
    (a)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V)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또는
    (a) 폴리에틸렌,
    (b-I)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b-IV) 카본 블랙, 및
    (b-V)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또는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및
    (b-II) Mn 스테아레이트;
    또는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VIII) Ca 스테아레이트;
    또는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b-V)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및
    (b-VIII) Ca 스테아레이트.
  23.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농업용 물품: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Na/Mn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Mn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Fe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칼륨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Mn/Fe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K/Mn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트리도데실 암모늄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K/Mn 염,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Fe/Mn 염.
  24.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농업용 물품: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VIII) Ca 스테아레이트;
    또는
    (a) 폴리올레핀,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b-II) Mn 스테아레이트, 및
    (b-VI) 폴리에틸렌글리콜.
  25. 제 1항에서 정의한 성분(b-I) 및 임의의 성분(b-II)을 유기 중합체에 혼입하고, 제 1항의 단서 1) 내지 5)에 적용받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 중합체로 이루어진 농업용 물품의 내후성 및 분해를 조절하는 방법.
  26. 유기 중합체로 이루어진 농업용 물품의 내후성 및 분해를 조절하기 위한, 제 1항의 단서 1) 내지 5)에 적용받고 제 1항에서 정의한 성분(b-I) 및 임의의 성분(b-II)의 용도.
  27. 하기 화학식(I-A)의 화합물:
    Figure 112008074771389-PCT00048
    (I-A)
    상기 식에서,
    m은 0이 아니고,
    n은 0 또는 0이 아니고,
    m + n은 10∼10 x 106이고, 그리고
    n이 0이 아닐 때, m/n의 비는 1/100∼100/1이고,
    반복 단위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의를 가질 수 있고,
    반복 단위 Y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의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반복 단위 X 및 Y는 랜덤 혹은 블록 구조를 가질 수 있고;
    X는 하기 화학식(II-1)의 기이고, Y는 하기 화학식(II-2)의 기이고:
    Figure 112008074771389-PCT00049
    Figure 112008074771389-PCT00050
    상기 식에서,
    X1, X2 및 X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Y1, Y2 및 Y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Y3 는 수소, C1-C4알킬, 페닐 또는 -C(O)-Y0 기이고,
    X0 는 화학식 -O- 1/r Mr+, -O- N+(R1)4 또는 -N(R3)2의 기이고,
    Y0 는 화학식 -OH 또는 -O-R2의 기이고,
    Mr+ 은 Mn2+, Mn3+, Mn4+, Fe2+, Fe3+, Co2+, Ca2+, Li+ 또는 K+이고,
    라디칼 R1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C3-C12시클로알킬 또는 페닐이고,
    R2 는 C1-C20알킬 또는 C3-C12시클로알킬이고, 그리고
    라디칼 R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또는 C3-C12시클로알킬이고;
    단,
    a) 반복 단위 X의 1∼100%는 금속을 함유하고, 그리고
    b) 화학식(I)의 화합물은 원자비 1:9 내지 9:1로 상이한 2개의 금속을 함유하고; 한 금속은 Mn2+, Mn3+, Mn4+, Fe2+, Fe3+, Co2+, Ca2+, Li+ 및 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또 다른 금속은 Mn2+, Mn3+, Mn4+, Fe2+, Fe3+ 및 C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28. 제 27항에 있어서, 하기에 해당하는 화학식(I-A)의 화합물:
    폴리아크릴산 망간/철 염,
    폴리아크릴산 망간/코발트 염,
    폴리아크릴산 철 염/코발트 염,
    폴리아크릴산 리튬/망간 염,
    폴리아크릴산 리튬/철 염,
    폴리아크릴산 리튬/코발트 염,
    폴리아크릴산 칼륨/망간 염,
    폴리아크릴산 칼륨/철 염,
    폴리아크릴산 칼륨/코발트 염,
    폴리아크릴산 칼슘/망간 염,
    폴리아크릴산 칼슘/철 염,
    폴리아크릴산 칼슘/코발트 염,
    폴리메타크릴산 망간/철 염,
    폴리메타크릴산 망간/코발트 염,
    폴리메타크릴산 철 염/코발트 염,
    폴리메타크릴산 리튬/망간 염,
    폴리메타크릴산 리튬/철 염,
    폴리메타크릴산 리튬/코발트 염,
    폴리메타크릴산 칼륨/망간 염,
    폴리메타크릴산 칼륨/철 염,
    폴리메타크릴산 칼륨/코발트 염,
    폴리메타크릴산 칼슘/망간 염,
    폴리메타크릴산 칼슘/철 염,
    폴리메타크릴산 칼슘/코발트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철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코발트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철 염/코발트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망간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철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코발트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망간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철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코발트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망간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철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코발트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철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코발트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철 염/코발트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리튬/망간 염,
    (IA-41)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철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코발트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륨/망간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철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코발트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슘/망간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철 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코발트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철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망간/코발트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철 염/코발트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망간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철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리튬/코발트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망간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철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륨/코발트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망간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철 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칼슘/코발트 염.
  29. 제 1항에서 정의한 농업용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마스터뱃치:
    (a) 유기 중합체,
    (b) 유기 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첨가제 혼합물 10∼70 %:
    (b-I) 제 1항에서 정의한 화학식(I)의 화합물, 및
    (b-II) Fe, Ce, Co, Mn 또는 Ni의 C2-C36카르복실레이트.
  30. 하기 성분(a) 및 (b)를 함유하는 마스터뱃치: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첨가제 혼합물 3∼60 중량%:
    (b-I)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또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및
    (b-II) 망간 스테아레이트.
  31. 제 30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마스터뱃치: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 2 ∼10 중량%,
    (b-II)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망간 스테아레이트 1∼5 중량%,
    (b-III)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칼슘 스테아레이트 2∼10 중량%.
  32. 제 30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마스터뱃치: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b-I)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30∼50 중량%,
    (b-II)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 기준으로, 망간 스테아레이트 1∼5 중량%.
KR1020087026365A 2006-05-11 2007-05-09 금속 양이온 함유 화합물로 변성된 중합체 물품 KR200900159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3810 2006-05-11
EP06113810.3 2006-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904A true KR20090015904A (ko) 2009-02-12

Family

ID=3702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365A KR20090015904A (ko) 2006-05-11 2007-05-09 금속 양이온 함유 화합물로 변성된 중합체 물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90104389A1 (ko)
EP (1) EP2016129A1 (ko)
JP (1) JP2009536677A (ko)
KR (1) KR20090015904A (ko)
CN (1) CN101443406A (ko)
AR (1) AR061089A1 (ko)
BR (1) BRPI0711418A2 (ko)
CA (1) CA2649965A1 (ko)
IL (1) IL194957A0 (ko)
MX (1) MX2008014269A (ko)
TW (1) TW200813145A (ko)
WO (1) WO20071319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6825B1 (ja) * 2008-01-16 2008-11-05 横浜ゴム株式会社 塩素化ゴム組成物およびホース
CA2726602A1 (en) * 2010-12-30 2012-06-30 Aman Ur Rahman Oxo-biodegradable additives for use in fossil fuel polymer films and once-used packaging
EP2914654B1 (en) * 2012-11-02 2017-05-31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 compositions comprising metal carboxylate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PL3545032T3 (pl) * 2016-11-22 2023-12-18 Polymateria Limited Degradowalny polimer i sposób wytwarzania
CN108219261A (zh) * 2018-01-26 2018-06-29 北京国瑞新源投资有限公司 一种可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可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CN116355373A (zh) * 2023-04-20 2023-06-30 四川大学 一种聚乳酸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4510A (en) * 1966-03-03 1969-07-08 Eastman Kodak Co Polyolefin compositions and degradable films made therefrom
JPS4953980A (ko) * 1972-09-28 1974-05-25
JPS5034045A (ko) * 1973-07-26 1975-04-02
DE3804646A1 (de) * 1988-02-15 1989-08-24 Henkel Kgaa Makroporoese ionenselektive austauscherharze
US5258422A (en) * 1992-05-05 1993-11-02 Tredegar Industries, Inc. Compost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s
CA2088140C (en) * 1992-06-19 2000-08-22 Michael J. Sullivan High acid ionomers and golf ball cover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US5416133A (en) * 1992-08-24 1995-05-16 Gaia Research Limited Partnership Chemically degradable polyolefin films
US5352716A (en) * 1992-12-16 1994-10-04 Ecostar International, L.P. Degradable synthetic polymeric compounds
US5854304A (en) * 1994-12-14 1998-12-29 Epi Environmental Products Inc. Degradable/compostable concentrates, process for making degradable/compostable packaging materials and the products thereof
JP4323700B2 (ja) * 2000-08-23 2009-09-02 株式会社日本触媒 新規水溶性共重合体とその製造方法、用途
JP2002138108A (ja) * 2000-11-02 2002-05-14 Kansai Paint Co Ltd 金属含有樹脂の製造方法及びその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1919A1 (en) 2007-11-22
JP2009536677A (ja) 2009-10-15
EP2016129A1 (en) 2009-01-21
TW200813145A (en) 2008-03-16
CA2649965A1 (en) 2007-11-22
US20090104389A1 (en) 2009-04-23
AR061089A1 (es) 2008-08-06
MX2008014269A (es) 2008-11-18
IL194957A0 (en) 2009-08-03
BRPI0711418A2 (pt) 2011-11-01
CN101443406A (zh)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723B1 (ko) 수지 조성물
US20070135537A1 (en) Agricultural articles
CA2921960C (en) Triazine, piperidine and pyrrolidine based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KR20080045691A (ko) 분해성 중합체 물품
JP2010535257A (ja) ポリマーおよびそれを含むポリマー物品用分解促進剤
US20110015295A1 (en) Additive mixtures for agricultural articles
US20090239976A1 (en) Polymer Article Modified with a Metal Cation Containing Compound
AU2003242561A1 (en) Beta crystaline polypropylenes
AU2003255313A1 (en) Beta-nucleating, light stabilizing agents for polypropylene
US20140336313A1 (en) Sterically hindered amine stabilizer
KR20090015904A (ko) 금속 양이온 함유 화합물로 변성된 중합체 물품
TWI278479B (en) Stabilizer mixtures for the protection of polymer substrates
CA3035621A1 (en) Additive mixture
AU2003242560B2 (en) Stabilized articles
JP7293205B2 (ja) 添加剤混合物
JP5992509B2 (ja) 有機物質安定化のための5h−フラン−2−オン誘導体
JP4728869B2 (ja) ポリアミン誘導体
JP2017149852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内外装材
GB2384486A (en) Bridged hydroxyphenyl triazine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